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446B1 - 고형물 가공기 - Google Patents

고형물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446B1
KR101653446B1 KR1020140082928A KR20140082928A KR101653446B1 KR 101653446 B1 KR101653446 B1 KR 101653446B1 KR 1020140082928 A KR1020140082928 A KR 1020140082928A KR 20140082928 A KR20140082928 A KR 20140082928A KR 101653446 B1 KR101653446 B1 KR 101653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gear
shaft rod
power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530A (ko
Inventor
정수동
Original Assignee
정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동 filed Critical 정수동
Priority to KR1020140082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4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50Methods or devices for preventing dust by spraying or su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02F9/245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for preventing damage to underground objects during excavation, e.g. indicating buried pip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물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의 암 단부에 탈부착식으로 체결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비된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하부에 구비되어 고형물을 가공시키는 가공부와,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수단의 보호 및 상기 가공부의 고형물 가공 중에 발생되는 가공 입자 덩어리의 외부 비산을 방지하는 보호커버부와,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부의 고형물 가공 중에 발생되는 분진에 물을 공급하여 분진 발생을 억제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여, 건축 고형물 에 대한 가공 작업 시에 작업자의 노동력 절감 및 파쇄된 건축물에 대한 회수 작업의 편리성과 아울러 공사기간 단축과 함께 건축 가공물에 대한 미관에 기여할 수 있는 고형물 가공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형물 가공기{Apparatus For Processing Solid Matter}
본 발명은 고형물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및 상하수관의 개보수나 일반 건물의 공사 시에 대상물(아스팔트, 콘크리트, 관 등)의 변형 또는 가공을 위하여 굴삭기의 암 단부에 탈부착되는 고형물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상하수관 보수 또는 일반 건물의 개보수 공사 현장에서는 절삭기와 굴삭기에 장착되는 유압브레이커 등이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도로 개보수 공사의 경우, 도로의 개보수 공사 부위에 해당되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노면을 절삭기로 먼저 절단하고, 이후에 절삭된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의 고형 덩어리들을 착암기나 굴삭기에 장착되는 유압브레이커로 파쇄하여 수거하는 작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의 개보수 공사 시에 굴삭기용 유압브레이커로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의 고형 덩어리들을 파쇄하더라도 고형 덩어리가 잘게 파쇄되지 않고 여전히 일정 규모의 덩어리들로 파쇄되어 이들 파쇄 고형 덩어리들에 대한 수거 작업에 상당한 노동력이 투입되어야만 했고, 실제 수거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적인 공사 기간을 단축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상하수관 개보수 공사 시에 관의 이음 구조 변경이나 확장이 요구될 때 작업자가 직접 상하수관의 이음 연결 부위에 착암기를 조작하여 구멍을 내는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이처럼 작업자가 직접 착암기로 상하수관의 이음 연결 부위에 대한 구멍을 내는 작업을 수행하다 보니 착암기 조작의 미숙이나 착암기 자체의 정밀성 저하로 관 부위에 생성된 구멍의 형상이 불규칙적 형상을 가짐에 따라 매끄러운 형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불규칙적이거나 매끄럽지 못한 구멍 형상으로 인하여 이음관을 연결하는 작업성 또한 불편하며, 구멍의 형상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정밀한 가공을 더 부가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일반 건물이나 아파트 등지의 리모델링 작업이나 재건축 등의 공사 현장에서도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착암기를 조작하며 구멍을 형성해야만 하는 작업 과정을 그대로 수행하고 있으므로, 상기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상기와 같은 공사 현장에서 상용화되고 있거나 안출된 기술들로는 등록특허 제10-1081048호, 등록특허 제10-118001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3755호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등록특허 제10-1081048호, 등록특허 제10-118001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3755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 및 상하수관의 개보수 공사나 일반건물 및 아파트 등지의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 공사 시에 요구되는 건축물의 가공 작업에 있어서 굴삭기의 암 끝단에 탈부착용으로 구비되어 건축 가공을 위한 대상물에 대한 정밀하면서도 규칙성 있는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고형물 가공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 단부에 탈부착식으로 체결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비된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하부에 구비되어 고형물을 가공시키는 가공부,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수단의 보호 및 상기 가공부의 고형물 가공 중에 발생되는 가공 입자 덩어리의 외부 비산을 방지하는 보호커버부,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부의 고형물 가공 중에 발생되는 분진에 물을 공급하여 분진 발생을 억제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장착부 하부에 체결되어 커버하는 기어박스에 의해 보호받되, 모터의 축봉에 연결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물리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연결된 채 수직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되는 스핀축봉을 포함하며, 상기 축봉과 상기 스핀축봉을 동시에 홀딩한 채로 기어박스에 고정되어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원만한 물림 진행과 함께 상기 축봉과 스핀축봉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블록이 구비되는 고형물 가공기에 일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상호 간의 원활한 물림 진행을 유도함과 동시 상기 축봉 및 스핀축봉의 원활한 회전 진행을 유도할 수 있게 상기 축봉 및 상기 스핀축봉을 홀딩하는 베어링과, 전후좌우측면에서부터 저면에 이르는 부위에 이르기까지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기어박스의 저면 전후좌우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끼워진 상태로 체결되어 고정블록의 유동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요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형물 가공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가공부는, 원형상의 총형커터날로 이루어지되, 상기 총형커터날은, 저면의 볼록한 형상 부위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고형물을 가공(파쇄나 분쇄)하는 연삭돌기; 및 저면의 볼록한 형상 부위 테두리를 따라 연쇄적으로 형성되어 고형물의 가공 테두리 부위를 매끄럽게 처리하는 다수개의 아크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형물 가공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보호커버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한편, 고형물 가공 시에 고형물 방향으로 가공부의 진입이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외측에 주름 형태의 자바라로 형성되고, 내측면 또한 외측과 동일한 형태의 자바라로 형성되되, 내측 길이를 따라 호스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다수개의 삽입공을 포함하는 고형물 가공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보호커버부 내에는, 스핀축봉을 보호하는 보호관이 더 구비되는 고형물 가공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물공급부는, 일종의 물저장탱크로서, 출구에 장착되어 물을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노즐과, 상기 노즐에 연결되어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을 분기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각각에 연결되어 가공부의 총형커터날 방향으로 물을 이송하는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형물 가공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스핀축봉의 내부에는,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매설된 매설물의 위치 파악이 가능한 탐지용 초음파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가공부의 총형커터날 내부 중앙에는 파쇄 고형물 입자들의 유입을 방지하며 초음파의 투과를 허용하는 유리강화섬유재의 투과창이 구비되는 고형물 가공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초음파센서는, 스핀축봉의 내부에서 탄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좌우 측부에 판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고형물 가공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 및 상하수관의 개보수 공사나 일반건물 및 아파트 등지의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 공사 시에 요구되는 건축물의 연삭 작업에 있어서 굴삭기의 암 끝단에 탈부착용으로 구비되는 연삭기를 제공함에 따라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파쇄된 건축물에 대한 회수 작업이 편리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 끝단에 탈부착용으로 구비되는 가공기를 제공함에 따라 연삭 과정에서 정밀하고도 세밀한 별도의 작업 과정을 부가할 필요가 사라져,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건물의 재건축이나 리모델링 공사 시에 벽체 천공에 대한 미관을 제공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사 시에 매몰된 매설대상물(상하수관, 전기선, 도시가스관 등)과 같은 생활기반구축시설물을 탐지하면서 공사 작업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상기 생활기반구축시설물을 파손하거나 부분 손괴하는 점을 방지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형물 가공기에 대한 전체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체 결합 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어박스와 고정블록의 결합 상태를 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보호커버부의 내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총형커터날부를 상세히 측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총형커터날부의 연삭돌기 배열 형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기에 명기된 용어들 중 대상물이나 건축물들 따위의 용어들은 고형물과 동의어로 해석하여야 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0)와, 동력부(20)와, 동력전달수단(30)과, 가공부(40)와, 보호커버부(50)와, 물공급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10)는 굴삭기의 암 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장착부(10)의 일측에 체결되는 동력부(20)는 모터로 구성되어 모터의 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은 상기 장착부(10)의 하부 방향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장착부(10)의 하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어박스(31)를 결합하되, 상기 기어박스(31) 내부에는 상기 동력부(20)에 해당되는 모터의 축봉(34)에 형성된 제1 기어(32)와 상기 제1 기어(32)에 물리는 제2 기어(33) 및 상기 제2 기어와 체결된 스핀축봉(3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기어(32)를 체결한 축봉(34)과 상기 제2 기어(33)를 체결한 스핀축봉(35)에는 고정블록(36)이 결합되는 바, 상기 고정블록(36)은 제1,2 기어(32,33)의 물림에 따라 제1 기어(32)의 축봉(34) 및 제2 기어(33)의 스핀축봉(35)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유격이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블록(36)은 제1 기어(32)를 구비한 축봉(34)과 제2 기어(33)를 구비한 스핀축봉(35)과 결합되면서 상기 축봉(34) 및 스핀축봉(35)의 회전력에 방해함 없도록 축봉(34) 및 스핀축봉(35)의 결합 부위에 베어링(37)이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36) 자체가 기어박스(31)에 체결됨에 따라, 제1 기어(32)와 제2 기어(33)의 상호 간 치합에 의한 회전 작동 시에 축봉(34)과 스핀축봉(35)의 유동을 방지하며 회전력을 돕는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블록(36)이 기어박스(31) 내에 체결되는 구조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블록(36)의 전후좌우측 방향에서 저면 방향에 이르기까지 각각 함몰 형성된 요홈부(38)들이 기어박스(31) 내의 저면 전후좌우측에서 각각 돌출된 돌출부(31a)들에 끼워진 상태로 나사 체결됨에 따라 고정블록(36)의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상술된 제1,2 기어(32,33)의 치합에 따른 원활한 회전이나 상기 축봉(34) 및 스핀축봉(35)의 원활한 회전과 함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가공부(40)는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스핀축봉(35)의 하부에 구비되는 바, 원 형태의 총형커터날(41)을 형성하고 상기 총형커터날(41)의 저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진 채 볼록한 형상 부위에 연삭돌기(42)들을 다수개 형성하며, 가장 자리 부위를 따라서는 아크형돌기(43)들을 연쇄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연삭돌기(42)들은 건축 가공을 위한 대상물에 대하여 고른 파쇄를 수행하고, 상기 아크형돌기(43)는 대상물의 파쇄 부위 테두리인 경계면의 불규칙한 모난 부분들을 매끄럽게 처리하게 된다.
상기 보호커버부(50)는 일종의 자바라 형태의 주름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부(50) 내에는 보호관(6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보호관(60)은 기어박스(31)에 일단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 구비된 스핀축봉(35)을 보호하고, 상기 보호커버부(50)는 상기 보호관(60)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보호관(60)의 보호 및 가공부(40)의 총형커터날(41)로 파쇄나 분쇄되는 건축 고형물의 입자 덩어리들들에 대한 외부 비산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물공급부(70)는 일종의 물저장탱크로서 장착부(10)의 특정 위치에 결합된 채 구비된 분사노즐(71)과 분기관(72) 및 호스(73)를 따라 물을 총형커터날(41)의 건축 고형물에 대한 가공(파쇄나 분쇄 등) 부위에 분사시켜 건축 고형물의 가공 중에 발생되는 분진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호스(73)들은 보호커버부(50)의 외측과 동일한 형상의 주름식으로 구성된 각 부위에 형성된 삽입공(50a)들에 끼워져 호스(73)의 유동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스핀축봉(35)의 내부는 도 7에서와 같이, 중공(35a)을 형성하는바, 상기 중공(35a) 내부의 적정 위치에 초음파센서(80)가 구비되고, 상기 가공부(40)의 총형커터날(41) 내부 중앙에는 투과창(81)이 결합 고정된다.
상기 초음파센서(80)는 초음파를 매설대상물을 향하여 발사함으로써 그 음파가 매설대상물에서 반사되어 회귀 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을 측정하여 매설대상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매설대상물은, 건축물이나 도로 등 다양한 공사 현장에서 지하에 매몰된 상하수관, 전기선, 도시가스배관 등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반구축시설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초음파센서(80)는 스핀축봉(35)의 중공(35a)에서 양측에 구비된 판스프링(80a)의 탄성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차후 교체 시 탈착의 용이함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투과창(81)은 유리강화섬유로 이루어져, 총형커터날(41)에 의해 파쇄되는 고형물 입자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초음파센서(80)에 의해 발사되는 초음파 투과에 대한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투과창(81)은 유리강화섬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파쇄 과정에서의 비산되는 고형물 입자들과의 충돌을 견디면서 고형물 입자의 중공(35a) 내 진입을 막고, 초음파 투과 효율도 함께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형물 가공기를 이용하여 건축물이나 도로 등 다양한 공사 현장에서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 작업 과정에서 매몰된 매설대상물의 탐지가 가능해짐에 따라, 매설대상물이 위치한 부위를 피하여 효율적인 가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매설대상물의 파손이나 부분 손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고형물 가공기가 굴삭기의 암 단부에 탈부착 식으로 체결되는 바, 암 끝단에 장착부(10)가 체결된 상태에서 건축 가공을 위한 대상물에 대하여 가공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도로의 개보수 작업에 있어 가공 작업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로 아스팔트를 개보수 하고자 할 경우, 먼저 절삭기로 아스팔트를 분획하여 절삭한다. 이후 절삭된 아스팔트를 분쇄 입자가 가능하도록 굴삭기의 암 단부에 체결된 고형물 가공기를 아스팔트 표면에 근접시킨다.
이때, 아스팔트 표면에 근접되는 고형물 가공기에 있어서, 가공부(40)의 총형커터날(41)이 회전되면서 아스팔트 표면을 연삭하며 분쇄시킨다.
상기 가공부(40)의 총형커터날(41) 회전은 장착부(10)에 구비된 모터로 이루어진 동력부(20)에 의해 축봉(34)이 회전되고, 상기 축봉(34)에 체결된 제1 기어(32)의 회전으로 상기 제1 기어(32)와 치차된 제2 기어(33)가 회전되며, 상기 제2 기어(33)에 체결된 스핀축봉(35)이 회전하며 가공부(40)의 총형커터날(41)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기어박스(31)는 장착부(10)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로 동력전달수단(30)인 제1 기어(32) 및 제2 기어(33)를 보호하게 되고, 상기 제1 기어(32)와 체결된 축봉(34) 및 상기 제2 기어(33)와 체결된 스핀축봉(35)은 고정블록(36)에 의해 유격이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하는 축봉(34) 및 스핀축봉(35)은 고정블록(36)에 구비된 한 쌍의 베어링(37)에 의해 홀딩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유격 또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한 쌍의 베어링(37) 구비로 상기 제1 기어(32) 및 제2 기어(33)의 회전력도 함께 돕는다.
상기 고정블록(36)은 기어박스(31) 내에 설치될 때, 고정블록(36)의 전후좌우측 방향에서 저면 방향에 이르기까지 각각 함몰 형성된 요홈부(38)가 기어박스(31)의 저면 전후좌우측 방향에서 돌출된 각 돌출부(31a)에 끼워진 상태로 나사 체결되어 견고한 고정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축봉(34) 및 스핀축봉(35)의 유격이나 유동성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공부(40)의 총형커터날(41)회전으로 파쇄되는 아스팔트의 파쇄물이 외부 방향으로 비산됨을 보호커버부(50)가 방지하게 되며, 상기 보호커버부(50) 내에 구비된 보호관(60)은 그 내부에 위치한 회전하는 스핀축봉(35)을 보호하게 된다.
즉, 가공부(40)의 총형커터날(41)이 아스팔트의 연삭 과정에서 아스팔트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호커버부(50)는 주름식의 자바라 형태를 갖기 때문에 총형커터날(41)의 진입 이동 거리만큼 주름지게 되면서 총형커터날(41)의 자연스러운 진입을 이루게 한다.
물론, 굴삭기의 조작자에 의해 총형커터날(41) 진입이 이루어지지만, 보호커버부(50)의 균일한 주름이 총형커터날(41)의 자연스러운 진입을 돕게 된다.
따라서, 아스팔트 내부로 진입하는 총형커터날(41)의 이동 거리만큼 보호커버부(50)는 아스팔트의 표면 부위에 밀착된 채 주름지는 상태로 아스팔트의 파쇄 입자 비산을 커버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아스팔트의 파쇄 시에 야기되는 분진을 억제하고자 장착부(10)에 구비되는 물공급부(70)의 일종인 저장탱크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 분사노즐(71)을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되면서 분기관(72)을 거쳐 다수의 호스(73)에서 배출되고, 이러한 배출되는 물로 인하여 분진 발생을 줄이게 된다.
한편, 상기 총형커터날(41)의 아스팔트 파쇄 과정에서 연삭돌기(42)들은 굴진하며 아스팔트를 작은 입자로 파쇄시키고, 테두리에 형성된 아크형돌기(43)들은 아스팔트의 파쇄 테두리 영역을 매끄럽게 가공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연삭돌기(42)는 총형커터날(41)을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른 파쇄를 위하여 총형커터날(41)을 중심으로 나선형의 형태로 배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연삭돌기(42)가 초형커터날(41)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배열 형성될 경우, 건축물의 대상물에 대한 파쇄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고 파쇄의 진행이 신속하게 촉진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 : 장착부 20 : 동력부
30 : 동력전달수단
31 : 기어박스 31a : 돌출부
32 : 제1 기어 33 : 제2 기어
34 : 축봉 35 : 스핀축봉
35a : 중공
36 : 고정블록 37 : 베어링
38 : 요홈부 38a : 체결공
40 : 가공부 41 : 총형커터날
42 : 연삭돌기 43 : 아크형돌기
50 : 보호커버부 60 : 보호관
70 : 물공급부 80 : 초음파센서
80a : 판스프링 81 : 투과창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굴삭기의 암 단부에 탈부착식으로 체결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비된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하부에 구비되어 고형물을 가공시키는 가공부;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수단의 보호 및 상기 가공부의 고형물 가공 중에 발생되는 가공 입자 덩어리의 외부 비산을 방지하는 보호커버부;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부의 고형물 가공 중에 발생되는 분진에 물을 공급하여 분진 발생을 억제하는 물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장착부 하부에 체결되어 커버하는 기어박스에 의해 보호받되, 모터의 축봉에 연결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물리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연결된 채 수직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되는 스핀축봉; 을 포함하며,
    상기 축봉과 상기 스핀축봉을 동시에 홀딩한 채로 기어박스에 고정되어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원만한 물림 진행과 함께 상기 축봉과 스핀축봉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가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상호 간의 원활한 물림 진행을 유도함과 동시 상기 축봉 및 스핀축봉의 원활한 회전 진행을 유도할 수 있게 상기 축봉 및 상기 스핀축봉을 홀딩하는 베어링;
    전후좌우측면에서부터 저면에 이르는 부위에 이르기까지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기어박스의 저면 전후좌우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끼워진 상태로 체결되어 고정블록의 유동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요홈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가공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원형상의 총형커터날로 이루어지되,
    상기 총형커터날은, 저면의 볼록한 형상 부위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고형물을 가공(파쇄나 분쇄)하는 연삭돌기; 및
    저면의 볼록한 형상 부위 테두리를 따라 연쇄적으로 형성되어 고형물의 가공 테두리 부위를 매끄럽게 처리하는 다수개의 아크형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가공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한편, 고형물 가공 시에 고형물 방향으로 가공부의 진입이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외측에 주름 형태의 자바라로 형성되고, 내측면 또한 외측과 동일한 형태의 자바라로 형성되되, 내측 길이를 따라 호스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다수개의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가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부 내에는,
    스핀축봉을 보호하는 보호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가공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일종의 물저장탱크로서, 출구에 장착되어 물을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노즐;
    상기 노즐에 연결되어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을 분기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의 각각에 연결되어 가공부의 총형커터날 방향으로 물을 이송하는 호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가공기.
  9.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축봉의 내부에는,
    내부에 매설된 매설대상물의 위치 파악이 가능한 탐지용 초음파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가공부의 총형커터날 내부 중앙에는 파쇄 고형물 입자들의 유입을 방지하며 초음파의 투과를 허용하는 유리강화섬유재의 투과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가공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센서는,
    스핀축봉의 내부에서 탄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좌우 측부에 판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가공기.
KR1020140082928A 2014-07-03 2014-07-03 고형물 가공기 KR101653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928A KR101653446B1 (ko) 2014-07-03 2014-07-03 고형물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928A KR101653446B1 (ko) 2014-07-03 2014-07-03 고형물 가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530A KR20160004530A (ko) 2016-01-13
KR101653446B1 true KR101653446B1 (ko) 2016-09-01

Family

ID=55172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928A KR101653446B1 (ko) 2014-07-03 2014-07-03 고형물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150B1 (ko) * 2016-05-16 2023-1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led 광원 모듈
KR102310575B1 (ko) * 2021-01-25 2021-10-08 주식회사 한국엠엘 파편 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5292Y2 (ja) * 1991-01-31 1996-07-24 株式会社三英社製作所 道路掘削専用車両
KR200421734Y1 (ko) * 2006-04-28 2006-07-18 전용수 측면 면삭기가 결합된 굴삭기
KR101081048B1 (ko) * 2010-09-13 2011-11-09 이진달 스키드 로더 연결형 연삭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140A (ja) * 1997-02-21 1998-09-08 Tagawa Kogyo Kk 構築物破砕機の噴射散水装置
KR200453755Y1 (ko) 2010-09-02 2011-05-24 최영천 자동 또는 수동 변환식 밸런스 밸브를 갖는 압착식 도로 파쇄용 중장비의 파쇄장치
KR101180011B1 (ko) 2012-04-10 2012-09-10 최희성 노면 연삭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5292Y2 (ja) * 1991-01-31 1996-07-24 株式会社三英社製作所 道路掘削専用車両
KR200421734Y1 (ko) * 2006-04-28 2006-07-18 전용수 측면 면삭기가 결합된 굴삭기
KR101081048B1 (ko) * 2010-09-13 2011-11-09 이진달 스키드 로더 연결형 연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530A (ko)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4284B (zh) 一种环型预埋波纹管孔道的疏通装置及其疏通方法
JPS62501434A (ja) 人が通り抜けの出来ない、破損したパイプラインで修理作業を行なう装置
KR101653446B1 (ko) 고형물 가공기
KR20120072696A (ko) 하수관 내부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공법
KR20170116317A (ko) 노후 관로의 도막 제거에 사용되는 로터리 커터 장치
CN207848733U (zh) 管道检修装置及下水管道检修车
KR20110007917A (ko) 지하 매설관 내 고형물의 파쇄 방법
KR101468529B1 (ko) 유압식 도로절단장치
CN202824020U (zh) 一种环型预埋波纹管孔道的疏通装置
CN216923669U (zh) 一种市政排水管道清淤机器人
CN112854428B (zh) 一种刀盘清淤装置
KR20100011944U (ko) 진공흡입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도로 절단기
CN210586230U (zh) 一种管道杂质破碎清理装置
CN106677042A (zh) 具有清扫功能的开槽装置
KR101653804B1 (ko) 회전날이 구비된 굴삭기용 리퍼
KR100348010B1 (ko) 하수관로용절단및천공장치
CN206503059U (zh) 一种多功能开槽机
CN206647612U (zh) 两用型顶管机头
KR101035700B1 (ko) 구조물의 모서리 부위 표면 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CN111188404A (zh) 一种排污管道用高效清淤装置
KR101514950B1 (ko) 포트홀 보수용 절삭장치
CN113374066B (zh) 结合化学溶剂对隧道排水管堵塞体进行疏通的装置
JP2015034427A (ja) シールド掘進機
CN214925838U (zh) 一种用于电缆安装的开槽设备
CN220614519U (zh) 一种水电安装开槽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