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108A -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108A
KR20100041108A KR1020080100120A KR20080100120A KR20100041108A KR 20100041108 A KR20100041108 A KR 20100041108A KR 1020080100120 A KR1020080100120 A KR 1020080100120A KR 20080100120 A KR20080100120 A KR 20080100120A KR 20100041108 A KR20100041108 A KR 20100041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video
stored
video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1108A/ko
Priority to US12/576,279 priority patent/US20100092150A1/en
Publication of KR2010004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10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속 촬영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에 카메라가 수집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이어서 저장하도록 제어함에 있어서 파일헤드의 재구성과 연속촬영 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파일헤드의 일부분인 Udta Atom 정보를 이용해서 생성된 파일의 끝에서 다시 카메라 레코딩이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기술로써 다시 이어서 연속 촬영을 하고자 할 경우 Udta(User Data Atom) 정보만을 활용하여 동영상 레코딩 시작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빠른 레코딩 모드의 초기화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별도의 편집 과정 없이 사용자가 같은 테마의 내용을 하나의 파일로 관리하기를 원할 경우 연속촬영 모드를 이용해서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촬영한 것을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소개함으로써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카메라, 동영상, 연속 촬영

Description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Moving Picture Continuous Capturing Method Using Udta Informatio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촬영되는 동영상을 기 저장된 동영상에 이어서 촬영하도록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란 개인 이동 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휴대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1000: IMT-1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은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을 비롯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영상 통화, 전자수첩기능, 음성 또는 영상저장기능, 인터넷 기능, 오락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 능들에 더하여 디지털카메라 기능이 추가로 구비된 휴대 단말기가 등장함으로써, 원하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손쉽게 촬영하여 저장하고, 이를 배경화면으로 사용하거나 이메일 또는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 등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기기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때문에 휴대 단말기는 현대인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근래에는 휴대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들이 구현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있다.
또한, 상술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에 입력되는 영상을 서버에 등재하거나,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도 추가되어, 사용자가 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판매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들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편집기를 마련해야 하며, 편집기가 있다 하더라도 편집기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익히기가 매우 어려워 일반 사용자들이 특정 동영상을 편집하거나 조절하는데 매우 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 저장된 동영상에 카메라가 수집한 현재 영상을 붙여서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현재 휴대단말의 보편적인 동영상 포맷인 MP4 File 의 Udta(User Data Atom)을 사용하여 연속촬영 시에 초기화 시간을 줄이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은,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선택에 따라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연속 촬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이어서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연속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속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카메라가 수집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코덱과 동일한 타입으로 인코딩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마지막 데이터가 저장된 다음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면서 늘어나는 전체 재생 시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연속 촬영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는, 동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동영상 데이터 또는 통신 채널을 통하여 다운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동영상을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연속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같은 테마로 하나의 파일로 관리하기를 원할 경우 연속촬영 모드를 이용해서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촬영한 것을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소개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동영상 편집기술이 없다 하더라도 간편하게 동영상을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 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단말기 형태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단말기 및 와이브로와 같은 휴대 인터넷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60), 무선주파수부(110), 오디오 처리부(130), 입력부(120), 카메라(140), 영상처리부(155), 표시부(15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주파수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110)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타 휴대 단말기에 기 저장된 동영상 또는 편집된 동영상을 전송하거나,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코덱(CODEC: Coder/Decoder)과, 코덱을 기반으로 복호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MI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음성 통화 시 제어부(16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며, 반대로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카메라(140)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과정 중에 오디오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현재 영상을 기 저장된 동영상에 이어서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오디오 처리부(130)는 기 저 장된 동영상의 오디오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어서 촬영되는 현재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 및 저장하도록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문자키들 및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들을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동영상 이어 촬영에 대응하는 메뉴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메뉴 선택에 따라 촬영되는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140)는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센서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카메라 센서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는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영상처리부(180)는 카메라(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50)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알맞게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80)는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처리부(180)는 각각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150)에 표시되 는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 코덱, 및 Wavelet 코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영상처리부(18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는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5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동영상에 이어서 저장되는 카메라(140)가 수집한 영상을 프리뷰 모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170)는 카메라(140)를 통해 입력되었거나 무선주파수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저장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제어부(160)의 편집 과정에 따라 카메라(140)로부터 수집되는 영상을 이어서 저장할 수 있도록 헤더, 비디오 데이터, 연속촬영정보를 포함하는 연속 촬영이 가능한 동영상 데이터(A.mp)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 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는 카메라(140)가 수집한 동영상 또는 무선주파수부(110)로부터 수신된 동영상을 연속 촬영이 가능한 동영상 데이터(A.mp)로 저장할지 여부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동영상 저장 시, 항상 Udta 영역에 연속촬영 가능한 기본정보를 항상 저장하고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A.mp)로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연속 촬영이 가능한 동영상 데이터(A.mp)를 선택하여 연속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카메라(140)를 운용하는 한편, 동영상 데이터(A.mp)에 포함된 연속 촬영 정보를 기반으로 카메라(140)에서 수집되는 영상을 동영상 데이터(A.mp)의 마지막 프레임 다음부터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연속 촬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연속 촬영이 불가능한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속 촬영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해당 동영상 데이터를 연속 촬영이 가능한 동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카메라(140)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영상 데이터 변환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저장부에 저장되는 동영상 데이터(A.mp)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동영상 데이터(A.mp) 생성을 설명을 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동영상 데이터(A.mp)는 헤더(171), 미디어 데이터(173) 및 연속 촬영 정보(175)를 포함한다.
상기 헤더(171)는 미디어데이터(173)의 특성을 정의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영 역으로서, 예를 들면, 헤더(171)는 미디어 데이터(173)의 트랙 정보나 미디어 데이터(173)의 영상 정보 예를 들면 해상도, 제목, 코덱 정보, 미디어 데이터(173)의 전체 재생 시간, 압축 방식, 데이터 포맷 양식 등에 대한 정보가 기입된다.
상기 미디어 데이터(173)는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값이다. 이러한 미디어 데이터(173)는 헤더(171)에 기입된 데이터 포맷 양식과 압축 방식에 따라 일정 비율로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데이터(173)는 프레임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별로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173)는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나, 데이터 포맷 방식 등의 일정 법칙에 따라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의 전체 영역 중 일정 저장 영역 내에 기입되는 미디어 데이터(173)의 프레임들 중 마지막 프레임이 기입되는 영역이 일정 저장 영역의 마지막 부분이 되지 않을 수 도 있다.
상기 연속 촬영 정보(175)는 헤더(171)에 기입되는 정보 중에 동영상 데이터(A.mp)를 연속적으로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다. 이 연속 촬영 정보(175)는 항상 촬영이 끝나면 다음 연속촬영을 위해 저장한다. 연속 촬영 정보(175)가 기입되는 영역은 헤더(171)와 구분되는 영역이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연속 촬영이 가능한 동영상 데이터(A.mp)의 생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최초로 저장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171) 영역과 미디어 데이터(173)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연속촬영이 불가능한 동영상 데이터를 연속 촬영이 가능한 동영상 데이터(A.mp)로 변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제어부는 헤더(171) 영역에 기입된 정보 트리(moov)에서 사용자 데이터(udata)에 포함되어 있는 연속 촬영 정보사용자 데이터(udata)를 추출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헤더(171)는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정보(trak)나 사용자 데이터(udata) 등 다양한 정보 들이 트리(moov) 형태로 기입된다. 이러한 헤더(171)에 기입된 정보 중 사용자 데이터(udata)는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데이터(173)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즉, 헤더(171)의 정보 중 사용자 데이터(udata)는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의 마지막 포인트 정보인 "mdata last point", 미디어 데이터(173)정보가 포함된 파일에서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인 "stbl point",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의 코덱에 관한 정보인 "codec type", 저장된 파일의 전체 재생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last file total time" 등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연속 촬영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도록 지시하면, 제어부는 상술한 헤더(171)에 기입된 정보 중 사용자 데이터(udata)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데이터(udata) 중 동영상 데이터를 연속 촬영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정보들 즉, "mdata last point", "stbl point", "codec type" 및 "last file total time" 등을 추출한다.이는 연속촬영을 위해 전체 헤더(171)를 분석하는게 아니라 Udta 정보만을 찾아서 분석함으로써 연속촬영 시에 소요되는 초기화 소요시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어부는 적출한 각 정보들을 연속 촬영 정보로서 변환하고, 동영상 데이터의 미디어 데이터(173) 다음 영 역에 저장한다.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카메라가 수집하는 영상을 이어서 저장하기 위해서는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의 마지막 프레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는 연속 촬영 정보에 저장된 "mdata last point"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카메라가 수집하는 영상을 동영상 데이터에 이어서 저장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코덱 타입으로 저장하기 위해서 연속 촬영 정보에 저장된 "codec type"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에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이어서 저장하는 과정 중에 전체 파일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 갱신이 필요한데, 이러한 전체 파일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는 연속 촬영 정보에 저장된 "last file total time"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연속 촬영 정보가 헤더(171) 이외의 별도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연속 촬영 정보는 헤더(171) 영역의 내부 일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헤더(171) 영역에 기입된 연속 촬영 정보를 제어부가 검색할 수 있도록 헤더의 트리에 별도의 항목으로 추가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초기 촬영에서 연속촬영이 가능한 동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연속 촬영 정보를 생성하면, 이 연속 촬영 정보에 대한 트리 항목을 헤더(171) 영역의 트리 구조에 추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속 촬영이 가능한 동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속 촬영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는 헤더(171)를 검사하여 연속 촬영 정보에 대한 트리 항목을 확인하고, 이 트리 항목으로부터 연속 촬영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촬영 기능 활성화 시 표시부에서 출력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들을 검색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본 발명의 표시부는 제1 화면(151)에서와 같이, 저장부에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들 "A.mp, B.mp, C.mp"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화면(151)에 출력된 동영상 데이터들 중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 데이터를 선택한 후, 메뉴를 활성화하면, 제2 화면(153)에서와 같이 선택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지 혹은 선택한 동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속 촬영을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화면(153)에서 사용자가 2번 항목인 "연속 촬영"을 선택하면, 제어부는 제3 화면(155)에서와 같이 카메라를 운용하여 카메라가 수집하는 영상을 프리뷰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한 동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에서 "연속 촬영 정보" 영역을 확인하고, 연속 촬영 정보에 기입된 연속 촬영을 위한 정보들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을 동영상 데이터에 이어서 저장하여 연속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2 화면(153)에서 제3 화면(155)으로 전환되는 과정 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동영상 데이터에 연속 촬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확인하고, 헤더 영역에 기입된 정보 중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한 후, 사용자 데이터 중에서 연속 촬영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선별한다. 그 리고 제어부는 연속 촬영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연속 촬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동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에 추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는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며, 수집되는 영상을 상술한 연속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 초기화와 동영상 데이터에 이어서 저장하도록 하여 연속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연속 촬영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저장에 대한 알람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연속 촬영을 위한 장치는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에 이어서 카메라가 수집하는 영상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영상 이어 붙이기 등의 편집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 사용자들은 보다 간편하게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 데이터 생성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동영상 연속 촬영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과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전원이 공급되면 S101 단계에서 부팅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단말기의 부팅을 완료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운영 체제를 활성화하여 기 설정된 대기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파일 검색 및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는 S103 단계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표시부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특정 파일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 진행을 위하여 제어부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메뉴 항목을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면 제어부는 S105 단계에서 해당 동영상 파일을 기반으로 연속 촬영을 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는 사용자가 동영상 파일을 기반으로 연속 촬영을 할 것인지, 혹은 재생을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 항목이 포함된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팝업창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연속 촬영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재생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는 S107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는 동영상 재생 제어가 완료되었거나 재생 취소와 같은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S103 단계로 분기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분기할 수 있다.
한편, S105 단계에서 연속 촬영을 위한 입력신호가 입력부로부터 발생하면, 제어부는 S109 단계로 분기하여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연속 촬영 정보(Udta 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동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확인할 수 있으며, 헤더 전체 영역을 검사하기 이전에 별도로 마련된 연속 촬영 정보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연속 촬영 정보가 저장된 영역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헤더 전체영역을 검사하여 연속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가 마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동영상 헤더영역 전부를 검사하기 때문에 연속 촬영 시에 약간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헤더 영역을 구성하는 트리 구조에서 연속 촬영 정보 트리가 있는 경우, 해당 트리로부터 연속 촬영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는 동영상 데이터에서 헤더 영역에 마련된 연속 촬영 정보 트리 혹은 헤더 영역과 미디어 데이터 영역과는 구별되도록 마련된 연속 촬영 정보 영역이 없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연속 촬영이 불가능한 동영상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서 연속 촬영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연속 촬영에 필요한 정보들은 미디어 데이터의 마지막 데이터가 저장된 지점에 대한 정보,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의 코덱 타입 정보, 미디어 데이터의 각 프레임 특성이 포함되어 있는 프레임 테이블이 저장된 지점에 관한 정보, 해당 동영상 파일의 전체 파일 재생 시간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정보들을 수집하여 연속 촬영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속 촬영 정보를 해당 파일의 별도 영역(Udta 트리)에 기입하거나, 헤더 영역에 새로운 트리(Udta 트리)를 형성하고, 새로 형성된 트리에 연속 촬영 정보를 기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S111 단계에서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이어서 저장할 영상을 수집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S113 단계에서 동영상 파일을 갱신하여 연속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는 카메라가 활성화되어 수집되는 영상들 을 연속 촬영 정보로부터 추출한 마지막 프레임 정보를 기반으로 마지막 프레임에 이어서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연속 촬영 정보에서 추출한 코덱 정보를 기반으로 카메라가 수집하는 영상을 동일 코덱에 의하여 인코딩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이 이전 동영상 데이터에 덧붙여 저장되면서 늘어나는 전체 재생 시간을 실시간으로 갱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에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을 자동으로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에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는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시점에서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마이크로부터 수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카메라가 수집하여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에 동기화시켜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촬영이 가능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연속 촬영 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볼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순서도.

Claims (12)

  1. 동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동영상 데이터 또는 통신 채널을 통하여 다운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동영상을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연속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는
    헤더 영역, 비디오 데이터 영역 및 연속 촬영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촬영 정보 영역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마지막 데이터가 저장된 지점에 대한 정보,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코덱 타입 정보,
    미디어 데이터의 각 프레임 특성이 포함되어 있는 프레임 테이블이 저장된 지점에 관한 정보,
    해당 동영상 파일의 전체 파일 재생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는
    헤더 영역 및 비디오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 영역은
    연속 촬영 정보가 저장되는 트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연속 촬영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기입된 정보 중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마지막 데이터가 저장된 지점에 대한 정보,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코덱 타입 정보, 미디어 데이터의 각 프레임 특성이 포함되어 있는 프레임 테이블이 저장된 지점에 관한 정보, 해당 동영상 파일의 전체 파일 재생 시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정보를 통합하여 연속 촬영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활성화 시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오디오 데이터를 카메라가 수집하는 동영상이 상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저장될 때 동기화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7.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선택에 따라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연속 촬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이어서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연속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촬영 정보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마지막 데이터가 저장된 지점에 대한 정보,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코덱 타입 정보,
    미디어 데이터의 각 프레임 특성이 포함되어 있는 프레임 테이블이 저장된 지점에 관한 정보
    해당 동영상 파일의 전체 파일 재생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카메라가 수집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코덱과 동일한 타입으로 인코딩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마지막 데이터가 저장된 다음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하는 과정;
    미디어 데이터의 각 프레임 특성이 포함되어 있는 프레임 테이블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면서 늘어나는 전체 재생 시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연속 촬영 정보의 포함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연속 촬영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헤더 영역을 검사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마지막 데이터가 저장된 지점에 대한 정보,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코덱 타입 정보, 미디어 데이터의 각 프레임 특성이 포함되어 있는 프레임 테이블이 저장된 지점에 관한 정보, 해당 동영상 파일의 전체 파일 재생 시간정보를 선별하여 연속 촬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생성된 연속 촬영 정보를 상기 헤더 영역과 구별되는 별도의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연속 촬영 정보의 포함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연속 촬영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헤더 영역을 검사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마지막 데이터가 저장된 지점에 대한 정보,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코덱 타입 정보, 미디어 데이터의 각 프레임 특성이 포함되어 있는 프레임 테이블이 저장된 지점에 관한 정보, 해당 동영상 파일의 전체 파일 재생 시간정보를 선별하여 연속 촬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헤더에 새 트리를 할당하는 과정;
    상기 새 트리에 상기 생성된 연속 촬영 정보를 기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활성화 시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오디오 데이터를 카메라가 수집하는 동영상이 상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저장될 때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KR1020080100120A 2008-10-13 2008-10-13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eased KR20100041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120A KR20100041108A (ko) 2008-10-13 2008-10-13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12/576,279 US20100092150A1 (en) 2008-10-13 2009-10-09 Successive video recording method using udta information and portable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120A KR20100041108A (ko) 2008-10-13 2008-10-13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108A true KR20100041108A (ko) 2010-04-22

Family

ID=4209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120A Ceased KR20100041108A (ko) 2008-10-13 2008-10-13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92150A1 (ko)
KR (1) KR201000411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4580B2 (en) 2012-03-31 2017-06-06 Vipeline, Inc.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video directly into an HTML framework
JP2014154891A (ja) * 2013-02-04 2014-08-2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05338259B (zh) * 2014-06-26 2020-06-02 北京新媒传信科技有限公司 一种合成视频的方法及装置
CN105245777A (zh) * 2015-09-28 2016-01-1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生成视频图片的方法及装置
CN106303238B (zh) * 2016-08-16 2019-10-25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拍摄视频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6254776A (zh) * 2016-08-22 2016-12-21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视频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407770A (zh) * 2021-06-24 2021-09-17 深圳智多豚物联技术有限公司 基于redis的云回放索引服务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82587A1 (en) * 1997-10-21 2001-08-21 Sony Corp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recording/playback apparatus, recording/playback method, presentation medium and recording medium
US8290034B2 (en) * 1998-12-21 2012-10-16 Zin Stai Pte. In, Llc Video transmission and display including bit-wise sub-sampling video compression
JP4048407B2 (ja) * 2001-01-18 2008-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TW550507B (en) * 2001-10-16 2003-09-01 Ulead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interactive video disk playing menu
JP4564703B2 (ja) * 2002-02-13 2010-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デオカメラ及びビデオカメラの情報記録方法
JP3861261B2 (ja) * 2002-04-25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853407A (zh) * 2003-09-15 2006-10-25 联合视频制品公司 利用交互式电视应用输出数字内容的系统和方法
JP3997323B2 (ja) * 2003-11-12 2007-10-24 船井電機株式会社 ダビング装置
US20060156349A1 (en) * 2005-01-05 2006-07-13 Herschel Naghi Digital video player accessory
US7683943B2 (en) * 2005-12-22 2010-03-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record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reproducing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07090431A1 (en) * 2006-02-09 2007-08-1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serving energy
US20080013916A1 (en) * 2006-07-17 2008-01-17 Videotha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editing and sharing multimedia f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92150A1 (en)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36375B (zh) 视频流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60606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JP4842033B2 (ja) 携帯端末機の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CN112261218B (zh) 视频控制方法、视频控制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20070192370A1 (en) Multimedia content production method for portable device
KR20100041108A (ko)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0575924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영상 촬영 방법
JP6319491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US2005001805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ynamic image preparation method and dynamic image preparation program
JP3891147B2 (ja) 動画編集装置、動画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83458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5215158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047834B2 (ja) 携帯情報端末
JP6583457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80032751A (ko)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제공 방법
KR100775190B1 (ko) 멀티미디어 합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20050112998A (ko) 연속 촬영 영상의 선택 저장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801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영상 녹화방법
KR1006300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데이터 재구성방법
KR1008353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방법
KR100620689B1 (ko) 고속으로 연속 촬영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N1327702C (zh) 相机一体型便携终端动态影像名称生成方法及装置
KR20050082367A (ko) 휴대폰의 뮤직비디오 제작 방법
KR20070006195A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0599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음성메모수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9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