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590B1 -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590B1
KR101651590B1 KR1020140195856A KR20140195856A KR101651590B1 KR 101651590 B1 KR101651590 B1 KR 101651590B1 KR 1020140195856 A KR1020140195856 A KR 1020140195856A KR 20140195856 A KR20140195856 A KR 20140195856A KR 101651590 B1 KR101651590 B1 KR 101651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dust
air
suction fan
su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653A (ko
Inventor
김범진
Original Assignee
김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진 filed Critical 김범진
Priority to KR102014019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59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집진통이 안치 고정될 수 있는 안치공간이 형성되되, 일단에는 바닥에 잔존하는 먼지 및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안치공간에 안치되는 상기 집진통으로 이송 안내하는 흡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집진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안치공간에 안치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가지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흡기구와 연통되는 유입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본체의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의 배출구멍에 형성되어 상기 집진통으로 유입된 먼지가 집진되도록 하는 필터;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집진통이 노출 방지되도록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부에 관통 형성하는 제1집진구멍;과, 상기 집진통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집진구멍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집진구멍;과, 상기 집진통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구멍을 통해 외부에 부유하는 먼지와 함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 안내하는 집진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바닥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의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여 집진통 내부의 필터로 안내하는 집진수단을 설치하고, 그 집진수단의 흡입력으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 및 공기가 집진수단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로봇 청소기의 상부에 집진구멍을 형성함으로, 로봇 청소기를 통하여 기본적으로 바닥의 먼지를 흡입 집진하는 동시에 집진수단의 작동으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까지 집진할 수 있어 높은 청소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진수단의 흡입팬에 형성되는 와류날개를 통해 흡입팬 주변으로 와류를 형성한 상태에서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주변의 먼지 및 공기를 강제 흡입함으로 많은 양의 먼지 및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어 더욱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팬과 함께 회전하는 차폐날개를 통해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흡입되는 먼지 및 공기가 와류날개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팬의 흡입 효율을 극대화하여 더욱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Robot vacuum cleaner is an excellent clean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의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여 집진통 내부의 필터로 안내하는 집진수단을 설치하고, 그 집진수단의 흡입력으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 및 공기가 집진수단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로봇 청소기의 상부에 집진구멍을 형성함으로, 로봇 청소기를 통하여 기본적으로 바닥의 먼지를 흡입 집진하는 동시에 집진수단의 작동으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까지 집진할 수 있어 높은 청소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의료용 로봇, 우주 항공 로봇 등이 개발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
상기 가정용 로봇의 대표적인 예는 로봇 청소기로서,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하는 가전기기의 일종이다.
하지만, 종래의 로봇 청소기는 바닥의 먼지 및 공기를 흡입하여 바닥만을 청소하는 특성상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 및 이물질에 대한 집진 능력이 없어 청소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바닥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의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여 집진통 내부의 필터로 안내하는 집진수단을 설치하고, 그 집진수단의 흡입력으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 및 공기가 집진수단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로봇 청소기의 상부에 집진구멍을 형성함으로, 로봇 청소기를 통하여 기본적으로 바닥의 먼지를 흡입 집진하는 동시에 집진수단의 작동으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까지 집진할 수 있어 높은 청소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집진수단의 흡입팬에 형성되는 와류날개를 통해 흡입팬 주변으로 와류를 형성한 상태에서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주변의 먼지 및 공기를 강제 흡입함으로 많은 양의 먼지 및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어 더욱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흡입팬과 함께 회전하는 차폐날개를 통해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흡입되는 먼지 및 공기가 와류날개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팬의 흡입 효율을 극대화하여 더욱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는 내부에 집진통이 안치 고정될 수 있는 안치공간이 형성되되, 일단에는 바닥에 잔존하는 먼지 및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안치공간에 안치되는 상기 집진통으로 이송 안내하는 흡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집진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안치공간에 안치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가지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흡기구와 연통되는 유입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본체의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의 배출구멍에 형성되어 상기 집진통으로 유입된 먼지가 집진되도록 하는 필터;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집진통이 노출 방지되도록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부에 관통 형성하는 제1집진구멍;과, 상기 집진통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집진구멍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집진구멍;과, 상기 집진통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구멍을 통해 외부에 부유하는 먼지와 함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 안내하는 집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를 통하여 바닥의 먼지를 흡입 집진하는 동시에, 상기 집진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부유하는 먼지를 흡입 집진할 수 있어 청소시 바닥의 먼지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까지 집진하여 높은 청소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진수단은 상기 집진통에 위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집진모터와, 상기 집진모터의 축과 결합되어 상기 집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집진구멍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통으로 배출하는 흡입팬과, 상기 집진모터를 내부에 내장하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되는 먼지와 공기를 수집 안내하는 집진케이스와, 일단은 상기 집진케이스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집진통의 배출구멍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집진케이스로 유입되는 먼지와 공기를 상기 배출구멍에 형성되는 필터로 이송 안내하는 안내파이프와, 상기 집진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팬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름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집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상기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상기 집진구멍을 통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부유하는 먼지와 공기를 함께 흡입하여 상기 집진케이스로 배출하고, 그 배출된 먼지와 공기는 상기 집진케이스와 연결되는 상기 안내파이프로 안내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필터로 공급되어 먼지는 상기 필터에 집진되고 공기는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팬을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 끝단에 상방으로 직립되게 세워져 상기 날개와 함께 회전하면서 주변 공기의 와류를 유도하는 판 형상의 와류날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와류날개를 통해 상기 흡입팬 주변으로 와류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주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많은 양의 먼지 및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팬을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날개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상방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되, 상기 와류날개와 직교되게 위치되어 상기 날개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흡입팬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와류날개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날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흡입팬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차폐날개를 통해 상기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와류날개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흡입팬의 흡입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에 의하면, 바닥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의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여 집진통 내부의 필터로 안내하는 집진수단을 설치하고, 그 집진수단의 흡입력으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 및 공기가 집진수단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로봇 청소기의 상부에 집진구멍을 형성함으로, 로봇 청소기를 통하여 기본적으로 바닥의 먼지를 흡입 집진하는 동시에 집진수단의 작동으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까지 집진할 수 있어 높은 청소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진수단의 흡입팬에 형성되는 와류날개를 통해 흡입팬 주변으로 와류를 형성한 상태에서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주변의 먼지 및 공기를 강제 흡입함으로 많은 양의 먼지 및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어 더욱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팬과 함께 회전하는 차폐날개를 통해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흡입되는 먼지 및 공기가 와류날개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팬의 흡입 효율을 극대화하여 더욱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100)는 내부에 집진통(2)이 안치 고정될 수 있는 안치공간(1a)이 형성되되, 일단에는 바닥에 잔존하는 먼지 및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안치공간(1a)에 안치되는 상기 집진통(2)으로 이송 안내하는 흡기구(1b)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집진통(2)으로 유입되는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c)가 마련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안치공간(1a)에 안치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가지되, 일단은 상기 본체(1)의 흡기구(1b)와 연통되는 유입구멍(2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본체(1)의 배출구(1c)와 연통되는 배출구멍(2b)이 형성되는 집진통(2);과, 상기 집진통(2)의 배출구멍(2b)에 형성되어 상기 집진통(2)으로 유입된 먼지가 집진되도록 하는 필터(3);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집진통(2)이 노출 방지되도록 덮는 덮개(4);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제1집진구멍(10)와, 제2집진구멍(20)과, 집진수단(30)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집진구멍(10)은 상기 덮개(4)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먼지 및 공기가 상기 제1집진구멍(10)을 통하여 상가 집진통(2)으로 유입될 수 있게 안내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집진구멍(20)은 상기 집진통(2)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집진구멍(10)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집진구멍(10)으로 유입되는 먼지 및 공기를 상기 집진통(2)으로 유입될 수 있게 안내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수단(30)은 상기 집진통(2)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구멍(10,20)을 통해 외부에 부유하는 먼지와 함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통(2)으로 흡입 안내하는것으로,
상기 집진통(2)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집진모터(31)와, 상기 집진모터(31)의 축(31a)과 결합되어 상기 집진모터(31)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집진구멍(10,20)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통(2)으로 배출하는 흡입팬(32)과, 상기 집진모터(31)를 내부에 내장하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흡입팬(32)을 통해 흡입되는 먼지와 공기를 수집 안내하는 집진케이스(33)와, 일단은 상기 집진케이스(33)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집진통(2)의 배출구멍(2b)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집진케이스(33)로 유입되는 먼지와 공기를 상기 배출구멍(2b)에 형성되는 필터(3)로 이송 안내하는 안내파이프(34)와, 상기 집진케이스(33)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팬(32)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름망(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모터(31)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상기 흡입팬(32)의 흡입력으로 상기 집진구멍(10,20)을 통해 상기 본체(1)의 상부에 부유하는 먼지와 공기를 함께 흡입하여 상기 집진케이스(33)로 배출하고, 그 배출된 먼지와 공기는 상기 집진케이스(33)와 연결되는 상기 안내파이프(34)로 안내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필터(3)로 공급되어 먼지는 상기 필터(3)에 집진되고 공기는 상기 필터(3)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공중에 부양하는 먼지를 집진하여 로봇 청소기의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본 발명의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100)는 기본적으로 바닥의 먼지를 흡입 집진하는 동시에, 상기 집진수단(30)의 작동으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까지 집진할 수 있어 높은 청소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팬(32)을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32a) 끝단에 상방으로 직립되게 세워져 상기 날개(32a)와 함께 회전하면서 주변 공기의 와류를 유도하는 판 형상의 와류날개(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류날개(40)를 통해 상기 흡입팬(32) 상부 주변으로 와류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팬(32)의 흡입력으로 주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많은 양의 먼지 및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어 상기 와류날개(40)를 통해 더욱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팬(32)을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날개(32a)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상방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되, 상기 와류날개(40)와 직교되게 위치되어 상기 날개(32a)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흡입팬(32)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와류날개(4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날개(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팬(32)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차폐날개(50)를 통해 상기 흡입팬(32)의 흡입력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와류날개(40)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흡입팬(32)의 흡입 효율을 극대화하여 더욱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여 바닥 및 공중에 부유하는 먼지를 집진하여 청소를 수행한다.
먼저, 본 발명의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100)는 작동하여 기본적으로 바닥의 먼지를 흡입 집진하는 동시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수단(30)의 집진모터의 작동으로 흡입팬(32)을 회전시켜 상기 흡입팬(32)의 흡입력으로 공중에 부양하는 먼지와 공기를 집진구멍(10,20)으로 흡입하여 집진케이스(33)와 안내파이프(34)를 통해 집진통(2)의 필터(3)로 안내하여 먼지는 상기 필터(3)에 집진되도록 하고, 공기는 상기 필터(3)를 통과하여 배출구(1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100)의 작동으로 바닥의 먼지 뿐만 아니라 공중에 부유하는 먼지까지 집진할 수 있어 높은 청소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팬(32)과 함께 회전하는 와류날개(40)를 통해 상기 흡입팬(32) 상부 주변으로 와류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팬(32)의 흡입력으로 주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많은 양의 먼지 및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팬(32)과 함께 회전하는 차폐날개(50)를 통해 상기 흡입팬(32)의 흡입력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와류날개(40)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흡입팬(32)의 흡입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흡입팬(32)에 형성되는 상기 와류날개(40) 및 차폐날개(50)를 통해 상기 흡입팬(32)을 통해 흡입되는 먼지 및 공기량을 극대화할 수 있어 청소효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100)의 집진수단을 통상의 로봇 청소기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위치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면에 설치하여도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본체 1a. 안치공간
1b. 흡기구 1c. 배출구
2. 집진통 2a. 유입구멍
2b. 배출구멍 3. 필터
4. 덮개
10. 제1집진구멍 20. 제2집진구멍
30. 집진수단 31. 집진모터
31a. 축 32. 흡입팬
32a. 날개 33. 집진케이스
34. 안내파이프 35. 걸름망
40. 와류날개 50. 차페날개
100.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

Claims (4)

  1. 내부에 집진통(2)이 안치 고정될 수 있는 안치공간(1a)이 형성되되, 일단에는 바닥에 잔존하는 먼지 및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안치공간(1a)에 안치되는 상기 집진통(2)으로 이송 안내하는 흡기구(1b)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집진통(2)으로 유입되는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c)가 마련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안치공간(1a)에 안치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가지되, 일단은 상기 본체(1)의 흡기구(1b)와 연통되는 유입구멍(2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본체(1)의 배출구(1c)와 연통되는 배출구멍(2b)이 형성되는 집진통(2);과, 상기 집진통(2)의 배출구멍(2b)에 형성되어 상기 집진통(2)으로 유입된 먼지가 집진되도록 하는 필터(3);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집진통(2)이 노출 방지되도록 덮는 덮개(4);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4) 내부에 관통 형성하는 제1집진구멍(10);
    상기 집진통(2)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집진구멍(10)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집진구멍(20); 및
    상기 집진통(2)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구멍(10,20)을 통해 외부에 부유하는 먼지와 함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통(2)으로 흡입 안내하는 집진수단(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를 통하여 바닥의 먼지를 흡입 집진하는 동시에, 상기 집진수단(30)을 통해 상기 본체(1)의 상부에 부유하는 먼지를 흡입 집진할 수 있어 청소시 바닥의 먼지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까지 집진하여 청소효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집진수단(30)은 상기 집진통(2)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집진모터(31)와, 상기 집진모터(31)의 축(31a)과 결합되어 상기 집진모터(31)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집진구멍(10,20)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통(2)으로 배출하는 흡입팬(32)과, 상기 집진모터(31)를 내부에 내장하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흡입팬(32)을 통해 흡입되는 먼지와 공기를 수집 안내하는 집진케이스(33)와, 일단은 상기 집진케이스(33)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집진통(2)의 배출구멍(2b)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집진케이스(33)로 유입되는 먼지와 공기를 상기 배출구멍(2b)에 형성되는 필터(3)로 이송 안내하는 안내파이프(34)와, 상기 집진케이스(33)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팬(32)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름망(3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집진모터(31)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상기 흡입팬(32)의 흡입력으로 상기 집진구멍(10,20)을 통해 상기 본체(1)의 상부에 부유하는 먼지와 공기를 함께 흡입하여 상기 집진케이스(33)로 배출하고, 그 배출된 먼지와 공기는 상기 집진케이스(33)와 연결되는 상기 안내파이프(34)로 안내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필터(3)로 공급되어 먼지는 상기 필터(3)에 집진되고 공기는 상기 필터(3)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흡입팬(32)을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32a) 끝단에 상방으로 직립되게 세워져 상기 날개(32a)와 함께 회전하면서 주변 공기의 와류를 유도하는 판 형상의 와류날개(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와류날개(40)를 통해 상기 흡입팬(32) 주변으로 와류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팬(32)의 흡입력으로 주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먼지 및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32)을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날개(32a)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상방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되, 상기 와류날개(40)와 직교되게 위치되어 상기 날개(32a)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흡입팬(32)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와류날개(4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날개(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흡입팬(32)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차폐날개(50)를 통해 상기 흡입팬(32)의 흡입력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와류날개(40)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흡입팬(32)의 흡입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
KR1020140195856A 2014-12-31 2014-12-31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 KR101651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856A KR101651590B1 (ko) 2014-12-31 2014-12-31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856A KR101651590B1 (ko) 2014-12-31 2014-12-31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653A KR20160081653A (ko) 2016-07-08
KR101651590B1 true KR101651590B1 (ko) 2016-09-05

Family

ID=5650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856A KR101651590B1 (ko) 2014-12-31 2014-12-31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59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51B1 (ko) * 2006-12-22 2008-01-21 엄재홍 로봇청소기
KR20090034493A (ko) * 2007-10-04 200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653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800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RU2670069C1 (ru) Пылесборник для пылесоса
EP2721985B1 (en) Device for connecting vacuum cleaner bag
KR200491534Y1 (ko) 핸디형 진공청소기
US10362912B2 (en) Vacuum cleaner
ATE345079T1 (de) Staubsammelvorrichtung für staubsauger und stielstaubsauger
TW201500026A (zh) 自走式清潔設備之集塵方法及裝置
WO2021013206A1 (zh) 尘盒、尘盒组件和清洁装置
US10537220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716356B1 (ko) 포집과 배출이 일체로 된 고효율 와류팬
KR20060128387A (ko) 진공청소기
CN107205603B (zh) 具有旋风分离器的吸尘器
KR101651590B1 (ko) 청소효율이 우수한 로봇 청소기
CN211511630U (zh) 家用吸尘器
WO2023236690A1 (zh) 防尘装置及室外机
CN203972399U (zh) 电脑机房实验室用防尘除尘装置
CN105090067B (zh) 风机及包括其的干手器
CN207306611U (zh) 一种吸尘器用吹气切换筒
CN208371718U (zh) 一种表面清洁器
JP3199163U (ja) 卓上掃除機
KR200356670Y1 (ko) 진공청소기 흡입관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2171874B1 (ko) 청소기
CN101229036A (zh) 集尘过滤装置的集尘桶结构
CN208942002U (zh) 一种吸尘器旋风器挡灰结构
CN219089080U (zh) 尘杯组件及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