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766B1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정보를 에디팅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정보를 에디팅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766B1
KR101651766B1 KR1020147027980A KR20147027980A KR101651766B1 KR 101651766 B1 KR101651766 B1 KR 101651766B1 KR 1020147027980 A KR1020147027980 A KR 1020147027980A KR 20147027980 A KR20147027980 A KR 20147027980A KR 101651766 B1 KR101651766 B1 KR 101651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ultimedia information
command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598A (ko
Inventor
첸공 닝
시아오준 후앙
밍종 지
밍휘 왕
수에케 후앙
주 리앙
지하오 젱
휘싱 왕
후아빈 수
광하이 웬
지후아 우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3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에서 정보를 에디팅하는 방법 및 단말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명령 단말이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명령 단말로부터 실행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상기 실행 단말에 의해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명령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단말에 의하여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간 인터랙션을 통하여 정보 에디팅을 달성할 수 있으며, 정보 에디팅 동작의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정보 에디팅의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SNS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로열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정보를 에디팅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METHOD AND TERMINAL FOR EDIT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인터넷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SNS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정보를 에디팅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2년 9월 7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210329911.X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모든 목적을 위하여 여기에서 참조로서 통합된다.
단말 기술(terminal technology)의 개발과 함께, SNS 애플리케이션들은 널리 개발되어 왔다. 최종 사용자들은 정보를 에디팅(예컨대, 웹로그들 및 코멘트들에 대한 기록 등)하기 위하여, 그리고 이렇게 에디팅된 정보를 공개하기 위하여 SNS 애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다른 사용자들과의 상호작용(interaction) 및 공유가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를 에디팅하는 것은 개인 단말들 상에서의 동작들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개인 컴퓨터(PC)로부터의 웹로그를 에디팅하기 위하여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수 있다.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를 에디팅하는 기존의 형식은 텍스트 에디팅 및 이미지 에디팅으로 제한된다. SNS 애플리케이션들이 대중화됨에 따라서, 사용자들은 SNS 애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보다 많은 정보를 공개하고자 한다. 하지만, PC를 통하여 SNS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장문의 단락 및 글을 타이핑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인 일이다. 이는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정보를 용이하게 공개하도록 허용한다는 SNS 애플리케이션들의 주요한 특징과 모순될 수 있다. 정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들을 통해 전달되어야할 필요가 없으며, 음성 또는 모션 픽쳐(motion picture)들과 같은 다른 형식들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형식의 정보는, 타이핑하는 것보다 빠르게 SNS 애플리케이션들로 입력(enter)될 수 있으며 단순히 텍스트를 판독하거나 이미지들을 보는 것보다 다채로운 뷰어 경험(viewer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SNS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공개되는 컨텐츠에 포함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웹로그의 컨텐츠의 일부로서 모바일 폰에 의해 기록된 오디오 파일을 포함시키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모바일 폰의 오디오 레코딩 기능을 사용하여 오디오 정보의 일부를 먼저 레코딩하고, 레코딩된 오디오 정보를 모바일 폰에 저장해야만 한다. 그리고나서, 사용자는 모바일 폰을 PC 단말에 접속시키고 상기 PC 단말의 저장 공간으로 레코딩된 오디오 정보를 저장해야만 한다. 최종적으로, PC 단말은 자신의 저장 공간에서 레코딩된 오디오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오디오 정보를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불러올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에디팅 프로세스는 매우 복잡하여, 편리한 정보 에디팅에 대한 사용자들의 실질적인 니즈를 충족시킬 수도 없다. SNS 애플리케이션들에서 편리한 정보 에디팅을 통해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 로열티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및 단말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SNS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정보를 에디팅하기 위한 방법들 및 단말들을 제공한다. 정보 에디팅은 단말간 상호작용(inter-terminal interaction)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정보 에디팅 동작(operation)들의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키고, 정보 에디팅의 편리성을 증가시키며, 그리고 SNS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 로열티를 강화시킨다.
본 발명의 첫번째 양상에서의 실시예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multimedia information obtaining command)을 실행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실행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양상에서의 실시예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명령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도록 인에이블링(enabling)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양상에서의 실시예는 명령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명령 단말은:
명령 단말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는 명령 모듈;
상기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전송 모듈 ―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 상기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됨 ―;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는 에디팅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번째 양상에서의 실시예는 실행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실행 단말은:
상기 실행 단말과 연관된 명령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 모듈;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명령 단말로 상기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실행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양상에서의 실시예는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서버는: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에 대하여 검색하기 위한, 명령 단말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검색 요청 수신 모듈 ― 상기 검색 요청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account) 정보 및 SNS 애플리케이션의 식별(ID)을 포함함 ―;
상기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모든 단말들을 검색하는 제 1 검색 모듈; 및
서버에 의해 발견된 단말들의 식별(ID)들을 명령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상기 명령 단말로 전송된 단말들의 식별(ID)들에 기초하여 상기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발견된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선택하고 그리고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실행 단말로 전송도록 인에이블링하는 식별 반환 모듈(identification returning module);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양상에서의 실시예는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서버는:
명령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 모듈 ―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SNS 애플리케이션의 식별(ID)을 포함함 ―;
상기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단말들을 검색하는 제 2 검색 모듈;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발견된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선택하는 선택 모듈; 및
상기 실행 모듈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정보를 실행 단말로 하여금 획득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명령 전송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면서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그리고 실행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명령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에디팅 니즈에 따라서 명령 단말이 멀티미디어 정보를 연관된 실행 단말로부터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단말들 사이에서의 편리한 멀티미디어 정보 전달을 허용하며, 이에 따라 정보 에디팅 동작들의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정보 에디팅의 편리성을 증가시키며, 그리고 SNS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로열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순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명령 단말의 배열(arrangement)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명령 모듈의 배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정보 전송 모듈의 배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실행 단말의 배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행 모듈의 배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실행 모듈의 배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서버의 배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서버의 배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서버의 배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후속 기재는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도면들은, 실시예들의 일부를 형성하며 그리고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방식으로 표현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인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SNS 애플리케이션"은 에디팅 동작(operation)들을 실행하는 임의의 SNS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한다. 이러한 SNS 애플리케이션들의 예시들은,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들, SNS 코멘트 애플리케이션들, SNS 메시지 애플리케이션들, SNS 마이크로블로그 애플리케이션들 및 SNS 블로그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코딩(recording) 애플리케이션들의 예시들은, 오디오 레코딩 애플리케이션들, 비디오 레코딩 애플리케이션들, 및 카메라 슈팅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의 예시들은, 오디오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비디오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명령 단말(command terminal)"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multimedia information obtaining command)을 전송하는 단말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명령 단말은 모바일 단말이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명령 단말은 비-모바일(non-mobile) 단말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비-모바일 단말"은, 예를 들어, 데스크탑 PC 또는 스마트 TV와 같이, 단말을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빈번한 이동을 허용하지는 않는 단말을 지칭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실행 단말(execution terminal)"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말을 지칭하며, 상기 언급된 단말들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행 단말은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단말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실행 단말은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가지지는 않지만, 실행 단말의 저장 공간에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행 단말은 모바일 단말이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행 단말은 비-모바일 단말이다. 모바일 단말들의 예시들은, 태블릿 PC(Apple iPad 및 Apple iOS를 실행시키는 다른 터치-스크린 디바이스들, Microsoft Surface 및 Windows OS를 실행시키는 다른 터치-스크린 디바이스들 및 Android OS를 실행시키는 태블릿 디바이스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음), 모바일 폰, 스마트폰(Apple iPhone, Windows Phone 및 Windows Mobile 또는 Pocket PC OS들을 실행시키는 다른 스마트폰들, 및 Android OS, Blackberry OS 또는 Symbian OS를 실행시키는 스마트폰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음), e-reader(Amazon Kindle 및 Barnes&Noble Nook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음), 랩탑 컴퓨터(Apple Mac OS, Windows OS, Android OS 및/또는 Google Chrome OS를 실행시키는 컴퓨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음), 또는 온-비히클(on-vehicle)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텔레비젼 또는 상기 언급된 OS들 또는 임의의 다른 OS들(이들 모두는 당해 출원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함) 중 임의의 OS들을 실행시키는 임의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령 단말은 실행 단말과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연관에 대한 방법들은 당해 출원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명령 단말 및 실행 단말은 동일한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하는 각각의 단말에 의해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실행 단말은 명령 단말에 의해 지정된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상기 계정 정보는 명령 단말이 SNS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계정 정보와는 동일하거나 아니면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flow)의 일례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예시는, 명령 단말과 실행 단말 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통하여 실행되는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이하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S101에서 S104로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01: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면서,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수 있으며 그리고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 단말은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웹로그 에디팅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정보를 에디팅 영역으로 삽입하기를 원하는 경우, 기존의 프로세싱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명령 단말의 저장 공간으로부터, 에디팅될 멀티미디어 정보를 직접적으로 임포팅(import)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사용자는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부터 에디팅될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명령 단말은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S102: 실행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행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시킬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행 단말은 자신의 저장 공간으로부터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3: 실행 단말은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명령 단말로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행 단말은 명령 단말과의 통신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단말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Bluetooth 또는 근거리 통신(NFC)을 통하여 명령 단말과의 통신 접속을 직접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명령 단말로 직접적으로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행 단말은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를 통하여 명령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명령 단말 및 실행 단말 모두는 서버에 접속된다. 단말간 접속 방법들의 예시들은, 당해 출원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며, 인터넷, LAN(유선 또는 무선 또는 둘다), GSM, CDMA, TDMA, EDGE, GPRS, 2G, 3G, LTE, 4G와 같은 모바일 폰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하는 것,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하거나 또는 Blutooth, 적외선 또는 NFC와 같은 단거리 직접 무선 접속들을 통하는 것과 같은 두개의 단말들을 접속시키는 임의의 다른 방법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 단말과 서버 간의 접속은 인터넷, LAN(유선 또는 무선 또는 둘다), GSM, CDMA, TDMA, EDGE, GPRS, 2G, 3G, LTE, 4G 또는 단말을 서버에 접속시키는 임의의 다른 방법과 같은 모바일 폰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방법들 또한 당해 출원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S104: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예시는 명령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이하에서 제시될 바와 같이 S201에서 S203으로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201: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면서,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한다.
S202: 명령 단말은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며, 여기서 멀티미디어 정보는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명령 단말은 실행 단말과의 직접적인 통신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 단말은, LAN, Blutooth 또는 NFC를 통하여 실행 단말과의 통신 접속을 직접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실행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직접적으로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명령 단말은, 서버를 통하여 실행 단말과의 통신 접속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서버에 의해 포워딩되고 명령 단말에 의해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명령 단말 및 실행 단말 모두 서버에 접속된다. 단말간 접속 방법들의 예시들은, 당해 출원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며, 그리고 인터넷, LAN(유선 또는 무선 또는 둘다), GSM, CDMA, TDMA, EDGE, GPRS, 2G, 3G, LTE, 4G와 같은 모바일 폰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하는 것,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하거나 또는 Blutooth, 적외선 또는 NFC와 같은 단거리 직접 무선 접속들을 통하는 것과 같은 두개의 단말들을 접속시키는 임의의 다른 방법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 단말과 서버 간의 접속은, 인터넷, LAN(유선 또는 무선 또는 둘다), GSM, CDMA, TDMA, EDGE, GPRS, 2G, 3G, LTE, 4G 또는 단말을 서버에 접속시키는 임의의 다른 방법과 같은 모바일 폰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방법들 또한 당해 출원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S203: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예시는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이하에서 제시될 바와 같이 S301에서 S303로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301: 실행 단말은 실행 단말과 연관된 명령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수신한다.
S302: 실행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한다.
S303: 실행 단말은 명령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여, 명령 단말로 하여금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insert)하도록 인에이블링한다(enable).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예시는, 명령 단말과 실행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통해 실행되는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방법이다. 이하에서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S401에서 S413까지의 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S401: 명령 단말은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에 대한 검색을 위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면서 검색 요청을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검색 요청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식별(ID)을 포함한다.
S402: 서버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단말들을 검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단말이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할 때, 서버는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하는 단말의 식별(ID), SNS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ID) 및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하기 위해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계정와 관련된 정보를 레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서버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단말들을 상기 레코딩된 컨텐츠로부터 검색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단말들은 SNS 애플리케이션을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들 및 SNS 애플리케이션을 현재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전에 SNS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된 단말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S403: 서버는 상기 서버에 의해 발견된 단말들의 식별(ID)들을 명령 단말로 반환한다.
S404: 명령 단말은, 서버에 의해 반환된 단말들의 식별(ID)들에 기초하여 상기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발견된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선택한다.
S405: 명령 단말은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한다.
S406: 실행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레코딩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실행 단말에서의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행 단말이 현재 SNS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의 수신시, 상기 실행 단말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서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할 수 있으며, 그리고나서 레코딩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시킬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행 단말이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하기 위하여 계정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그리고 현재 SNS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실행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의 수신시 레코딩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곧바로 시작시킬 수 있다.
S407: 실행 단말은 상기 실행 단말에 의해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한다.
S408: 실행 단말은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명령 단말로 전송한다.
단계 S407 및 S408은 레코딩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동시에 레코딩하고 전송하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실행 단말은 현재 레코딩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명령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전송될 멀티미디어 정보의 크기(size)는 사전설정될 수 있어서, 레코딩되는 멀티미디어 정보가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에 도달할때마다, 실행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명령 단말로 전송할 것이다. 동시 레코딩 및 전송은 실행 단말의 캐시에 부과된 임의의 하중들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정보 전송에 대한 데이터의 볼륨(volume)을 줄일 수 있으며, 그리고 정보 전송의 효율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단순히 하나의 예시로서, 실행 단말은 레코딩되는 비디오 정보를 각각 10초의 세그먼트들로 쪼갤 수(break down)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세그먼트를 명령 단말로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어서,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수신된 비디오 정보의 세그먼트들을 캐싱하게끔 인에이블링하고 그리고 레코딩이 완료될 때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캐싱된 세그먼트들을 하나의(one piece) 비디오 정보로 결합하게끔 인에이블링할 수 있다.
S409: 명령 단말은 실행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캐싱한다.
S410: 실행 단말은 레코딩이 완료됨을 검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행 단말은 비디오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동작을 검출할 수 있으며 그리고 레코딩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켰거나 또는 사용자가 레코딩을 종료하는 버튼을 눌렀다는 것을 실행 단말이 검출하는 경우, 상기 실행 단말은 레코딩이 완료되었음을 검출할 수 있다.
S411: 실행 단말은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명령 단말로 전송한다.
S412: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실행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명령 단말은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S413: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생성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한다.
단계 S411-S413에서,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한 이후에, 명령 단말은, 실행 단말이 멀티미디어 레코딩을 완료하였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명령 단말은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에디팅 동작을 완료하기 위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이러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에 기초하여, 에디팅되는 컨텐츠의 완전성(completeness)이 보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정보를 브라우즈(browse)하는데 있어서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S403 단계에서, 서버가 상기 서버에 의해 발견된 단말들의 식별(ID)들을 명령 단말로 반환한 이후에, 상기 명령 단말은 단말들의 식별(ID)들을 로컬하게 저장할 수 있다. 다음번에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그 결과로서, 단계 S401-403은 생략될 수 있으며, 명령 단말은 자신의 로컬 저장 공간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단말들의 식별(ID)들을 판독할 수 있으며 그리고 후속적인 정보 에디팅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러한 단말들 중에서 상기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서,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체적인 예시가 후속된다.
명령 단말이 PC이고, SNS 애플리케이션이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이며, 그리고 실행 단말이 모바일 폰이라고 가정한다. PC 단말 사용자는 Admin의 사용자 네임 및 admin의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였고, 그리고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웹로그에 대한 에디팅을 시작하였다. 사용자가 오디오 정보를 레코딩하기 위하여 모바일 폰의 레코딩 기능을 사용하고자하고 그리고 웹로그의 컨텐츠의 일부분으로서 오디오 정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정보 에디팅 프로세스는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PC 단말은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요청을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검색 요청은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ID)을 포함한다. 서버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된 단말들을 검색하고 그리고 PC 단말로 상기 단말들에 대한 식별(ID)들을 반환하는데, 여기서 단말들의 식별(ID)들은 모바일 폰의 식별(ID)을 포함한다. PC 단말은 PC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상기 모바일 폰을 선택한다.
PC 단말은 모바일 폰으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폰이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을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경우, 모바일 폰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모바일 폰에서의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시켜 레코딩 연산을 실행하고 그리고 상기 PC 단말로 레코딩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할 것이다. 상기 모바일 폰이 현재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되어 있지 않다면, 모바일 폰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먼저 로그인하고 그리고나서 레코딩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모바일 폰에서의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시키고 PC 단말로 레코딩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할 것이다. PC 단말은 모바일 폰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캐싱한다.
모바일 폰이 레코딩이 완료됨을 검출할 때, 모바일 폰은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PC 단말로 전송한다.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모바일 폰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PC 단말은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한다. 상기 PC 단말은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여, 웹로그 에디팅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에디팅된 웹로그는 레코딩된 완료 오디오 정보(complete recorded audio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상기 PC 단말은 에디팅된 웹로그를 저장 또는 공개(publish)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당해 출원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임의의 방법들로 상기 에디팅된 웹로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되는 예시는 명령 단말과 실행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통하여 실행되는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이하에 제시될 바와 같이 단계 S501-S513을 포함할 수 있다.
S501: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SNS 애플리케이션의 식별(ID)을 포함한다.
S502: 서버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단말들을 검색한다.
S503: 서버는 상기 서버에 의해 발견된 단말들 중에서 상기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발견된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선택한다.
S504: 서버는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실행 단말로 전송한다.
S505: 실행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레코딩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실행 단말에서의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한다.
S506: 실행 단말은 상기 실행 단말에 의하여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한다.
S507: 실행 단말은 상기 서버로 상기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한다.
S508: 서버는 상기 실행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캐싱한다.
S509: 실행 단말은 레코딩이 완료되었음을 검출한다.
S510: 실행 단말은 상기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서버로 전송한다.
S511: 상기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실행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서버는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S512: 서버는 상기 생성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명령 단말로 전송한다.
S513: 명령 단말은 상기 명령 단말에 의해 수신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삽입한다.
도 5에서 도시되는 예시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예시 사이에서는 몇가지 차이점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단말들을 발견한 이후에, 서버는 단말들의 식별(ID)들을 명령 단말로 반환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발견된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한다. 이는 정보 인터랙션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킨다. 더불어, 서버는 실행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캐싱하며, 그리고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상기 실행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후에 상기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시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한다. 수신, 캐싱 및 결합(combination) 프로세싱에 대한 이전 프로세스들이 모두 서버 상에서 완료되기 때문에, 이는 명령 단말에 대한 프로세싱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서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체적인 예시가 후속된다.
명령 단말이 PC이고, SNS 애플리케이션이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이며, 그리고 실행 단말이 모바일 폰이라고 가정한다. PC 단말 사용자는 Admin의 사용자 네임 및 admin의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였고, 그리고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웹로그에 대한 에디팅을 시작하였다. 사용자가 오디오 정보를 레코딩하기 위하여 모바일 폰의 레코딩 기능을 사용하고자하고 그리고 웹로그의 컨텐츠의 일부분으로서 오디오 정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정보 에디팅 프로세스는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PC 단말은 서버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SNS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ID)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된 단말들(상기 모바일 폰을 포함함)을 검색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에 의해 발견된 단말들 중에서 상기 PC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상기 모바일 폰을 선택한다.
상기 서버는 모바일 폰으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폰이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을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경우, 모바일 폰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레코딩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폰에서의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것이고, 그리고나서 상기 서버로 상기 레코딩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할 것이다. 상기 모바일 폰이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현재 로그인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모바일 폰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으로 먼저 로그인할 것이고, 그리고나서 레코딩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폰에서의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시킬 것이며, 그리고 상기 서버로 상기 레코딩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할 것이다. 서버는 모바일 폰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캐싱할 것이다.
모바일 폰이 레코딩이 완료되었음을 검출할 때, 상기 모바일 폰은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모바일 폰으로부터 수신한 이후에, 상기 서버는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고 그리고나서 PC 단말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C 단말은 웹로그 에디팅 동작을 완료하기 위하여,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서버로부터의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한다. 상기 에디팅된 웹로그는 레코딩된 완료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PC 단말은 에디팅된 웹로그를 저장 또는 공개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않으면 당해 출원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임의의 방식들로 상기 에디팅된 웹로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에서 도시되는 예시는 명령 단말과 실행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통하여 실행되는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이하에서 제시될 바와 같이 단계 S601 내지 S608을 포함할 수 있다.
S601: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 검색 요청을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검색 요청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ID)을 포함한다.
S602: 서버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된 단말들을 검색한다.
S603: 서버는 상기 서버에 의해 발견된 단말들에 대한 식별(ID)들을 상기 명령 단말로 반환한다.
S604: 서버에 의해 반환된 단말들의 식별(ID)들에 기초하여, 명령 단말은 상기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선택한다.
S605: 명령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실행 단말로 전송한다.
S606: 실행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자신의 저장 공간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한다.
S607: 실행 단말은 상기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명령 단말로 전송한다.
S608: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단계 S604에서, 서버가 상기 서버에 의해 발견된 단말들의 식별(ID)들을 상기 명령 단말로 반환한 이후에, 상기 명령 단말은 단말들의 식별(ID)들을 로컬하게 저장할 수 있다.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프로세스가 그 다음에 실행될 때, 이러한 결과로서, 단계 S601 내지 S603은 생략될 수 있으며, 명령 단말은 자신의 로컬 저장 공간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단말들의 식별(ID)들을 판독할 수 있으며 그리고 후속적인 정보 에디팅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러한 단말들 중에서 상기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서 SNS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에디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체적인 예시가 후속된다.
명령 단말이 PC이고, SNS 애플리케이션이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이며, 그리고 실행 단말이 모바일 폰이라고 가정한다. PC 단말 사용자는 Admin의 사용자 네임 및 admin의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였고, 그리고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웹로그에 대한 에디팅을 시작하였다. 사용자가 웹로그의 컨텐츠의 일부분으로서 모바일 폰에 저장된 오디오 정보의 일부분(a piece)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정보 에디팅 프로세스는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PC 단말은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에 대한 검색을 위한 검색 요청을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검색 요청은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상기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의 식별(ID)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된 단말들을 검색하고 그리고 PC 단말로 상기 단말들의 식별(ID)들을 반환하는데, 여기서 상기 단말들의 식별(ID)들은 모바일 폰의 식별(ID)을 포함한다. PC 단말은 상기 PC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상기 모바일 폰을 선택한다.
PC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모바일 폰으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폰이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을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경우, 모바일 폰은 상기 모바일 폰의 저장 공간에서 상기 모바일 폰에 의해 저장되었던 오디오 정보를 익스포트(export)할 것이고, 그리고 PC 단말로 상기 오디오 정보를 전송할 것이다. 상기 모바일 폰이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현재 로그인되어 있지 않다면,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상기 모바일 폰은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먼저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것이고 그리고나서 상기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폰의 저장 공간에 상기 모바일 폰에 의해 저장되었던 오디오 정보를 익스포트하고 그리고 상기 오디오 정보를 상기 PC 단말로 전송할 것이다. 상기 PC 단말은 웹로그 에디팅 동작을 완료하기 위하여 상기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PC 단말에 의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한다. 상기 에디팅된 웹로그는 완료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PC 단말은 에디팅된 웹로그를 저장 또는 공개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당해 출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임의의 방식들로 상기 에디팅된 웹로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의 플로우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되는 예시는 명령 단말과 실행 단말 간의 인터랙션을 통하여 실행되는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이하에서 제시될 바와 같이 단계 S701 내지 S708을 포함할 수 있다.
S701: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 서버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ID)을 포함할 수 있다.
S702: 서버는 상기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단말들을 검색한다.
S703: 서버는 상기 서버에 의해 발견된 단말들 중에서 상기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발견된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선택한다.
S704: 서버는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실행 단말로 전송한다.
S705: 실행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자신의 저장 공간으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한다.
S706: 실행 단말은 서버로 상기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한다.
S707: 서버는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명령 단말로 포워딩한다.
S708: 명령 단말은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한다.
도 7에서 도시되는 예시와 도 6에서 도시되는 예시 간에는 몇몇의 차이점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된 단말들을 발견한 이후에, 서버는 단말들의 식별(ID)들을 명령 단말로 반환할 필요가 없다.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발견된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한다. 이는 정보 인터랙션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킨다. 게다가, 서버는 실행 단말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워딩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명령 단말 및 실행 단말이 통신 접속을 직접적으로 설정할 수 없을 경우라도 멀티미디어 정보의 일반적인 전송을 가능케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서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체적인 예시가 후속된다.
명령 단말이 PC이고, SNS 애플리케이션이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이며, 그리고 실행 단말이 모바일 폰이라고 가정한다. PC 단말 사용자는 Admin의 사용자 네임 및 admin의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였고, 그리고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웹로그에 대한 에디팅을 시작하였다. 사용자가 웹로그의 컨텐츠의 일부분으로서 모바일 폰에 저장된 오디오 정보의 일부분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정보 에디팅 프로세스는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PC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ID)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된 단말들(상기 모바일 폰을 포함함)을 검색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에 의해 발견된 단말들 중에서 상기 모바일 폰을 상기 PC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선택한다.
서버는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모바일 폰으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폰이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을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경우, 모바일 폰은 상기 모바일 폰의 저장 공간에서 상기 모바일 폰에 의해 저장되었던 오디오 정보를 익스포트(export)할 것이고, 그리고 서버로 상기 오디오 정보를 전송할 것이며; 상기 모바일 폰이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현재 로그인되어 있지 않다면,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상기 모바일 폰은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먼저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것이고 그리고나서 상기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폰의 저장 공간에 상기 모바일 폰에 의해 저장되었던 오디오 정보를 익스포트하고 그리고 상기 오디오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것이다.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PC 단말로 포워딩한다. 상기 PC 단말은 상기 PC 단말에 의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삽입하여 웹로그 에디팅 동작을 완료한다. 상기 에디팅된 웹로그는 완료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다. PC 단말은 상기 에디팅된 웹로그를 저장 또는 공개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않으면 임의의 방식들로 상기 에디팅된 웹로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 실시예들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기재된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며, 그리고 상기 실행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명령 단말로 전송한다. 명령 단말이 에디팅 니즈에 따라서 자신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부터 직접적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들 간의 멀티미디어 정보의 편리한 전송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정보 에디팅의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키고, 정보 에디팅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며, 그리고 SNS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로열티를 강화시킨다.
도 1 내지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에 대한 단계들 일부 또는 모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개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명령 단말의 예시적 배치들을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명령 단말들은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명령 단말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명령 단말은 명령 모듈(101), 정보 전송 모듈(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102) 및 에디팅 모듈(103)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 모듈(101)은 상기 명령 단말이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한다.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어, SNS 웹로그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웹로그를 에디팅하기 위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에디팅 영역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의 프로세싱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명령 단말의 저장 공간으로부터 에디팅될 멀티미디어 정보를 직접적으로 임포트(import)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사용자는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부터 에디팅될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즉, 명령 모듈(101)은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명령 모듈(10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몇몇의 배치들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도 8에서 도시되는 명령 모듈의 배치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명령 모듈(101)은 검색 유닛(1101), 제 1 수신 유닛(1102), 선택 유닛(1103) 및 명령 유닛(1104)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유닛(1101)은 명령 단말이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을 검색하기 위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 검색 요청을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검색 요청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식별(ID)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신 유닛(1102)은 서버에 의해 반환되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단말들의 식별(ID)들을 수신한다.
선택 유닛(1103)은 서버에 의해 반환되는 단말들의 식별(ID)들에 기초하여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선택한다.
명령 유닛(1104)은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명령 모듈(101)은 서버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I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서버로 하여금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되는 단말들 중에서 상기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선택하도록 허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는 상기 서버로 하여금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정보 전송 모듈(102)은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며, 여기서 멀티미디어 정보는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획득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명령 단말은 실행 단말과의 통신 접속을 직접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정보 전송 모듈(102)은 실행 단말로부터 직접적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명령 단말은 서버를 통하여 실행 단말과의 통신 접속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정보 전송 모듈(102)은 상기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서버에 의해 포워딩된 것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전송 모듈(102)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여러가지의 배치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서 도시되는 정보 전송 모듈의 배치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정보 전송 모듈(102)은, 제 2 수신 유닛(1201), 캐싱 유닛(1202) 및 결합 프로세싱 유닛(combination processing unit)(12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수신 유닛(1201)은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데, 여기서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는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시킴으로써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된다.
캐싱 유닛(1202)은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캐싱한다.
결합 프로세싱 유닛(1203)은 실행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한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complete multimedia information)를 생성하기 위하여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정보 전송 모듈(102)은 서버에 의해 생성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는 실행 단말에 의해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서 서버에 의해 생성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정보 전송 모듈(102)은 자신의 저장 공간으로부터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정보 전송 모듈(102)은 자신의 저장 공간으로부터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서버에 의해 포워딩된 것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에디팅 모듈(103)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명령 단말에서의 각각의 기능적인 모듈의 기능들은 앞서기재된 방법들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기능들의 구현은 앞서기재한 예시적인 방법 실시예들에서 상술되었다.
상술된 명령 단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며, 그리고 상기 실행 단말은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명령 단말로 전송한다. 에디팅 니즈(needs)에 따라서 명령 단말은 연관된 실행 단말로부터 직접적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들 간의 편리한 멀티미디어 정보 전송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정보 에디팅 동작의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키고, 정보 에디팅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며, 그리고 SNS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로열티를 향상시킨다.
도 11 내지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실행 단말의 예시적인 배치들을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도시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행 단말들은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에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명령 단말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실행 단말의 배치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실행 단말은 명령 수신 모듈(201) 및 실행 모듈(202)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 수신 모듈(201)은 실행 단말과 연관된 명령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수신한다.
실행 모듈(202)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명령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게끔 인에이블링한다.
실행 모듈(202)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몇몇의 배치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된 실행 모듈의 배치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실행 모듈은, 애플리케이션 스타트업 유닛(2201), 정보 전송 유닛(2202) 및 통지 유닛(2203)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스타트업 유닛(2201)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레코딩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실행 단말에서의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한다.
정보 전송 유닛(2202)은,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명령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상기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 및 캐싱하게끔 인에이블링하거나; 또는 상기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 및 캐싱하게끔 인에이블링한다.
통지 유닛(2203)은, 상기 통지 유닛이 레코딩이 완료되었음을 검출할 때 상기 명령 단말로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전송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에 따라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인에이블링하거나; 또는 상기 통지 유닛이 레코딩이 완료되었음을 검출할 때 서버로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에 따라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게끔 그리고 상기 명령 단말로 이를 전송하게끔 인에이블링한다.
도 13은 도 11에서 도시되는 실행 모듈의 배치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실행 모듈(202)은 획득 유닛(2204) 및 전송 유닛(2205)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 유닛(2204)은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자신의 저장 공간에서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한다.
전송 유닛(2205)은 명령 단말로 상기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서버를 통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상기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워딩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행 단말에서의 각각의 기능적 모듈의 기능들은 이전의 방법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기능들의 구현은 상술된 예시적인 방법 실시예들에서 상술되었다.
상술된 예시적인 실행 단말 실시예들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기재된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고, 그리고 실행 단말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명령 단말로 전송한다. 명령 단말이 에디팅 니즈에 따라서 자신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부터 직접적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들 간의 멀티미디어 정보의 편리한 전송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정보 에디팅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키고, 정보 에디팅의 편리성을 증가시키며, 그리고 SNS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로열티를 향상시킨다.
도 14 내지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서버의 예시적인 배치들을 도시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서 도시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서버들은 상기 구체적으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서버의 배치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상기 서버는 검색 요청 수신 모듈(301), 제 1 검색 모듈(302) 및 식별 반환 모듈(identification returning module)(303)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요청 수신 모듈(301)은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에 대한 검색을 위하여 명령 단말로부터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며, 여기서의 검색 요청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ID)을 포함한다.
제 1 검색 모듈(302)은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모든 단말들을 검색한다.
식별 반환 모듈(303)은 명령 단말로 서버에 의해 발견된 단말들의 식별(ID)들을 전송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명령 단말로 전송된 단말들의 식별(ID)들에 기초하여 상기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발견된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선택하도록 인에이블링하고 그리고 상기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도록 인에이블링한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서버의 배치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상기 서버는, 명령 수신 모듈(401), 제 2 검색 모듈(402), 선택 모듈(403) 및 명령 전송 모듈(404)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 수신 모듈(401)은 명령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수신하며, 여기서의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ID)을 포함한다.
제 2 검색 모듈(402)은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단말들을 검색한다.
선택 모듈(403)은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발견된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선택한다.
명령 전송 모듈(404)은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실행 단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게끔 인에이블링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서버의 배치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상기 서버는, 정보 수신 모듈(501) 및 정보 전송 모듈(502)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모듈(501)은 실행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다. 멀티미디어 정보는 실행 단말에 의해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는 실행 단말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일 수 있다.
정보 전송 모듈(502)은 정보 수신 모듈(501)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서버에 의해 프로세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명령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정보 전송 모듈(502)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도록 인에이블링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정보 전송 모듈(502)은 정보 수신 모듈(501)에 의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한다. 멀티미디어 정보는 실행 단말에서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일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정보 전송 모듈(502)에 의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는 서버에 의한 특정 프로세싱을 통해 송신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서버는 선택적으로 캐싱 모듈(503) 및 결합 모듈(504)을 포함할 수 있다. 캐싱 모듈(503)은 정보 수신 모듈(501)에 의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캐싱한다. 결합 모듈(504)은, 멀티미디어 정보의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실행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통지의 수신시 상기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정보 전송 모듈(502)로부터 명령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정보는 결합 모듈(504)에 의한 결합 프로세싱 이후의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명령 단말이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게되면, 상기 명령 단말은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한 다수의 동작(operation)들을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수행할 수 있다. 명령 단말은 사용자가 에디팅 동작의 실행을 개시한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삽입된 멀티미디어 정보는 에디팅 영역에서 이미 에디팅되고 있는 정보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타이핑을 시작하였고 그리고 삽입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텍스트 파일이다. 이러한 예시에서, 사용자는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텍스트 파일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삽입할 수 있으며, 그리고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입력된 텍스트와 함께 상기 삽입된 정보에 대한 에디팅을 지속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삽입된 멀티미디어 정보는, 사용자가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을 시작한 정보와는 상이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타이핑을 시작하였고, 그리고 상기 삽입된 멀티미디어 정보는 비디오 파일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SNS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종국적으로 공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텍스트 및 비디오 정보의 조합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와는 상이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정보의 조합일 수 있다.
실행 단말로부터 명령 단말로 전송된 멀티미디어 정보는 상이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로지 예시적으로, 실행 단말은 오디오 정보를 이미지 정보와 연관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정보의 일부들을 명령 단말로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정보는 실행 단말의 저장 공간에 이전에 저장된 오디오 정보일 수 있거나 실행 단말에 의해(예를 들어, 모바일 폰의 통합된 마이크로폰과 같은 실행 단말의 음성 레코딩 기능에 의해) 레코딩되는 오디오 정보일 수 있다. 유사하게, 이미지 정보는 실행 단말의 저장 공간에 이전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일 수 있거나 또는 실행 단말에 의해(예를 들어, 모바일 폰의 통합된 카메라와 같은 실행 단말의 이미지 캡쳐링 기능에 의해) 레코딩되는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명령 단말이 정보의 일부분들을 수신하는 경우, 명령 단말은, 정보의 일부분들을 분리시키고 그리고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정보의 오직 하나의 부분만을 삽입하거나 또는 SNS 애플리케이션의 동일한 에디팅 영역에서의 상이한 위치들로 또는 SNS 애플리케이션의 상이한 에디팅 영역들로 상기 정보의 부분들을 삽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전체로서 정보의 일부분들을 삽입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서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체적인 예시가 후속된다.
사용자는 PC 상에서 실행되는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오디오 나레이션과 함께 사진(picture)을 삽입하고자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는 PC로 하여금 모바일 폰과 같은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게끔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PC로 하여금 모바일 폰을 사용하여 오디오 나레이션의 일부분을 레코딩하고 그리고/또는 사진 촬영을 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모바일 폰은 사진 및 오디오 나레이션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PC로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PC는 수신된 사진 및 오디오 나레이션을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삽입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서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 에디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다른 구체적인 예시가 후속된다.
사용자는, 실행 단말로부터 명령 단말로의 비디오 정보에 대한 전송 이전에 실행 단말에 의해 레코딩되는 비디오에 워터마크(watermark) 또는 이미지 오버레이(image overlay)를 추가하고자할 수 있다. 실행 단말은 이미지 오버레이를 추가할 수 있으며 그리고 명령 단말로 이미지 오버레이와 함께 비디오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명령 단말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이미지 오버레이와 함께 비디오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실행 단말은 명령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정보 전송 이전에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오로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멀티미디어 정보가 텍스트 정보인 경우, 실행 단말은 실행 단말의 사용자로 하여금 텍스트 정보를 명령 단말로 전송하기 이전에 텍스트 정보를 에디팅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지털 사진과 같은 이미지 정보인 경우, 실행 단말은, 크로핑(cropping), 샤퍼팅(sharpening), 밝기의 조절, 명암(contrast)의 조절, 칼라(color)로부터 그레이스케일(grayscale) 또는 임의의 다른 칼라 테마 또는 모드로의 변경과 같은 에디팅 동작들, 및 워터마크와 같은 이미지 오버레이 또는 서브타이틀들과 같은 텍스트를 비디오 정보로의 추가와 같은 에디팅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정보의 수신시, 명령 단말은, 자동적으로 또는 단말에 의한 프롬프트(prompt) 상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한 특정 동작(들)을 수행하여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이한 형태로 컨버팅하고 그리고나서 컨버팅된 형태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삽입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정보가 예를 들어, 명령 단말에 의해 인식가능한 오디오 파일의 형태에서의 오디오 정보의 일부분인 경우, 명령 단말은, 자동적으로 또는 명령 단말에 의한 프롬프트(prompt) 상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오디오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오디오 정보에서 임의의 휴먼 보이스(human voice)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은 SNS 애플리케이션 자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음성 인식은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SNS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단말 상에서 인스톨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음성-인식 기능은 SNS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는 단말과는 상이한 단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음성-인식 기능은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방법들은 당해 출원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SNS 애플리케이션 또는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가 휴먼 보이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검출한 이후에, 명령 단말은, 자동적으로 또는 명령 단말에 의한 프롬프트(prompt) 상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STT(speech-to-text) 동작을 수행하여 휴먼 보이스 내에 포함된 임의의 스피치(speech)를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SNS 애플리케이션은 그리고나서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STT 동작은 SNS 애플리케이션 자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STT 동작은 STT 기능을 갖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SNS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TTS(text-to-speech) 기능을 갖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SNS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단말 상에서 인스톨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TTS 기능은 SNS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는 단말과는 상이한 단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TTS 기능은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TTS 변환에 대한 방법들은 당해 기술이 속하는 출원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SNS 애플리케이션 또는 텍스트-인식 기능을 갖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가 임의의 기록된 언어에서의 텍스트를 포함한다고 검출한 이후에, 명령 단말은, 자동적으로 또는 명령 단말에 의한 프롬프트(prompt) 상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이미지 업오에 포함된 임의의 텍스트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기 위하여 광학 문자 인식(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은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OCR 동작은 SNS 애플리케이션 자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OCR 동작은 OCR 기능을 갖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SNS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OCR 기능을 갖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단말 상에서 인스톨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OCR 기능은 SNS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는 단말과는 상이한 단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OCR 기능은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OCR의 방법들은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멀티미디어 정보가 예를 들어, 명령 단말에 의해 인식가능한 텍스트 파일의 형태와 같은 텍스트 정보의 일부분인 경우, 명령 단말은, 자동적으로 또는 명령 단말에 의한 프롬프트(prompt) 상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텍스트 정보에 대한 TTS(text-to-speech) 변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텍스트 정보를 스피치를 포함하는 오디오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TTS 변환은 SNS 애플리케이션 자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TTS 변환은 TTS 변환 기능을 갖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SNS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TTS 변환 기능을 갖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SNS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단말에 인스톨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TTS 변환 기능은 SNS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는 단말과는 상이한 단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TTS 변환 기능은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TTS 변환의 방법들은 당해 출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형태의 상술된 변환들(예컨대, 휴먼 보이스를 포함하는 오디오 정보의 텍스트로의 변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의 텍스트로의 변환, 또는 TTS 변환)은 명령 단말과는 상이한 다른 단말 또는 실행 단말 상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행 단말로부터 명령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정보는, 직접적으로 또는 서버를 통하여, 이전에 변환된 형태로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명령 단말은, 존재한다면 수신된 모든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명령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임의의 결합 프로세싱과 무관하게 상기 수신된 정보를 임의의 추가적인 변환 없이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삽입할 수 있다.
"Mobile Terminals and Methods for Generating Electronic Documents for the Same"의 발명의 명칭을 가지며 이에 대한 컨텐츠들은 모든 목적들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여기에서 참조로써 통합되는 다른 PCT 출원에서 모바일 단말 상에서의 OCR 방법들이 기술되었다. 모바일 단말 상에서의 TTS 변환 방법들은 당해 출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명령 단말은 실행 단말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정보와 관련된 디코딩 역량(decoding capability)을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행 단말로부터 명령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정보는 명령 단말로 전송되기 이전에 실행 단말 상에서 디코딩될 필요가 없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명령 단말은 실행 단말로부터 상기 명령 단말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정보와 관련된 디코딩 역량을 가질 필요가 없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행 단말로부터 명령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정보는 상기 명령 단말로 전송되기 이전에 실행 단말 상에서 디코딩될 수 있다. 명령 단말 또는 실행 단말 상에서의 멀티미디어 정보의 디코딩 방법들은 당해 출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송은 디코딩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증가된 파일 크기로 인하여 디코딩 이전에 동일한 멀티미디어의 전송보다 긴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명백히 인식할 것이다. 나아가, 모바일 단말 상에서의 멀티미디어 파일의 디코딩(특히, 비디오 파일의 디코딩)은 상당한 프로세싱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선호되는 실시예는, 특히 명령 단말로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서는, 명령 단말이 디코딩 역량을 가지며 그리고 실행 단말로부터 명령 단말로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을 전송 하기 이전의 디코딩 없이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당해 출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 1 및 제 2"와 같은 서수(ordinal number)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며, 이러한 서수들은 유사한 네임들을 갖는 상이한 모듈들을 식별하지만, 기능, 또는 순서, 임시적, 공간적 등에서의 임의의 유사성을 암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백하게 인식할 것이다.
당해 출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 전부 또는 일부들이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명령되는 관련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점을 명백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는, 예를 들어, 판독-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마그네틱 디스크 또는 컴팩트 디스크일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완전하게 설명되었지만, 당해 출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다양한 변경 및 수정들이 명백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변경들 및 수정들은 첨부되는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개시된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Claims (25)

  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으로서,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editing area)에서의 에디팅 동작(operation)을 실행하는 단계;
    실행 단말(execution terminal)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실행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단말을 검색하기 위하여 서버로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account) 정보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식별(ID)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단말들을 검색하고 그리고 상기 단말들의 식별(ID)들을 반환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enable) 단계;
    상기 단말들의 식별(ID)들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말들의 식별(ID)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상기 실행 단말로서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선택된 단말은 상기 검색 요청을 전송하는 단말과 상이함 ―; 및
    상기 실행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단말에 의해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실행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캐싱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상기 실행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complete multimedia information)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는(combine)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를 통하여 상기 실행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는 상기 실행 단말로부터 수신된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
  8.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으로서,
    명령 단말(command terminal)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도록 인에이블링하기 위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는:
    실행 단말을 검색하기 위하여 서버로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account) 정보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식별(ID)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단말들을 검색하고 그리고 상기 단말들의 식별(ID)들을 반환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enable) 단계;
    상기 단말들의 식별(ID)들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말들의 식별(ID)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상기 실행 단말로서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선택된 단말은 상기 검색 요청을 전송하는 단말과 상이함 ―; 및
    상기 선택된 단말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명령 단말로부터의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서버에 의해 포워딩된 것처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은,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식별(ID)을 포함하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 레코딩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시키는 단계; 및
    그리하여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 저장 공간(storage space)에 저장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캐싱하도록 인에이블링하기 위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레코딩이 완료됨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상기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고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인에이블링하기 위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상기 명령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로 하여금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캐싱하도록 인에이블링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로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레코딩이 완료됨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고,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명령 단말로 전송하도록 인에이블링하기 위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를 통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NS 애플리케이션 정보 에디팅 방법.
  16. 명령 단말로서,
    상기 명령 단말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는 명령 모듈;
    상기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전송 모듈(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상기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됨 ―;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는 에디팅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 모듈은:
    상기 명령 단말이 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에서의 에디팅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상기 실행 단말에 대한 검색을 위한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검색 유닛 ― 상기 검색을 위한 요청은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식별(ID)을 포함함 ―;
    상기 서버에 의해 반환되는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단말들의 식별(ID)들을 수신하는 제 1 수신 유닛;
    상기 서버에 의해 반환되는 단말들의 식별(ID)들에 기초하여 상기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선택하는 선택 유닛; 및
    상기 실행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는 명령 유닛;
    을 포함하는,
    명령 단말.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모듈은: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유닛 ― 상기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레코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시킴으로써 상기 실행 단말에 의해 획득됨 ―;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캐싱하는 캐싱 유닛; 및
    상기 실행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결합 프로세싱 유닛(combination processing unit);
    을 포함하는,
    명령 단말.
  19. 삭제
  20. 삭제
  21. 실행 단말로서,
    상기 실행 단말과 연관된 명령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 모듈;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명령 단말로 상기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의 에디팅 영역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실행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실행 모듈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 레코딩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실행 단말에서의 레코딩 동작을 시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 스타트업 유닛(application startup unit);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명령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명령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코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캐싱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정보 전송 모듈;
    멀티미디어 정보의 레코딩이 완료됨을 검출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상기 명령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에 따라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인에이블링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레코딩이 완료되었다는 통지에 따라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캐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그리고 상기 생성된 완료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명령 단말로 전송하도록 허용하는 통지 유닛(notification unit);
    을 포함하는,
    실행 단말.
  22. 삭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모듈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상기 실행 단말의 저장 공간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 및
    상기 명령 단말로 상기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직접적으로 또는 서버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송 유닛;
    을 포함하는,
    실행 단말.
  24. 서버로서,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에 대한 검색 요청을 상기 명령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검색 요청 수신 모듈 ― 상기 검색 요청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식별(ID)을 포함함 ―;
    상기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모든 단말들을 검색하는 제 1 검색 모듈; 및
    상기 서버에 의해서 발견된 단말들의 식별(ID)들을 상기 명령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명령 단말로 하여금 상기 명령 단말로 전송된 단말들의 식별(ID)들에 기초하여 상기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발견된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실행 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식별 반환 모듈(identification returning module);
    을 포함하는,
    서버.
  25. 서버로서,
    명령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 모듈 ―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계정 정보 및 SNS 애플리케이션의 식별(ID)을 포함함 ―;
    상기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단말들을 검색하는 제 2 검색 모듈;
    상기 명령 단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발견된 단말을 상기 명령 단말과 연관된 실행 단말로서 선택하는 선택 모듈; 및
    상기 실행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실행 단말로 하여금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획득 명령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명령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서버.

KR1020147027980A 2012-09-07 2013-09-0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정보를 에디팅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KR101651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329911.X 2012-09-07
CN201210329911.XA CN102841792B (zh) 2012-09-07 2012-09-07 Sns应用中的信息编辑方法及装置
PCT/CN2013/083046 WO2014036961A1 (en) 2012-09-07 2013-09-06 Method and terminal for edit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598A KR20140133598A (ko) 2014-11-19
KR101651766B1 true KR101651766B1 (ko) 2016-08-26

Family

ID=4736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980A KR101651766B1 (ko) 2012-09-07 2013-09-0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정보를 에디팅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00700B2 (ko)
EP (1) EP2893438B1 (ko)
JP (1) JP2015513142A (ko)
KR (1) KR101651766B1 (ko)
CN (1) CN102841792B (ko)
RU (1) RU2609759C2 (ko)
WO (1) WO2014036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1792B (zh) * 2012-09-07 2016-02-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Sns应用中的信息编辑方法及装置
WO2015012581A2 (ko) * 2013-07-26 2015-01-29 Ju Hyun Sun 동영상 콘텐츠 제공,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N105306562A (zh) * 2015-10-16 2016-02-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9274634B (zh) * 2017-07-18 2021-06-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多媒体通信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102350936B1 (ko) * 2021-03-05 2022-01-14 주식회사 소비코프로페셔널 클라우드 서버 기반 전관방송 이원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16090A (zh) 2005-01-31 2006-08-09 范小波 基于多媒体消息服务的面相图像处理系统和方法
JP2006331122A (ja) * 2005-05-26 2006-12-07 Nikon Corp 編集装置、および編集プログラム
JP2008078836A (ja) * 2006-09-20 2008-04-03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ブログ検索システム、プログラム
US20120136943A1 (en) 2010-11-25 2012-05-31 Infosys Technologie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 interaction and content sharing across multiple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63184A (zh) 1999-12-22 2002-08-07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从消费电子设备远程传输多媒体内容
JP2001358672A (ja) * 2000-06-13 2001-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出/受信システムおよび放送システム
KR100605528B1 (ko) * 2003-04-07 2006-07-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N100375070C (zh) * 2004-12-31 2008-03-12 联想(北京)有限公司 采用照相手机作为计算机摄像头获取视频数据的方法
US7620902B2 (en) * 2005-04-20 2009-11-17 Microsoft Corporation Collaboration spaces
JP5047592B2 (ja) 2006-11-21 2012-10-10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画像付文章公開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付文章公開方法
US20080168175A1 (en) * 2007-01-04 2008-07-10 Truong Tran Method and system for local search and social networking with content validation
US8676887B2 (en) * 2007-11-30 2014-03-18 Yahoo! Inc. Social news forwarding to generate interest clusters
CN101577877A (zh) * 2008-05-08 2009-11-11 周飞 一种可显示多媒体信息的短信发送系统及其发送方法
WO2010007612A1 (en) * 2008-06-22 2010-01-21 Beanywhere Israel Ltd. Sharing multimedia content
US9646648B2 (en) * 2008-10-23 2017-05-0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short video clips of important events
IL195323A0 (en) 2008-11-16 2011-08-01 Clip In Touch Internat Ltd A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s
US20100153520A1 (en) * 2008-12-16 2010-06-17 Michael Dau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reating, producing, and distributing video templates and video clips
RU90230U1 (ru) * 2009-04-02 2009-1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ВИН" Система видеонаблюдения с общим сервером в сети интернет
KR20110040590A (ko) * 2009-10-14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20120110432A1 (en) * 2010-10-29 2012-05-03 Microsoft Corporation Tool for Automated Online Blog Generation
US8352576B2 (en) * 2010-11-15 2013-01-08 Google Inc. Media file access
RU114185U1 (ru) * 2011-04-27 2012-03-10 Ян Александрович Мамойко Социальная бизнес-сеть
CN102368764B (zh) * 2011-09-10 2016-08-31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通过多点登录进行通信的方法、系统及客户端
KR101328058B1 (ko) * 2011-09-23 2013-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US9179104B2 (en) * 2011-10-13 2015-11-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camera network
CN102841792B (zh) * 2012-09-07 2016-02-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Sns应用中的信息编辑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16090A (zh) 2005-01-31 2006-08-09 范小波 基于多媒体消息服务的面相图像处理系统和方法
JP2006331122A (ja) * 2005-05-26 2006-12-07 Nikon Corp 編集装置、および編集プログラム
JP2008078836A (ja) * 2006-09-20 2008-04-03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ブログ検索システム、プログラム
US20120136943A1 (en) 2010-11-25 2012-05-31 Infosys Technologie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 interaction and content sharing across multiple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3438A1 (en) 2015-07-15
RU2014134715A (ru) 2016-10-27
WO2014036961A1 (en) 2014-03-13
CN102841792B (zh) 2016-02-17
EP2893438A4 (en) 2016-03-16
US20140074933A1 (en) 2014-03-13
EP2893438B1 (en) 2021-05-19
KR20140133598A (ko) 2014-11-19
CN102841792A (zh) 2012-12-26
RU2609759C2 (ru) 2017-02-02
US9300700B2 (en) 2016-03-29
JP2015513142A (ja)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15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s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101651766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정보를 에디팅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US88867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image and document upload
EP2372973A2 (en) Updates with context information
KR20160140665A (ko) 클라이언트 측 개인 음성 웹 내비게이션
KR101942211B1 (ko) 공유된 장치 및 개인용 장치를 이용한 개인맞춤화된 사용자 기능의 협력적 제공
CN115428413A (zh) 一种通知处理方法、电子设备和系统
US20140101452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WO2014134963A1 (en) Input method and device thereof, and auxiliary input method and system thereof
KR20150032152A (ko) 전자 장치 간의 편집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0012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mages
RU25552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контента
CN112261624A (zh) 应用中传输文件的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06558311B (zh) 语音内容提示方法和装置
US201500262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5183638A1 (en) Selectively adding content to user group host
WO201518373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based searching
US20120254330A1 (en) Operation method applicable to electronic device with operation system
KR101659420B1 (ko) 공유 비디오 장치 및 개인용 장치를 이용한 개인맞춤화된 비디오 콘텐츠 소비
US2019027847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296532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ccess to a content
WO2015165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file and user terminal
KR102254975B1 (ko)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JP2009020915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CN105099888A (zh) 发送验证信息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