KR101654021B1 -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021B1
KR101654021B1 KR1020150052235A KR20150052235A KR101654021B1 KR 101654021 B1 KR101654021 B1 KR 101654021B1 KR 1020150052235 A KR1020150052235 A KR 1020150052235A KR 20150052235 A KR20150052235 A KR 20150052235A KR 101654021 B1 KR101654021 B1 KR 101654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lothes
storage room
auxiliary conveyo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훈
Original Assignee
유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훈 filed Critical 유지훈
Priority to KR102015005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29Clothes, clothes 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의류를 한꺼번에 보관하면서 필요한 사람에게 손쉽게 자동으로 출고되도록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출고 시스템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방과; 상기 보관방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구동휠과 제1 종동휠에 의해 구동되면서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이송 가능한 상태로 보관하는 메인컨베이어와; 상기 보관방의 내부로 상기 메인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 구동휠과 제2 종동휠에 의해 구동되면서 출고할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이송 가능한 상태로 보관하는 보조컨베이어와; 상기 메인컨베이어와 보조컨베이어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 이송장치와; 상기 보관방의 전면 일측에 상기 보조컨베이어에 대응하여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리더기와, 상기 카드리더기의 상부로 상기 보관방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관통구와 보조컨베이어의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옷걸이가 걸리어 하강하는 출고봉을 포함하는 출고부와; 상기 보조컨베이어에 설치되는 반출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SYSTEM FOR KEEPING AND TAKING-OUT CLOTHING}
본 발명은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의류를 한꺼번에 보관하면서 필요한 사람에게 손쉽게 자동으로 출고되도록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체, 병원, 호텔, 대형 세탁소 등에는 다량의 의류가 세탁된 후에 보관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의류의 관리를 위해 통상적으로 의류 이송 컨베이어가 사용된다. 이런 의류 이송컨베이어의 일예를 도 8과 도 9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의류 이송컨베이어는 회전식으로 작동하며 걸려있는 세탁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100)와, 그 컨베이어장치(100)의 회전을 제어하여 원하는 세탁물을 출고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서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장치(100)는 세탁물을 이송시키는 무한궤도식의 컨베이어(200)와, 그 컨베이어(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M)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00)는 원형봉 형상의 가이드프레임(201)과, 그 가이드프레임(201)의 하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을 걸 수 있는 다수의 걸이부재(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이부재(202)들은 전후 양단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공(H)이 형성되고, 그 힌지공(H)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힌지편(203)으로 다수의 걸이부재(202)들을 연속적으로 체결하여 링크형식으로 연결하여 무한궤도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걸이부재(202)의 돌출 힌지편(203)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표면에 접촉되어 걸이부재(202)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롤러(204)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곡선주로 내측에는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원판형상의 회전체(3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회전체(300)는 그 테두리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견인홈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걸이부재 (202)의 상단에 형성되는 돌출 힌지편(203)을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300)의 반대편의 곡선주로의 내측에는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테두리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견인홈(401)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연동 회전체(4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연동 회전체(400)는 걸이부재(202)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점이 있었다.
산업체, 병원, 호텔, 대형 세탁소 등에서 다량의 의류를 한꺼번에 보관하면서 필요한 사람에게 손쉽게 자동으로 출고되도록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08-0083513호 "의류보관장치 및 그 제어방법"(2008.12.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의류를 한꺼번에 보관하면서 필요한 사람에게 손쉽게 자동으로 출고되도록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고정장치를 통해 보조컨베이어의 정지가 보다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수거부를 설치하여 의류의 수거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걸이장치를 통해 메인컨베이어나 보조컨베이어에 대한 옷걸이의 걸이가 자동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은, 벽으로 둘러싸여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방과; 상기 보관방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구동휠과 제1 종동휠에 의해 구동되면서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이송 가능한 상태로 보관하는 메인컨베이어와; 상기 보관방의 내부로 상기 메인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 구동휠과 제2 종동휠에 의해 구동되면서 출고할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이송 가능한 상태로 보관하는 보조컨베이어와; 상기 메인컨베이어와 보조컨베이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컨베이어에 있는 옷걸이를 빼내어 상기 보조컨베이어에 거는 중간 이송장치와; 상기 보관방의 전면 일측에 상기 보조컨베이어에 대응하여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리더기와, 상기 카드리더기의 상부로 상기 보관방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관통구와 보조컨베이어의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옷걸이가 걸리어 하강하는 출고봉을 포함하는 출고부와; 상기 보조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컨베이어에 있는 옷걸이를 빼내어 상기 출고봉으로 반출하는 반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의 상기 중간 이송장치는, 상기 메인컨베이어와 보조컨베이어의 사이에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회전봉과, 상기 수직회전봉의 하단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옷걸이를 파지하거나 그 파지를 해제할 수 있는 그립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의 상기 출고부는, 상기 출고봉의 하단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의 내부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벽에 형성되는 투입구와, 일단이 상기 출고봉에 대응되고 상기 투입구의 내측으로 상기 보관방에 설치되는 옷걸이보관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의 상기 반출장치는, 상기 보조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보조컨베이어에 걸린 옷걸이를 들어 올려서 빼내어 상기 출고봉으로 반출하는 반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의 상기 보조컨베이어는, 그 상단에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고 시스템은, 상기 보조컨베이어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상하작동기와, 상기 상하작동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작동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턱에 맞물리는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턱을 맞물어 상기 보조컨베이어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맞물림턱을 포함하는 컨베이어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은, 상기 출고부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의 전면에 설치되고, 의류를 수거하는 의류수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류수거부는, 상기 출고부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의 전면에 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투입도어와, 상기 투입도어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방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투입도어를 통해 투입된 의류를 받아서 전방이나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와, 상기 배출부재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재에 의해 배출되는 의류를 수거하는 수거통과, 상기 배출부재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관방의 전면에 연통되며 상기 배출부재에 의해 반납되는 의류가 인출될 수 있는 반납구와, 상기 투입도어의 상부로 상기 보관방의 전면에 설치되고 투입된 의류의 인증 및 불인증을 표시하는 표시기와, 상기 보관방의 내부로 상기 배출부재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기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도어를 통해 상기 배출부재에 투입된 의류에 붙은 전자태그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기와 배출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기와, 상기 보관방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의류수거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은, 상기 옷걸이보관봉에서 상기 보조컨베이어의 사이 및 상기 메인컨베이어에 각각 설치되고, 옷걸이를 상기 보조컨베어와 메인컨베이어에 거는 한 쌍의 걸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이장치는,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상기 보조컨베이어와 메인컨베이어를 향해 설치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되면서 옷걸이를 걸어서 상승시키는 상승벨트와, 상기 상승벨트의 상단 하부에서 상기 보조컨베이어와 메인컨베이어로 옷걸이를 유도하는 유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은, 상기 보관방의 내부로 상기 메인컨베이어의 선단 일측에 설치되고, 의류에 붙은 전자태그를 판독하고 저장하는 태그리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량의 의류를 한꺼번에 보관하면서 필요한 사람에게 손쉽게 자동으로 출고되고, 그에 따라 의류의 보관 및 출고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고정장치를 통해 보조컨베이어의 정지가 보다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작동상의 정밀성이 보다 향상되면서 의류의 출고가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수거부를 설치하여 의류의 수거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이 보다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걸이장치를 통해 메인컨베이어나 보조컨베이어에 대한 옷걸이의 걸이가 자동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작동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보다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의 출고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의 의류 반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의 의류수거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의 의류수거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의 중간 이송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의 걸이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
도 8은 종래의 이송 컨베이어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이송 컨베이어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의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은 보관방(10)과, 상기 보관방(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컨베이어(20)와, 상기 보관방(10)의 내부로 상기 메인컨베이어(20)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컨베이어(30)와, 상기 메인컨베이어(20)와 보조컨베이어(30)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 이송장치(40)와, 상기 보관방(1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출고부(50)와, 상기 출고부(50)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방(10)의 내부로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설치되는 반출장치(60)를 포함한다.
상기 보관방(10)은 사면이 벽으로 둘러싸여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컨베이어(20)와 보조컨베이어(30)에 의류를 적재하여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보관방(10)은 작동자나 작업자(G)가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도어가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컨베이어(20)는 상기 보관방(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구동휠(21)과 제1 종동휠(22)에 의해 구동되면서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이송 가능한 상태로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메인컨베이어(20)는 다수의 옷걸이를 거치한 상태로 무한궤도로 이동시키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의 일종이다.
상기 제1 구동휠(21)은 상기 메인컨베이어(20)의 일단에 설치되어 모터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메인컨베이어(20)를 무한궤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종동휠(22)은 상기 메인컨베이어(2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컨베이어(20)의 무한궤도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컨베이어(30)는 상기 보관방(10)의 내부로 상기 메인컨베이어(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 구동휠(31)과 제2 종동휠(32)에 의해 구동되면서 출고할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이송 가능한 상태로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컨베이어(30)는 상기 메인컨베이어(2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옷걸이를 거치한 상태로 무한궤도로 이동시키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의 일종이다.
상기 제2 구동휠(31)은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일단에 설치되어 모터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보조컨베이어(30)를 무한궤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종동휠(32)은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무한궤도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 이송장치(40)는 상기 메인컨베이어(20)와 보조컨베이어(3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컨베이어(20)에 있는 옷걸이를 빼내어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중간 이송장치(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컨베이어(20)와 보조컨베이어(30)의 사이에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된 본체(41)와, 상기 본체(41)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이송벨트(42)와, 상기 이송벨트(42)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41)의 개방된 하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회전모터(43)와, 상기 회전모터(43)의 하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43)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회전봉(44)과, 상기 수직회전봉(44)의 하단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옷걸이를 파지하거나 그 파지를 해제할 수 있는 그립퍼(4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41)는 상기 이송벨트(42)가 내부에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상기 보관방(10)의 천장에 장착된다. 상기 이송벨트(42)는 모터구동되는 휠 사이에 무한궤도로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회전모터(43)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을 일측이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모터(43)는 상기 수직회전봉(44)과 함께 상기 그립퍼(45)를 180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회전봉(44)은 상기 그립퍼(45)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회전모터(43)와 그립퍼(45)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립퍼(45)는 전기구동 또는 모터구동이나 유압구동에 의해 접철되면서 옷걸이(A)를 파지하거나 그 파지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중간 이송장치(40)는 상기 메인컨베이어(20)를 향해 상기 이송벨트(42)를 이동시켜 상기 그립퍼(45)가 상기 메인컨베이어(20)에 걸린 옷걸이(A)에 접근하여 상기 옷걸이(A)를 파지한 후에 반대방향으로 상기 보조컨베이어(30)를 향해 이동하고, 이동 중에 상기 회전모터(43)가 작동되어 상기 수직회전봉(44)과 그립퍼(45)가 180도로 회전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옷걸이(A)를 파지한 상기 그립퍼(45)가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접근하여 상기 옷걸이(A)를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걸게 된다.
상기 출고부(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방(1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옷을 찾는 사람(T)이 상기 보관방(10)에 보관된 자신의 옷을 검색하고 이를 출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출고부(50)는 상기 보관방(10)의 전면 일측에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대응하여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구(51)와, 상기 관통구(51)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리더기(52)와, 상기 카드리더기(52)의 상부로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터치스크린(53)과, 상기 관통구(51)와 보조컨베이어(30)의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옷걸이가 걸리어 하강하는 출고봉(54)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구(51)는 옷을 찾는 사람(T)이 손을 집어넣어 출고된 자신의 옷을 빼내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드리더기(52)는 상기 옷을 찾는 사람(T)이 소지한 카드를 판독하여 상기 옷을 찾는 사람(T)이 보관한 옷을 검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53)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터치스크린(53)은 상기 옷을 찾는 사람(T)이 보관한 옷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옷을 찾는 사람(T)의 터치 조작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출고봉(54)은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반출장치(60)에 의해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서 반출된 옷이 걸린 옷걸이가 상기 반출장치(60)에서 상기 관통구(51)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출고부(50)는 상기 출고봉(54)의 하단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10)의 내부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벽에 형성되는 투입구(55)와, 일단이 상기 출고봉(54)에 대응되고 상기 투입구(55)의 내측으로 상기 보관방(10)에 설치되는 옷걸이보관봉(56)을 더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55)는 상기 옷을 찾는 사람(T)이 상기 관통구(51)를 통해 옷과 함께 이송된 옷걸이(A)에서 자신의 옷을 빼낸 후에 남은 옷걸이(A)를 상기 옷걸이보관봉(56)으로 투입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옷걸이보관봉(56)은 옷을 빼고 남은 옷걸이(A)를 거치하여 보관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W는 상기 옷걸이보관봉(56)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창문이다.
상기 반출장치(60)는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있는 옷걸이를 빼내어 상기 출고봉(54)으로 반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반출장치(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하부에 설치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61)와, 상기 회전부재(61)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걸린 옷걸이를 들어 올려서 빼내어 상기 출고봉(54)으로 반출하는 반출부재(6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61)는 상기 반출부재(62)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반출부재(62)는 대략 기억자형 턱을 가지고 상기 회전부재(61)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걸이공(B)에 걸린 옷걸이(A)를 들어 올려서 일측으로 빼내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반출부재(62)에 의해 선택적으로 빼내어진 옷걸이(A)는 상기 출고봉(54)을 타고 내려와 상기 관통구(51)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보조컨베이어(30)는 그 상단에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턱(33)을 더 포함한다. 본 출고 시스템은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상하작동기(71)와, 상기 상하작동기(7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작동기(71)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턱(33)에 맞물리는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턱(33)을 맞물어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맞물림턱(72)을 포함하는 컨베이어고정장치(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고정장치(70)는 상기 상하작동기(71)의 작동으로 상기 맞물림턱(72)이 하강하면서 상기 고정턱(33)에 맞물려 상기 보조컨베이어(30)가 작동 중에도 정밀하고 정확한 위치에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컨베이어(30)가 정확한 위치에 정지되거나 고정됨으로써, 출고할 옷이 있는 옷걸이(A)가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상기 반출장치(60)에 위치하게 된다.
본 출고 시스템은 상기 출고부(50)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의류수거부(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의류수거부(80)는 세탁 등이 필요한 옷을 맡기는 사람(S)이 의류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 등이 필요한 의류를 손쉽게 수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의류수거부(8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고부(50)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투입도어(81)와, 상기 투입도어(81)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방(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투입도어(81)를 통해 투입된 의류를 받아서 전방이나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82)와, 상기 배출부재(82)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재(82)에 의해 배출되는 의류를 수거하는 수거통(83)과, 상기 배출부재(82)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연통되며 상기 배출부재(82)에 의해 반납되는 의류가 인출될 수 있는 반납구(84)와, 상기 투입도어(81)의 상부로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설치되고 투입된 의류의 인증 및 불인증을 표시하는 표시기(85)와, 상기 보관방(10)의 내부로 상기 배출부재(82)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기(85)의 하부에 설치되는 감지기(86)와, 상기 보관방(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의류수거부(80)를 구획하는 구획벽(87)을 포함한다.
상기 투입도어(81)는 상기 옷을 맡기는 사람(S)이 자신의 의류를 상기 보관방(10)의 내부로 투입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부재(82)는 모터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옷을 맡기는 사람(S)이 상기 투입도어(81)를 통해 투입한 의류를 상기 수거통(83)이나 상기 반납구(84)에 선택적으로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거통(83)은 인증된 의류가 수거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반납구(84)는 불인증된 의류가 반납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시기(85)는 상기 감지기(86)의 의류에 대한 감지를 통해 투입된 의류의 인증과 불인증을 옷을 맡기는 사람(S)이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지기(86)는 상기 투입도어(81)를 통해 상기 배출부재(82)에 투입된 의류에 붙은 전자태그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기(85)와 배출부재(82)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획벽(87)은 상기 보관방(10)의 내부로 상기 의류수거부(80)를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및 출고 시스템은 도 1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옷걸이보관봉(56)에서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사이 및 상기 메인컨베이어(20)에 각각 설치되는 걸이장치(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걸이장치(90)는 옷걸이를 상기 보조컨베어와 메인컨베이어(20)에 거는 역할을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걸이장치(90)는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상기 보조컨베이어(30)를 향해 설치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되면서 옷걸이를 걸어서 상승시키는 상승벨트(91)와, 상기 상승벨트(91)의 상단 하부에서 상기 보조컨베이어(30)로 옷걸이를 유도하는 유도봉(92)을 포함한다.
상기 상승벨트(91)는 상기 옷걸이보관봉(56)에서 낙하하는 옷걸이가 걸리어 상부측으로 이송시킨 후에 상기 유도봉(92)으로 낙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도봉(92)은 상기 상승벨트(91)에 의해 이송된 옷걸이를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걸이공(B)으로 유도하여 상기 걸이공(B)에 옷걸이의 고리가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걸이장치(90)는 상기 메인컨베이어(20)의 일측에도 설치되어 작업자가 옷이 걸린 옷걸이를 상기 걸이장치(90)를 통해 상기 메인컨베이어(20)로 자동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본 출고 시스템은 상기 보관방(10)의 내부로 상기 메인컨베이어(20)의 선단 일측에 설치되는 태그리더기(90a)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태그리더기(90a)는 의류에 붙은 전자태그를 판독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태그리더기(9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컨베이어(20)의 일측으로 상기 걸이장치(9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업자(G)가 세탁 등이 완료된 옷을 옷걸이에 건 상태로 상기 태그리더기(90a)를 통해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걸이장치(90)에 걸어서 상기 걸이장치(90)를 통해 상기 메인컨베이어(20)에 정확한 위치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보관방
20 : 메인컨베이어
21 : 제1 구동휠 22 : 제1 종동휠
30 : 보조컨베이어
31 : 제2 구동휠 32 : 제2 종동휠
33 : 고정턱
40 : 중간 이송장치
41 : 본체 42 : 이송벨트
43 : 회전모터 44 : 수직회전봉
45 : 그립퍼
50 : 출고부
51 : 관통구 52 : 카드리더기
53 : 터치스크린 54 : 출고봉
55 : 투입구 56 : 옷걸이보관봉
60 : 반출장치
61 : 회전부재 62 : 반출부재
70 : 컨베이어고정장치
71 : 상하작동기 72 : 맞물림턱
80 : 의류수거부
81 : 투입도어 82 : 배출부재
83 : 수거통 84 : 반납구
85 : 표시기 86 : 감지기
87 : 구획벽
90 : 걸이장치
91 : 상승벨트 92 : 유도봉
90a : 태그리더기

Claims (8)

  1. 벽으로 둘러싸여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방(10)과;
    상기 보관방(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구동휠(21)과 제1 종동휠(22)에 의해 구동되면서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이송 가능한 상태로 보관하는 메인컨베이어(20)와;
    상기 보관방(10)의 내부로 상기 메인컨베이어(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 구동휠(31)과 제2 종동휠(32)에 의해 구동되면서 출고할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이송 가능한 상태로 보관하는 보조컨베이어(30)와;
    상기 메인컨베이어(20)와 보조컨베이어(3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컨베이어(20)에 있는 옷걸이를 빼내어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거는 중간 이송장치(40)와;
    상기 보관방(10)의 전면 일측에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대응하여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구(51)와, 상기 관통구(51)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리더기(52)와, 상기 카드리더기(52)의 상부로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터치스크린(53)과, 상기 관통구(51)와 보조컨베이어(30)의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옷걸이가 걸리어 하강하는 출고봉(54)을 포함하는 출고부(50)와;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있는 옷걸이를 빼내어 상기 출고봉(54)으로 반출하는 반출장치(60)를; 포함하고,
    상기 출고부(50)는,
    상기 출고봉(54)의 하단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10)의 내부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벽에 형성되는 투입구(55)와,
    일단이 상기 출고봉(54)에 대응되고 상기 투입구(55)의 내측으로 상기 보관방(10)에 설치되는 옷걸이보관봉(5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이송장치(40)는,
    상기 메인컨베이어(20)와 보조컨베이어(30)의 사이에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된 본체(41)와,
    상기 본체(41)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이송벨트(42)와,
    상기 이송벨트(42)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41)의 개방된 하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회전모터(43)와,
    상기 회전모터(43)의 하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43)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회전봉(44)과,
    상기 수직회전봉(44)의 하단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옷걸이를 파지하거나 그 파지를 해제할 수 있는 그립퍼(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장치(60)는,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하부에 설치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61)와,
    상기 회전부재(61)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보조컨베이어(30)에 걸린 옷걸이를 들어 올려서 빼내어 상기 출고봉(54)으로 반출하는 반출부재(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컨베이어(30)는,
    그 상단에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턱(3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은,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상하작동기(71)와, 상기 상하작동기(7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작동기(71)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턱(33)에 맞물리는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턱(33)을 맞물어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맞물림턱(72)을 포함하는 컨베이어고정장치(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은,
    상기 출고부(50)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의류를 수거하는 의류수거부(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류수거부(80)는,
    상기 출고부(50)의 일측으로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투입도어(81)와,
    상기 투입도어(81)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방(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투입도어(81)를 통해 투입된 의류를 받아서 전방이나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82)와,
    상기 배출부재(82)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재(82)에 의해 배출되는 의류를 수거하는 수거통(83)과,
    상기 배출부재(82)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연통되며 상기 배출부재(82)에 의해 반납되는 의류가 인출될 수 있는 반납구(84)와,
    상기 투입도어(81)의 상부로 상기 보관방(10)의 전면에 설치되고 투입된 의류의 인증 및 불인증을 표시하는 표시기(85)와,
    상기 보관방(10)의 내부로 상기 배출부재(82)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기(85)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도어(81)를 통해 상기 배출부재(82)에 투입된 의류에 붙은 전자태그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기(85)와 배출부재(82)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기(86)와,
    상기 보관방(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의류수거부(80)를 구획하는 구획벽(8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은,
    상기 옷걸이보관봉(56)에서 상기 보조컨베이어(30)의 사이 및 상기 메인컨베이어(20)에 각각 설치되고, 옷걸이를 상기 보조컨베어와 메인컨베이어(20)에 거는 한 쌍의 걸이장치(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이장치(90)는,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상기 보조컨베이어(30)와 메인컨베이어(20)를 향해 설치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되면서 옷걸이를 걸어서 상승시키는 상승벨트(91)와,
    상기 상승벨트(91)의 상단 하부에서 상기 보조컨베이어(30)와 메인컨베이어(20)로 옷걸이를 유도하는 유도봉(9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및 출고 시스템은,
    상기 보관방(10)의 내부로 상기 메인컨베이어(20)의 선단 일측에 설치되고, 의류에 붙은 전자태그를 판독하고 저장하는 태그리더기(9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KR1020150052235A 2015-04-14 2015-04-14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KR101654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235A KR101654021B1 (ko) 2015-04-14 2015-04-14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235A KR101654021B1 (ko) 2015-04-14 2015-04-14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021B1 true KR101654021B1 (ko) 2016-09-09

Family

ID=5693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235A KR101654021B1 (ko) 2015-04-14 2015-04-14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0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5342A (zh) * 2017-12-20 2018-06-01 杨雪锋 一种共享雨衣存储装置
KR20190088341A (ko) 2018-01-18 2019-07-26 유지훈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 및 방법
KR20190108945A (ko) 2018-03-16 2019-09-25 김성옥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3718A (ja) * 1988-12-12 1991-04-09 Catharina Afien Geerts 物品を第1コンベヤから第2コンベヤに搬送するための装置
JPH08208028A (ja) * 1995-11-20 1996-08-13 Toyo Kanetsu Kk ハンガー移載方法及び装置
JP2818149B2 (ja) * 1996-10-31 1998-10-30 日本スチール株式会社 衣類並べ替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衣類分配設備
JP4064270B2 (ja) * 2003-03-17 2008-03-19 日本スチール株式会社 衣類収納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クリーニング店舗
KR20080083513A (ko) 2007-03-12 2008-09-18 장문석 의류보관용 비닐커버 자동 포장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3718A (ja) * 1988-12-12 1991-04-09 Catharina Afien Geerts 物品を第1コンベヤから第2コンベヤに搬送するための装置
JPH08208028A (ja) * 1995-11-20 1996-08-13 Toyo Kanetsu Kk ハンガー移載方法及び装置
JP2818149B2 (ja) * 1996-10-31 1998-10-30 日本スチール株式会社 衣類並べ替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衣類分配設備
JP4064270B2 (ja) * 2003-03-17 2008-03-19 日本スチール株式会社 衣類収納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クリーニング店舗
KR20080083513A (ko) 2007-03-12 2008-09-18 장문석 의류보관용 비닐커버 자동 포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5342A (zh) * 2017-12-20 2018-06-01 杨雪锋 一种共享雨衣存储装置
CN108095342B (zh) * 2017-12-20 2020-06-16 郑贝贝 一种共享雨衣存储装置
KR20190088341A (ko) 2018-01-18 2019-07-26 유지훈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 및 방법
KR20190108945A (ko) 2018-03-16 2019-09-25 김성옥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
KR102057729B1 (ko) 2018-03-16 2019-12-19 김성옥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5455B2 (en) Package drop-off and pick-up system
CN110629523B (zh) 一种叠衣机及其控制方法
EP0297919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rticles, storing them after processing and subsequently re-issuing them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pparatus
KR101654021B1 (ko)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
CN104599399B (zh) 一种蛋糕自动售货机及其控制方法
JP7053435B2 (ja) 荷物の投入/回収のための少なくとも1つのバッファーゾーンを備えた自動ロッカー装置及び対応する荷物を取り扱う方法
KR101181888B1 (ko)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US10453028B2 (en) Store and robot system
ITMI20010727A1 (it) Macchina automatica distributrice di prodotti a erogazione controllata
WO2014058292A1 (en) Stacking system for assymmetric objects
CN112875113A (zh) 一种智能工服管理系统
CN107814124A (zh) 自动分拣货柜及自动分拣货架
EP07377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a length of flexible material
CN109191688B (zh) 一种物品自动售卖机
CN109431165B (zh) 一种智能中药配药系统及其配药方法
WO2012065986A1 (en) Storing and retrieving items
CN109584466A (zh) 一种自动存取货柜
CN104063945B (zh) 纸币处理装置
KR102057729B1 (ko)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
EP1403830A2 (en) Automatic device for withdrawing and delivering items
US1962661A (en) Laundry bag holding means
EP3992117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wegen von ware in einem automatischen warenlager
JPH0441303A (ja) 空缶回収装置
CN216848875U (zh) 一种集成的自动收发设备
CN115210153A (zh) 用于使用螺旋塔系统提供订单履行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