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342B1 -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342B1
KR101653342B1 KR1020140150883A KR20140150883A KR101653342B1 KR 101653342 B1 KR101653342 B1 KR 101653342B1 KR 1020140150883 A KR1020140150883 A KR 1020140150883A KR 20140150883 A KR20140150883 A KR 20140150883A KR 101653342 B1 KR101653342 B1 KR 10165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ush button
signal
contact
dow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260A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버스 filed Critical (주)아이티버스
Priority to KR102014015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342B1/ko
Priority to CN201580059630.9A priority patent/CN107077228B/zh
Priority to PCT/KR2015/011625 priority patent/WO2016072672A1/ko
Priority to US15/523,943 priority patent/US10671184B2/en
Priority to EP15857486.3A priority patent/EP3226107A4/en
Publication of KR2016005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5Components encapsulated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the printed circuit or incorporated in internal layers of a multilay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를 감싸도록 하향측벽이 형성된 밀기버튼;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 및 상기 접점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SIGNAL INPUT DEVICE AND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튼이 측방향으로 밀렸을 때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가압센서 없이도 버튼이 밀리는 방향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 컴퓨터나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과 같이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전자제품들이 다양하게 등장함에 따라, 상기 전자제품들에 원격으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장치 역시 다양한 종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원격신호입력장치로는 리모콘이 가장 일반적인데, 통상의 리모콘에는 제품의 각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들이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리모콘에서의 버튼 구현 방법은 스위치 방식 또는 버튼 누름 방식으로 하나의 버튼으로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며, 전자제품의 다양한 기능들에 대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단축기능 버튼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기능들을 하나의 리모콘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점차 버튼의 수가 많아지므로 리모콘의 사이즈가 점점 커지게 되고 리모콘의 구조 또한 점차적으로 복잡해져 가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리모콘의 구조가 복잡해지면 사용자는 자신이 찾고자 하는 기능의 버튼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하나의 버튼으로 2개 정도의 기능이 가능한 복합버튼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복합버튼은 키코드 변환 모드에 있어서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버튼을 이용하면 기능버튼 개수를 줄이는 효과는 있지만, 여전히 화살표 버튼을 반드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기능버튼의 개수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고, 조작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하기 선행문헌은 슬라이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1156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이 인가되었을 때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조작력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며, 별도의 가압센서가 구비되지 아니하더라도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를 감싸도록 하향측벽이 형성된 밀기버튼;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 및 상기 접점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한다.
상기 밀기버튼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과 상기 밀기버튼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제 1지지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제 1지지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기버튼의 저면에는 제 2지지부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지지부 및 상기 제 2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기버튼의 저면에는 제 3지지부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 3지지부가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3지지부와 상기 인입홈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면 중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과 이격되는 위치에는 제 4지지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4지지부와 상기 하향측벽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4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향측벽의 하단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 중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홀에 인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밀기버튼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돌기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홀에 인입된 후 상기 밀기버튼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측 둘레 또는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 둘레에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이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라인; 및 상기 중심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1분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라인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분기라인에는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분기라인에는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스위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안착홈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스위치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기버튼에는 제 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버튼은 상기 밀기버튼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버튼부 및 상기 밀기버튼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버튼부는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관통홀에 인입되는 제 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버튼부는 상기 스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상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관통홀에 인입되어 상기 제 1체결부와 결합되는 제 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 및 상기 가압부의 단면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관통홀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의 단면은 중심부의 높이가 측면부의 높이보다 크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분기라인의 끝단에는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재를 관통하는 제 2관통홀이 형성되고, 신호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본체의 회로기판에서 상기 제 2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제 2관통홀에 인입되어, 하향 방향으로 힘을 인가할 경우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단자스위치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은 도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는 터치센서 또는 촉각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기버튼 상에 배치되고, 기준치 이상의 하향 외력이 인가될 때 하측에 배치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을 측방향으로 밀면 마우스 포인팅이 작동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유지한 후 해지하면 클릭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한 후 해지하면 추가기능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기능 신호가 발생한 후 상기 밀기버튼을 측방향으로 밀면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래그 신호가 발생한 이후 상기 클릭 신호를 발생시키면 드롭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기능 신호가 발생한 후 상기 밀기버튼을 측방향으로 밀면 스크롤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롤 신호가 발생한 이후 상기 클릭 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스크롤 신호의 발생이 해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기버튼 상에 배치되고, 기준치 이상의 하향 외력이 인가될 때 하측에 배치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밀기버튼을 측방향으로 밀면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한 이후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상태를 해지하면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의 발생이 해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상태 유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상태 유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일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구동장치는, 측방향으로 밀면 제 1신호를 발생시키는 밀기버튼 및 상기 밀기버튼 상에 배치되고 기준치 이상의 하향 외력이 인가될 때 상기 제 1신호와 다른 제 2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는 제 1버튼부 및 상기 제 1버튼부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키 및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키를 포함하는 제 2버튼부를 포함한다.
상기 밀기버튼을 측방향으로 밀면 마우스 포인팅이 작동하고, 상기 마우스 포인팅이 작동한 후 상기 누름버튼 또는 상기 선택키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경우 추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추가신호 발생 중 또는 발생 이후 상기 밀기버튼을 측방향으로 밀면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키를 동작시켜 방향신호를 발생시킨 후 상기 누름버튼 또는 상기 선택키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경우 선택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신호입력장치에 구비되는 버튼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가압센서가 구비되지 아니하더라도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구성이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입력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돌출부를 구비한 베이스부재에 센서 또는 접점부를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측에 밀기버튼을 배치시킴으로써 별도의 커버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 신호입력장치 대비 높이가 더 낮고 작은 사이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탄성부재 배치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 베이스부재와 밀기버튼 간의 결합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의 연성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 누름버튼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구동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전반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는 하나의 버튼으로 여러 종류의 입력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 밀기버튼(200), 센서부(300), 접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부재(100)는 바닥면(110) 및 바닥면(110)의 중심부측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밀기버튼(200)은 돌출부(120)의 상측에 배치되는데, 돌출부(12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향으로 형성된 하향측벽(210)이 형성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의 외측면에는 센서부(300)가 구비되고, 하향측벽(210)의 내측면에는 돌출부(120)의 외측면 중 센서부(300)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점(400)을 구비할 수 있다. 반대로, 하향측벽(210)의 내측면에 센서부(300)가 구비되고, 돌출부(120)의 외측면에는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센서부(300)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점(40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조 하에서,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센서(300) 및 접점(400)이 상호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이러한 밀기버튼(200)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등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접점(400)은 밀기버튼(200)이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하는 센서부(300)에 접촉됨으로써 센서부(300) 내에 형성된 복수의 센서 중 해당되는 센서와 관련된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밀기버튼(200)은 회전하지 않고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이는 밀기버튼(200)의 회전이 가능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센서와 접점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원치 않는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센서부(300)로서는 터치센서 또는 촉각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조 원가 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 등을 고려할 때, 연성회로기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성회로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배치시키되, 이러한 센서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단자스위치로 형성되게 하고, 접점(400)을 도전체로 형성함으로써,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단자스위치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모두 접점(400)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양극단자와 상기 음극단자가 단락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입력신호를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자스위치는 구체적으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서로 이격시켜 나란히 배치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평방향으로 교번으로 배열되는 부위를 갖도록 즉, 상하 방향으로 요철패턴을 가지며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양극단자(312) 및 음극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상호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치되되 상호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접점(400)의 경우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상호간의 견고한 단락을 위하여 접촉 부위만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는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00)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탄성부재(600)로써는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압축됨으로써 밀기버튼(200)에 복원탄성력을 인가하는 카본스펀지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부재(600)의 배치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탄성부재(600) 배치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탄성부재(600) 배치의 제 1구현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탄성부재(600)는 돌출부(120)의 외측면과 밀기버튼(20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600)는 센서부(300)와 접점(400)간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도록 센서부(300) 및 접점(400)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탄성부재(600) 배치의 제 2구현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에는 돌출부(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 1지지부(121)가 형성되고, 밀기버튼(200)에는 밀기버튼(20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된 제 2지지부(220)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탄성부재(600)는 상기 제 1지지부(121)와 제 2지지부(220)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 1지지부(121)는 돌출부(12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돌출부(120)의 상면에 불연속적인 복수 개의 분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 2지지부(220) 또한 밀기버튼(200)의 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밀기버튼(200)의 저면에 불연속적인 복수 개의 분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제 1지지부(121)가 제 2지지부(22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2지지부(220)가 제 1지지부(121)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 1지지부(121)만 형성하고, 제 2지지부(220)는 따로 형성하지 않은 채로, 탄성부재(600)가 제 1지지부(121)와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탄성부재(600) 배치의 제 3구현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의 상면에는 인입홈(122)이 형성되고, 밀기버튼(200)에는 밀기버튼(20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된 제 3지지부(230)가 형성된다. 제 3지지부(230)는 상기 인입홈(122)에 인입되고, 제 3지지부(230)와 인입홈(122)의 내측면 사이에 탄성부재(600)를 배치한다. 이때 제 3지지부(230)는 인입홈(122) 내에 인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제 3지지부(230)는 밀기버튼(200)의 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밀기버튼(200)의 저면에 불연속적인 복수 개의 분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제 3지지부(230)가 인입홈(122) 내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제 3지지부(230)와 인입홈(122) 사이에 탄성부재(6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밀기버튼(200)의 저면 중 제 3지지부(230)가 형성되는 위치는 인입홈(122)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탄성부재(600) 배치의 제 4구현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의 바닥면(110) 중 돌출부(120)의 외측면과 이격되는 위치에는 제 4지지부(111)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탄성부재(600)는 제 4지지부(111)와 밀기버튼(200)의 하향측벽(210)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제 4지지부(111)는 바닥면(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닥면(110)에 불연속적인 복수 개의 분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제 4지지부(111) 및 탄성부재(600)를 감싸는 커버(7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서, 탄성부재(600)가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기버튼(200)에 의해서 커버되지 않는 제 4지지부(111)의 용이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 베이스부재(100) 및 밀기버튼(200)의 체결예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 베이스부재(100)와 밀기버튼(200) 간의 결합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는, 밀기버튼(200)의 하향측벽(210) 하단에 체결돌기(220)가 형성되고, 베이스부재(100)의 바닥면(110) 중 체결돌기(220)와 대응되는 영역에 체결홀(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체결돌기(220)는 체결홀(130)에 인입됨으로써 베이스부재(100)와 밀기버튼(200)이 결합되게 된다. 이때 베이스부재(100)의 바닥면(110)에 형성된 체결홀(130)의 단면적은 하향측벽(210)에 형성된 체결돌기(22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밀기버튼(200)의 측방향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체결돌기(220)에는 걸림턱(230)을 형성시킴으로써, 체결돌기(220)가 체결홀(130)에 인입된 후 밀기버튼(200)이 베이스부재(100)로부터 용이하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는 밀기버튼(200)측에 체결돌기(220)가 형성되고 베이스부재(100)에는 체결홀(130)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밀기버튼(200)측에 체결홈 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베이스부재(100)에 체결돌기가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의 센서부(300) 및 누름버튼(5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의 연성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 누름버튼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의 센서부(300)는 돌출부(120)외 외측 둘레 또는 하향측벽(210)의 내측 줄레에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중심라인(320) 및 제 1분기라인(3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라인(32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된다. 이러한 센서로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단자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밀기버튼(200)의 이동방향에 따라 발생되는 입력신호가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센서는 연성회로기판이 돌출부(120)의 외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경우 돌출부(120)의 수직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연성회로기판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가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이동시키는 이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 이동신호는 기본적으로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구분되어야 하므로, 단자스위치는 최소 4개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4방향의 사이방향, 즉 대각선 방향으로의 이동신호를 추가적으로 발생시키고자 하는 경우 단자스위치는 8개가 마련되어야 하며, 상기 4방향의 사이마다 2개의 대각선 방향 이동신호를 발생시키고자 하는 경우 단자스위치는 12개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되는 단자스위치의 개수는 전, 후, 좌, 우의 4방향에 각각 하나씩 총 4개를 기본으로 하며, 4개 단위로 추가되는 구조, 즉 4의 배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제 1분기라인(330)은 중심라인(320)으로부터 분기되는 구성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분기라인(330)에는 스위치(310)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310)는 동작시 밀기버튼(200)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와는 다른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써, 밀기버튼(200)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와 독립적인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두 입력신호의 조합에 의해 복합적인 혼합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310)로서는 돔(Dome) 스위치 또는 러버(Rubber) 스위치가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제 1분기라인(330)의 끝단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리모컨 등의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34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310) 또는 커넥터(340)의 배치 위치는 앞서 설명한 위치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중심라인(320)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1분기라인이 아닌 다른 분기라인측 또는 제 1분기라인에서 다시 분기되는 분기라인측 등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에서는 연성회로기판 내에서의 스위치(310)의 배치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기구적인 관점에서 스위치(310) 배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의 스위치(310)는 돌출부(120)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돌출부(310)의 상면에 스위치 안착홈을 형성하고 스위치(310)를 스위치 안착홈 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위치 안착홈을 별도로 형성하여 스위치(310)를 안착할 경우, 스위치 안착홈이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스위치(310)를 신호입력장치 내에 안전하게 안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조가 용이해지고, 제조 단계에서의 스위치(310) 안착 불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의 누름버튼(5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 내에는 스위치(310)가 배치되지만, 스위치(310)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310)에 압력을 가하여 스위치(31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누름버튼(500)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기버튼(200)에 제 1관통홀(240)을 형성시키고, 누름버튼(500)을 상기 밀기버튼(200)의 상측에 배치시키되, 제 1관통홀(240)을 통과하여 스위치(310)와 접할 수 있도록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누름버튼(500)이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쉽게 탈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누름버튼(500)의 상부 및 하부의 단면적이 제 1관통홀(24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조립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 누름버튼(500)을 제 1버튼부(510) 및 제 2버튼부(520)의 결합에 의해 조립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누름버튼(500)은 밀기버튼(2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버튼부(510) 및 밀기버튼(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버튼부(520)를 포함하고, 제 1버튼부(5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촉부(511)와 접촉부(511)로부터 하측에 연장 형성되어 제 1관통홀(240)에 인입되는 제 1체결부(512)를 포함한다. 또한, 제 2버튼부(520)는 스위치(310)와 직접 접촉하여 스위치(310)를 동작시키는 가압부(521) 및 가압부(521)의 상측에 연장 형성되며 제 1관통홀(240)에 인입되는 제 2체결부(522)를 포함하도록 한다. 즉, 제 1체결부(512)와 제 2체결부(522)를 결합함으로써, 제 1버튼부(510)와 제 2버튼부(520)가 결합되어 누름버튼(500)이 형성되게 하면, 상술한 조립성 문제의 해결이 가능하고, 나아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터치하는 접촉부(511)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적용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511)의 단면은 중심부의 높이가 측면부의 높이보다 크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누름버튼(50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스위치(310)가 신호입력장치 내에 배치되는 경우와는 다르게, 스위치를 신호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본체의 회로기판에 장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돌출부(310)에는 베이스부재(100) 전체를 관통하는 제 2관통홀이 형성되고, 신호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본체의 회로기판에서 제 2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스위치가 배치되도록 한다. 신호입력장치에는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누름버튼에 하향 방향으로 힘을 인가할 경우 누름버튼이 동작할 수 있도록, 누름버튼이 상기 제 2관통홀에 인입되어 스위치를 직접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신호입력장치 내에 스위치의 배치를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좀 더 작은 사이즈의 신호입력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설계 자유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500)을 제 1버튼부(510) 및 제 2버튼부(520)의 결합에 의해 형성시키는 경우라면, 제 1체결부(512) 및 제 2체결부(522)는 제 1관통홀(240) 뿐만 아니라 제 2관통홀에도 인입될 수 있으며, 또는 제 1체결부(512)는 제 1관통홀(240)을 통과하고, 제 2체결부(522)는 제 2관통홀을 통과하여, 밀기버튼(200)의 저면과 돌출부(12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제 1체결부(512) 및 제 2체결부(522)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경우, 밀기버튼(20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와 누름버튼(50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조합하여 복합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여러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에서의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면 마우스 포인팅이 작동하게 된다. 즉 밀기버튼(200)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서 센서부(300)와 접점(400)이 접촉되면서 마우스 포인팅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신호입력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제품(스마트 TV, PC 등)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유지한 후 해지하면 클릭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즉, 밀기버튼(200)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전자 제품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상에 위치시키고, 누름버튼(500)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유지시키게 되면, 마우스의 클릭 버튼과 같이 해당 아이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한 후 해지할 경우 추가기능 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추가기능 신호가 발생한 후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면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밀기버튼(200)을 이용하여 전자 제품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상에 위치시키고, 누름버튼(500)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한 후 해지하면 드래그를 위한 추가기능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를 위한 준비 상태가 되고, 이후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아이콘의 위치가 밀기버튼(200)이 미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가 실행되게 된다. 이후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유지한 후 해지함으로써 클릭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드롭 신호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드래그 상태가 해지되게 된다.
또한 추가기능 신호가 발생한 후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면 스크롤 신호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밀기버튼(200)을 상하 방향으로 밀게 됨으로써 웹페이지가 상하로 스크롤이 진행되며, 이는 마우스에 형성된 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유지한 후 해지함으로써 클릭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스크롤 상태가 해지되게 된다.
아울러,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게되면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한 이후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를 해지하면 스크로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의 발생이 해지되게 된다. 특히, 상기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 유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 유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일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동작들의 구현에 의해서, 밀기버튼(200) 및 누름버튼(500)의 두 가지 버튼만으로도 클릭, 마우스 포인팅, 스크롤, 드래그 신호 등의 다양한 신호들을 동시 또는 이시에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구동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구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구동장치는 제 1버튼부(10) 및 제 1버튼부(10)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 2버튼부(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제 1버튼부(10)는 밀기버튼(200) 및 누름버튼(500)으로 구성되는데, 밀기버튼(200)은 측방향으로 밀면 제 1신호를 발생시키고, 누름버튼(500)은 밀기버튼(200) 상에 배치되어 기준치 이상의 하향 외력이 인가될 경우 제 2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결국, 밀기버튼(200)과 누름버튼(500)의 동작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는 밀기버튼(200)과 누름버튼(500)의 동작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1버튼부(1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가 채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2버튼부(20)는 방향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키(21) 및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키(22)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향키(21)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좌, 우의 4개의 키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선택키(22)의 경우 각각의 방향키(21)에 의해 둘러 쌓여 배치되고, 엔터(Enter), 셀렉트(Select) 등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자기기 구동장치는 일반적으로 TV 또는 컴퓨터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으로서 사용되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 손을 이용하여 전자기기 구동장치를 가로방향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경우, 게임 진행을 위한 조이패드(Joy Pad)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면 마우스 포인팅이 작동하도록 하고, 마우스 포인팅이 작동한 후 누름버튼(500) 또는 선택키(22)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경우 추가신호가 발생하고, 추가신호 발생 중 또는 발생 이후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면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자기기 구동장치를 양 손으로 쥔 상태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활용하는 게임을 진행할 경우, 제 1버튼부(10)의 밀기버튼(200)을 이용하여 마우스 포인팅 및 드래그 방향을 제어하고, 제 2버튼부(20)의 선택키(22)를 이용하여 드래그 또는 드롭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제 1버튼부(10)와 제 2버튼부(20)를 유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좀 더 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방향키(21)를 동작시켜 방향신호를 발생시킨 후 누름버튼(500) 또는 선택키(22)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경우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전자기기 구동장치를 양 손으로 쥔 상태로 대상물이 움직이면서 총알 또는 빔 등을 이용하여 타켓을 제거하는 슈팅게임(Shooting Game) 등을 할 경우, 대상물의 움직임 방향은 제 2버튼부(20)의 방향키(21)를 이용하고, 총알 또는 빔 등의 발사는 제 1버튼부(10)의 누름버튼(500)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제 1버튼부(10)와 제 2버튼부(20)를 유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좀 더 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 1버튼부
20: 제 2버튼부
100: 베이스부재
110: 바닥면
120: 돌출부
200: 밀기버튼
210: 하향측벽
300: 센서부
400: 접점
500: 누름버튼
600: 탄성부재
700: 커버

Claims (32)

  1. 삭제
  2. 삭제
  3.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및
    상기 밀기버튼(20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00);
    를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과 상기 밀기버튼(20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신호입력장치.
  4.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및
    상기 밀기버튼(20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00);
    를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돌출부(120)의 상면에는 제 1지지부(121)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제 1지지부(121)와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신호입력장치.
  5.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및
    상기 밀기버튼(20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00);
    를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돌출부(120)의 상면에는 제 1지지부(121)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기버튼(200)의 저면에는 제 2지지부(220)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제 1지지부(121) 및 상기 제 2지지부(220) 사이에 배치되는 신호입력장치.
  6.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및
    상기 밀기버튼(20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00);
    를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의 저면에는 제 3지지부(230)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0)의 상면에는 상기 제 3지지부(230)가 인입되는 인입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제 3지지부(230)와 상기 인입홈(122)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신호입력장치.
  7.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및
    상기 밀기버튼(20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00);
    를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바닥면(110) 중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과 이격되는 위치에는 제 4지지부(111)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제 4지지부(111)와 상기 하향측벽(210)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신호입력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지지부(111) 및 상기 탄성부재(600)를 감싸는 커버(700)를 더 포함하는 신호입력장치.
  9.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및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하향측벽(210)의 하단에는 체결돌기(22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 중 상기 체결돌기(220)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체결홀(13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220)가 상기 체결홀(130)에 인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와 상기 밀기버튼(200)이 결합되는 신호입력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220)에는 상기 체결돌기(220)가 상기 체결홀(130)에 인입된 후 상기 밀기버튼(200)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30)이 형성되는 신호입력장치.
  11.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및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 둘레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 둘레에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이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라인(320); 및
    상기 중심라인(320)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1분기라인(330);
    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라인(3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되는 신호입력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기라인(330)에는 스위치(310)가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310)는 상기 돌출부(120)의 상면에 배치되는 신호입력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기라인(330)에는 스위치(310)가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120)의 상면에는 스위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310)는 상기 스위치 안착홈 내에 배치되는 신호입력장치.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10)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스위치(3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누름버튼(500)을 더 포함하는 신호입력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200)에는 제 1관통홀(240)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버튼(500)은 상기 밀기버튼(2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버튼부(510) 및 상기 밀기버튼(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버튼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버튼부(510)는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촉부(511) 및 상기 접촉부(511)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관통홀(240)에 인입되는 제 1체결부(5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버튼부(520)는 상기 스위치(310)와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310)를 동작시키는 가압부(521) 및 상기 가압부(521)의 상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관통홀(240)에 인입되어 상기 제 1체결부(512)와 결합되는 제 2체결부(522)를 포함하는 신호입력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511) 및 상기 가압부(521)의 단면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관통홀(240)의 단면적보다 큰 신호입력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511)의 단면은 중심부의 높이가 측면부의 높이보다 크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신호입력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기라인(330)의 끝단에는 커넥터가 형성되는 신호입력장치.
  19.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및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돌출부(120)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00)를 관통하는 제 2관통홀이 형성되고,
    신호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본체의 회로기판 중 상기 제 2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제 2관통홀에 인입되고, 하향 방향으로 힘을 인가할 경우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는 신호입력장치.
  20.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및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센서부(300)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단자스위치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400)은 도전체인 신호입력장치.
  21.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및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센서부(300)는 터치센서 또는 촉각센서인 신호입력장치.
  22.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및
    상기 밀기버튼(200) 상에 배치되고, 기준치 이상의 하향 외력이 인가될 때 하측에 배치된 스위치(310)를 작동시키는 누름버튼(500);
    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마우스 포인팅이 작동하고,
    상기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유지한 후 해지하면 클릭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한 후 해지하면 추가기능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추가기능 신호가 발생한 후 상기 밀기버튼(200) 및 상기 누름버튼(500)이 작동하게 되면 추가기능이 수행되는 신호입력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기능 신호가 발생한 후 상기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면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신호입력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신호가 발생한 이후 상기 클릭 신호를 발생시키면 드롭 신호가 발생하는 신호입력장치.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기능 신호가 발생한 후 상기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면 스크롤 신호가 발생하는 신호입력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신호가 발생한 이후 상기 클릭 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스크롤 신호의 발생이 해지되는 신호입력장치.
  27.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및
    상기 밀기버튼(200) 상에 배치되고, 기준치 이상의 하향 외력이 인가될 때 하측에 배치된 스위치(310)를 작동시키는 누름버튼(500);
    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면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한 이후 상기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를 해지하면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의 발생이 해지되는 신호입력장치.
  28. 삭제
  29. 바닥면(110) 및 상기 바닥면(110)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20)를 감싸도록 하향측벽(210)이 형성된 밀기버튼(2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2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접점(400); 및
    상기 밀기버튼(200) 상에 배치되고, 기준치 이상의 하향 외력이 인가될 때 하측에 배치된 스위치(310)를 작동시키는 누름버튼(500);
    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접점(400)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면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 유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500)의 누름상태 유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일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가 발생하는 신호입력장치.
  30. 측방향으로 밀면 제 1신호를 발생시키는 밀기버튼(200) 및 상기 밀기버튼(200) 상에 배치되고 기준치 이상의 하향 외력이 인가될 때 상기 제 1신호와 다른 제 2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버튼(500)을 포함하는 제 1버튼부(10); 및
    상기 제 1버튼부(10)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방향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키(21) 및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키(22)를 포함하는 제 2버튼부(20);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구동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면 마우스 포인팅이 작동하고,
    상기 마우스 포인팅이 작동한 후 상기 누름버튼(500) 또는 상기 선택키(22)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경우 추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추가신호 발생 중 또는 발생 이후 상기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면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전자기기 구동장치.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21)를 동작시켜 방향신호를 발생시킨 후 상기 누름버튼(500) 또는 상기 선택키(22)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경우 선택신호가 발생하는 전자기기 구동장치.
KR1020140150883A 2014-11-03 2014-11-03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 KR10165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883A KR101653342B1 (ko) 2014-11-03 2014-11-03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
CN201580059630.9A CN107077228B (zh) 2014-11-03 2015-11-02 信号输入装置及利用其的电子设备驱动装置
PCT/KR2015/011625 WO2016072672A1 (ko) 2014-11-03 2015-11-02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
US15/523,943 US10671184B2 (en) 2014-11-03 2015-11-02 Signal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driving device using same
EP15857486.3A EP3226107A4 (en) 2014-11-03 2015-11-02 Signal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driving devic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883A KR101653342B1 (ko) 2014-11-03 2014-11-03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260A KR20160051260A (ko) 2016-05-11
KR101653342B1 true KR101653342B1 (ko) 2016-09-01

Family

ID=5590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883A KR101653342B1 (ko) 2014-11-03 2014-11-03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71184B2 (ko)
EP (1) EP3226107A4 (ko)
KR (1) KR101653342B1 (ko)
CN (1) CN107077228B (ko)
WO (1) WO2016072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89B1 (ko) * 2018-04-17 2020-11-10 (주)아이티버스 신호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11121145A (zh) * 2020-01-06 2020-05-08 广东司麦安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燃气取暖器工作指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5637A (ja) 1994-10-17 1996-05-07 Sony Corp 自動復帰式スライドスイッチおよびスライド構造
JP2010531040A (ja) * 2007-06-22 2010-09-16 スー キム、ヨン 電子製品用ボタン
KR101032995B1 (ko) * 2009-03-12 2011-05-09 김연수 전자제품용 신호입력장치
KR101022126B1 (ko) * 2009-04-29 2011-03-17 김연수 화면 스크롤 기능을 구비하는 스크롤 마우스
KR101039399B1 (ko) * 2009-07-21 2011-06-08 (주)펜앤프리 신호 발생 장치
KR20130019768A (ko) * 2011-08-17 2013-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다단 스위치
KR20130042325A (ko) * 2011-10-18 201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KR101425949B1 (ko) * 2012-08-24 2014-08-05 (주)아이티버스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71184B2 (en) 2020-06-02
EP3226107A1 (en) 2017-10-04
EP3226107A4 (en) 2018-07-25
CN107077228B (zh) 2020-10-20
WO2016072672A1 (ko) 2016-05-12
KR20160051260A (ko) 2016-05-11
CN107077228A (zh) 2017-08-18
US20170336876A1 (en)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7364B2 (ja) 携帯用端末ケース
US9880648B2 (en) Touch pad input device
US9874941B2 (en) Sliding-type signal input device
US7449650B2 (en) Multi-directional activation button
US8502092B2 (en) Rotary switch mechanism
KR100845822B1 (ko) 손가락 제어 방식의 다방향 스위치
CN108803939B (zh) 触控装置组件以及触控系统
KR20180126923A (ko) 스마트 컨트롤러
KR101211189B1 (ko) 스틱형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스틱형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 및 스틱형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
KR101653342B1 (ko)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
US20090231296A1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JP5048224B2 (ja) リモコン装置
US20060278512A1 (en) Electronic device
JP2003280809A (ja) 電子機器
KR20160011516A (ko)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JP5426697B2 (ja) 電子機器
JP2010044864A (ja) 電源スイッチ及びそれを備えたプリンタ
EP2790200B1 (en) Inpu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JP2008305653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2011077744A (ja) 遠隔操作装置
US20110187575A1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JP2021521583A (ja) 信号入力装置及びこれを含む携帯用端末
JP2015204242A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120138469A (ko) 정보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