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308B1 - 트랙션 모터 모듈 - Google Patents

트랙션 모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308B1
KR101108308B1 KR1020100027866A KR20100027866A KR101108308B1 KR 101108308 B1 KR101108308 B1 KR 101108308B1 KR 1020100027866 A KR1020100027866 A KR 1020100027866A KR 20100027866 A KR20100027866 A KR 20100027866A KR 101108308 B1 KR101108308 B1 KR 10110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ircuit board
fixed
disposed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592A (ko
Inventor
우준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30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46Vehicles with auxiliary ad-on propulsions, e.g. add-on electric motor kits for bicy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트랙션 모터 모듈은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고정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고정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고정되는 로터 코어 및 상기 로터 코어내에 배치된 마그네트들,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요크 및 상기 요크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각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센싱 마그네트들을 포함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트랙션 모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배치된 회전수 센서; 및 통체 형상으로 상기 트랙션 모터를 감싸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허브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랙션 모터 모듈{TRACTION MOTOR MODULE}
본 발명은 트랙션 모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동 자전거 및 전통 스쿠터 등에 적용 가능하며 트랙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의 배치를 개선하여 보다 콤팩트한 사이즈를 갖는 트랙션 모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를 촉진하는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전동 자전거와 같은 그린 전동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전동 자전거는 자전거의 바퀴의 회전 중심에 전동 모터를 설치하여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전동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종래 전동 자전거의 경우, 전동 모터의 부피 및 중량이 크고, 부피 및 중량이 큰 전동 모터에 의하여 전동 모터의 에너지 이용 효율이 크게 감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전동 모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크기 및 무게를 감소시켜 에너지 이용 효율을 보다 향상시킨 트랙션 모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트랙션 모터 모듈은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고정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고정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고정되는 로터 코어 및 상기 로터 코어 내에 배치된 마그네트들,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요크 및 상기 요크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각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센싱 마그네트들을 포함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트랙션 모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배치된 회전수 센서; 및 통체 형상으로 상기 트랙션 모터를 감싸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허브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트랙션 모터 모듈에 따르면, 트랙션 모터 모듈의 제1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트랙션 모터의 부피를 보다 감소시켜 전동 자전거의 구동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션 모터 모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랙션 모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하우징 및 회로 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션 모터 모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랙션 모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트랙션 모터 모듈(1000)은 고정축(50), 트랙션 모터(100), 허브 유닛(200) 및 변속 유닛(300)을 포함한다.
고정축(50)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52)을 갖는 금속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고정축(50)에는 자전거 핸들에 연결되어 자전거의 바퀴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프레임(또는 호크)이 연결될 수 있다.
고정축(5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54)이 형성되고, 고정축(50)의 단부에는 고정축(50)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절곡 된 플랜지부(56)가 형성된다.
고정축(50)에는 프레임 위치 결정 와셔(58)가 삽입된다. 프레임 위치 결정 와셔(58)는 고정축(50)에 고정되는 프레임의 위치를 결정한다.
트랙션 모터(100)는 하우징(110), 고정자(120) 및 회전자(13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하우징 및 회로 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2) 및 제2 하우징(118)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2)은, 예를 들어, 원판 형상을 갖고, 제1 하우징(112)의 중앙부에는 제1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제1 하우징(112)의 제1 관통홀(111) 주변에는, 예를 들어, 3 개의 제2 관통홀(111a)들이 형성된다.
제1 관통홀(111)의 주변에는 후술 될 회전자의 회전축과 결합 되는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해 제1 하우징(112)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베어링 고정부(111b)가 형성된다.
제1 관통홀(111)의 주변에 배치된 각 제2 관통홀(111a)들의 일부는 제1 관통홀(111)을 향해 연장되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관통홀(111,111a)들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T" 자 형상으로 상호 연결된다.
베어링 고정부(111b)의 주변에는 후술 될 회로 기판을 서포트 하기 위한 회로 기판 서포트부(111c)가 형성된다. 제1 하우징(112)의 내측면에 형성된 회로 기판 서포트부(111c)는 후술 될 고정자의 스테이터 코어와 간섭되지 않는 직경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 서포트부(111c)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1 관통홀(111) 및 베어링 고정부(111b) 사이에 형성된다.
회로 기판 서포트부(111c)는 제1 하우징(112)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될 수 있고, 회로 기판 서포트부(111c)는 베어링 고정부(111b)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록 제1 하우징(112)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회로 기판 서포트부(111c)가 도시 및 설명되고 있으나, 이와 다르게, 제1 하우징(112)의 내측면으로부터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로 기판(113)을 수납하기에 적합한 회로 기판 수납부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제1 하우징(112)의 상기 내측면과 대향 하는 외측면 상에는 고정축(50)의 플랜지부(56)가 배치되고, 제1 하우징(112) 및 고정축(50)의 플랜지부(56)는 나사 등에 의하여 견고하게 체결된다.
고정축(50)의 중공(52)은 제1 하우징(112)의 제1 관통홀(11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1 관통홀(111) 및 중공(52)은 상호 연통 된다.
제2 관통홀(111a)들 중 제1 관통홀(111)과 연결되기 위해 연장된 부분은 플랜지부(56)에 의하여 덮인다. 플랜지부(56) 및 제2 관통홀(111a) 중 제1 관통홀(111)과 연결되기 위해 연장된 부분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는 후술 될 고정자의 스테이터 코어에 권취된 코일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배선이 통과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2)의 상기 내측면의 회로 기판 서포트부(111c) 상에는 도우넛 형상의 회로 기판(113)이 배치되며, 회로 기판(113)은 고정축(50)의 중공(52)과 대응하는 관통홀(113b)을 갖는다. 회로 기판(113) 상에는 후술 될 회전자의 회전수 및/또는 회전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수 센서(113a)가 배치된다. 회전수 센서(113a)는 후술될 회전자의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2 하우징(118)은 상면이 개구 된 통체 형상을 갖는다. 제2 하우징(118)은 측벽(114) 및 측벽(114)의 바닥을 막는 바닥판(11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측벽(114) 및 바닥판(116)은,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된다.
제2 하우징(118)의 바닥판(116)의 중앙부에는 관통홀(116a)이 형성된 버링부 (116b)가 형성된다. 제2 하우징(118)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116a)로는 후술 될 회전자의 회전축이 돌출된다.
제2 하우징(118)의 바닥판(116)의 관통홀(116a)의 주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개 내지 3 개의 핀(117)들이 배치된다. 제2 하우징(118)의 바닥판(116)에 배치된 각 핀(117)들에는 변속 유닛(300)의 유성 기어(미도시)들이 결합 되고, 핀(117)들에 의하여 유성 기어들은 지정된 위치에서 자전한다.
제2 하우징(118) 및 제1 하우징(112)은 체결 나사 등에 의하여 체결된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고정자(120)는 제2 하우징(118)의 측벽(114) 및 바닥판(116)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 공간에 배치되며, 고정자(120)는 고정축(50)에 고정된 제2 하우징(118)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고정자(120)는 복수개의 고정자 블록(12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자(120)는, 예를 들어, 12 개의 고정자 블록(126)을 포함한다.
각 고정자 블록(126)은 스테이터 코어(122) 및 코일(124)를 포함한다.
스테이터 코어(122)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H" 자 형상을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122)는 얇은 두께를 갖는 "H" 자 형상의 철편들을 복수개 적층 하여 형성된다.
코일(124)은 스테이터 코어(122)의 오목한 부분에 기 설정된 권선수로 권선된다.
각 고정자 블록(126)의 스테이터 코어(122) 및 코일(124)은 절연체(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절연된다.
스테이터 코어(122)에 권선 된 코일(124)을 포함하는 블록 형상의 고정자 블록(126)은 직육면체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고,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스테이터 코어(122)는 복수개가 조립되고, 이로 인해 고정자(12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링 형상을 갖는다.
12개가 조립된 고정자 블록(126)들에 의하여 링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자(120)는 하우징(110)의 제2 하우징(118)의 내측면 상에 고정된다.
고정자 블록(126)들을 상호 조립하여 형성된 고정자(120)를 제2 하우징(118)의 상기 수납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종래 고정축(50)에 고정자를 배치할 때에 비하여 매우 많은 개수, 예를 들어, 12개의 고정자 블록(126)을 제2 하우징(118) 내에 배치할 수 있다.
특히, 각 스테이터 코어(122)에 코일(124)을 권선 하여 고정자 블록(126)을 제조하고, 제조된 고정자 블록(126)을 상호 조립하여 고정자(120)를 제조하기 때문에 단위 면적에 보다 많은 고정자 블록(126)을 갖는 고정자(120)를 구현할 수 있다. 반면, 일체로 이루어진 스테이터 코어에 코일을 권선 하는 종래 구조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122)에 촘촘하게 권선된 코일(124)을 구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112)에 고정된 회로 기판(113)은 고정자(120)의 고정자 블록(126)의 스테이터 코어(122)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 되며, 스테이터 코어(122)는 제1 하우징(112)의 내측면 및 요크(138)의 사이에 개재되고, 이로 인해 트랙션 모터(100)의 부피 및 사이즈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회전자(130)는 회전축(132), 로터 코어(134) 및 마그네트(136)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회전자(130)는 요크(138) 및 센싱 마그네트(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32)은 하우징(110)의 제2 하우징(118)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된 고정자(120)에 의하여 형성된 중공에 배치된다. 회전축(132)의 외주면 및 고정자(120)의 내주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며, 회전축(132)은 고정자(120)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회전축(132)의 일측 단부는 제1 하우징(112)의 베어링 고정부(111b)에 고정된 베어링(1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고, 회전축(132)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는 제2 하우징(118)의 바닥판(116)의 버링부(116b)에 고정된 베어링(135)에 의하여 결합되고, 회전축(132)의 상기 타측 단부는 관통홀(116a)을 통해 제2 하우징(118)의 외부로 돌출된다.
제2 하우징(118)의 바닥판(116)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132)의 타측 단부는 변속 유닛(300)과 결합 된다.
로터 코어(134)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로터 코어(134)는 후술 될 마그네트(136)로부터 발생 된 자속(magnetic flux)을 손실 없이 통과시키기에 적합한 재료로 제작된다.
로터 코어(134)의 상기 중공에 의하여 형성된 로터 코어(134)의 내측면으로부터는, 예를 들어, 4 개의 회전축 서포트부(134a)들이 로터 코어(134)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로터 코어(134)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4 개의 회전축 서포트부(134a)들은 로터 코어(134)의 중심에 상호 연결되어 회전축(132)이 끼워져 결합 되는 회전축공이 형성된다.
로터 코어(134)는 로터 코어(134)의 상면 및 상면과 대향 하는 하면을 향해 형성된 홈 또는 로터 코어(134)의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37)들이 형성될 수 있고, 로터 코어(134)에는, 예를 들어, 8 개의 관통홀(137)들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 코어(134)의 관통홀(137)들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로터 코어(134)들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로터 코어(134)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마그네트(136)는 로터 코어(134)의 관통홀(137) 내에 배치되는 판 형상을 갖는다. 마그네트(136)는 관통홀(137)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관통홀(137)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경우, 마그네트(136)는 직육면체판 형상을 갖는다. 이와 다르게, 로터 코어(134)의 관통홀(137)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곡선 형상을 가질 경우, 로터 코어(134)는 곡선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요크(138)는 로터 코어(134)의 상면에 배치되어 마그네트(136)의 자속이 고정자(120) 이외의 부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요크(138)는, 예를 들어, 금속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요크(138)의 중앙부에 배치된 요크 버링부(138a)에 의하여 회전축(132)에 결합 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139)는 요크(138) 상에 배치되며, 센싱 마그네트(139)는 도우넛 형상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마그네트(139)는 회로 기판(113)의 회전수 센서(113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센싱 마그네트(139)는 각 마그네트(136)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허브 유닛(200)은 상술된 트랙션 모터(100)를 감싸며 고정축(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허브 유닛(200)은 제1 허브 유닛(225) 및 제2 허브 유닛(240)을 포함하고, 제1 허브 유닛(225)은 측벽(210) 및 바닥판(220)을 포함한다.
제1 허브 유닛(225)의 측벽(210)은 원통 형상을 갖고, 바닥판(220)은 측벽(2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벽(210)의 내주면은 트랙션 모터(100)의 제2 하우징(118)의 측벽(114)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되고, 이로 인해 제1 허브 유닛(225)의 측벽(210)이 회전될 때 제2 하우징(118)의 측벽(114)과 마찰되지 않는다.
제1 허브 유닛(225)의 측벽(210)으로부터는 자전거의 바퀴살들과 결합 되는 돌기(230)들이 돌출되고, 돌기(230)에는 바퀴살의 단부가 절곡되어 고정되는 고정홀(235)이 형성된다.
제1 허브 유닛(225)의 바닥판(220)에는 고정축(5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부싱부(227)가 형성되고, 부싱부(227) 및 고정축(50)의 상기 외주면 사이에는 고정축(50)에 대하여 제1 허브 유닛(225)이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228)이 배치된다.
제2 허브 유닛(24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제2 허브 유닛(240)은 제1 허브 유닛(225)의 개구된 단부와 결합 된다. 제1 허브 유닛(225) 및 제2 허브 유닛(240)은 체결 나사 등에 의하여 결합 된다.
제2 허브 유닛(240) 및 트랙션 모터(100)의 하우징(110)의 제2 하우징(118)의 바닥면(116)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되어 공간(260)이 형성된다.
제2 하우징(118)의 바닥면(116) 및 제2 허브 유닛(240) 사이에는 트랙션 모터(100)의 회전축(132)의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로 허브 유닛(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변속 유닛(300)이 장착되기에 적합한 공간(260)이 형성되고, 변속 유닛(300)을 장착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18)의 바닥면(116)에는 유성 기어를 자전시키기 위한 유성 기어가 탑재되는 핀(117)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한편, 제2 허브 유닛(240) 중 회전축(132)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회전축(132)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베어링(250)이 배치될 수 있다.
변속 유닛(300)은 회전축(132) 및 허브 유닛(200)의 회전비를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변속 유닛(300)은 허브 유닛(200)이 회전축(132)에 비하여 낮은 회전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132)에 대하여 허브 유닛(200)의 회전수를 변경한다.
변속 유닛(300)은 제1 감속 기어(310), 제2 감속 기어(320) 및 제3 감속 기어(330)를 포함한다.
제1 감속 기어(310)는 허브 유닛(200)의 제1 허브 유닛(225)의 측벽(210)의 내측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제1 치열(315)이 형성된 링 기어를 포함한다.
제2 감속 기어(320)는 트랙션 모터(100)의 하우징(110)의 제2 하우징(118)의 바닥판(116)에 배치된 핀(11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외주면에 제2 치열(325)이 형성된 유성 기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핀(117)은 바닥판(116)에 120˚ 각도로 원형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감속 기어(320)는 바닥판(116)에 3 개가 배치된다.
제2 감속 기어(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치열(325)은 제1 감속 기어(310)의 제1 치열(315)과 치차 결합 된다.
제3 감속 기어(330)는 제2 하우징(118)의 바닥판(116)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132)과 결합 되며, 외주면에 제3 치열(335)이 형성된 썬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감속 기어(330)의 제3 치열(335)은 제2 감속 기어(320)의 제2 치열(325)과 치차 결합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감속 기어(330)의 제3 치열(335)은 제1 개수의 치열을 갖고, 제2 감속 기어(320)의 제2 치열(325)은 제1 개수보다 많은 제2 개수의 치열을 갖고, 제1 감속 기어(310)의 제1 치열(315)은 제2 개수보다 많은 제3 개수의 치열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축(132)과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3 감속 기어(33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감속 기어(320)는 회전축(132)의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로 회전되고, 제2 감속 기어(32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감속 기어(310)는 제2 감속 기어(320) 보다 낮은 회전수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1 감속 기어(310)와 결합 된 허브 유닛(200)은 회전축(132)의 회전수보다 현저하게 낮은 회전수로 회전되어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트랙션 모터 모듈(1000)은 회전축(132)에 결합된 1단 변속 유닛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트랙션 모터 모듈(1000)은 회전축(132)에 결합된 2단 변속 유닛 또는 3단 변속 유닛과 같은 다단 변속 유닛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트랙션 모터 모듈의 제1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트랙션 모터의 부피를 보다 감소시켜 전동 자전거의 구동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트랙션 모터 모듈...1000 고정축...50
트랙션 모터...100 허브 유닛...200
변속 유닛...300 회로 기판...113

Claims (6)

  1.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고정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고정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고정되는 로터 코어 및 상기 로터 코어내에 배치된 마그네트들,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요크 및 상기 요크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각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센싱 마그네트들을 포함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트랙션 모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회전수 센서; 및
    통체 형상으로 상기 트랙션 모터를 감싸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허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로터 코어의 단부와 마주하며 중공을 갖는 도우넛 형상을 갖는 트랙션 모터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회전수 센서 사이에는 일정한 갭이 형성된 트랙션 모터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 되며 상기 회전자 및 상기 고정자를 수납하는 통체 형상의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회로기판 수납홈이 형성된 트랙션 모터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로 기판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로터 코어의 직경은 동일하며, 상기 고정자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회로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트랙션 모터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 되며 상기 회전자 및 상기 고정자를 수납하는 통체 형상의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회로 기판을 서포트하기 위한 회로 기판 서포트부를 포함하는 트랙션 모터 모듈.
KR1020100027866A 2010-03-29 2010-03-29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10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866A KR101108308B1 (ko) 2010-03-29 2010-03-29 트랙션 모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866A KR101108308B1 (ko) 2010-03-29 2010-03-29 트랙션 모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592A KR20110108592A (ko) 2011-10-06
KR101108308B1 true KR101108308B1 (ko) 2012-01-25

Family

ID=4532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866A KR101108308B1 (ko) 2010-03-29 2010-03-29 트랙션 모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178B1 (ko) 2012-04-23 2013-06-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동력 전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57992A (ja) * 2019-09-30 2021-04-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ロータ及びモータ
KR20230161028A (ko) * 2022-05-18 2023-1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6475B1 (en) * 1998-08-18 2001-08-2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Wheel hub electric motor and transmission drive unit
JP2005335535A (ja) * 2004-05-27 2005-12-08 Sanyo Electric Co Ltd 電動車輪用ハブユニット及び該ハブユニットを具えた乗物
US20060276475A1 (en) * 2003-04-09 2006-12-07 Chi Vu Triazolotriazines and pyrazolotriazin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7228736A (ja) 2006-02-23 2007-09-06 Nidec Shibaura Corp モ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6475B1 (en) * 1998-08-18 2001-08-2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Wheel hub electric motor and transmission drive unit
US20060276475A1 (en) * 2003-04-09 2006-12-07 Chi Vu Triazolotriazines and pyrazolotriazin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5335535A (ja) * 2004-05-27 2005-12-08 Sanyo Electric Co Ltd 電動車輪用ハブユニット及び該ハブユニットを具えた乗物
JP2007228736A (ja) 2006-02-23 2007-09-06 Nidec Shibaura Corp モ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178B1 (ko) 2012-04-23 2013-06-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동력 전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592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518B1 (ko) 다단 회전자를 구비한 코어리스 모터 및 그 모터를 사용한구동장치
CN101764443B (zh) 具有一体型护罩结构的薄型定子与薄型电机,以及包括该结构件的滚筒洗衣机直接驱动装置
JP5635921B2 (ja) 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回転電機、回転電機装置
KR101837863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및 전동 자전거
CA2744315A1 (en) Direct-current motor and hub unit
KR101089861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108308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20110101517A (ko) 트랙션 모터 모듈
US6437470B1 (en) Drum-type motor with inner gear
KR101055022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685202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및 전동 자전거
KR101055010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089924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079888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037535B1 (ko) 전동식 자전거용 모터
CN208782666U (zh) 轮内工作装置
KR101079987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122827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120871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20110108593A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080006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KR101811143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CN107196456B (zh) 直流减速电机
JP2012016218A (ja) ホイールインモータ及び電動車両
KR20160105368A (ko) 트랙션 모터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