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394B1 -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394B1
KR101651394B1 KR1020150117482A KR20150117482A KR101651394B1 KR 101651394 B1 KR101651394 B1 KR 101651394B1 KR 1020150117482 A KR1020150117482 A KR 1020150117482A KR 20150117482 A KR20150117482 A KR 20150117482A KR 101651394 B1 KR101651394 B1 KR 101651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wire
cylinder
portion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김정헌
지승민
박능출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50117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8Applying discontinuous insulation, e.g. discs, beads
    • H01B13/20Applying discontinuous insulation, e.g. discs, beads for concentric or coaxial cables
    • H01B13/208Applying discontinuous insulation, e.g. discs, beads for concentric or coaxial cables by mechanically removing parts of a continuous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장전부에 전선파지편, 피복탈피편 및 전선의 길이방향에서의 전선의 일단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편을 장전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파지편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된 내관형부의 타단을 링크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제1실린더에 결합시켜 상기 내관형부가 왕복 선회운동하게 하고, 상기 피복탈피편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된 외관형부의 타단을 캠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제2실린더를 결합시키되, 제1실린더가 제2실린더보다 먼저 파지방향으로 작동하게 하고 그리고 제2실린더보다 늦게 파지해제방향으로 작동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전선장전부을 에워싸는 보관함을 자력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상기 전선장전부의 틀에 장착하는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strip apparatus of wire sheath}
본 발명은 탈피편 수납함을 구비한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전선 단부의 피복을 벗기고자 할 경우, 전선 단부의 피복 외주를 집게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약간의 힘을 가하여 피복을 일부 절단한 후, 전선을 힘껏 당겨서 피복을 벗겨왔다.
이러한 작업은 매우 힘이 들고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또한 숙련자가 아니면 전선 내부의 와이어까지 실수로 절단하여 버리는 경우도 매우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트립 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한국 등록 특허 제10-083005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스트립 장치에서는, 상하 절단날 사이에 작업자가 전선 피복의 일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판을 밟아 상기 상 전단날을 하강시켜 상기 전선 피복을 절단하면서 작업자가 상기 전선을 당겨서 상기 절단된 피복을 와이어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서 종래보다 용이하게 작업자가 스트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스트립 장치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하 절단날 사이에 전선 피복의 일단을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절단되는 피복부위가 일정치 않아 탈피되는 길이가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로 하여금 반복적으로 탈피를 위한 전선당김작용을 요구하여 쉽게 피곤을 느끼게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전선장전부에 전선파지편, 피복탈피편 및 전선의 길이방향에서의 전선의 일단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편을 장전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파지편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된 내관형부의 타단을 링크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제1실린더에 결합시켜 상기 내관형부가 왕복 선회운동하게 하고, 상기 피복탈피편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된 외관형부의 타단을 캠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제2실린더를 결합시키되, 제1실린더가 제2실린더보다 먼저 파지방향으로 작동하게 하고 그리고 제2실린더보다 늦게 파지해제방향으로 작동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전선장전부을 에워싸는 보관함을 자력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상기 전선장전부의 틀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작업자가 좌우 절단날 뒤에 배치된 위치결정편에 탈피된 전선의 일단을 접촉시키면 자동으로 전선파지편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운동하여 전선을 파지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피복탈피편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운동하여 전선의 피복을 절단한 후 후진하여 탈피시키고 나서 전지하여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지해제 후에 상기 전선파지편이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지해제하여 탈피되는 길이가 일정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로 하여금 반복적으로 탈피를 위한 전선당김작용을 요구하지 않아 편안하게 탈피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고, 더욱이 상기 보관함이 상기 전선장전부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피복탈피편에 장착된 절단날이 왕복운동하는 전선장전부에 손각락이 진입함 없이 안전하게 전선의 일단을 전선장전부에 장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피복탈피편에 의해 탈피된 탈피편이 스트립장치 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도 1의 스트립 장치가 작동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제2구동부가 후퇴되는 도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제2구동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제2구동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제2구동부을 전진상태와 후진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장전부에 대한 상세도, 및
도 8은 도 7의 수납통과 커버통을 도시한 상세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가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100)는, 하우징(1), 및 상기 하우징(1)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장전부(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장전부(2)에는 한 쌍의 전선파지편(10; 10), 한 쌍의 피복탈피편(20; 20) 및 전선의 길이방향에서의 전선의 일단을 위치결정하는 관형의 하나의 위치결정편(30)의 선단이 장전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장전부(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의 전면벽에 선단이 고정되어 있는 채널형상의 자성 프레임(81); 상기 자성 프레임(81)의 밑면에 접촉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 프레임(81)에 결합되고, 위가 개방되고 아래와 둘레가 막혀 있고, 뒷벽 상단에 상기 한 쌍의 피복탈피편(20; 20)에 의해 탈피되어 낙하되는 탈피편을 수집하여 모일 수 있도록 경사가이드판(85)을 구비한 수납통(82); 및 상기 자성 프레임(81)의 윗면에 접촉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 프레임(81)에 결합되고, 아래가 개방되고 위와 둘레가 막히되 전선의 일단을 상기 장전부(2)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천장과 앞벽 상부의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된 슬롯형상의 진입개구(84)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통(8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납통(82)의 앞벽과 양측벽의 윗면에는 복수개의 자석(86)이 위로 노출되게 심어져 있고, 그리고 상기 커버통(83)의 양측벽 각각의 밑면 앞쪽에는 자석(87)이 아래로 노출되게 심어져 있다.
상기 한 쌍의 피복탈피편(20; 20) 각각에는 공지된 V자형 절단날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 내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전선파지편(10; 10)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선회 왕복운동시키는 제1구동부(40), 상기 한 쌍의 피복탈피편(20; 20)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제2구동부(50), 및 상기 하나의 위치결정편(30)을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제3구동부(6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구동부(40)는, 상기 한 쌍의 전선파지편(10)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의 전면벽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의 후면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내관형부(41; 41);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의 타단측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된 한 쌍의 제1링크(42; 42); 상기 한 쌍의 제1링크(42; 42)의 타단에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와 평행하게 뻗은 제1링크핀을 개재하여 일단이 링크결합된 한 쌍의 제2링크(43; 43); 상기 한 쌍의 제2링크(43; 43)의 타단에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와 평행하게 뻗은 제2링크핀을 개재하여 링크결합된 하나의 제3링크(44); 및 상기 하나의 제3링크(44)의 중앙에 선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와 수직한 상하방향으로 뻗은 실린더로드(45)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의 바닥에 탑재된 제1실리더(4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구동부(50)는 ,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피복탈피편(20; 20)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의 전면벽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뻗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한 쌍의 외관형부(51; 51); 상기 한 쌍의 외관형부(51; 51)의 타단에 기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반경방향으로 마주하는 양측부에 상기 외관형부(51)의 축선방향으로 뻗은 장방형의 암형가이드레일(52)과 상기 암형가이드레일(52)의 양단에 배치된 한 쌍의 스톱퍼(52a; 52a)가 구비된 한 쌍의 암형부(53; 53); 상부에 레일(54a)이 형성된 뭉치(54)가 선단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실린더로드(55)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의 칸막이벽부(1a)에 탑재된 제2실린더(56);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에 선회가능하게 외접된 상태에서 상기 암형가이드레일(52)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숫형편(57)과 상기 숫형편(57)에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스톱퍼(52a; 52a)에 걸음되는 걸음편(57a)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뭉치(54)의 레일(54a)에 상기 내관형부 주위로의 선회운동과 상기 내관형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직진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선회부(58; 58); 상기 한 쌍의 선회부(58; 58) 사이의 밑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선회부(58; 58)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58a)와 구름접촉하여 상기 뭉치(54)의 전후진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선회부(58; 58)을 선회 왕복운동과 전후진운동시키는 캠레일(59); 및 상기 한 쌍의 선회부(58, 58)의 롤러(58a)들이 항상 캠레일(59)과 구름접촉하도록 상기 한 쌍의 선회부(58, 58)에서 상기 내관형부(41)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돌출편(58b)에 양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58c)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3구동부(6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의 전면벽 내면에 탑재된 제3실린더(61), 상기 제3실린더(61)의 로드(62)의 선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장전부(2)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위치결정편(30)의 타단이 상기 하우징(1)의 전면벽을 관통하여 고정된 몸체(63), 및 상기 위치결정편(30)의 선단에서 돌출되게 심어진 접촉센서(6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촉센서(64)에 전선의 일단이 접촉되면, 상기 제3구동부(60)를 가동하여 후퇴하였다가 전진시키면서, 제1실린더(46)가 제2실린더(56)보다 먼저 파지방향으로 작동하게 하고 그리고 제2실린더(56)보다 늦게 파지해제방향으로 작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100)에서는,
사용자가 일단부가 탈피가공될 전선의 일단을 상기 장전부(2)에 진입시켜 상기 접촉센서(64)에 접촉시키면; 상기 제1 내지 제 3구동부가 동시에 가동되어서;
제3실린더(61)의 로드(62)가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편(30)이,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피복탈피편(20; 20)의 탈피운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되고;
제1실린더(46)의 실린더로드(45)가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드(45)와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 사이에 개재된 링크기구들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회 왕복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의 선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상기 한 쌍의 전선파지편(10; 10)이 상기 전선의 기단을 파지하였다가 파지해제하게 되고; 그리고
제2실린더(56)의 실린더로드(55)가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선회부(58; 58)의 상부가 후진하면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선회운동하다가 상기 한 쌍의 돌출편(52a; 52a) 중 어느 하나에 걸음되는 걸음편(57a)에 의해 상기 암형부(53)와 함께 후퇴한 다음, 상기 한 쌍의 선회부(58; 58)의 상부가 전진하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운동하다가 상기 한 쌍의 돌출편(52a; 52a) 중 다른 하나에 걸음되는 걸음편(57a)에 의해 상기 암형부(53)와 함께 전진하여, 상기 한 쌍의 외관형부(51; 51)의 선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상기 한 쌍의 피복탈피편(20; 20)이 상기 전선의 일단의 피복부위를 절단한 후 그 절단된 절단편을 당겨서 와이어에서 탈피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통(82)과 상기 커버통(83)이 자성 프레임(8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피복탈피편에 장착된 절단날이 왕복운동하는 장전부(2)에 손각락이 진입함 없이 안전하게 전선의 일단을 상기 슬롯형상의 진입개구(84)를 통하여 장전부(2) 내에 장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피복탈피편에 의해 탈피된 탈피편이 상기 수납통(82) 내로 수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100)에서는 안전적인 전선 장전과 탈피편의 수집수납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로 하여금 반복적으로 탈피를 위한 전선 당김 작용을 요구하지 않아 편안하게 탈피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1; 하우징, 2; 장전부, 10; 전선파지편, 20; 피복탈피편, 30; 위치결정편, 40; 제1구동부, 50; 제2구동부, 60; 제3구동부

Claims (2)

  1. 하우징(1), 및 상기 하우징(1)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장전부(2)를 포함하고 있는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장전부(2)에는 한 쌍의 전선파지편(10; 10), 한 쌍의 피복탈피편(20; 20) 및 전선의 길이방향에서의 전선의 일단을 위치결정하는 관형의 하나의 위치결정편(30)의 선단이 장전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장전부(2)는 상기 하우징(1)의 전면벽에 선단이 고정되어 있는 채널형상의 자성 프레임(81); 상기 자성 프레임(81)의 밑면에 접촉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 프레임(81)에 결합되고, 위가 개방되고 아래와 둘레가 막혀 있고, 뒷벽 상단에 상기 한 쌍의 피복탈피편(20; 20)에 의해 탈피되어 낙하되는 탈피편을 수집하여 모일 수 있도록 경사가이드판(85)을 구비한 수납통(82); 및 상기 자성 프레임(81)의 윗면에 접촉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 프레임(81)에 결합되고, 아래가 개방되고 위와 둘레가 막히되 전선의 일단을 상기 장전부(2)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천장과 앞벽 상부의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된 슬롯형상의 진입개구(84)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통(83)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1) 내에는 상기 한 쌍의 전선파지편(10; 10)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선회 왕복운동시키는 제1구동부(40), 상기 한 쌍의 피복탈피편(20; 20)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제2구동부(50), 및 상기 하나의 위치결정편(30)을 상기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제3구동부(6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구동부(40)는, 상기 한 쌍의 전선파지편(10)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의 전면벽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의 후면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내관형부(41; 41);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의 타단측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된 한 쌍의 제1링크(42; 42); 상기 한 쌍의 제1링크(42; 42)의 타단에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와 평행하게 뻗은 제1링크핀을 개재하여 일단이 링크결합된 한 쌍의 제2링크(43; 43); 상기 한 쌍의 제2링크(43; 43)의 타단에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와 평행하게 뻗은 제2링크핀을 개재하여 링크결합된 하나의 제3링크(44); 및 상기 하나의 제3링크(44)의 중앙에 선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와 수직한 상하방향으로 뻗은 실린더로드(45)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의 바닥에 탑재된 제1실리더(46)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구동부(50)는 상기 한 쌍의 피복탈피편(20; 20)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의 전면벽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뻗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한 쌍의 외관형부(51; 51); 상기 한 쌍의 외관형부(51; 51)의 타단에 기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반경방향으로 마주하는 양측부에 상기 외관형부(51)의 축선방향으로 뻗은 장방형의 암형가이드레일(52)과 상기 암형가이드레일(52)의 양단에 배치된 한 쌍의 스톱퍼(52a; 52a)가 구비된 한 쌍의 암형부(53; 53); 상부에 레일(54a)이 형성된 뭉치(54)가 선단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실린더로드(55)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의 칸막이벽부(1a)에 탑재된 제2실린더(56); 상기 한 쌍의 내관형부(41; 41)에 선회가능하게 외접된 상태에서 상기 암형가이드레일(52)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숫형편(57)과 상기 숫형편(57)에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스톱퍼(52a; 52a)에 걸음되는 걸음편(57a)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뭉치(54)의 레일(54a)에 상기 내관형부 주위로의 선회운동과 상기 내관형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직진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선회부(58; 58); 상기 한 쌍의 선회부(58; 58) 사이의 밑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선회부(58; 58)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58a)와 구름접촉하여 상기 뭉치(54)의 전후진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선회부(58; 58)을 선회 왕복운동과 전후진운동시키는 캠레일(59); 및 상기 한 쌍의 선회부(58, 58)의 롤러(58a)들이 항상 캠레일(59)과 구름접촉하도록 상기 한 쌍의 선회부(58, 58)에서 상기 내관형부(41)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돌출편(58b)에 양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58c)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3구동부(60)는 상기 하우징(1)의 전면벽 내면에 탑재된 제3실린더(61), 상기 제3실린더(61)의 로드(62)의 선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장전부(2)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위치결정편(30)의 타단이 상기 하우징(1)의 전면벽을 관통하여 고정된 몸체(63), 및 상기 위치결정편(30)의 선단에서 돌출되게 심어진 접촉센서(6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64)에 전선의 일단이 접촉되면, 상기 제3구동부(60)를 가동하는 동안, 제1실린더(46)가 제2실린더(56)보다 먼저 파지방향으로 작동하게 하고 그리고 제2실린더(56)보다 늦게 파지해제방향으로 작동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
KR1020150117482A 2015-08-20 2015-08-20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 KR10165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482A KR101651394B1 (ko) 2015-08-20 2015-08-20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482A KR101651394B1 (ko) 2015-08-20 2015-08-20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394B1 true KR101651394B1 (ko) 2016-08-26

Family

ID=5688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482A KR101651394B1 (ko) 2015-08-20 2015-08-20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4629A (zh) * 2019-06-04 2019-08-23 深圳众厉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尼龙线缆及其加工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859B1 (ko) * 2012-05-08 2012-11-07 (주)영동하이테크 광케이블 피복 분리장치
KR20130086474A (ko) * 2012-01-25 2013-08-02 황재형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KR20150062582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474A (ko) * 2012-01-25 2013-08-02 황재형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KR101198859B1 (ko) * 2012-05-08 2012-11-07 (주)영동하이테크 광케이블 피복 분리장치
KR20150062582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4629A (zh) * 2019-06-04 2019-08-23 深圳众厉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尼龙线缆及其加工工艺
CN110164629B (zh) * 2019-06-04 2020-06-30 鹤山市永锐实业有限公司 一种尼龙线缆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146B1 (ko) 활선작업용 피박전선 고정개폐구를 갖는 케이싱에 착탈식 커터부 내장형 전선외피 커팅홀더를 장착한 기어회전관의 회전에 의한 반자동 특고압 절연 피박기 및 그 피박기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피박공법
CN107181209B (zh) 一种手动式的电缆皮剥离工具
JP6081328B2 (ja) 電線の端子圧着システムおよび電線の端子圧着方法
JPH06133428A (ja) ワイヤ処理装置
US8074536B1 (en) Angled wire strippers
KR101651394B1 (ko)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
JP5095859B2 (ja) 電線ストリップクリンパ装置
US8257154B2 (en) Puller for use in animal carcass boning or cutting
DE1114234B (de) Maschine zum Abisolieren des Endes eines isolierten Drahtes
CN111934246A (zh) 一种电缆接线用剥皮装置
CN210254005U (zh) 一种安防设备安装用电缆快速切割装置
CN110265934B (zh) 同轴电缆剥皮一体机及其剥皮方法
KR101707909B1 (ko)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
KR101695399B1 (ko)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
US3707099A (en) Head-on wire stripping tool
US5375485A (en) Wire and cable cutting and stripping using slidable interfitting blades with complementary configurations
CN215728936U (zh) 用于光缆剥外皮和裁剪凯夫拉的自动化设备
KR101651395B1 (ko) 전선 피복 스트립 장치
KR102466780B1 (ko) 와이어 싱귤레이션 장치를 갖는 와이어 전달 시스템
US20080098593A1 (en) Wire insertion tool for push-in wire connectors
CN109301676B (zh) 数据线剥芯装置
KR101210387B1 (ko)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
JP2836726B2 (ja) 電線圧接装置の電線押し下げ機構及び電線押し下げ方法
US5517882A (en) Wire and cable cutting and stripping using slidable interfitting blades with complementary configurations
US4242929A (en) Wire strip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