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655B1 -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 - Google Patents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655B1
KR101508655B1 KR20140114155A KR20140114155A KR101508655B1 KR 101508655 B1 KR101508655 B1 KR 101508655B1 KR 20140114155 A KR20140114155 A KR 20140114155A KR 20140114155 A KR20140114155 A KR 20140114155A KR 101508655 B1 KR101508655 B1 KR 101508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coated
weight
synthetic resin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옥수
Original Assignee
유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옥수 filed Critical 유옥수
Priority to KR20140114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으로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폴리에틸렌 관의 내면에 실리콘을 코팅함으로써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물의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중공과, 보강대를 형성하는 중공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의 사이에 이음부재을 공급하여 내면과 외면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피복관에 있어서,
상기 내면에 1.5∼4 mm의 두께로 실리콘 피복부를 코팅하여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 실리콘 피복부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과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Inner cladding for the friction coefficient decreases}
본 발명은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으로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폴리에틸렌 관의 내면에 실리콘을 코팅함으로써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물의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은 상수도용과 하수도용 및 오수용 관으로 압출에 의해 성형하여 다양하게 적용되어 유체를 필요한 곳으로 이송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상하수도관은 압출에 의해 소정의 두께를 성형하여 제공하게 되나, 이러한 상하수도관은 지중에 매설된 후 유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마찰계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장점이 있으나, 원료의 소모량이 많아서 하수용으로 적용하는 경우 원가의 상승으로 인하여 적용되지 못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22)형성되는 프로파일(21)을 압출하여 냉각시킨 후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프로파일(21)의 사이에 이음부재(23)를 공급하여 프로파일(21)을 융착시켜 원통형의 하수관으로 성형하게 되는 이중벽 하수관과,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32)이 다수 개 형성되는 보강대(33)로 이루어진 프로파일(31)을 압출하여 냉각시킨 후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프로파일(31)의 사이에 이음부재(36)를 공급하여 프로파일(31)을 융착시켜 원통형의 하수관으로 성형하게 되는 복층벽 하수관을 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벽 하수관과 복층벽 하수관은 내경이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프로파일(21, 31)과 이 프로파일(21, 31)의 사이에 공급하는 이음부재(23, 36)의 연결 부분에 로울러를 사용하여 눌러 고정하는 과정에서 나선형으로 일정한 간격에서 미세하게 요철이 형성되면서 선이 나타나게 되고, 이 선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여 통수능력을 낮추게 되므로 관의 통수능력을 설계할 때 더 큰 관을 필요로 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며, 일정한 간격에서 형성한 선에 의해 모래나 이물질 등이 걸려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원인이 증가하게 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 이중벽 하수관과 복층벽 하수관은 지중에 매설한 후 또는 보수 및 재 설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 CCTV를 사용해 내경을 촬영하여 내경의 마모와 손상 여부를 판독하게 되나, 대부분 내경이 검은색을 띠고 있으므로 CCTV의 촬영시 내경의 미세한 마모 여부와 막힘 여부의 확인이 어려워 검사에 많은 시간과 어려움이 있어서,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이중벽 하수관과 복층벽 하수관의 내면에 노랑색의 합성수지를 소정의 두께로 코팅한 코팅관이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코팅관은 CCTV를 이용한 내경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는 도움이 되었지만, 코팅재료가 합성수지를 이용한 것이므로 마찰계수가 크게 개선되지 못하여 통수능력이 향상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또한 상기의 코팅은 통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내경 촬영의 향상을 위한 목적이므로 양자는 그 목적이 상이한 것이었다.
한편, 실리콘의 기본물질은 석영(QUARTZ), 즉 실리카 또는 산화규소(SiO2 ) 이며 흔히 볼 수 있는 모래의 주성분이며, 로마인들은 이를 얼음의 특별한 형태라고 생각했고, 16세기에 들어 실리카에 소다회를 혼합, 가열하면 물유리가 생성되고 이것을 물에 녹여 산처리하면 고체가 침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24년 스웨덴 화학자가 석영으로부터 규소라는 성분을 추출해 내는데 성공한 이후 이 신소재를 염소 존재에서 가열하여 사염화규소(SiCl4)라는 무색 액체를 생산하는데 성공하였다. 현재의 제조방법도 이와 유사하며 이 사염화규소는 그후 유기실리콘의 기본물질이 되었지만 실리콘 연구의 본격적인 역사는 유기 라티칼이 규소에 붙어있는 물질 즉 규소-탄소-규소 사슬을 합성 하는데 성공했다.
실리콘은 규소-산소-규소의 연결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내열성, 내한성, 내후성, 내약품성, 난연성, 도전성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통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수관에 적용된 예는 없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09156호(2000. 10. 23. 등록) 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2009-0020613호(2009. 02. 26. 공개)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441496호(2004. 07. 14.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0702143호(2007. 03. 26.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압출부 또는 프로파일로 이루어지는 피복관의 내면에 합성수지에 실리콘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피복부를 더 압출 성형하여 내면의 불량과 변형 여부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흰색안료)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1.5∼4 mm의 두께가 되도록 흰색으로 압출 코팅하여 실리콘 피복부를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중공과, 보강대를 형성하는 중공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의 사이에 이음부재을 공급하여 내면과 외면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피복관에 있어서,
상기 내면에 1.5∼4 mm의 두께로 실리콘 피복부를 코팅하여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실리콘 피복부(50)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과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중 실리콘 피복부의 TiO2 0.5∼1 중량%는 흰색과 노랑색 중 어느 하나의 안료를 사용하여 색채를 갖도록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압출부 또는 프로파일로 이루어지는 피복관의 내면에 합성수지에 실리콘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피복부를 압출 또는 분사방식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여 물의 공급시에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흰색의 실리콘 피복부를 통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CCTV를 활용한 내면의 불량 여부를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흰색안료)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1.5∼4 mm의 두께가 되도록 흰색으로 압출 코팅하여 실리콘 피복부를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성형한 내면 피복관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내면 피복관에 대한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내면 피복관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내면 피복관에 대한 주요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성형한 내면 피복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원통형으로 성형하며 내면(12)에 실리콘 피복부(50)를 코팅하고 외면(13)에는 종래와 동일한 형태가 노출되도록 내면 피복관(10, 20, 30)을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 피복부(50)는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1.5∼4 m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면 피복관에 대한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금형에서 원통형이 되도록 압출 성형하는 압출부(11)는 내면(12)과 외면(13)에 의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며, 상기 내면(12)에는 실리콘 피복부(50)를 성형한 내면 피복관(10)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 피복부(50)는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1.5∼4 m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 피복부(50)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내면 피복관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금형에서 내경에 중공(22)을 갖는 사각형의 프로파일(21)을 압출 성형하여 수냉과 공냉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냉각시킨 후 통상의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며, 프로파일(21)의 사이에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이음부재(23)로 공급하여 내면(24)과 외면(25)에 의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되; 상기 내면(24)에는 실리콘 피복부(50)를 성형한 내면 피복관(20)을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 피복부(50)는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1.5∼4 m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 피복부(50)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내면 피복관에 대한 주요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금형에서 내경에 다수 개의 중공(32)을 형성하는 보강대(33)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프로파일(31)을 압출 성형하여 수냉과 공냉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냉각시킨 후 통상의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며, 프로파일(31)의 사이에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이음부재(36)로 공급하여 내면(34)과 외면(35)에 의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되; 상기 내면(34)에는 실리콘 피복부(50)를 성형한 내면 피복관(30)을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 피복부(50)는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1.5∼4 m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 피복부(50)를 1.5 mm 이하로 코팅하게 되면 마찰계수가 줄어들지 않아 통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없으며, 4 mm 이상으로 코팅하게 되면 마찰계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향상되지 않고 원가만 상승하므로 두께는 3 mm가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피복부(50)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TiO2 0.5∼1 중량%는 흰색과 노랑색의 안료 중 어느 하나를 배합하여 내면에 흰색과 노랑색으로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 피복부(50)를 이루는 컴파운드는 압출기에서 110∼150℃에서 용융되어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의 [표 1]은 1mm 프레스 몰딩에 의해 190℃의 온도로 압출하여 성형한 200g 의 시편 3개를 샘플로 제작하여 관계식 Uk=(A×10)/W(Uk:마찰계수, A:마찰force, W:시편무게)에 의한 마찰계수를 비교한 결과이다.
샘플의 마찰계수 비교 결과
샘플 MI
g/
10min
Base Resin 마찰계수측정
마찰계수

마찰계수
용융온도
(℃)
결정화온도
(℃)
용융열용

(J/g)
바닥면 윗면 시편무게
(g),W

마찰
A

마찰
A
CB-1 7.3 132 117 194 CB-1-A CB-1-B 200 7.4 4.0 0.37 0.20
폴리에틸렌 사출용 CB-1-C 0.36
CB-2 7.98 132 117 191 CB2-A CB-2-B 5.9 0.30
폴리에틸렌 사출용 CB2-C 5.4 2.0 0.27 0.10
CB-3 0.1 129 115 175 CB3-A CB-3-B 7.8 3.5 0.39 0.18
폴리에틸렌 압출용
CB-1,2 대비 밀도
약간 낮음
CB3-C 5.8 3.0 0.29 0.15
상기의 결과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찰계수가 0.27∼0.39로 매우 낮아서 통수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5에 도시한 블럭도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 압출부 압출단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금형에서 내면(12)과 외면(13)을 갖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압출부(11)를 원통형으로 압출하는 것이다.
나. 압출부 냉각단계
금형에서 압출하는 압출부(11)는 수냉과 공냉 중 어느 하나의 냉각방법으로 냉각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다. 실리콘 피복부 코팅단계
합성수지 96 중량%, 실리콘 3 중량%, TiO2(흰색안료) 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12)에 흰색으로 압출 방법으로 실리콘 피복부(50)를 3 mm의 두께로 코팅한다.
라. 내면 피복관 성형단계
내면(12)에 실리콘 피복부(50)를 코팅한 내면 피복관(10)은 냉각과정 후 6 m의 길이로 절단하여 완성한다.
가. 프로파일 압출단계(S1)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금형에서 내경에 중공(22)을 갖는 프로파일(21)을 압출하는 것이다.
나. 프로파일 냉각단계(S2)
금형에서 압출하는 프로파일(21)을 수냉과 공냉 중 어느 하나의 냉각방법으로 냉각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다. 이음부재 공급단계(S3)
냉각한 프로파일(21)을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21)의 사이에 용융 합성수지를 이음부재(23)로 공급하여 인접하는 프로파일(21)이 서로 융착 연결되며, 내면(24)과 외면(25)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라. 실리콘 피복부 코팅단계(S4)
합성수지 96 중량%, 실리콘 3 중량%, TiO2(흰색안료) 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24)에 흰색으로 압출 방법으로 실리콘 피복부(50)를 3 mm의 두께로 코팅한다.
마. 내면 피복관 성형단계(S5)
내면(24)에 실리콘 피복부(50)를 코팅한 내면 피복관(20)은 냉각과정 후 6 m의 길이로 절단하여 완성한다.
가. 프로파일 압출단계(S1)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금형에서 내경에 다수개의 중공(32)을 갖는 열십자 형태의 보강대(33)를 형성한 프로파일(31)을 압출하는 것이다.
나. 프로파일 냉각단계(S2)
금형에서 압출하는 프로파일(31)을 수냉과 공냉 중 어느 하나의 냉각방법으로 냉각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다. 이음부재 공급단계(S3)
냉각한 프로파일(31)을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31)의 사이에 용융 합성수지를 이음부재(36)로 공급하여 인접하는 프로파일(31)이 서로 융착 연결되며, 내면(34)과 외면(35)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라. 실리콘 피복부 코팅단계(S4)
합성수지 96 중량%, 실리콘 3 중량%, TiO2(흰색안료) 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34)에 흰색으로 압출 방법으로 실리콘 피복부(50)를 3 mm의 두께로 코팅한다.
마. 내면 피복관 성형단계(S5)
내면(34)에 실리콘 피복부(50)를 코팅한 내면 피복관(30)은 냉각과정 후 6 m의 길이로 절단하여 완성한다.
본 발명의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은, 내면에 소정의 두께로 실리콘이 혼합된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유체의 흐름에 의한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0, 20, 30 : 내면 피복관 11 : 압출부
12, 24, 34 : 내면 13, 25, 35 : 외면
21, 31 : 프로파일 22, 32 : 중공
23, 36 : 이음부재 33 : 보강대
50 : 실리콘 피복부

Claims (3)

  1.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중공(22)과, 보강대(33)를 형성하는 중공(32)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프로파일(21, 31)의 사이에 이음부재(23, 36)을 공급하여 내면과 외면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피복관에 있어서,
    상기 내면에 1.5∼4 mm의 두께로 실리콘 피복부(50)를 코팅하여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피복부(50)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와 미량의 분산제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과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피복부(50)의 TiO2 0.5∼1 중량%는 흰색과 노랑색 중 어느 하나의 안료를 사용하여 색채를 갖도록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
KR20140114155A 2014-08-29 2014-08-29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 KR101508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4155A KR101508655B1 (ko) 2014-08-29 2014-08-29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4155A KR101508655B1 (ko) 2014-08-29 2014-08-29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655B1 true KR101508655B1 (ko) 2015-04-07

Family

ID=5303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4155A KR101508655B1 (ko) 2014-08-29 2014-08-29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6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150A (ko) * 2005-01-26 2006-07-31 푸른나래(주) 내부에 보호층이 형성된 식별표시 이중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150A (ko) * 2005-01-26 2006-07-31 푸른나래(주) 내부에 보호층이 형성된 식별표시 이중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430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KR101548508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마찰계수 감소용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KR101548507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마찰계수 감소용 이중벽 하수관
KR101504692B1 (ko)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의 제조방법
CN106589585A (zh) 高强度聚丙烯(pp‑hm)双壁波纹管及生产工艺
KR101493427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합성수지관
KR101454893B1 (ko) 광케이블 덕트의 제조장치 및 그 덕트
KR101508655B1 (ko)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
KR100661493B1 (ko) 차수막이 구비된 고강도 허니콤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508656B1 (ko) 마찰계수 감소용 내면 피복관의 제조방법
KR101493431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합성수지관
KR100929939B1 (ko) 폴리에틸렌 복층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751279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KR101117243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751278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1652041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디씨 이중벽 하수관
CN104266014A (zh) 一种油田输油伴热管及其加工方法
CN209869454U (zh) 一种聚乙烯钢骨架复合稳态管的生产装置
KR101548509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마찰계수 감소용 이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20040066533A (ko)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및 제작방법
KR101751281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
CN103242581A (zh) 一种高导热耐热聚乙烯地暖管材及制备方法
DE102013112028B4 (de) Extrusionswerkzeug mit einer Heiz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Kunststoffschlauches
KR20120002725A (ko) 다층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다층관
KR101652044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