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400B1 - 차량용 헤드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400B1
KR101653400B1 KR1020130133265A KR20130133265A KR101653400B1 KR 101653400 B1 KR101653400 B1 KR 101653400B1 KR 1020130133265 A KR1020130133265 A KR 1020130133265A KR 20130133265 A KR20130133265 A KR 20130133265A KR 101653400 B1 KR101653400 B1 KR 101653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heat sink
engaging
vehicle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130A (ko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400B1/ko
Priority to US14/481,203 priority patent/US20150070921A1/en
Priority to US14/481,091 priority patent/US9791121B2/en
Publication of KR2015003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21S41/148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21S41/295Attachment thereof specially adapted to 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21S45/48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with means for conducting hea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lighting devices, e.g. with fi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9Attachment of the 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헤드 램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는, 차량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차량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렌즈의 초점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리플렉터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히트싱크;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히트싱크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및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및 상기 히트싱크의 중앙부를 연결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 램프{Head l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플레이트와 히트싱크(heatsink)간 결합성을 높이고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차량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 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토록 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가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반사기 등이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 또는 고전압 방출(High intensity discharge, HID) 등과 같은 광원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최근에 이르러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사용되고 있는데, 발광 다이오드는 색 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사이즈를 최소화 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가 도입됨에 따라 종래 램프 구성의 복잡성 및 가공 단계의 증가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특성으로 인한 램프의 수명 연장과 더불어 작은 크기로 인한 램프의 공간상 다양성을 제고하는 추세이다.
지금까지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알려진 차량용 헤드 램프들은 렌즈 홀더와 리플렉터를 보관, 유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히트싱크를 나사로 결합하는 구조이거나, 나사 결합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복잡한 조립 과정을 요하였다. 따라서, 부품의 수 및 조립 공정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조립 과정에 있는 작업자에게 시간 소요 및 불편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차량용 헤드 램프에서 필요로 하는 공간이나 부품 수, 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렌즈 헤드 램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998-004977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나사결합 없이 차량용 헤드 램프 조립을 위해, 복수의 스냅핏(snap-fit) 구조, 복수의 보스 구조 또는 복수의 리브를 도입하여 차량용 헤드 램프의 공간이나 부품수, 비용을 절감시키는 차량용 헤드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는, 차량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차량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렌즈의 초점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리플렉터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히트싱크;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히트싱크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및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및 상기 히트싱크의 중앙부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와 히트싱크를 스냅핏(snap-fit)구조 또는 보스 구조로 체결하므로, 나사결합을 사용하는 종래의 차량용 헤드 램프에 따른 공간의 제약, 부품 및 비용의 증가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와 히트싱크를 결합시 별도의 리브를 도입하여, 지지 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히트싱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히트싱크의 정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지지 플레이트와 히트싱크가 결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히트싱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지지 플레이트와 히트싱크가 결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지지 플레이트와 리플렉터가 결합된 배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히트싱크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지지 플레이트와 히트싱크가 결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히트싱크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지지 플레이트와 히트싱크가 결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지지 플레이트와 리플렉터가 결합된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중 히트싱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차량용 헤드 램프(10)에 있어서, 차량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되는 렌즈(미도시), 상기 렌즈의 초점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미도시), 상기 광원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00), 리플렉터(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300), 지지 플레이트(30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히트싱크(400), 지지 플레이트(300)와 히트싱크(400)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330a, 330b, 430a. 430b) 및 제2 결합부(360, 370, 4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렌즈, 광원, 리플렉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히트싱크(400)가 구비된 2개의 램프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단일 또는 복수의 광원모듈인 경우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광원 모듈이 조사하는 배광 패턴이 중첩되어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10)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헤드 램프(10)에 사용되는 램프모듈의 개수는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축방향이란 차량의 전방을 의미한다.
또한 렌즈, 광원, 리플렉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히트싱크(400)가 구비된 광원모듈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전방은 렌즈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히트싱크(400) 방향을 의미한다.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 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란, 반도체의 p-n접합을 이용하여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하면 n영역에 있는 전자가 p영역의 양공과 만나서 재결합 발광을 일으키는 현상을 이용해 전류를 직접 광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소자이다. 일반적으로 사방 1mm 정도 크기의 단일의 발광 칩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플렉터(200)는 상기 광원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는 타원 곡면이나 자유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리플렉터(200)의 제1 초점에 상기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소정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실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드부는 일단에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홈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드부의 상면은 리플렉터(200)에서 반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렌즈 홀더(100)내부에 구비된 렌즈로 반사시키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히트싱크(400)는 리플렉터(200) 및 지지 플레이트(30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이 발하는 열을 방열함으로써 차량용 램프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싱크(400)는 방열 면적을 높이기 위해 히트싱크(400)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다수의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330a, 330b, 430a. 430b)는, 지지 플레이트(300)의 후방 및 히트싱크(400)의 상부 중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후크와(330a, 330b), 다른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걸림부재(430a, 430b)를 포함한다. 이 때, 복수의 제1 후크(330a, 33b)와 복수의 제1 걸림부재(430a, 430b)는 스냅핏 구조로 체결된다.
제1 결합부(330a, 330b, 430a. 430b)는 히트싱크(400)의 상부 양측에 2개가 존재 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제1 후크(330a, 330b)는 복수의 제1 걸림부재(430a, 430b)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1 후크(330a, 330b) 중 하나의 미늘은 히트싱크(400)의 좌측, 다른 하나의 미늘은 히트싱크(400)의 우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반대 방향으로 체결되는 경우, 같은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보다 진동 및 충격에 강인하여, 체결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제2 결합부(360, 370, 460)는, 지지 플레이트(300)의 하측에 배치되되, 지지 플레이트(30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받침부(370)와, 받침부(370)와 지지 플레이트(300)를 연결하도록 받침부(3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지 플레이트(300)의 하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 리브(360)와, 히트싱크(4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결합 리세스(460)를 포함한다. 이 때, 결합 리브(360)는 결합 리세스(460)에 대응되어 체결된다.
또한, 받침부(370)의 상면은 결합 리세스(460)의 주변 부위에서 히트싱크(400)의 하면 즉, 히트싱크(400)에서 결합 리세스(460)가 형성된 주변 부위인 중앙부 상면에 면접촉 체결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300)의 중앙부 하면 즉, 지지 플레이트(300)에서 결합 리브(360)가 형성된 주변 부위인 중앙부 하면이 히트싱크(400)의 중앙부 상면 즉, 히트싱크(400)에서 결합 리세스(460)가 형성된 주변 부위인 중앙부 상면에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는 경우, 결합 리브(360)는 결합 리세스(460)에 대응되어 체결되고, 받침부(370)의 상면은 상기 슬라이딩 되는 히트싱크(400)의 중앙부 하면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300)와 히트싱크(400)의 결합 면적이 넓어져 더욱 강건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300)의 중앙부 하면이 히트싱크(300)의 중앙부 상면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받침부(370)의 상면이 상기 슬라이딩 되는 히트싱크(300)의 중앙부 하면에 결합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300)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움직임을 저지하고, 상기 렌즈의 처짐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다만, 결합 리브(360)와 결합 리세스(460)는 스냅핏 구조 및 보스 구조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지지 플레이트(300)와 히트싱크(400)를 결합하는 제3 결합부(340, 350, 440, 450)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제3 결합부(340, 350, 440, 450)는 지지 플레이트(300)의 하부 및 히트싱크(400)의 하부를 연결한다.
또한,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제3 결합부(340, 350, 440, 450)는, 지지 플레이트(300) 하부 및 히트싱크(400)의 하부 중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후크(340)와, 다른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걸림부재(440)를 포함한다. 이 때, 복수의 제2 후크(340)와 복수의 제2 걸림부재(440)는 스냅핏 구조로 체결된다.
제1 걸림부재(430a, 430b) 및 제2 걸림부재(440)는 각각 걸림홀 또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과 결합되는 후크의 미늘은 상기 걸림홀을 지나 위치되는 반면,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되는 상기 후크의 미늘은 상기 걸림턱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냅핏 구조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300)의 상기 광축 방향 움직임이 저지되게 된다.
또한, 제3 결합부(340, 350, 440, 450)는, 지지 플레이트(300)의 하부 및 히트싱크(400)의 하부 중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의 핀(350)과, 다른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의 체결홀(450)를 포함한다. 이 때, 복수의 핀(350)과 복수의 체결홀(450)은 보스 구조로 체결된다.
복수의 핀(350)은 끝이 뭉툭한 경우뿐만 아니라 뾰족한 경우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체결홀(450)에 대응된다. 따라서 조립이 완료된 경우, 복수의 핀(350)이 복수의 체결홀(450) 내에 위치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보스 구조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단면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핀(350)과 복수의 체결홀(450)은 단면의 높이가, 결합 시 지지 플레이트(300) 또는 히트싱크(400)의 방향으로 점점 높아지거나 낮아져 결합 될수록 복수의 핀(350)의 외부와 복수의 체결홀(450)의 내부가 맞닿는 단면적이 더욱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스 구조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300)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움직임이 저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 중 제1 결합부(330a, 330b, 430a. 430b)는 상기 스냅핏 구조로, 제3 결합부(340, 350, 440, 450)는 상기 스냅핏 구조 또는 상기 보스 구조로 지지 플레이트(300)와 히트싱크(400)를 연결시키므로 나사결합 없이도 진동 및 충격에 대비하는 강건 설계가 가능하고, 조립성 또한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330a, 330b, 430a. 430b)는 2개가 도시되고, 제3 결합부(340, 350, 440, 450)는 1개만 도시되었지만, 제1 결합부(330a, 330b, 430a. 430b) 및 제3 결합부(340, 350, 440, 450)는 히트싱크(40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지지 플레이트(300)와 히트싱크(400)를 결합하여 체결할 수만 있다면, 그 형상이나 위치 또는 개수에는 제한이 없을 것이다.
또한 복수의 제1 후크(330a, 330b)와 복수의 제2 후크(340) 및 복수의 핀(350)은 지지 플레이트(300)에 위치하고, 복수의 제1 걸림부재(430a, 430b)와 복수의 제2 걸림부재(440) 및 복수의 체결홀(450)은 히트싱크(400)에 위치된 경우만 도시되었지만, 복수의 제1 후크(330a, 330b)와 복수의 제2 후크(340) 및 복수의 핀(350)은 히트싱크(400)에 위치하고, 복수의 제1 걸림부재(430a, 430b)와 복수의 제2 걸림부재(440) 및 복수의 체결홀(450)은 지지 플레이트(300)에 위치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서 제3 결합부(340, 350, 440, 450)는 스냅핏 구조의 형상이 도시되었지만, 도시된 바와 달리 제3 결합부(340, 350, 440, 450)는 차량용 헤드 램프 내에서 보스 구조로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한쪽이 스냅핏 구조 다른 한쪽이 보스 구조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330a, 330b, 430a. 430b)는 지지 플레이트(300)의 후방 및 히트싱크(400)의 상부를 연결하고, 제2 결합부(360, 370, 460)는 지지 플레이트(300)의 하부 및 히트싱크(400)의 중앙부를 연결하며, 제3 결합부(340, 350, 440, 450)는 지지 플레이트(300)의 하부 및 히트싱크(400)의 하부를 연결한다.
지지 플레이트(300)와 히트싱크(400)를 연결하는 제1 결합부(330a, 330b, 430a. 430b), 제2 결합부(360, 370, 460) 및 제3 결합부(340, 350, 440, 450)가 각각 히트싱크(400)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서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위치 결정없이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300)와 히트싱크(400)가 한곳에서만 편중되어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결합되므로 더욱 강건한 결합이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량 램프의 지지 플레이트(300)와 히트싱크(400)는, 지지 플레이트(400)와 히트싱크(400)를 결합하는 복수의 조립 리브(310, 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립 리브(310, 410, 420)는, 히트싱크(400) 및 지지 플레이트(30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300)의 상하 방향 유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제1 조립 리브(310a, 310b, 310c, 310d, 310e, 310f, 310g, 310h, 310i, 310j, 310k, 410a)와 좌우 방향 유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제2 조립 리브(420a, 420b, 420c)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헤드 램프(10)의 구성품들을 제작시 제작공차 및 조립시의 조립공차 등이 존재하게 되는데, 복수의 제1 조립 리브(310a, 310b, 310c, 310d, 310e, 310f, 310g, 310h, 310i, 310j, 310k, 410a) 및 복수의 제2 조립 리브(420a, 420b, 420c)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300)의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의 상기 제작공차 및 상기 조립공차 등의 간격을 메울 수 있다. 따라서 진동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드(300)와 상기 히트싱크(400)간의 흔들림을 줄이고, 조립의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립 리브(310, 410, 420)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조립 리브(310, 410, 420)는 결합이 되면 될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300)와 히트싱크(400)가 결합 하는 경우 복수의 조립 리브(310, 410, 420)의 높이가 동일 할 때보다 지지 플레이트(300)와 히트싱크(400)가 맞닿는 면적이 더 커져 서로간의 조립성을 더 향상 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지 플레이트(300)의 복수의 조립 리브(310, 410, 420)는, 지지 플레이트(300)의 중앙부의 하면이 히트싱크(400)의 중앙부 상면에 슬라이딩 되어 결합 시 그 위치를 가이드 해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2 광원모듈을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1 광원모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나, 벌브(bulb) 타입 또는 기타의 광원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결합부(330a, 330b, 430a. 430b)와 제3 결합부(340, 350, 440, 450)의 스냅핏 구조 및 보스구조, 제2 결합부로 인해 나사결합 없이 결합이 가능하여, 지지 플레이트(300)와 히트싱크(400)를 결합하는 비용을 낮추고, 더 강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복수의 조립 리브(310, 410, 420)를 도입하여 제작 및 조립 공차를 줄여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차량용 헤드 램프
100: 렌즈 홀더
200: 리플렉터
300: 지지 플레이트
400: 히트싱크

Claims (12)

  1. 차량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렌즈의 초점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리플렉터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히트싱크;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히트싱크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및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및 상기 히트싱크의 중앙부를 연결하여 강건 설계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 리브와, 상기 히트싱크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결합 리세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및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 중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후크와, 다른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걸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 후크와 상기 복수의 제1 걸림부재는 스냅핏 구조로 체결되는 차량용 헤드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리브는 상기 결합 리세스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차량용 헤드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면은 상기 결합 리세스 주변 부위의 히트싱크 하면에 면접촉 체결되는 차량용 헤드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히트싱크를 결합하는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및 상기 히트싱크의 하부를 연결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및 상기 히트싱크의 하부 중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후크와, 다른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2 후크와 상기 복수의 제2 걸림부재는 스냅핏 구조로 체결되는 차량용 헤드 램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및 상기 히트싱크의 하부 중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의 핀과, 다른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의 체결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핀과 상기 복수의 체결홀은 보스 구조로 체결되는 차량용 헤드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 구조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단면의 높이가 달라지는 차량용 헤드 램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히트싱크를 결합하는 복수의 조립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립 리브는, 상기 히트싱크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 유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제1 조립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립 리브는, 상기 히트싱크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좌우 방향 유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제2 조립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립 리브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달라지는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0130133265A 2013-09-10 2013-11-05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65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265A KR101653400B1 (ko) 2013-11-05 2013-11-05 차량용 헤드 램프
US14/481,203 US20150070921A1 (en) 2013-09-10 2014-09-09 Vehicle lamp
US14/481,091 US9791121B2 (en) 2013-09-10 2014-09-09 Vehicle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265A KR101653400B1 (ko) 2013-11-05 2013-11-05 차량용 헤드 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498A Division KR20150029832A (ko) 2013-09-10 2013-09-10 차량용 헤드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130A KR20150030130A (ko) 2015-03-19
KR101653400B1 true KR101653400B1 (ko) 2016-09-05

Family

ID=5302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265A KR101653400B1 (ko) 2013-09-10 2013-11-05 차량용 헤드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4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9261A (ja) * 2010-12-03 2012-06-21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2013045688A (ja) * 2011-08-25 2013-03-04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のカプラ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803B1 (ko) 1998-11-19 2001-03-02 김영환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셀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9261A (ja) * 2010-12-03 2012-06-21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2013045688A (ja) * 2011-08-25 2013-03-04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のカプラ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130A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282B2 (en) Bi-functional headlight module
CA2628141A1 (en) Semiconductor-based lighting systems and lighting system components for automotive use
US9097400B2 (en) Automotive headlamp
US20180142858A1 (en) Headlight with a modular projection module for enhancing illumination intensity
US7789545B2 (en) Vehicle headlight assembly
JP5874901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KR102099792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092693B1 (ko) 헤드램프용 led 광학장치
KR10137524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US9791121B2 (en) Vehicle lamp
KR10165340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40107950A (ko) 차량용 램프
JP6781586B2 (ja) 車両用光源ユニット
KR101707988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50029832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224433B1 (ko) 차량용 램프
KR102122412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8011A (ko) 차량용 램프
KR101463594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210002404U (ko) 차량용 램프
JP2018501621A (ja) 車両用ledランプモジュール
EP2587123B1 (en) Automotive headlamp
KR200469056Y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68118A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219198969U (zh) 车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