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840B1 - 트랙션 모터 모듈 - Google Patents

트랙션 모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840B1
KR101653840B1 KR1020100027867A KR20100027867A KR101653840B1 KR 101653840 B1 KR101653840 B1 KR 101653840B1 KR 1020100027867 A KR1020100027867 A KR 1020100027867A KR 20100027867 A KR20100027867 A KR 20100027867A KR 101653840 B1 KR101653840 B1 KR 101653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il
hole
stato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593A (ko
Inventor
윤홍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84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5Control of steering, e.g. for hydraulic motors driving the vehicle tra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38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flux distributors, and armatures and magnets both stationary
    • H02K21/4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flux distributors, and armatures and magnets both stationary with armature windings wound upon the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37/14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60K2006/4833Step up or reduction gearing driving generator, e.g. to operate generator in most efficient speed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트랙션 모터 모듈은 고정축; 상기 고정축과 결합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통체 형상의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벽에 고정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 및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배치된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트랙션 모터; 및 통체 형상으로 상기 트랙션 모터를 감싸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허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 중심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관통홀과 연결된 통로를 갖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통로에는 상기 고정자에 권취된 코일을 고정하기 위한 코일 고정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트랙션 모터 모듈{TRACTION MOTOR MODULE}
본 발명은 트랙션 모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동 자전거 및 전통 스쿠터 등에 적용된 전동 모터의 코일을 전동 모터에 고정하여 조립 성능을 향상시킨 트랙션 모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를 촉진하는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전동 자전거와 같은 그린 전동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전동 자전거는 자전거의 바퀴의 회전 중심에 전동 모터를 설치하여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종래 전동 자전거의 전동 모터는 자기장을 발생하는 마그네트 및 코어에 권취된 코일을 포함하며, 종래 전동 자전거의 전동 모터는 마그네트의 자기장 및 코일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회전력이 발생 된다.
그러나, 종래 전동 자전거의 전동 모터에서 코어에 권취된 코일은 약 1Φ 또는 약 2Φ 정도로 큰 직경을 갖고, 직경이 큰 코일의 취급 및 코일에 의한 조립이 어려워 조립 특성이 크게 감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전동 모터의 하우징에 코일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형성하여 조립성을 보다 향상시킨 트랙션 모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트랙션 모터 모듈은 고정축; 상기 고정축과 결합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통체 형상의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벽에 고정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 및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배치된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트랙션 모터; 및 통체 형상으로 상기 트랙션 모터를 감싸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허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 중심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1 관통공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연결된 통로를 갖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통로에는 상기 고정자에 권취된 코일을 고정하기 위한 코일 고정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트랙션 모터 모듈에 따르면, 회전자를 회전시키기 위해 고정자에 포함된 코일을 하우징에 고정시켜 조립 특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션 모터 모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랙션 모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랙션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하우징 및 고정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션 모터 모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랙션 모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랙션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트랙션 모터 모듈(1000)은 고정축(50), 트랙션 모터(100), 허브 유닛(200) 및 변속 유닛(300)을 포함한다.
고정축(50)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52)을 갖는 금속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고정축(50)에는 자전거 핸들에 연결되어 자전거의 바퀴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프레임(또는 호크)이 연결될 수 있다.
고정축(5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54)이 형성되고, 고정축(50)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축(50)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절곡 된 플랜지부(56)가 형성된다.
플랜지부(56)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56)를 관통하며 플랜지부(56)의 중심에 대하여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체결공들이 형성된다.
고정축(50)에는 프레임 위치 결정 와셔(58)가 삽입된다. 프레임 위치 결정 와셔(58)는 고정축(50)에 고정되는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결정한다.
트랙션 모터(100)는 하우징(110), 고정자(120) 및 회전자(13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자(120)는 복수개의 고정자 블록(12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자(120)는, 예를 들어, 12 개의 고정자 블록(126)을 포함한다.
각 고정자 블록(126)은 스테이터 코어(122) 및 코일(124)를 포함한다.
스테이터 코어(122)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H" 자 형상을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122)는 얇은 두께를 갖는 "H" 자 형상의 철편들을 복수개 적층 하여 형성된다.
코일(124)은 스테이터 코어(122)의 오목한 부분에 기 설정된 권선수로 권선된다.
각 고정자 블록(126)의 스테이터 코어(122) 및 코일(124)의 사이에는 절연체(미도시)가 개재되어 스테이터 코어(122) 및 코일(124)은 상호 절연된다.
스테이터 코어(122)에 권선 된 코일(124)을 포함하는 블록 형상의 고정자 블록(126)은 복수개가 상호 끼워 맞춤 방식으로 조립되고, 이로 인해 고정자(12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환형 링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각 분리된 스테이터 코어(122)에 코일(124)을 권선하여 고정자 블록(126)을 제조하고, 제조된 고정자 블록(126)을 상호 조립하여 고정자(120)를 제조하기 때문에 단위 면적에 보다 많은 고정자 블록(126)을 갖는 고정자(120)를 구현할 수 있다. 반면, 일체로 이루어진 종래 스테이터 코어에 코일을 권선하는 구조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122)에 촘촘하게 권선된 코일(124)을 구현할 수 없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회전자(130)는 회전축(132), 로터 코어(134) 및 마그네트(136)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회전자(130)는 요크(138) 및 마그네트 센서(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32)은 환형 링 형상을 갖는 고정자(120)의 중공 내에 배치된다. 회전축(132)의 외주면 및 고정자(120)의 내주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며, 회전축(132)은 고정자(120)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로터 코어(134)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로터 코어(134)는 후술 될 마그네트(136)로부터 발생 된 자속(magnetic flux)을 손실 없이 통과시키기에 적합한 재료로 제작된다.
로터 코어(134)의 상기 중공에 의하여 형성된 로터 코어(134)의 내측면으로부터는, 예를 들어, 4 개의 회전축 서포트부(134a)들이 로터 코어(134)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로터 코어(134)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4 개의 회전축 서포트부(134a)들은 로터 코어(134)의 중심에 상호 연결되어 회전축(132)이 끼워져 결합 되는 회전축공이 형성된다.
로터 코어(134)는 로터 코어(134)의 상면 및 상면과 대향 하는 하면을 향해 형성된 홈 또는 로터 코어(134)의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37)들이 형성될 수 있고, 로터 코어(134)에는, 예를 들어, 8 개의 관통홀(137)들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 코어(134)의 관통홀(137)들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로터 코어(134)들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로터 코어(134)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마그네트(136)는 로터 코어(134)의 관통홀(137) 내에 배치되는 판 형상을 갖는다. 마그네트(136)는 관통홀(137)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관통홀(137)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경우, 마그네트(136)는 직육면체판 형상을 갖는다. 이와 다르게, 로터 코어(134)의 관통홀(137)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곡선 형상을 가질 경우, 로터 코어(134)는 곡선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요크(138)는 로터 코어(134)의 상면에 배치되어 마그네트(136)의 자속이 고정자(120) 이외의 부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요크(138)는, 예를 들어, 금속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요크(138)는 요크 버링부(138a)에 의하여 회전축(132)과 결합된다.
마그네트 센서(139)는 요크(138) 상에 배치되며, 마그네트 센서(139)는 도우넛 형상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 센서(139)는 상기 회로 기판(113)의 회전수 센서(113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4는 도 3의 제1 하우징 및 고정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고정자(120)를 고정 및 회전자(130)를 고정자(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서포트한다.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2) 및 제2 하우징(118)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2)은, 예를 들어, 원판 형상을 갖고, 제1 하우징(112)의 중심에는 제1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제1 하우징(112)의 제1 관통홀(111) 주변에는 3 개의 제2 관통홀(111a)들이 형성된다.
제1 관통홀(111)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관통홀(111a)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관통홀(111a) 및 제1 관통홀(111)은 통로(111b)에 의하여 상호 연통된다. 제2 관통홀(111a) 및 통로(111b)는,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T'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하우징(112)의 상면에는 고정축(50)의 플랜지부(56)가 배치되고, 제1 하우징(112) 및 고정축(50)의 플랜지부(56)의 체결공(57)들은 체결 나사에 의하여 견고하게 체결된다.
제1 하우징(112)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1) 및 제2 관통홀(111a)을 상호 연결하는 통로(111b)에는 고정자(120)에 권취된 코일(124)을 고정하기 위한 코일 고정부(111e)가 형성된다.
코일 고정부(111e)는 고정부(111c) 및 코일 고정홈(111d)을 포함한다.
고정부(111c)는 통로(111b)의 일부를 막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111c)의 두께는 제1 하우징(112)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고정부(111c)는 제1 하우징(112)의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고정부(111c)의 상면 및 제1 하우징(112)에 고정되는 고정축(30)의 플랜지부(56)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코일(124)이 통과하기에 적합한 공간이 형성된다.
코일 고정홈(111d)은 고정부(111c)의 상면 상에 형성되며, 코일 고정홈(111d)은 고정부(111c)의 상면 상에 그루브(groove) 형상으로 형성되며, 코일 고정홈(111d)의 사이즈는 코일(124)의 사이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코일 고정홈(111d)에 코일(124)을 삽입할 경우, 코일(124)은 코일 고정홈(111d)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 고정부(111e)는 제1 하우징(1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으나, 이와 다르게, 코일 고정홈(111d)이 상면에 형성된 플라스틱 고정부(111c)를 갖는 코일 고정 부재를 제1 하우징(112)의 통로(111b)에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제1 하우징(112)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1) 및 제2 관통홀(111a)을 상호 연결하는 통로(111b)에는 고정자(120)에 권취된 코일(124)이 통로(111b)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일 이탈 방지부(111f)가 형성된다.
코일 이탈 방지부(111f)는 제1 하우징(112)의 제2 관통홀(111a)로부터 제1 관통홀(111)로 제공되는 코일(124)의 일부가 통로(111b)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1 하우징(112)의 상면과 인접한 곳에 배치되며, 코일 이탈 방지부(111f)는 통로(111b)의 일부를 막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 이탈 방지부(111f)는 제1 하우징(1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된 코일 이탈 방지 부재를 통로(111b)에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고정축(50)의 중공(52)은 제1 하우징(112)의 제1 관통홀(11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1 관통홀(111) 및 중공(52)은 상호 연통 된다.
제2 관통홀(111a)들 중 제1 관통홀(111)과 연결되기 위해 연장된 통로(111b)는 플랜지부(56)에 의하여 덮인다. 플랜지부(56), 제2 관통홀(111a) 및 제1 관통홀(111)을 연결하는 통로(111b)로는 후술 될 고정자의 스테이터 코어에 권취된 코일(124)이 통과하며, 코일(124)은 통로(111b)에 형성된 코일 고정부(111e) 및 코일 이탈 방지부(111f)에 의하여 통로(111b)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따라서 보다 쉽고 정확하게 코일(124)을 제1 하우징(112)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2)의 내측면에는 도우넛 형상의 회로 기판(113)이 배치되며, 회로 기판(113)은 고정축(50)의 중공(52)과 대응하는 관통홀을 갖는다. 회로 기판(113)에는 후술 될 회전자의 회전수 및/또는 회전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수 센서(113a)가 배치된다.
제2 하우징(118)은 제1 하우징(112)과 체결 나사 등에 의하여 체결된다. 제2 하우징(118)은 상면이 개구 된 통체 형상을 갖는다. 제2 하우징(118)은 측벽(114) 및 측벽(114)의 바닥을 막는 바닥판(11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측벽(114) 및 바닥판(116)은,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된다.
제2 하우징(118)의 바닥판(116)의 중앙부에는 관통홀(116a)이 형성된 버링부 (116b)가 형성된다. 제2 하우징(118)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116a)로는 후술 될 회전자의 회전축이 돌출된다.
제2 하우징(118)의 바닥판(116)의 관통홀(116a)의 주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개 내지 3 개의 핀(117)들이 배치된다. 제2 하우징(118)의 바닥판(116)에 배치된 각 핀(117)들에는 변속 유닛(300)의 감속 기어들이 결합 되고, 핀(117)들에 의하여 감속 기어들은 지정된 위치에서 자전한다.
도 2에 도시된 회전축(132)의 일측 단부는 제1 하우징(112)에 결합된 베어링(1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고, 회전축(132)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는 제2 하우징(118)에 결합된 베어링(1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허브 유닛(200)은 상술된 트랙션 모터(100)를 감싸며 고정축(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허브 유닛(200)은 제1 허브 유닛(225) 및 제2 허브 유닛(240)을 포함하고, 제1 허브 유닛(225)은 측벽(210) 및 바닥판(220)을 포함한다.
제1 허브 유닛(225)의 측벽(210)은 원통 형상을 갖고, 바닥판(220)은 측벽(2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벽(210)의 내주면은 트랙션 모터(100)의 제2 하우징(118)의 측벽(114)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되고, 이로 인해 제1 허브 유닛(225)의 측벽(210)이 회전될 때 제2 하우징(118)의 측벽(114)과 마찰되지 않는다.
제1 허브 유닛(225)의 측벽(210)으로부터는 자전거의 바퀴살들과 결합 되는 돌기(230)들이 돌출되고, 돌기(230)에는 바퀴살의 단부가 절곡되어 고정되는 고정홀(235)이 형성된다.
제1 허브 유닛(225)의 바닥판(220)에는 고정축(5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부싱부(227)가 형성되고, 부싱부(227) 및 고정축(50)의 상기 외주면 사이에는 고정축(50)에 대하여 제1 허브 유닛(225)이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228)이 배치된다.
제2 허브 유닛(24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제2 허브 유닛(240)은 제1 허브 유닛(225)의 개구된 단부와 결합 된다. 제1 허브 유닛(225) 및 제2 허브 유닛(240)은 체결 나사 등에 의하여 결합 된다.
제2 허브 유닛(240) 및 트랙션 모터(100)의 하우징(110)의 제2 하우징(118)의 바닥면(116)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되어 공간(26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118)의 바닥면(116) 및 제2 허브 유닛(240) 사이에는 트랙션 모터(100)의 회전축(132)의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로 허브 유닛(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변속 유닛이 장착되기에 적합한 공간(260)이 형성되고, 변속 유닛을 장착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18)의 바닥면(116)에는 유성 기어를 자전시키기 위한 유성 기어가 탑재되는 핀(117)이 형성된다.
한편, 제2 허브 유닛(240) 중 회전축(132)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회전축(132)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베어링(2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변속 유닛(300)은 회전축(132) 및 허브 유닛(200)의 회전비를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변속 유닛(300)은 허브 유닛(200)이 회전축(132)에 비하여 낮은 회전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132)에 대하여 허브 유닛(200)의 회전수를 변경한다.
변속 유닛(300)은 제1 감속 기어(310), 제2 감속 기어(320) 및 제3 감속 기어(330)를 포함한다.
제1 감속 기어(310)는 허브 유닛(200)의 제1 허브 유닛(225)의 측벽(210)의 내측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제1 치열이 형성된 링 기어를 포함한다.
제2 감속 기어(320)는 트랙션 모터(100)의 하우징(110)의 제2 하우징(118)의 바닥판(116)에 배치된 핀(11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외주면에 제2 치열이 형성된 유성 기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핀(117)은 바닥판(116)에 120˚ 각도로 원형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감속 기어(320)는 바닥판(116)에 3 개가 배치된다.
제2 감속 기어(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치열은 제1 감속 기어(310)의 제1 치열과 치차 결합 된다.
제3 감속 기어(330)는 제2 하우징(118)의 바닥판(116)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132)과 결합 되며, 외주면에 제3 치열이 형성된 썬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감속 기어(330)의 제3 치열은 제2 감속 기어(320)의 제2 치열과 치차 결합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감속 기어(330)의 제3 치열은 제1 개수의 치열을 갖고, 제2 감속 기어(320)의 제2 치열은 상기 제3 치열의 상기 제1 개수보다 많은 제2 개수의 치열을 갖고, 제1 감속 기어(310)의 제1 치열은 상기 제2 치열의 상기 제2 개수보다 많은 제3 개수의 치열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축(132)과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3 감속 기어(33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감속 기어(320)는 회전축(132)의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로 회전되고, 제2 감속 기어(32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감속 기어(310)는 제2 감속 기어(320) 보다 낮은 회전수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1 감속 기어(310)와 결합 된 허브 유닛(200)은 회전축(132)의 회전수보다 현저하게 낮은 회전수로 회전되어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는 비록 변속 유닛(300)이 1단 변속 유닛인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변속 유닛은 2단 또는 3단 변속 유닛일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회전자를 회전시키기 위해 고정자에 포함된 코일을 하우징에 고정시켜 조립 특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트랙션 모터 모듈...1000 고정축...50
트랙션 모터...100 허브 유닛...200
변속 유닛...300 제1 하우징...112
제2 하우징...118

Claims (5)

  1. 고정축;
    상기 고정축과 결합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통체 형상의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벽에 고정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 및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배치된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트랙션 모터; 및
    통체 형상으로 상기 트랙션 모터를 감싸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허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 중심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관통홀과 연결된 통로를 갖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에는 상기 고정자에 권취된 코일을 고정하기 위한 코일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 고정부는 상기 통로에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 상면으로부터 그루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코일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고정홈의 사이즈는 상기 코일의 사이즈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 고정홈에 삽입된 코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트랙션 모터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통로에 의하여 형성된 마주하는 양쪽 내측면들을 연결하여 상기 코일이 상기 통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일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트랙션 모터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을 통해 통로에 끼워져 상기 통로의 상면을 막아 상기 코일이 상기 통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일 이탈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트랙션 모터 모듈.
KR1020100027867A 2010-03-29 2010-03-29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653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867A KR101653840B1 (ko) 2010-03-29 2010-03-29 트랙션 모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867A KR101653840B1 (ko) 2010-03-29 2010-03-29 트랙션 모터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076A Division KR101700561B1 (ko) 2016-08-25 2016-08-25 트랙션 모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593A KR20110108593A (ko) 2011-10-06
KR101653840B1 true KR101653840B1 (ko) 2016-09-02

Family

ID=4532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867A KR101653840B1 (ko) 2010-03-29 2010-03-29 트랙션 모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5452B (zh) * 2019-09-05 2024-05-14 湖北合强机械发展股份有限公司 牵引电机节点压装退卸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703Y1 (ko) * 2004-03-27 2004-06-05 주식회사 기화정밀 팬모터의 리드선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191A (en) * 1994-12-19 1997-02-04 Yang; Chen-Chi Driving assembly for motor whee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703Y1 (ko) * 2004-03-27 2004-06-05 주식회사 기화정밀 팬모터의 리드선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593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5677A1 (en) Direct-current motor and hub unit
JP2000253635A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モータ
KR101837863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및 전동 자전거
US10155565B2 (en) Construction of motorized wheel for vehicle motorization
KR101671029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775165B1 (ko) 트랙션 모터
KR101653840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055022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089861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685202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및 전동 자전거
KR101108308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700561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055010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089924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079888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079987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811143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120871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080006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122827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JP2017103901A (ja) 回転電機のロータ
KR101870441B1 (ko) 전기 자전거 모터 변속기의 위성기어모듈
KR20100108734A (ko) 전동식 자전거용 모터
KR101622935B1 (ko) 가변자속 전동기
JP2004260921A (ja) 自転車用ハブダイナ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