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408B1 - 로킹 체어 - Google Patents

로킹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408B1
KR101652408B1 KR1020150014778A KR20150014778A KR101652408B1 KR 101652408 B1 KR101652408 B1 KR 101652408B1 KR 1020150014778 A KR1020150014778 A KR 1020150014778A KR 20150014778 A KR20150014778 A KR 20150014778A KR 101652408 B1 KR101652408 B1 KR 10165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anel
acoustic
output device
reso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889A (ko
Inventor
정복상
진경희
임은진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주)몬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주)몬도미오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4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4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3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9Rocking chairs with curved rocking members resting on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향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거나 힐링에 방해가 되는 수준의 음향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심신의 안정과 평안함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원근감을 갖는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전기장치를 일체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외관이 고전적인 심미감을 주면서도 심신이 편안한 음향 청취를 가능케 하는 로킹 체어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로킹 체어{Rocking chair}
본 발명은 로킹 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원을 요구하지 않으며, 음향 출력장치에서 토출되는 음원이 공진된 후, 사용자에게 간접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게 음원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로킹 체어에 관한 것이다.
로킹 체어(Rocking chair)는 의자 다리에 굴대를 연결하여 의자가 흔들리도록 만든 것으로서, 의자 다리를 굴대로 연결하는 기존의 방식과, 바닥면이 곡률로 형성되는 지지체를 의자 다리로 이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로킹 체어의 흔들림은 심신의 안정이나 수면에 유효하며, 이는 많은 소설이나 영화에서는 벽난로 앞에서 로킹 체어에 앉아 잠에 빠져드는 장면들이 묘사되는데서도 알 수 있다.
현대적인 관점에서 로킹 체어는 정신적, 육체적 힐링에 이용되는 힐링 기구로서 재 조명받고 있는데, 이러한 힐링 기구라는 관점에서 로킹 체어는 신체에 가해지는 흔들림, 즉 물리적으로 가해지는 진동을 주요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신체가 느끼는 편안함은 낮은 주기를 갖는 진동 이외에도 음향을 부가할 때, 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나, 통상의 로킹 체어는 고전적인 진동 이외의 것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등록실용 20-0278711은 등받이 후단에 스피커를 구비하는 공명박스를 배치하고, 나팔관을 통해 공명박스에서 울리는 진동과 소리를 사용자의 신체로 전달하는 음향 체감의자를 제안한 바 있다. 도 1은 등록실용 20-0278711호에 기재된 도면을 나타내며, 공명 박스(2)의 진동이 음도관(4)을 따라 사용자의 신체로 직접 전달되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등록실용 20-0278711의 음향 체감의자는 영화를 감상하거나 입체 음향을 청취할 때, 사용자가 보다 현실감이 강한 음향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피커(3)에서 울리는 진동이 직접 사용자에게 가해지므로 영화나 입체 음향 청취시에는 활용도가 있으나, 로킹 체어를 정신적, 육체적 힐링에 이용하는데는 무리가 따른다. 힐링은 편안함과 정적인 환경이 요구되는 반면, 등록실용 20-0278711에 기재된 음향체감 의자는 동적인 진동을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가하도록 구성되는데 따른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용자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안정감을 갖고 평안한 상태에서 원근감이 느껴지는 공명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힐링 기능을 향상시키는 로킹 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도 원근감을 갖는 부드러운 공명 음향을 청취하면서, 심신을 힐링할 수 있는 로킹 체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등받이 패널을 구비하는 로킹 체어(Rocking chair)에 관한 것으로서, 신체와 비 접촉되는 등받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배면의 면 방향을 따라 공진음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및 몸체의 외주연에서 중심부를 향해 천공되며, 음향 출력장치의 외형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등받이 패널을 구비하는 로킹 체어(Rocking chair)에 관한 것으로서, 신체와 비 접촉되는 등받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며,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패널과 제2패널, 제2패널에 형성되며, 제1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함몰 형성되는 리플렉트면, 제1패널에 형성되며, 리플렉트면에서 반사되는 음향을 토출하는 공진음 토출구, 및 제1패널과 제2패널의 중심부 상측으로 음향 출력장치의 외형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직사각형의 좌대의 면과 경사를 이루며 배열되어 좌대를 착석 가능한 전면영역과 후면 영역으로 구획하는 등받이 패널, 등받이 패널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후면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 공진부를 구비하며, 음향 공진부는, 좌판의 너비 방향을 따라 공진음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몸체의 외주연에서 중심부를 향해 천공되며, 음향 출력장치의 외형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킹 체어는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거나 힐링에 방해가 되는 수준의 음향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심신의 안정과 평안함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근감을 갖는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전기장치를 일체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외관이 고전적인 심미감을 주면서도 현대적인 음향 청취를 가능케 한다. 또한, 별도의 전기장치를 이용하지 않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로킹 체어는 전원 연결에 따른 이용과 이동에 제약받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로킹 체어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체어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로킹 체어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로킹 체어의 음향 공진부의 상세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킹 체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돌출부 구조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2는 도 2와 도 5를 통해 설명된 로킹 체어에 부가되는 음향 공진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음향 출력장치는 음향을 재생 가능한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를 비롯 다양한 장치가 언급될 수 있다. 이들 음향 출력장치는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하고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목재는 원목, 집성목, PB(Particle Board) 및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이들에 대해 하이그로시 처리되거나, 코팅 처리된 것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집성목은 스프라이트 집성목, 삼나무 집성목, 레드파인 집성목, 미송 집성목을 비롯 다양한 종류의 목재를 소재로 하는 집성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상부, 상측부, 상단부는 실시예에 따른 로킹 체어가 지지되는 바닥면 대비 상측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길이방향은 직사각형 구조의 좌대에서 4개의 모서리 사이의 길이 중 길이가 긴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너비 방향은 좌대 면에서 길이 방향 대비 수직한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좌대는 의자 구조물에서 사용자가 앉는데 이용되는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체어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로킹 체어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로킹 체어의 음향 공진부의 상세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로킹 체어(100)는 등받이 패널(110), 음향 공진부(150) 및 지지부(120, 130)로 구성된다.
지지부(120, 130)는 등받이 패널(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등받이 패널(110)을 지지한다. 지지부(120)는 등받이 패널(110)의 테두리와 접촉하는 영역(A1, A2)에 체결되어 상부는 팔걸이(121)가 되고, 하부는 곡률을 갖는 굴대(124)가 되며, 측면은 팔걸이(121)와 굴대(124)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대(122, 123)를 형성한다.
지지부(130) 또한 지지부(120)와 동일한(또는 유사한) 구조와 연결관계를 가지며, 등받이 패널(110)을 중심으로 지지부(120)와 대칭을 이룬다. 굴대(124)는 바닥면 대비 곡률을 가지므로 고정되지 않고 흔들릴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후로 힘을 가할 때, 전후로 흔들리며 움직일 수 있다.
등받이 패널(110)의 상부에는 스마트폰, 테블릿, 웨어러블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기타 음향을 출력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음향 출력장치(10)가 수납될 수 있다. 음향 출력장치(10)의 수납을 위해, 등받이 패널(110)의 배면(S2)에는 음향 공진부(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등받이 패널(110)의 하부는 "ㄴ"자 형태로 절곡되어 좌대(110a)를 형성할 수 있다.
음향 공진부(150)는 등받이 패널(110)에 부착되거나 또는 등받이 패널(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음향 공진부(150)는 등받이 패널(110)의 A1 방향 및 A2 방향으로 연장되며, 종단에는 음향 토출을 위한 공진음 토출구(150a)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음향 출력장치(10)를 거치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음향 공진부(150)는 공진음 토출구(150a)와 등받이 패널(110)의 테두리와 이격되고, 등받이 패널(110)의 배면(S2)의 면 방향을 따라 공진음 토출구(150a)가 형성될 수 있다.
공진음 토출구(150a)의 음향 토출 방향은 등받이 패널(110)의 배면(S2)을 따라 토출되며, 등받이 패널(110)의 테두리와는 D0 길이 만큼의 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공진음 토출구(150a)는 배면(S2)의 면을 따라 음향이 토출되며, 토출된 음향이 등받이 패널(110)의 정면에 착석하는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음향은 공진음 토출구에서 공진된 후, 배면(S2)을 따라 토출되고, 이후, 등받이 패널(110)을 돌아 사용자에게 향하므로, 사용자는 음향을 간접 청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로킹 체어가 정신적 육체적 힐링에 애용된다고 볼 때, 음향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보다는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유익하며, 또한, 심신의 안정을 위해, 음향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사용자에게 강하게 전달되지 않는 편이 좋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음향 공진부(150)는,
1) 공진음 토출구(150a)에서 토출되는 음향이 사용자의 신체를 직접 향하지 않도록 하고,
2) 공진음 토출구(150a)에서 토출되는 음향이 등받이 패널(110)을 돌아 신체로 향하는 간접 전달될 것이 요구되며,
3) 토출되는 음향이 부드럽고 편안한 음질을 가지도록 목재로 형성되는 몸체에서 음향이 공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별도의 전원이나 케이블링 작업이 요구되지 않도록 음향 공진부(150)는,
4) 자체 스피커나 앰프를 내장하지 않고,
5) 음향 출력장치(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등)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공진시켜 그 음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증폭에 해당하는데, 전기적인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음향이 공진되도록 하여 더 크게 들리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기가 요구되지 않고, 따라서, 별도의 케이블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며, 로킹 체어 본래의 형태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만일, 로킹 체어에 전원선과 신호선이 설치되어 있고 배면(S2)에 커다란 공진통, 스피커, 아답터 및 앰프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장착되어 있다면, 로킹 체어의 외관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로킹 체어가 주는 감성을 살리기 어려울 수 있다. 이는 도 1을 통해 종래의 음향 체감의자에 대해서도 설명한 바 있다.
한편, 음향 공진부(150)가 등받이 패널(110)의 배면(S2)에 거치될 때, 배면(S2)의 테두리 내측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음향 공진부(150)에서 토출되는 음향이 좌대(110a)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로킹 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정신적, 육체적인 힐링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은데, 공진음 토출구(150a)에서 토출되는 음향을 직접적으로 청취하기 보다는 간접적으로 청취하는 것이 좋고, 이를 위해, 공진음 토출구(150a)는 등받이 패널(110a)의 내측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공진부(150)는 배면(S2)의 테두리와 "D0" 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음향 공진부(150)에 형성되는 공진음 토출구(150a)에서 음향이 토출되는 방향(S3)은 배면(S2)의 면을 따라 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진음 토출구(150a)에서 토출되는 음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S2)을 돌아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이때의 음향은 목재로 형성되는 음향 공진부(150)에서 공진된 상태이므로 저음이 보강되고 부드러운 음색을 가질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킹 체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로킹 체어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5c는 상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출원인이 사업화를 위해 도안한 것으로서, 등받이 패널(210), 제1지지부(220), 제2지지부(230), 좌대(240)로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 패널(210)에는 제1지지부(220) 및 제2지지부(230)와 끼움 결합을 위한 돌출부(211, 222)가 형성되고, 좌대(240)는 제1지지부(220) 및 제2지지부(230)와 끼움 결합을 위한 돌출부(241, 242, 243 및 2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220)는 돌출부(211), 및 돌출부(241, 242)와 각각 끼움 결합을 위한 끼움 홈(221, 223, 222)이 형성되고, 제2지지부(240)는 돌출부(222) 및 돌출부(243, 244)와 각각 끼움 결합을 위한 끼움 홈(231, 233, 및 232)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1, 222, 241, 242, 243, 244)와 끼움 홈(221, 222, 223, 231, 232, 233) 사이의 끼움 결합은 돌출부의 종단을 한 쌍의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하고, 한 쌍의 화살촉 구조 사이에 공간을 두는 형태일 수 있다. 이는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돌출부(221, 222, 241, 242, 243, 244) 구조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221, 222, 241, 242, 243, 244)는 몸체(T7), 몸체(T7)에서 연장되는 3개의 브랜치(T4, T5, T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브랜치(T4, T5, T6)는 하나의 몸체(T7)에서 연장되고, 브랜치(T4, T6)는 종단이 곡률면을 이루며, 면적이 증대된다.
브랜치(T4, T5, T6) 사이에는 탄성 공간(T8, T9)이 형성되며, 브랜치(T4, T5, T6)가 끼움 홈(U2)에 삽입될 때는 브랜치(T4, T6)가 각각 탄성 공간(T9, T8)으로 휘어지면서 몸체(U1)에 형성되는 끼움 홈(U2)에 삽입되고, 끼움 홈(U2)에 삽입된 이후에는 탄성 공간(T9, T8)로 휘어있던 브랜치(T4, T6)가 원래의 형태로 탄성 복원되어 끼움 홈(U2)에 고정된다. 브랜치(T5)는 브랜치(T4, T6)가 과도하게 휘지 않도록 탄성 한계를 주는데 이용된다. 브랜치(T5)가 브랜치(T4)와 브랜치(T6)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브랜치(T4)는 브랜치(T5)까지 휘어질 수 있으며, 브랜치(T6) 또한, 브랜치(T5)까지 휘어질 수 있다. 도 6의 끼움 구조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도 5에 대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221, 222, 241, 242, 243, 244)와 끼움 홈(221, 222, 223, 231, 232, 233)이 도 6에 도시된 형태로 끼움 결합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킹 체어는 4개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따른 로킹 체어가 4장의 판재로 구성됨을 의미하고, 4개의 판재를 포개어 포장할 경우, 수납성 및 포장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또한, 등받이 패널(210), 제1지지부(220), 제2지지부(230), 좌대(240)를 체결하는데 나사나, 못 또는 별도의 체결 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누구라도 쉽고 편하게 로킹 체어를 조립할 수 있는 바, 기존의 조립식 가구 대비, 조립성도 향상된다.
한편, 상기한 끼움 결합에 의해 로킹 체어가 형성되면, 등받이 패널(210)의 모서리가 좌대(240)의 면을 향해 경사를 이루며 배열된다. 이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등받이 패널(210)이 좌대(240)의 면 방향을 향해 경사를 이루며 배열됨에 따라, 좌대(240)는 전면 영역(S3)과 후면 영역(S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전면 영역(S3)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영역에 해당하고, 후면 영역(S4)은 음향 공진부(250)가 배치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후면 영역(S2)에 배치되는 음향 공진부(250)는 직사각형인 좌대(240)의 너비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음향 토출구(252, 253)가 연장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음향 토출구(252, 253)는 나팔 형상을 갖는 구조물에 대응하며, 몸체(251)에 끼움 결합되고, 몸체(251)에 수납되는 음향 출력장치에서 생성되는 음향을 공진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후면 영역(S4)에 배치되는 음향 공진부(250)는 음향 토출구(252, 253)가 좌대(240)에 착석한 사용자를 직접 향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음향 토출구(252, 253)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좌대(240)의 너비방향을 향해 배치되므로, 좌대(240)에 앉은 사용자에게 음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다. 좌대(240)에 앉은 사용자는 좌대(240)에서 제1지지부(220)와 제2지지부(230)를 향해 토출되는 음향을 간접 청취할 수 있다.
한편, 음향 토출구(252, 253) 중 어느 하나는 저음 위주로 출력하고, 다른 하나는 고음 위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음향 효과를 체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음향 토출구(252)는 목재로 형성하여, 낮은 저음 위주로 음향이 출력되고, 음향 토출구(253)는 나팔관 구조의 내경에 금속 필름을 부착하거나, 또는 금속 판재로 내부연을 표면 처리하여 고음 위주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도 2와 도 5(도 5a, 도 5b 및 도 5c)를 통해 설명된 로킹 체어에 부가되는 음향 공진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2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2 내지 도 5(도 5a, 도 5b 및 도 5c)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은 음향 공진부(150)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음향 공진부(150)는 몸체(151),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153), 공진음 토출구(150a, 15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151)는 목재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153)가 형성되고, 양 측단으로는 공진음 토출구(1540a, 150b)가 형성된다.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153)는 몸체(151) 상측부에 형성되며, 음향 출력장치(1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음향 출력장치(10)의 외형에 따라 내부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만일, 음향 출력장치(10)가 스마트 폰이라면, 스마트 폰의 형상에 따라 얇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몸체(151)를 인그레이빙(Engraving)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음향 출력장치(10)가 태블릿(Tablet)이라면, 그 형상에 맞추어 몸체(151) 상측부를 인그레이빙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판재를 접합하여 방식에 따라 몸체(151)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몸체(151) 내부를 인그레이빙하여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153)를 형성하는 경우, 음향의 울림과 공진이 더욱 우수함은 자명하다. 그러나, 인그레이빙 공정으로 인하여 제품 생산 시간이 대폭 증가하는 경우, 제조의 편의성을 위해, 몸체(151)를 복수의 판재로 접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공진음 토출구(150a, 150b)는 몸체(151) 중심부(P1)로 연결되어 음향 출력장치(10)가 배치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153)로 연결된다. 공진음 토출구(150a,, 150b)는 영역(P1)을 중심으로 몸체(151) 외측을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확대되는 형태를 가지며, 단면도를 볼 때, 나팔관처럼 보일 수 있다. 요지는 공진음 토출구(150a, 150b)는 몸체(151)의 중심부인 영역(P1)에서 몸체(151)의 테두리 영역(P2)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는 구조이며, 이러한 테이퍼 구조에 의해 음향 출력장치(10)에서 생성되는 음향은 D1 방향으로 토출될 때, 공진음 토출구(150a, 150b)에서 음량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에서, 음향 공진부(150)는 절반의 단면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음향 공진부(150)는 도시된 단면에 대한 대칭 단면이 결합되어 온전한 음향 공진부(150)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도 7에 도시된 단면의 형상을 등받이 패널(110)에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도 8은 음향 공진부(150)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부(150)는 몸체(154), 몸체(154)에 결합되는 나팔관(151, 152) 및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154)는 목재로 형성되며, 양 측단에는 끼움 홈(155a, 155b)이 형성되고, 끼움 홈(155a, 155b)은 나팔관(151, 152)의 종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8의 (b)는 도 8의 (a)의 A - A'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나판관(151, 152)은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153)에 연결되고,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153)에서 테이퍼 구조로 확장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8의 음향 공진부(150)에 대해 본 출원인은 시제품을 제조하였으며, 그 형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공진부(150)는 5개의 판재를 접합하여 형성하는 몸체(154)를 중심으로 한 쌍의 나팔관(151, 152)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상측부를 향해 개방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153)에는 음향 출력장치(10)가 삽입되어 있다. 몸체(154)는 판재 결합된 형태로서 인그레이빙 공정에 의해 형성되지 않았으나, 나팔관(151, 152)은 목재를 깍아서 제조한 것으로서, 음향의 울림이 부드럽고, 울림이 큰 장점이 있다.
도 10은 음향 공진부(150)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부(150)는 전면 패널(154a) 및 후면 패널(154b)로 형성되고, 전면 패널(154a)에는 한 쌍의 공진음 토출구(158a, 158b)가 형성되며, 후면 패널(154b)에는 리플렉트면(157)이 형성된다. 리플렉트면(157)은 후면 패널(154b)를 반원형으로 인그레이빙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음향 출력장치(1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반사시켜, 공진음 토출구(158a, 158b)로 되돌리는데 이용된다. 이에 따라,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부(150)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테이퍼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부(150)는 D02 방향과 D03 방향으로 음향을 토출하고, D01 방향으로는 등받이 패널(110)과 접촉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부(150)는 등받이 패널(110)의 배면(S2)에 부착 시, 두께가 얇고, 테이퍼 구조가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심플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공진음 토출구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음색을 달리 함으로써 다양한 음향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는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진음 토출구(158a, 158b)의 다른 구조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공진음 토출구(158a, 158b) 중 하나(158a)는 원목 테두리로 형성되어 음향 출력장치(1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부드럽게 증폭시켜 토출하는 반면, 다른 하나(158b)는 공진음 토출구(158b)의 표면이 금속재질로 처리되어 음향 출력장치(10)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대해 고음으로 처리하여 토출하고 있다. 공진음 토출구(158b)의 표면에는 금속(예컨대 알루미늄, 철, 함석 등)으로 처리될 수 있는데, 금속 테이프로 마감되거나 또는 공진음 토출구(158b)의 내주연 형상에 따른 금속 판재를 끼워넣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진음 토출구(158a)와 공진음 토출구(158b)에서 토출되는 음향의 음색은 서로 상반되며, 저음과 고음이 단일 음향 공진부에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음과 저음의 비(Ratio)를 맞추기 위해, 공진음 토출구(158a)를 공진음 토출구(158b)보다 더 크게 형성하거나 또는 반대로 공진음 토출구(158b)를 공진음 토출구(158a) 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전면 패널(154a)의 측면에 보조 음향 토출구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보조 음향 토출구는 그 크기의 제약상 저음보다는 고음 출력에 적합하며, 전면 패널(154a) 내부를 인그레이빙 하기 보다는 금속관(159)을 이용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10 : 음향 출력장치 110 : 등받이 패널
120, 130 : 지지부

Claims (14)

  1. 등받이 패널을 구비하는 로킹 체어(Rocking chair)에 있어서,
    신체와 비 접촉되는 상기 등받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면의 면 방향을 따라 공진음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서 중심부를 향해 천공되며, 음향 출력장치의 외형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한 쌍의 공진음 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공진음 토출구 중 어느 하나는 표면이 금속 필름으로 마감되어 고음을 표현하고, 다른 하나는 원목으로 처리되어 저음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체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음 토출구는,
    상기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와 이웃한 영역에서 상기 몸체의 외주연을 향해 테이퍼(taper) 구조로 지름이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배면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공진음 토출구가 상기 배면의 테두리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등받이 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는,
    상기 등받이 패널의 상단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음향 출력장치가 상단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체어.
  7. 등받이 패널을 구비하는 로킹 체어(Rocking chair)에 있어서,
    신체와 비 접촉되는 상기 등받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호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패널과 제2패널;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제1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함몰 형성되는 리플렉트면;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리플렉트면에서 반사되는 음향을 토출하는 한 쌍의 공진음 토출구; 및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중심부 상측으로 음향 출력장치의 외형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공진음 토출구 중 어느 하나는 표면이 목재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표면이 금속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체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보조 음향 토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음향 토출구는,
    금속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체어.
  11. 직사각형의 좌대의 면과 경사를 이루며 배열되어 상기 좌대를 착석 가능한 전면영역 및 후면 영역으로 구획하는 등받이 패널;
    상기 등받이 패널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후면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 공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음향 공진부는,
    상기 좌대의 너비 방향을 따라 공진음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서 중심부를 향해 천공되며, 음향 출력장치의 외형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를 포함하 되,
    상기 공진음 토출구는 한 쌍이며,
    상기 한 쌍의 공진음 토출구 중 어느 하나는 표면이 금속 필름으로 마감되어 고음을 표현하고, 다른 하나는 원목으로 처리되어 저음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음 토출구는,
    상기 음향 출력장치 삽입구와 이웃한 영역에서 상기 몸체의 외주연을 향해 테이퍼(taper) 구조로 지름이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체어.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좌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체어.
KR1020150014778A 2015-01-30 2015-01-30 로킹 체어 KR101652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778A KR101652408B1 (ko) 2015-01-30 2015-01-30 로킹 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778A KR101652408B1 (ko) 2015-01-30 2015-01-30 로킹 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889A KR20160093889A (ko) 2016-08-09
KR101652408B1 true KR101652408B1 (ko) 2016-08-30

Family

ID=5671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778A KR101652408B1 (ko) 2015-01-30 2015-01-30 로킹 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4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765B2 (ja) * 1992-03-12 2001-03-12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5765A (ja) * 1989-10-31 1991-06-20 Nippon Seiki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
KR20140131789A (ko) * 2013-05-06 2014-11-14 강성민 휴대폰 단말기용 스피커음량 증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765B2 (ja) * 1992-03-12 2001-03-12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889A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323B1 (en) Multi-directional foldback and front of house speaker enclosure
US3371742A (en) Speaker enclosure
US4778027A (en) Rhythmizer
KR100631800B1 (ko) 컴포지트 사운드 필드를 가진 이어폰 구조
US4348552A (en) Direct/reflecting speaker system and triangular shaped enclosure
US20050226449A1 (en) Massage speaker unit
JP2005278177A (ja) 多重チャネル・イヤホン
CN102845077A (zh) 扬声器
CN102326196A (zh) 声响产生系统、声响收录系统、声响产生方法、声响收录方法、声响调整方法、声响调整程序、声场调整系统、扬声器基座、家具、扬声器箱以及扬声器装置
TWI310661B (en) Earphone
CN107172548A (zh) 一种骨传导发声装置、音乐房以及音频信号的传输方法
KR101652408B1 (ko) 로킹 체어
US20020076062A1 (en) Low frequency speaker system
US3239028A (en) Sound reproduction system
JP4757588B2 (ja) バックロードホーンエンクロージャ
CN107197401A (zh) 一种发声装置和发声座椅
US20070272476A1 (en) Low noise, shock-absorbing speaker cabinet
JP2008167045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JP2005348190A5 (ko)
JP2003163983A (ja) スピーカのエンクロージャ構造体
US9288560B2 (en) Branched acoustic device
JP3221960U (ja) ステレオ再生機能のあるスマートフォン用の電気的増幅機器を内蔵しないセパレート式スピーカー装置
JP3150127U (ja) バックロードホーン式スピーカボックス
US3475066A (en) Speaker cabinet
CN210469655U (zh) 音箱及具有音箱的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