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590A -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590A
KR20110040590A KR1020090097924A KR20090097924A KR20110040590A KR 20110040590 A KR20110040590 A KR 20110040590A KR 1020090097924 A KR1020090097924 A KR 1020090097924A KR 20090097924 A KR20090097924 A KR 20090097924A KR 20110040590 A KR20110040590 A KR 20110040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de
mobile terminal
multimedia data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0590A/ko
Priority to US12/894,708 priority patent/US20110085046A1/en
Priority to CN2010105120586A priority patent/CN102045441A/zh
Publication of KR2011004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 시 상기 휴대단말이 보유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웹캠 통신 중인 상대방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웹캠모드를 활성화 하는 과정과; 상기 웹캠모드에서 수행할 수행모드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수행모드가 멀티미디어모드일 시 데이터 획득 방식에 따라 멀티미디어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설정된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웹캠, 멀티미디어 데이터, 데이터 처리

Description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웹캠(WebCam)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이 웹캠모드로 동작 시 휴대단말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출시되는 휴대단말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서핑을 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된 단말을 비롯하여, 음악을 즐길 수 있는 MP3P 기능을 탑재한 단말과, 디지털 카메라가 탑재되어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 등이 있다. 또한 최근 휴대단말은 무선 인터넷과, MP3와,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능이 복합되어 출시하여 수요자의 구매력을 촉진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또는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디바이스와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휴대단말과 상기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디바이스 간의 연동에 의한 웹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캠이란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의 웹(Web)과 카메라(Camera)의 줄임말 캠(Cam)을 합성어이다.
일반적으로, 웹캠은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카메라모듈 또는 디지털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등)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연동하여 구동되며, 이러한 웹캠은 디바이스에서 구동되는 메신저(messenger)를 이용한 화상채팅, 화상통화, 또는 웹을 이용한 화상채팅, 화상통화 등의 서비스에서 디바이스의 카메라로서 동작한다. 이와 같이 휴대단말과 디바이스의 연동에 의해 구성되는 웹캠 시스템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웹캠 시스템은 개인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의 디바이스와, 카메라모듈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과,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단말을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data cable)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데이터 포트(예컨대, USB 포트 또는 IEEE1394 포트 등)를 포함하고, 화상채팅 또는 화상통화를 이용할 수 있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단말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USB 케이블 또는 IEEE1394 케이블 등을 포함한다. 상기 휴대단말은 카메라모듈과 상기 데이터 케이블과 접속될 수 있는 데이터 포트(예컨대, USB 포트 또는 IEEE1394 포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종래의 웹캠 시스템은 카메라모듈을 구비하 는 상기 휴대단말의 일 측에 형성되는 데이터 포트와 상기 디바이스의 데이터 포트를 상기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메신저 등의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의해 휴대단말의 카메라모듈을 이용한 화상채팅 또는 화상통화 등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은 음악데이터, 사진데이터, 동영상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단말의 멀티미디어 기능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시스템에서는 화상채팅 또는 화상통화를 수행할 시 상기 휴대단말에 부착된 카메라모듈로 촬영하는 영상만을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즉, 종래에서는 휴대단말의 카메라모듈로 촬영되어 전송되는 화면만을 송수신하여 화상채팅, 화상통화를 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이 보유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공유하거나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웹캠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이 웹캠모드로 동작 시 휴대단말이 보유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모듈을 장착한 휴대단말을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으로 디바이스와 손쉽게 연결하여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을 웹캠으로 이용할 시 상기 휴대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웹캠 통신 중인 상대방에게 제공하여 다양한 방식의 웹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을 웹캠으로 이용하는 웹캠 통신에서 사용자의 휴대단말에 저장된 동영상데이터, 사진데이터, 음악데이터, 방송데이터, 메일데이터, 메뉴데이터 등을 웹캠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는 웹캠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을 웹캠으로 이용하는 웹캠 통신 시 상기 휴대단말의 수행모드 전환을 통해 촬영모드에 의한 촬영데이터 전송과 멀티미디어모드에 의한 멀티미디어데이터 전송을 함께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웹캠모드를 활성화 하는 과정과; 상기 웹캠모드에서 수행할 수행모드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수행모드가 멀티미디어모드일 시 데이터 획득 방식에 따라 멀티미디어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설정된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웹캠모드에서 촬영데이터를 수집하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휴대단말의 멀티미디어데이터 및 상기 웹캠모드에 따른 수행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카메라모듈과의 데이터 경로에 의해 상기 촬영데이터를 디바이스로 전송하거나, 상기 저장부와의 데이터 경로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웹캠모드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웹캠모드 활성화 시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수행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수행모드가 멀티미디어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부와의 데이터 경로 설정을 처리하고 상기 저장부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모듈을 포함하고 웹캠모드 활성화 시 결정되는 수행모드에 따라 카메라모듈로 생성하는 촬영데이터 또는 저장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설정된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휴대단말과;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상기 휴대단말이 전송하는 촬영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대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1디바이스와; 상기 제1디바이스와 인터넷망을 통해 웹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상기 촬영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제2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종래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에서 단순히 서로의 모습을 보고 통신하는 것으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웹캠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의 활용 범위를 넓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 중 상기 휴대단말에서 저장되고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웹 즉,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상대방 디바이스로 제공하여 휴대단말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진데이터, 음악데이터, 방송데이터, 메뉴데이터, 메일데이터, 메시지데이터 등을 웹캠 통신 시에 전송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데 이터를 웹캠 통신 중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단말을 웹캠으로 이용하는 웹캠 통신 서비스의 활용도를 넓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서로 간의 휴대단말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웹캠 통신 중에 간단하게 서로 송수신하고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을 웹캠으로 이용하는 웹캠 통신 시 상기 휴대단말의 수행모드 전환을 통해 촬영모드에 의한 촬영데이터 전송과 멀티미디어모드에 의한 멀티미디어데이터 전송을 함께 지원함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웹캠 통신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을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웹캠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과 상기 휴대단말과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디바이스 간에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웹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과 디바이스 연결에 의하여 화상채팅 및 화상통화 등의 웹캠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웹캠 통신 시 상기 휴대단말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생성하는 촬영데이터와 상기 휴대단말이 저장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웹캠 통신 중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대방 휴대단말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웹캠 통신 중에 휴대단말에 저장된 동영상데이터, 사진데이터, 음악데이터, 방송데이터, 메뉴데이터, 메일데이터, 메시지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서로 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 시 상기 휴대단말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하는 실시간 촬영데이터를 통신하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기능은 물론, 상기 휴대단말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 시 상기 휴대단말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장치 및 그의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디바이스와 멀티미디어데이터 전송을 위한 유선통신방식의 인터페이스 및 무선통신방식의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디바이스는 서로 약속되는 유선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웹(Web) 즉, 인터넷망을 통해 상대방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디바이스 간의 연결은, 개인 통신 네트워크(PAN, Personal Area Network) 등의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무선 연결되거나,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1394(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데이터 커넥터(data connector), 파이어와이어(FireWire), 아이링크(i.Link) 등의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Serial Bus Interface)를 이용하는 유선통신방식에 의해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인 통신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한 명의 사용자 범위 내에서 다양한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기술에 바탕을 둔 본 발명의 무선 연결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디바이스와 서로 간에 약속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에 저장된 다양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휴대단말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웹캠 통신 중인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기능 제공 시 단순히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하는 사용자 촬영데이터만을 제공하는 웹캠에 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다양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기존의 상용 웹캠이 가지고 있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방식의 화상채팅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은 상기 휴대단말, 상기 휴대단말을 웹캠으로 이용하고 웹캠 통신을 위한 메신저(messenger) 등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하여 웹캠 통신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디바이스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설정되는 인터페이스 또는 유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설정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 및 디바이스는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지원을 위한 각각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 상기 휴대단말과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멀티미디어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의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 그의 제어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과 디바이스의 연동에 의한 화상채팅 시 그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100)은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며 디바이스1(200)과 연동하여 웹캠으로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1(200)은 상기 휴대단말(100)을 웹캠으로 이용하고 웹캠 통신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디바이스2(300)와 인터넷망을 통해 웹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의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디바이스1(200)은 서로 간에 약속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2(300)는 상기 휴대단말(100) 또는 주어진 별도의 웹캠을 이용하고 웹캠 통신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디바이스1(200)과 인터넷망을 통해 웹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의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상기 휴대다말(100) 및 디바이스1(200)은 유선통신방식 및 무선통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바탕으로 하는 송수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카메라모듈로 생성되는 촬영데이터 및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1(200)과 설정된 통신방식을 바탕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1(200) 및 디바이스2(300)는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데이터(촬영데이터 및/또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할 수 있고, 해당 특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웹캠 통신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디바이스1(200)은 상기 휴대단말(100)을 웹캠으로 이용하기 위해 웹캠모드로 연결될 수 있다(101단계). 여기서, 상기 웹캠모드는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디바이스1(200)이 설정 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휴대단말(100)이 웹캠으로서 동작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는 유선통신방식에 의한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며, 이에 상기 휴대단말(100) 및 상기 디바이스1(200)은 주어지는 인터페이스 연결을 위한 각각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101단계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웹캠모드 활성화 없이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디바이스1(200) 간의 인터페이스만을 연결하는 절차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웹캠모드 연결 시 상기 휴대단말(100)이 자동으로 웹캠모드를 활성화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디바이스1(200)과 상기 디바이스2(300)는 인터넷망을 통해 화상채팅 또는 화상통화를 위한 웹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103단계). 여기서, 상기 웹캠 통신은 웹을 이용한 화상채팅 또는 화상통화를 위해 상기 디바이스1(200) 및 상기 디바이스2(300) 각각이 메신저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설정된 로그인 및 인증 절차에 따라 상호 간에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디바이스1(200)과 상기 디바이스2(300)가 웹캠 통신이 연결될 시 이를 기준으로 웹캠으로의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105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동작 제어신호 입력, 또는 상기 디바이스1(200)로부터 동작을 명령하는 제어신호 입력 등이 발생할 시 웹캠으로의 동작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웹캠으로 동작을 시작할 시 웹캠모드 를 활성화하고, 상기 웹캠모드에서 설정된 수행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107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웹캠모드 활성화 시 상기 설정된 수행모드가 촬영모드인지 또는 멀티미디어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모드는 카메라모듈에 의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멀티미디어모드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저장하는 음악데이터, 사진데이터, 동영상데이터, 방송데이터, 메뉴데이터, 메일데이터, 메시지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107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수행모드가 촬영모드로 설정된 경우 카메라모듈을 통해 특정 피사체(예컨대, 사용자 영상)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하는 촬영데이터 즉, 사용자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1(200)로 전송한다(109단계). 그러면 상기 디바이스1(200)은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촬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촬영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2(300)로 전송한다(111단계).
한편 상기 도 1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디바이스1(200)은 상기 디바이스2(300)가 전송하는 촬영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1(200)의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1(200) 및 상기 디바이스2(300)는 웹캠 통신에 따른 음성데이터 및/또는 문자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1(200) 및 디바이스2(300) 간의 웹캠 통신에 따른 촬영데이터, 문자데이터 및 음성데이터 등의 송수신 관계 및 표시 방법은 당업자에게 주지관용의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촬영모드에 의한 웹캠 기능 수행 중에 모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113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107단계에서 수행 중인 촬영모드에서 멀티미디어모드로 변경하는 수행모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변경은 상기 휴대단말(100)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100) 조작(예컨대, 카메라모듈 오프(off), 또는 모드 변경을 위해 할당된 기능키의 조작 등)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디바이스1(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드 변경을 위한 옵션(option) 설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113단계에서 촬영모드에서 멀티미디어모드로의 변경을 인지하거나, 또는 상기 107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수행 모드가 멀티미디어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한 촬영데이터 생성을 종료하고, 상기 휴대단말(100) 내의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1(200)로 전송한다(115단계).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데이터이거나, 상기 휴대단말(100)이 랜덤(random)하게 선택하는 데이터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멀티미디어데이터 선택 절차에 따라 선택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1(200)은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2(300)로 전송한다(117단계).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촬영모드에서 상기 멀티미디어모드로의 변경 시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의 구동을 중지 즉, 상기 카메라모듈을 오프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멀티미디어모드에 의한 웹캠 기능 수 행 중에 모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119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113단계에서 모드 변경에 의해 수행 중인 멀티미디어모드에서 촬영모드로 변경하는 수행모드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변경은 상기 휴대단말(100)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100) 조작(예컨대, 카메라모듈 온(On), 또는 모드 변경을 위해 할당된 기능키의 조작 등)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디바이스1(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드 변경을 위한 옵션 설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멀티미디어모드에서 촬영모드로의 변경을 인지할 시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한 촬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하는 상기 촬영데이터 즉, 사용자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1(200)로 전송한다(121단계). 그러면 상기 디바이스1(200)은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촬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촬영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2(300)로 전송한다(123단계).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멀티미디어모드에서 상기 촬영모드로의 변경 시 카메라모듈 오프 상태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을 구동 즉, 상기 카메라모듈을 온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을 웹캠으로 이용하는 웹캠 통신 중에 상기 휴대단말의 카메라모듈로 생성하는 촬영데이터를 비롯하여 상기 휴대단말이 보유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는 동영상데이터, 사진데이터, 방송데이터, 음악데이터, 메뉴데이터, 메일데이터, 메시지데이터 등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저장, 생성, 재생 및 실행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러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한 절차에 따라 상대방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100)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보유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웹캠 통신 중에 상대방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멀티미디어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이 웹캠모드로 동작 시 그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단말(100)은 웹캠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201단계). 상기 웹캠모드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특정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웹캠으로 동작할 시 활성화되거나, 상기 휴대단말(100)이 연결되는 특정 디바이스가 웹캠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시 상기 디바이스와 동기화 절차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디바이스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옵션을 설정하는 사용자 제어 명령에 의해 활성화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100)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웹캠모드 활성화 시 설정된 수행모드를 식별한다(203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웹캠모드 활성화 시 상기 설정된 수행모드가 촬영모드인지 또는 멀티미디어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한다(205단계). 상기 촬영모드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카메라모듈에 의해 생성하는 촬영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멀티미디어모드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저장하는 동영상데이터, 사진데이터, 음악데이터, 방송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205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수행모드가 상기 촬영모드인 경우(205단계의 YES)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구동할 수 있다(211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구동하는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데이터를 수집하고(213단계), 상기 수집하는 촬영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와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한다(215단계).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촬영모드에 의한 웹캠 기능 수행 중에 모드 변경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217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촬영모드에 의한 웹캠 기능 수행 중에 상기 촬영모드를 멀티미디어모드로 변경하는 수행모드 변경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모드 변경은 상기 휴대단말(100)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100) 조작에 의한 변경이거나, 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드 변경을 위한 옵션 설정으로 전달되는 명령에 의한 변경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217단계의 체크결과 모드 변경이 감지되지 않으면(217단계의 NO) 상기 휴대단말(100)은 전술한 213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모드에 의한 촬영데이터 전송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217단계의 체크결과 모드 변경 이 감지되면(217단계의 YES) 상기 휴대단말(100)은 모드 변환을 수행한다(219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수행모드를 촬영모드에서 멀티미디어모드로 변경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오프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멀티미디어모드로 전환 시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을 오프하거나 또는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모드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의 구동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해 수집하는 촬영데이터의 상기 디바이스로의 전송은 생략된다. 상기 촬영데이터 전송의 생략은 상기 카메라모듈과 상기 휴대단말(100)의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진 데이터 경로를 상기 휴대단말(100)의 저장수단과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진 데이터 경로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멀티미디어모드로 수행모드를 변경한 후 멀티미디어데이터를 획득한다(221단계).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 획득은 상기 휴대단말(100) 내의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임의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랜덤하게 추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멀티미디어데이터 선택 절차에 따라 선택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획득하는 절차일 수 있다. 이는 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획득된 멀티미디어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223단계), 상기 데이터 처리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한다(225단계).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 처리는 상기 획득된 멀티미디어데이 터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data format)으로 변환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 전송 시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재생하고, 상기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다시 코딩(coding)하여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생은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실제 표시는 생략하고 내부적으로만 처리하는 재생이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표시수단에 해당 멀티미디어데이터의 표시를 처리하는 재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버퍼링(buffering)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버퍼링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규격으로 코딩(coding)하여 전송 데이터(예컨대, YUV 데이터)로 생성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전송 데이터를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웹캠 통신 중인 상대 디바이스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인터넷망 규약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인터넷망을 통해 웹캠 통신 중인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205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수행모드가 상기 멀티미디어모드인 경우(205단계의 NO) 상기 휴대단말(100)은 설정 방식에 대응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획득한다(231단계).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 획득은 상기 휴대단말(100) 내의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임의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랜덤하게 추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멀티미디어데이터 선택 절차에 따라 선택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획득하는 절차일 수 있다. 이는 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획득된 멀티미디어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233단계), 상기 데이터 처리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한다(235단계).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 처리는 상기 획득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웹캠 기능 수행 중 멀티미디어모드에 의한 멀티미디어데이터 전송 시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고, 상기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다시 코딩하여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생은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실제 표시는 생략하고 내부적으로만 처리하는 재생이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표시수단에 해당 멀티미디어데이터의 표시를 처리하는 재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버퍼링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규격으로 코딩하여 전송 데이터로 생성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 말(100)은 상기 전송 데이터를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웹캠 통신 중인 상대 디바이스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인터넷망 규약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인터넷망을 통해 웹캠 통신 중인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멀티미디어모드에 의한 웹캠 기능 수행 중에 모드 변경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237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멀티미디어모드에 의한 웹캠 기능 수행 중에 상기 멀티미디어모드를 촬영모드로 변경하는 수행모드 변경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모드 변경은 상기 휴대단말(100)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100) 조작에 의한 변경이거나, 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드 변경을 위한 옵션 설정으로 전달되는 명령에 의한 변경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237단계의 체크결과 모드 변경이 감지되지 않으면(237단계의 NO) 상기 휴대단말(100)은 전술한 231단계로 진행하여 멀티미디어모드에 의한 멀티미디어데이터 전송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237단계의 체크결과 모드 변경이 감지되면(237단계의 YES) 상기 휴대단말(100)은 모드 변환을 수행한다(239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수행모드를 상기 멀티미디어모드에서 촬영모드로 변경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에 대 한 획득 및 처리 동작을 종료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을 온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멀티미디어모드로 웹캠 기능 수행 시 카메라모듈을 오프 상태로 시작할 수 있으며, 또는 이전의 촬영모드에서 멀티미디어모드로 전환 시 카메라모듈을 오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239단계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을 온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데이터를 수집하고(241단계), 상기 수집된 촬영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와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한다(243단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이 웹캠모드로 동작 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단말(100)은 웹캠모드 활성화 시 설정된 수행모드가 멀티미디어모드이면(301단계), 상기 멀티미디어모드에서 설정된 멀티미디어데이터 획득 방법을 체크할 수 있다(303단계).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지정방식, 랜덤방식 및 선택방식 중 미리 설정되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지정방식은 멀티미디어모드에서 디바이스로 전송할 멀티미디어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상기 랜덤방식은 멀티미디어모드에서 디바이스로 전송할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랜덤하게 자동으로 선택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상기 선택방식은 멀티미디어모드에서 디바이스로 전송할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는 방식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멀티미디어모드에 의한 웹캠 기능이 수 행되면 멀티미디어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이 지정방식, 랜덤방식 및 선택방식 중 어떠한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303단계의 체크결과 지정방식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지정방식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특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한다(311단계).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지정방식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데이터의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하는 경로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가 상기 휴대단말(100)의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경로정보 및 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추출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후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한다(313단계).
다음으로, 상기 303단계의 체크결과 랜덤방식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랜덤방식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100)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다양한 멀티미디어데이터들 중 임의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랜덤하게 추출한다(321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추출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후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한다(313단계).
다음으로, 상기 303단계의 체크결과 선택방식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선택방식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100)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모드를 실행한다(331단계). 상기 선택모드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희망하는 특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데이터리스트를 제공하는 모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리스트에서 희망하는 멀티 미디어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333단계).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선택모드에서 특정 멀티미디어데이터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상기 선택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후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한다(313단계).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1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의 구성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은 입력부(410)와, 표시부(420)와, 오디오처리부(430)와, 저장부(440)와, 인터페이스부(450)와, 카메라모듈(460) 및 제어부(47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30)는 스피커(SPK, Speaker) 및 마이크(MIC, Microphone) 등의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70)는 데이터 변환부(48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단말(100)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41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단말(100)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47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41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 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1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및 쿼티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10)는 상기 휴대단말(100)을 웹캠으로 이용 시 수행모드를 결정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47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2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42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웹캠모드 수행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42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420)로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42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420)는 입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20)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웹캠으로 동작 시 오프 상태에 있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웹캠모드 활성화에 따른 웹캠 동작 화면, 멀티미디어모드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재생정보, 리스트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3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사용자의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30)는 상기 마이크(MIC) 및 상기 스피커(SPK) 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47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47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43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470)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어부(47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43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성분(예컨대, 웹캠 통신 서비스 이용에 따른 오디오신호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30)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웹캠으로 동작 시 상기 마이크(MIC)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47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430)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웹캠으로 동작 시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신호가 상기 제어부(470)의 제어 하에 전달되면 상기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오디오처리부(430), 마이크(MIC), 스피커(SPK)에 의하여 웹캠 통신에서 마이크 및 스피커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은 촬영데이터 수집을 위한 웹캠, 음성입력 및 음성출력 위한 입출력 디바이스와 같이 웹캠 통신에 필요한 다수개의 구성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휴대단말(100)로 대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저장부(44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4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생성 및 활용되 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예컨대, 사진데이터, 동영상데이터, 방송데이터, 음악데이터, 메일데이터, 메뉴데이터, 메시지데이터 등), 상기 휴대단말(100)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상대방 휴대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100)의 지원 기능들 중 설정된 해당 기능/메뉴의 바로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44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한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100)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예컨대, 수행모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44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44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450)의 운용에 따라 송수신되는 데이터(멀티미디어데이터 등)에 대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44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카메라모듈(460)의 운용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촬영데이터 등)에 대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44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44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저장부(440)는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440)는 롬,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또는 두 개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는 특정 디바이스와 설정된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는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상대방 촬영데이터, 음성데이터 등)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470)로 전달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는 상기 제어부(470)의 제어 하에 전달되는 데이터(촬영데이터, 멀티미디어데이터, 음성데이터 등)를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설계에 따라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인터페이스부들은 서로 다른 방식의 유선통신방식 및/또는 무선통신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블루투스 통신모듈, 적외선 통신모듈, UWB(Ultra Wideband) 통신모듈, 지그비(ZigBee) 통신모듈 등의 무선통신방식을 지원하는 송수신모듈과, 데이터 커넥터, USB 포트, 파이어와이어, 아이링크 등의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와 같은 유선통신방식을 지원하는 송수신모듈 중 상기 휴대단말(100)의 설계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460)은 상기 제어부(47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하는 촬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420) 및/또는 상기 제어부(470)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모듈(460)은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빛(광)을 센서(Sensor)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모듈(460)은 입 력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센서(미도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휴대단말(100)이 웹캠으로 동작 시 상기 카메라모듈(460)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데이터는 상기 제어부(460)의 제어 하에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100)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입력부(410)와, 상기 표시부(42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430)와, 상기 저장부(44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450) 및 상기 카메라모듈(46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웹캠으로 동작 시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웹캠으로 동작 시 웹캠모드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웹캠모드 활성화 시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수행모드를 설정 방식에 따라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수행모드가 촬영모드인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460)의 제어를 통해 촬영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촬영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일련의 송신 처리를 제어한다. 상기 제 어부(470)는 상기 수행모드가 멀티미디어모드인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460)의 오프 및/또는 상기 카메라모듈(460)과 연결되는 데이터 경로를 상기 저장부(440)로 연결하고 상기 저장부(440)에서 획득된 특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일련의 송신 처리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촬영모드에 의한 데이터 통신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모드에 의한 데이터 통신 중 현재 수행 중인 수행모드의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촬영데이터, 멀티미디어데이터, 음성데이터 등)에 대한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마이크(MIC) 운용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을 웹캠 통신을 위한 입력수단으로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단말(100)의 스피커(SPK) 운용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을 웹캠 통신을 위한 출력수단으로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저장부(440)로부터 멀티미디어데이터 또는 상기 카메라모듈(450)로부터 촬영데이터가 전달될 시 해당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데이터 처리를 위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를 위한 데이터 변환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480)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덱은 촬영데이터 및 멀티미디어데이터 등과 같은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음성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480)는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코딩(coding)하거나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음성데이터)를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디코딩(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 변환부(480)는 상기 카메라모듈(460)로부터 전달되는 촬영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부(440)로부터 전달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 등의 영상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480)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멀티미디어모드에서 동작할 시 획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고, 상기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다시 코딩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로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480)는 상기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저장부(440)를 통해 버퍼링하고 상기 버퍼링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규격으로 코딩하여 전송 데이터로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480)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로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480)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480)는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의 데이터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 또는 촬영데이터가 전달되면 해당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하는 데이터(디코딩 데이터)를 다시 전송 데이터로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 다.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 데이터 통신의 수행모드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470)는 촬영모드에서 획득하는 촬영데이터의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460)과 상기 인터페이스부(450)의 데이터 경로를 설정하여 촬영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고, 상기 멀티미디어모드에서 획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의 경우 상기 저장부(44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450)의 데이터 경로를 설정하여 멀티미디어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470)의 일련의 제어 기능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7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470)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에 각각 구비되거나, 상기 제어부(470)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와 분리되어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단말(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100)은 카메라모듈과 외부의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100)의 데이터 통신에 따른 수행모드 변경은 마이크(MIC) 또는 모션센서 등에 의해 변경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100)의 수행모드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을 이용한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통신 동작을 살펴보면 하기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통신 동작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상채팅 시스템은 휴대단말(100)과, 상기 휴대단말(100)과 설정된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휴대단말(100)을 웹캠으로 이용하여 웹캠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1(200)과, 인터넷망(500)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1(200)과 접속하며 상기 디바이스1(200)과 설정된 웹캠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웹캠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300)와, 상기 디바이스1(200) 및 상기 디바이스2(300) 간의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인터넷망(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5에서 상기 디바이스1(200)은 상기 휴대단말(100)을 웹캠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고, 상기 디바이스2(300)는 디바이스2(300)가 자체 포함하는 웹캠(350)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또는 상기 디바이스2(300)가 상기 웹캠(350)을 포함하지 않는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2(300)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휴대단말을 웹캠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구성되는 웹캠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1(200) 및 디바이스2(300)는 상호 간에 약속된 웹캠 통신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망 접속을 통해 상호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1(200)의 제1사용자와 상기 디바이스2(300)의 제2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로그인 및 인증 등의 절차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고, 상기 인터넷망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웹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호 간에 웹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는 자신의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웹캠을 이용하여 자신의 촬영데이터를 상호 간에 교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사용자는 상기 디바이스1(200)과 연결되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카메라모듈(460)을 이용하여 자신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2사용자는 상기 디바이스2(300)와 연결되는 상기 내부 웹캠(350)을 이용하여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디바이스1(200)과 연결될 시 또는 상기 디바이스1(200)과 연결 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웹캠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웹캠모드 활성화 시 상기 카메라모듈(460)을 통해 수집된 촬영데이터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1(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디바이스1(200)은 상기 휴대단말(100)이 전달하는 상기 촬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데이터를 인터넷망(500)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2(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2(300)는 상기 디바이스1(200)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상기 웹캠(350)을 통해 획득하는 제2사용자의 촬영데이터를 상기 인터넷망(500)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1(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1(200) 및 디바이스2(300)는 상호 간에 전송되는 촬영데이터를 자신들의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1(200) 및 디바이스(300)는 상기 인터넷망(500)을 통해 촬영데이터를 비롯하여 음성데이터, 문자데이터 등을 교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디바이스1(200)의 제1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촬영모드를 이용한 웹캠 통신 이용 중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옵션 설정 또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제어를 통해 상기 촬영모드를 멀티미디어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촬영모드에 의한 웹캠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멀티미디어모드로의 전환을 감지할 시 멀티미디어데이터의 획득 방식에 대한 설정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획득 방식이 지정방식이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획득 방식이 랜덤방식이면 상기 휴대단말(100)의 저장부(44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데이터들 중 임의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랜덤하게 추출하고, 상기 획득 방식이 선택방식이면 선택모드 실행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특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획득 방식에 의해 획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에 대응하는 데이터 변환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하는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1(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멀티미디어모드로 전환 시 상기 카메라모듈(460)의 구동을 종료하고, 상기 카메라모듈(460)과 연결되는 데이터 전송 경로를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440)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저장부(440) 에 의해 버퍼에 복사하고 복사하는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1(2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바이스1(200)은 상기 휴대단말(100)이 전달하는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인터넷망(500)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2(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2(300)는 상기 웹캠 통신 이용 중 상기 제1사용자의 촬영데이터가 아닌 상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제2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디바이스2(300)는 상기 제1사용자의 촬영데이터를 표시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중에 멀티미디어데이터(예컨대, 사진데이터 또는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2(300)는 제2사용자 요청 또는 설정 방식 등에 따라 상기 전달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자신의 저장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해당 멀티미디어데이터가 사진데이터와 같은 정적인 제1데이터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은 해당 제1데이터를 한 번의 데이터 전송으로 전송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1(200)은 상기 제1데이터를 수신할 시 상기 제1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2(300)로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2(300)는 상기 정적인 제1데이터를 표시수단에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해당 멀티미디어데이터가 동영상데이터와 같은 동적인 제2데이터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은 해당 제2데이터를 휴대단말(100) 내에서 재생하고 재생하는 제2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 기 디바이스1(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1(200)은 상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상기 제2데이터를 수신할 시 상기 제2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버퍼링하는 상기 제2데이터를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에 따른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디바이스2(300)로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2(300)는 상기 동적인 제2데이터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사용자는 동영상데이터를 공유하여 웹캠 통신 중인 제2사용자와 영화 감상과 같은 멀티미디어서비스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제2데이터의 재생이 완료될 시 상기 제2데이터의 커버 이미지를 상기 디바이스1(2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촬영모드로 전환한 후 카메라모듈(460)을 통해 획득하는 촬영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1(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과 디바이스의 연동에 의한 화상채팅 시 그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웹캠모드로 동작 시 그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웹캠모드로 동작 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통신 동작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15)

  1.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웹캠모드를 활성화 하는 과정과,
    상기 웹캠모드에서 수행할 수행모드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수행모드가 멀티미디어모드일 시 데이터 획득 방식에 따라 멀티미디어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설정된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코딩하여 전송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과정은,
    상기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링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규격으로 코딩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획득 방식이 지정방식이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특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 방식이 랜덤방식이면 저장된 멀티미디어데이터들 중 임의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랜덤하게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 방식이 선택방식이면 실행하는 선택모드에서 선택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모드가 촬영모드일 시 카메라모듈로 수집되는 촬영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모드에서 멀티미디어모드로의 수행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시,
    상기 촬영데이터의 수집을 종료하는 과정과,
    멀티미디어데이터 획득 방식에 대응하게 획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경로를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경로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7.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웹캠모드에서 촬영데이터를 수집하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휴대단말의 멀티미디어데이터 및 상기 웹캠모드에 따른 수행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카메라모듈과의 데이터 경로에 의해 상기 촬영데이터를 디바이스로 전송하거나, 상기 저장부와의 데이터 경로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웹캠모드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웹캠모드 활성화 시 디바 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수행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수행모드가 멀티미디어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부와의 데이터 경로 설정을 처리하고 상기 저장부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고,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코딩하여 전송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를 통해 버퍼링하고,
    상기 버퍼링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코딩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고,
    상기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상기 버퍼링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와 설정된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규격으로 코딩하여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유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설정되는 인터페이스 및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설정되는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행모드가 멀티미디어모드일 시 멀티미디어데이터 획득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획득 방식에 대응하게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의 추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 방식이 지정방식이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추출을 제어하고,
    상기 획득 방식이 랜덤방식이면 저장된 멀티미디어데이터들 중 임의의 멀티미디어데이터의 랜덤 추출을 제어하고,
    상기 획득 방식이 선택방식이면 선택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선택모드에서 선택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의 추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모듈을 포함하고 웹캠모드 활성화 시 결정되는 수행모드에 따라 카메라모듈이 생성하는 촬영데이터 또는 저장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설정된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휴대단말과,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상기 휴대단말이 전송하는 촬영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대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1디바이스와,
    상기 제1디바이스와 인터넷망을 통해 웹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상기 촬영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제2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유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설정되는 인터페이스 및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설정되는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웹캠 통신 시스템.
KR1020090097924A 2009-10-14 2009-10-14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0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924A KR20110040590A (ko) 2009-10-14 2009-10-14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12/894,708 US20110085046A1 (en) 2009-10-14 2010-09-30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CN2010105120586A CN102045441A (zh) 2009-10-14 2010-10-14 使用移动终端的数据通信方法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924A KR20110040590A (ko) 2009-10-14 2009-10-14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590A true KR20110040590A (ko) 2011-04-20

Family

ID=4385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924A KR20110040590A (ko) 2009-10-14 2009-10-14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85046A1 (ko)
KR (1) KR20110040590A (ko)
CN (1) CN1020454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831A (ko) * 2010-05-18 2011-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웹 카메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841792B (zh) * 2012-09-07 2016-02-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Sns应用中的信息编辑方法及装置
CN102932786B (zh) 2012-09-27 2017-12-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终端
KR102169523B1 (ko) 2013-05-31 2020-10-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191976B1 (ja) * 2016-03-11 2017-09-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サイネージ端末、サイネージ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CN110536047B (zh) * 2018-05-25 2020-11-13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信号输出电路及摄像机
TWI708976B (zh) * 2019-08-13 2020-11-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控制方法
CN111131743A (zh) * 2019-12-25 2020-05-08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浏览器的视频通话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689086B (zh) * 2020-12-10 2022-08-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确定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232805A1 (en) * 2021-04-27 2022-11-03 Osom Products, Inc.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s a web camera
CN114036347B (zh) * 2021-11-18 2022-06-03 北京中关村软件园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支持数字融合业务的云平台及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060B1 (ko) * 2004-02-21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030418B1 (ko) * 2004-12-20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리 준비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통화 방법
KR100678214B1 (ko) * 2005-07-2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US8207936B2 (en) * 2006-06-30 2012-06-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oice remote control
US8064934B2 (en) * 2006-10-19 2011-1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otification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TW200823678A (en) * 2006-11-22 2008-06-01 Acer Inc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data via instant message
US8554868B2 (en) * 2007-01-05 2013-10-08 Yahoo! Inc. Simultaneous sharing communication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5046A1 (en) 2011-04-14
CN102045441A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0590A (ko)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11316598B (zh) 一种多屏互动方法及设备
KR100816286B1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KR10060606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CN113542839B (zh) 电子设备的投屏方法和电子设备
KR100678209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제어방법
JP7416519B2 (ja) マルチ端末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80082288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1726678B (zh) 一种设备间多媒体内容续播的方法
KR100703315B1 (ko)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에서 파일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730115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KR100630203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데이터 표시방법
CN114371824A (zh) 一种音频处理方法、系统及相关装置
KR201100396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1102989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image in portable terminal
US94972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ve stream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20100041108A (ko)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403374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KR20120045761A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WO2022042261A1 (zh) 屏幕共享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964469A (zh) 一种移动终端
CN114915834A (zh) 一种投屏的方法和电子设备
CN113676902B (zh) 一种提供无线上网的系统、方法及电子设备
KR100678104B1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리소스 제어방법
KR101386522B1 (ko) 카메라가 구비되지 않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