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041B1 -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 Google Patents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041B1
KR101652041B1 KR1020150018730A KR20150018730A KR101652041B1 KR 101652041 B1 KR101652041 B1 KR 101652041B1 KR 1020150018730 A KR1020150018730 A KR 1020150018730A KR 20150018730 A KR20150018730 A KR 20150018730A KR 101652041 B1 KR101652041 B1 KR 101652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diameter
weight
silicon
double
sew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6977A (ko
Inventor
유옥수
Original Assignee
유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옥수 filed Critical 유옥수
Priority to KR102015001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0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6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16L58/0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F16L58/10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 F16L58/1009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the coating being placed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3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two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으로 돌출부와 홈부를 연속해서 성형하는 디씨 이중벽 하수관을 성형하면서 내경에 형성되는 내경관 또는 그 내경을 실리콘으로 코팅함으로써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물의 통수능력을 향상시키고, 내경을 보강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속해서 성형되는 돌출부와 홈부의 내경으로 평활한 내경관이 압출 성형되는 디씨 이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내경관의 내경에 1.5∼4mm의 두께로 코팅하여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는 실리콘 피복부를 형성하되;
상기 실리콘 피복부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Friction coefficient decreases with diameter double-wall reinforcement, DC sewers}
본 발명은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으로 돌출부와 홈부를 연속해서 성형하는 디씨 이중벽 하수관을 성형하면서 내경에 형성되는 내경관 또는 그 내경을 실리콘으로 코팅함으로써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물의 통수능력을 향상시키고, 내경을 보강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은 상수도용과 하수도용 및 오수용 관으로 압출에 의해 성형하여 다양하게 적용되어 유체를 필요한 곳으로 이송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상하수도관은 분할되어 회전하는 몰드에 의해 홈부와 돌출부가 연속해서 형성되면서 내경으로 내경관이 압출되는 디씨 이중벽 하수관이 있다.
상기 디씨 이중벽 하수관은 압출기에서 공급되는 원료가 용융되어 공급되는 과정에서 띠 형태로 이등분되어 회전하는 몰드에 의해 홈부와 돌출부가 연속해서 성형되도록 하고, 상기 홈부와 돌출부의 내경으로 내경관을 압출하여 내경관의 외경으로 홈부가 연결되어 이중벽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씨 이중벽 하수관과 단일구조와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진 이중구조의 하수관 및 내층과 외층의 사이에 중간층이 하나 더 있는 하수관은 내경관이 유체의 흐름을 정상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면서 통수능력을 낮추게 되므로 관의 통수능력을 설계할 때 더 큰 관을 필요로 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 디씨 이중벽 하수관과 다양한 구조의 하수관은 지중에 매설한 후 또는 보수 및 재 설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 CCTV를 사용해 내경을 촬영하여 내경의 마모와 손상 여부를 판독하게 되나, 대부분 내경이 검은색을 띠고 있으므로 CCTV의 촬영시 내경의 미세한 마모 여부와 막힘 여부의 확인이 어려워 검사에 많은 시간과 어려움이 있어서,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하수관의 내면에 노랑색의 합성수지를 소정의 두께로 코팅한 코팅관이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코팅관은 CCTV를 이용한 내경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는 도움이 되었지만, 코팅재료가 합성수지를 이용한 것이므로 마찰계수가 크게 개선되지 못하여 통수능력이 향상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또한 상기의 코팅은 통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내경 촬영의 향상을 위한 목적이므로 양자는 그 목적이 상이한 것이었다.
한편, 실리콘의 기본물질은 석영(QUARTZ), 즉 실리카 또는 산화규소(SiO2 ) 이며 흔히 볼 수 있는 모래의 주성분이며, 로마인들은 이를 얼음의 특별한 형태라고 생각했고, 16세기에 들어 실리카에 소다회를 혼합, 가열하면 물유리가 생성되고 이것을 물에 녹여 산처리하면 고체가 침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24년 스웨덴 화학자가 석영으로부터 규소라는 성분을 추출해 내는데 성공한 이후 이 신소재를 염소 존재에서 가열하여 사염화규소(SiCl4)라는 무색 액체를 생산하는데 성공하였다. 현재의 제조방법도 이와 유사하며 이 사염화규소는 그후 유기실리콘의 기본물질이 되었지만 실리콘 연구의 본격적인 역사는 유기 라티칼이 규소에 붙어있는 물질 즉 규소-탄소-규소 사슬을 합성 하는데 성공했다.
실리콘은 규소-산소-규소의 연결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내열성, 내한성, 내후성, 내약품성, 난연성, 도전성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통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수관에 적용된 예는 없다.
또한, 하수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원료를 많이 소모하여 각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료의 소모량이 많아져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적용이 어려운 결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원료의 소모량을 그대로 하거나 줄이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좋은 방법으로 기대되었으나, 이에 충족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어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458324호(2004. 11. 15. 등록) 문헌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96549호(2002. 11. 18.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716063호(2007. 05. 02. 등록) 문헌 4.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02818호(2003. 01. 17.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돌출부와 홈부가 연속해서 형성되는 내경으로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내경관 또는 내경관의 내경에 합성수지에 실리콘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피복부를 통하여 내면의 불량과 변형 여부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흰색안료)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1.5∼4 mm의 두께가 되도록 흰색으로 압출 코팅하여 실리콘 피복부로 이루어지는 내경관을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내경관에 압출 또는 코팅하는 실리콘 피복부를 통하여 내경 방향의 두께를 향상시켜 디씨 이중벽 하수관의 강도를 더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속해서 성형되는 돌출부와 홈부의 내경으로 평활한 내경관이 압출 성형되는 디씨 이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내경관의 내경에 1.5∼4mm의 두께로 코팅하여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는 실리콘 피복부를 형성하되;
상기 실리콘 피복부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해서 성형되는 돌출부와 홈부의 내경으로 평활한 내경관이 압출 성형되는 디씨 이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내경관을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되;
상기 내경관은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돌출부와 홈부가 연속해서 형성되는 내경으로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내경관 또는 상기 내경관의 내경에 합성수지에 실리콘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피복부를 압출 또는 분사방식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여 물의 공급시에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흰색의 실리콘 피복부를 통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CCTV를 활용한 내경의 불량 여부를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흰색안료)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1.5∼4 mm의 두께가 되도록 흰색으로 압출 코팅하여 내경관 또는 실리콘 피복부를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리콘 피복부를 통하여 내경관의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의 외압 강도를 더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로 인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요부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내경관에 실리콘 피복부를 피복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구가 없는 이중벽 하수관에 대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도 5에 실리콘 피복부를 피복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이중벽 하수관에 대한 성형공정에 대한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이중벽 하수관에 대한 성형공정에 대한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경관에 실리콘 피복부를 피복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돌출부(11, 11a)와 홈부(12, 12a)가 연속해서 통상의 몰드를 통하여 성형되며, 상기 돌출부(11, 11a)와 홈부(12, 12a)의 내경에는 내경관(13)을 압출에 의해 평활하게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11)의 끝 부분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연결공간(22)을 형성하고 선단에 벌림부(21)를 갖는 연결구(20)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디씨 이중벽 하수관(10, 10a)을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20)는 디씨 이중벽 하수관(10, 10a)의 홈부(12)에서 연속해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성형되는 것이며, 연결구(20)에 삽입되는 디씨 이중벽 하수관(10a)에는 홈부(12a)에 패킹(26)이 삽입되어 연결구(20)의 사이에 연결 코팅부(23)를 감아 보강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 코팅부(23)는 얇게 테이프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며, 재질은 외경에 감아 고정할 수 있는 합성수지(PE, PP, PVC), 금속재질(AL 등), 화이바 그라스 등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경관(13) 또는 내경관(13)의 내경에 실리콘 피복부(14)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내경관(13) 또는 실리콘 피복부(14)는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1.5∼5m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구가 없는 이중벽 하수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도 5에 실리콘 피복부를 피복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디씨 이중벽 하수관(10)은 돌출부(11)와 홈부(12)가 연속해서 형성되는 내경으로 내경관(13)을 압출하여 상기 내경관(13)과 홈부(12)가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내경관(13) 또는 내경관(13)의 내경에 압출 또는 코팅으로 성형되는 실리콘 피복부(14)는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1.5∼5m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디씨 이중벽 하수관(10, 10a)의 내경관(13) 또는 내경관(13)의 내경에 실리콘 피복부(14)를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1.5∼5 m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내경관(13) 또는 실리콘 피복부(14)를 1.5 mm 이하로 코팅하게 되면 마찰계수가 줄어들지 않아 통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없으며, 5 mm 이상으로 코팅하게 되면 마찰계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향상되지 않고 원가만 상승하므로 두께는 3 mm가 바람직하다.
상기 내경관(13) 또는 실리콘 피복부(14)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TiO2 0.5∼1 중량%는 흰색과 노랑색의 안료 중 어느 하나를 배합하여 내면에 흰색과 노랑색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압출 또는 스프레이를 통해 코팅하여 성형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중벽 하수관에 대한 성형공정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이중벽 하수관에 대한 성형공정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원료를 공급하여 용융상태로 압출 공급하는 압출기(50)와 연결되며 다수의 몰드가 연결되어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씨 이중벽 하수관(10, 10a)을 성형하는 몰드장치(51)의 일측으로 디씨 이중벽 하수관(10, 10a)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장치(53)와;
상기 절단장치(53)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성형이 완료된 디씨 이중벽 하수관(10, 10a)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54)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몰드장치(51)에는 내경관(13)과 실리콘 피복부(14)가 일체형으로 성형하지 않고, 내경관(13)의 내경으로 실리콘 피복부(14)를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압출기 또는 스프레이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압출기(50)에 공급하는 각종 합성수지 원료(PE, PP, PVC 등)가 용융된 상태로 공급되어 몰드장치(51)의 관 성형몰드에 공급되어 돌출부(11, 11a)와 홈부(12, 12a)가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 원료는 몰드장치(51)에서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 또는 외부에서 빨아들이는 흡입력에 의하여 내부의 형상을 따라서 소정의 두께로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몰드장치(51)가 회전하는 것을 통하여 연속해서 돌출부(11, 11a)와 홈부(12, 12a)가 성형되고, 필요한 경우 선단에 연결구(2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몰드장치(51)를 통하여 디씨 이중벽 하수관(10, 10a)을 성형하게 되고, 돌출부(11, 11a)를 따라서 성형되는 끝 부분에서는 연결구(20)가 연속해서 성형되므로 연결구(20)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11, 11a)와 홈부(12, 12a)의 내경에는 내경관(13)이 성형되므로, 상기 내경관(13)을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경관(13)을 통상적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내경관(13)의 내경으로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하여 실리콘 피복부(14)를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속해서 성형되는 디씨 이중벽 하수관(10, 10a)은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 디씨 이중벽 하수관(10a)의 끝 부분에서 홈부(12, 12a)에 패킹(26)을 결합하여 패킹(26)이 결합된 부분을 연결구(20)의 연결공간(22)에 결합하게 되고, 연결구(20)가 없는 경우에는 디씨 이중벽 하수관(10, 10a)을 서로 맞대기하는 부분에서 별도의 연결구 양쪽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아래의 [표 1]은 1mm 프레스 몰딩에 의해 190℃의 온도로 압출하여 성형한 200g 의 시편 3개를 샘플로 제작하여 관계식 Uk=(A)/W(Uk:마찰계수, A:마찰force, W:시편무게)에 의한 마찰계수를 비교한 결과이다.
샘플의 마찰계수 비교 결과
샘플 MI
g/
10min
Base Resin 마찰계수측정
마찰계수

마찰계수
용융온도
()
결정화온도
()
용융열용

(J/g)
바닥면 윗면 시편무게
(g),W

마찰
A

마찰
A
CB-1 7.3 132 117 194 CB-1-A CB-1-B 200 7.4 4.0 0.37 0.20
폴리에틸렌 사출용 CB-1-C 0.36
CB-2 7.98 132 117 191 CB2-A CB-2-B 5.9 0.30
폴리에틸렌 사출용 CB2-C 5.4 2.0 0.27 0.10
CB-3 0.1 129 115 175 CB3-A CB-3-B 7.8 3.5 0.39 0.18
폴리에틸렌 압출용
CB-1,2 대비 밀도
약간 낮음
CB3-C 5.8 3.0 0.29 0.15
상기의 결과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찰계수가 0.27∼0.39로 매우 낮아서 통수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내경관(13) 및 실리콘 피복부(14)는 돌출부(11)와 홈부(12)의 내경과 내경관(13)의 내경을 더 두껍게 피복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과 윤압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되어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블럭도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 압출단계(S1)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압출기(50)에서 압출하되; 내경관(13)을 이루는 부분이 합성수지 96 중량%, 실리콘 3 중량%, TiO2 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흰색을 갖도록 압출 공급하는 것이다.
나. 돌출부와 홈부 성형단계(S2)
압출기(50)에서 압출되는 합성수지가 몰드장치(51)에서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 또는 외부에서 빨아들이는 흡입력에 의하여 돌출부(11)와 홈부(12)가 연속해서 형성되도록 하고, 내경에는 내경관(13)이 평활한 디씨 이중벽 하수관(10)이 성형되도록 한다.
다. 냉각단계(S3)
몰드장치(51)에서 돌출부(11)와 홈부(12)가 연속해서 성형되는 내경으로 내경관(13)이 평활하게 성형되어 냉각장치(52)에 공급되면 물에 의한 냉각방법으로 냉각하여 성형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공급하는 것이다.
라. 절단단계(S4)
냉각한 디씨 이중벽 하수관(10)을 6m의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한다.
마. 배출단계(S5)
6m의 길이로 절단하여 성형을 완료한 디씨 이중벽 하수관(10)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가. 압출단계(S1)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압출기(50)에서 압출하는 것이다.
나. 돌출부와 홈부 성형단계(S2)
압출기(50)에서 압출되는 합성수지가 몰드장치(51)에서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 또는 외부에서 빨아들이는 흡입력에 의하여 돌출부(11)와 홈부(12)가 연속해서 형성되도록 하고, 내경에는 내경관(13)이 평활한 디씨 이중벽 하수관(10)이 성형되도록 한다.
다. 실리콘 피복부 코팅단계(S6)
디씨 이중벽 하수관(10)의 평활한 내경관(13)의 내경으로 합성수지 96 중량%, 실리콘 3 중량%, TiO2 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흰색을 갖고, 1mm의 두께를 갖도록 실리콘 피복부(14)를 압출 공급하는 것이다.
라. 냉각단계(S3)
몰드장치(51)에서 돌출부(11)와 홈부(12)가 연속해서 성형되고 내경관(13)의 내경에 실리콘 피복부(14)를 평활하게 성형한 디씨 이중벽 하수관(10)을 냉각장치(52)에 공급하면 물에 의한 냉각방법으로 냉각하여 성형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공급하는 것이다.
마. 절단단계(S4)
냉각한 디씨 이중벽 하수관(10)을 6m의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한다.
바. 배출단계(S5)
6m의 길이로 절단하여 성형을 완료한 디씨 이중벽 하수관(10)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마찰계수 감소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은, 내경의 내경관이나 상기 내경관의 내경에 소정의 두께로 합성수지를 코팅한 실리콘 피복부에 의하여 유체의 흐름에 의한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실리콘 피복부를 통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10a : 디씨 이중벽 하수관 11, 11a : 돌출부
12, 12a: 홈부 13, 13a : 내경관
14 : 실리콘 피복부 20 : 연결구
21 : 벌림부 22 : 연결공간
25 : 보강돌기 26 : 패킹
50 : 압출기 51 : 몰드장치
52 : 냉각장치 53 : 절단장치
54 : 배출장치

Claims (3)

  1. 연속해서 성형되는 돌출부(11, 11a)와 홈부(12, 12a)의 내경으로 평활한 내경관(13)이 압출 성형되는 디씨 이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내경관(13)의 내경에 1.5∼4mm의 두께로 코팅하여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는 실리콘 피복부(14)를 형성하되;
    상기 실리콘 피복부(14)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피복부(14)의 TiO2 0.51 중량%는 흰색과 노랑색 중 어느 하나의 안료를 사용하여 색채를 갖도록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3. 연속해서 성형되는 돌출부(11, 11a)와 홈부(12, 12a)의 내경으로 평활한 내경관(13)이 압출 성형되는 디씨 이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내경관(13)을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되;
    상기 내경관(13)은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KR1020150018730A 2015-02-06 2015-02-06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KR101652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730A KR101652041B1 (ko) 2015-02-06 2015-02-06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730A KR101652041B1 (ko) 2015-02-06 2015-02-06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977A KR20160096977A (ko) 2016-08-17
KR101652041B1 true KR101652041B1 (ko) 2016-08-29

Family

ID=5687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730A KR101652041B1 (ko) 2015-02-06 2015-02-06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0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143B1 (ko) 2004-10-08 2007-04-05 국제산업주식회사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937735B1 (ko) 2009-11-02 2010-01-21 원진테크 주식회사 4중 구조의 폴리염화비닐관
JP2012111815A (ja) 2010-11-22 2012-06-14 Sumico Lubricant Co Ltd 乾性潤滑被膜形成用樹脂組成物
US20130105027A1 (en) 2011-10-26 2013-05-02 General Electric Company Articles comprising a hydrate-inhibiting silicone coat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2611A (en) 1991-09-30 1996-01-09 Helmer; John C. Physical vapor deposition employing ion extraction from a plasma
US5848391A (en) 1996-07-11 1998-12-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subband of 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s using variable length windows
KR100458324B1 (ko) 2003-08-21 2004-11-26 주식회사 뉴보텍 일체형 소켓을 갖는 주름 이중벽관의 제조방법
KR100716063B1 (ko) 2006-12-11 2007-05-08 김학건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143B1 (ko) 2004-10-08 2007-04-05 국제산업주식회사 하수관의 내부 촬영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937735B1 (ko) 2009-11-02 2010-01-21 원진테크 주식회사 4중 구조의 폴리염화비닐관
JP2012111815A (ja) 2010-11-22 2012-06-14 Sumico Lubricant Co Ltd 乾性潤滑被膜形成用樹脂組成物
US20130105027A1 (en) 2011-10-26 2013-05-02 General Electric Company Articles comprising a hydrate-inhibiting silicone co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977A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508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마찰계수 감소용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KR101493430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KR101548507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마찰계수 감소용 이중벽 하수관
KR100877201B1 (ko)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0457327B1 (ko) 이중벽 및 복층벽 합성수지 하수관의 제조방법
KR101751279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KR100694802B1 (ko) 원주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킨 사중 복층 하수관
KR101652041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KR101493427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합성수지관
KR101751278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US20090096131A1 (en)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product
KR101117243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504692B1 (ko)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의 제조방법
KR101493431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합성수지관
KR100926540B1 (ko) 내면의 강도 향상형 복층벽 하수관
KR101090286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101508656B1 (ko)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의 제조방법
KR101508655B1 (ko)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
KR101548509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마찰계수 감소용 이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1203143B1 (ko) 다층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101751281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
CN206589313U (zh) 环保型木塑墙板挤出模具
KR101064619B1 (ko) 원료 절약형 결합력 향상과 내경 코팅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143500B1 (ko) 원료 절약형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132239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