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296B1 -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296B1
KR101651296B1 KR1020100134436A KR20100134436A KR101651296B1 KR 101651296 B1 KR101651296 B1 KR 101651296B1 KR 1020100134436 A KR1020100134436 A KR 1020100134436A KR 20100134436 A KR20100134436 A KR 20100134436A KR 101651296 B1 KR101651296 B1 KR 101651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racket
lever
fold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2600A (en
Inventor
최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0013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296B1/en
Publication of KR2012007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6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2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2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성 부품수가 작고 전체적인 외형적 부피가 크게 감소됨에 따라 중량 감소와 원가 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되고, 부품 모듈화에 따른 조립공정 축소 및 조립공정 상 발생할 수 있는 품질문제(조립부품누락, 유격발생 등)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소형차와 같이 크기가 작은 시트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olding a vehicle seat and a device for reducing the weight and cost of the vehicle as the number of components is reduced and the overall external volume is greatly reduced.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quality problems (omissions of assembling parts, occurrence of clearances, etc.) that may occur, and furthermore, it is sufficiently applicable to sheets of small size such as a compact car.

Description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열 시트를 구비한 차량에서 2열 시트의 적용된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olding a vehicle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folding a vehicle seat to which a two-seats sheet is applied in a vehicle having three seats.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seat back),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at of the vehicle comprises a seat cushion for supporting a passenger's lower body, a seat back for supporting the upper body, and a headrest for supporting the head and neck.

보통 3열 시트가 장착된 RV(Recreation Vehicle)차량에서 2열 시트는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한 리클라이닝 동작과, 상기 시트백을 전방으로 회전시켜서 완전히 접히도록 하는 폴딩 동작과, 3열 시트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해 2열 시트 자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워크인 동작을 함께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In a Recreation Vehicle (RV) vehicle in which a three-row seat is usually mounted, the two-row seat includes a reclining opera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seat back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folding operation in which the seatback is rotated forward to fully fold, It is necessary to have an operation such as a walk that can move the two-row seat itself forward for getting on and off.

여기서, 상기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동작은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연접부위에 장착된 리클라이닝 장치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고, 상기 시트백의 폴딩 동작과 워크인 동작은 공용적으로 사용하는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에 의해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Here, the reclining operation of the seat back can be operated by a reclining device mounted on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at cushion and the seat back, and the folding operation and the work in operation of the seatback are performed by a device, which is a folding- One operation is selected and used.

또한, 상기 2열 시트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동작시에는 폴딩 동작 및 워크인 동작은 진행되지 않아야 하고, 반대로 폴딩 동작 및 워크인 동작시에는 리클라이닝 장치의 작동이 함께 진행되어서 시트백의 전방쪽 회전이 함께 진행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olding operation and the work-in operation should not proceed during the reclining operation of the seat back in the above-described two-row seat, and the reclining opera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and the work- Is preferable.

본 발명은, 3열 시트를 구비한 차량에서 2열 시트의 폴딩 동작 및 워크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that is a folding walk of a vehicle seat that enables a folding operation and a walk-in operation of a two-row seat in a vehicle having a three-row se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는, 폴딩레버 조작시 회전할 수 있도록 시트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브라켓과; 상기 레버브라켓이 회전할 때에 시트쿠션프레임과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연접부위에 장착된 리클라이닝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브라켓과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기구와; 상기 레버브라켓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로터축을 매개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레일에 대한 이동레일의 이동을 구속하는 로크브라켓과 로크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된 로터와; 상기 시트백프레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결합되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폴딩 동작 및 워크인 동작시 상기 로터의 회전 유무에 따라 상기 로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된 서포트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레버브라켓과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로터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레버브라켓과 함께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로크케이블의 장력이 느슨해지도록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고 상기 서포트브라켓과의 접촉으로 상기 로터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로터가 소정 각도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레버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folding a work sheet of a vehicle seat, comprising: a lever bracket rotatably installed on a seat cushion frame so as to be rotatable when a folding lever is operated; A connecting mechanism installed to connect the lever bracket and the reclining device so as to operate a reclining device mounted on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at cushion frame and the seatback frame when the lever bracket rotates; A rotor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via a rotor shaft so as to be rotatable in association with rotation of the lever bracket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seat cushion frame, the lock bracket restricting movement of the movable rail relative to the fixed rail; A support bracket coupled to the seatback frame so as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seatback frame, the support bracket being provided to selectively contact the rotor in accordance with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seatback frame and the rotation of the rotor during a walk-in opera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rotor is connected to the rotor so that when the rotor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lever bracket, the rotor rotates so that the tension of the lock cable is loosened and the rotor rotate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And a lever pin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rotor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rotor rotat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로터가 상기 서포트브라켓과의 접촉으로 회전할 때에만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스토퍼브라켓과; 상기 레버핀의 작동으로 회전한 상기 로터를 탄력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로터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양단이 걸려져서 설치된 로터스프링과; 상기 서포트브라켓과의 접촉으로 회전한 상기 로터를 탄력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스토퍼브라켓에 양단이 걸려져서 설치된 스톱퍼스프링과; 상기 로터와 상기 스토퍼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레버핀의 작동으로 상기 로터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로터만이 상기 로터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서포트브라켓과의 접촉으로 상기 로터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로터와 상기 스토퍼브라켓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t cushion frame comprising: a base bracket fixed to the seat cushion frame; A stopper bracket installed on the base bracket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rotor shaft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or only when the rotor rotate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A rotor spring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tor and the base bracket so as to elastically return the rotor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pin; A stopper spring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ase bracket and the stopper bracket so as to elastically return the rotor rotated by the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Wherein the rotor is rotatable about the rotor axis when the rotor rotates by operation of the lever pin, and when the rotor rotates by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And a stopper pin for rotating the rotor and the stopper bracket together.

본 발명에 의한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는, 구성 부품수가 작고 전체적인 외형적 부피가 크게 감소됨에 따라 중량 감소와 원가 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되고, 부품 모듈화에 따른 조립공정 축소 및 조립공정 상 발생할 수 있는 품질문제(조립부품누락, 유격발생 등)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소형차와 같이 크기가 작은 시트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apparatus for folding and f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weight and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constituent parts and greatly reducing the overall external volume,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problem (omission of assembly parts, occurrence of clearances, etc.), and furthermore, it is sufficiently applicable to a seat of a small size such as a compact c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가 적용된 시트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의 구성과 폴딩 동작 및 워크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eet to which a folding-
Figs. 2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folding operation and work-in operation of a folding-together workpie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는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레버(1) 조작시 회전할 수 있도록 시트쿠션프레임(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브라켓(5)과, 상기 레버브라켓(5)이 회전할 때에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과 시트백프레임(7)의 연접부위에 장착된 리클라이닝 장치(7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브라켓(5)과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7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기구(9)와, 상기 레버브라켓(5)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로터축(11)을 매개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레일(13)에 대한 이동레일(15)의 이동을 구속하는 로크브라켓(17)과 로크케이블(19)을 매개로 연결된 로터(21)와, 상기 시트백프레임(7)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백프레임(7)에 결합되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7)의 폴딩 동작 및 워크인 동작시 상기 로터(21)의 회전 유무에 따라 상기 로터(21)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된 서포트브라켓(23)과, 일단은 상기 레버브라켓(5)과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로터(21)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레버브라켓(5)과 함께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로크케이블(19)의 장력이 느슨해지도록 상기 로터(21)를 회전시키고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의 접촉으로 상기 로터(21)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로터(21)가 소정 각도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레버핀(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14, the apparatus for folding and folding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ever bracket 5 rotatably provided on a seat cushion frame 3 so as to be rotatable when a folding lever 1 is operated The lever bracket 5 and the seat cushion frame 3 are mounted on the seat cushion frame 3 so as to operate the reclining device 70 moun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at cushion frame 3 and the seatback frame 7 when the lever bracket 5 rotates. A connecting mechanism 9 installed to connect the reclining device 70 to the seat cushion frame 3 via a rotor shaft 11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lever bracket 5, A rotor 21 connected to the fixed rail 13 via a lock bracket 17 and a lock cable 19 for restraining movement of the movable rail 15 relative to the fixed rail 13, (7) so as to allow the seat back A support bracket 23 installed to selectively contact the rotor 21 according to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frame 7 and the rotation of the rotor 21 during a work in operation and one end of the support bracket 23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ver bracket 5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rotor 21 so as to rotate the rotor 21 so that the tension of the lock cable 19 is loosened when the lever 21 rotates together with the lever bracket 5 and the support bracket 23 And a lever pin 25 that restrains the rotor 21 from rotat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rotor 21 rotates in contact with the rotor 2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브라켓(27)과, 상기 베이스브라켓(27)에 상기 로터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로터(21)가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의 접촉으로 회전할 때에만 상기 로터(21)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스토퍼브라켓(29)과, 상기 레버핀(25)의 작동으로 회전한 상기 로터(21)를 탄력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로터(21)와 상기 베이스브라켓(27)에 양단이 걸려져서 설치된 로터스프링(31)과,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의 접촉으로 회전한 상기 로터(21)를 탄력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27)과 상기 스토퍼브라켓(29)에 양단이 걸려져서 설치된 스톱퍼스프링(33)과, 상기 로터(21)와 상기 스토퍼브라켓(29)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레버핀(25)의 작동으로 상기 로터(21)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로터(21)만이 상기 로터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의 접촉으로 상기 로터(21)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로터(21)와 상기 스토퍼브라켓(29)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핀(3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ase bracket 27 fixed to the seat cushion frame 3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bracket 27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rotor shaft 11, A stopper bracket 29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or 21 only when the rotor 21 rotates by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23 and the rotor 21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pin 25, A rotor spring 31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tor 21 and the base bracket 27 so that the rotor 21 can be elastically returned to the support bracket 23 and the rotor 21 rotat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23, A stopper spring 33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se bracket 27 and the stopper bracket 29 so as to be able to return to the stopper bracket 29. The stopper spring 33 is provided to connect the rotor 21 and the stopper bracket 29, By operation of the pin 25, Only the rotor 21 rotates about the rotor shaft 11 when the rotor 21 rotates and the rotor 21 rotates when the rotor 21 rotate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23, And a stopper pin 35 for rotating the stopper bracket 29 together.

여기서,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70)는 시트의 좌우측에 두 개가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리클라이닝 장치(70)는 리클라이닝 샤프트(37)를 매개로 일체로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37)는 상기 시트백프레임(7)의 상단에 장착된 워크인레버(39)와 워크인케이블(41)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상기 워크인케이블(41)이 상기 워크인레버(39)쪽으로 당겨질 때와 또는 상기 폴딩레버(1)의 조작에 따른 상기 연결기구(9)의 회전시에 각각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Two of the reclining devices 70 are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seat and the two reclining devices 7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eclining shaft 37. The reclining device 70 When the work-in cable 41 is pulled toward the work-in lever 39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ever 39 which is a work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tback frame 7 via the work-in cable 41 Or the shafts are rotatably provided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connecting mechanism (9)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olding lever (1).

한편,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70)는 도 4에 도시된 라운드형 리클라이닝 장치를 일례로서 설명한다.Meanwhile, the reclining apparatus 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 of the round type reclining apparatus shown in FIG.

상기 라운드형 리클라이닝 장치(70)는 크게 시트쿠션프레임(3)과 결합되는 플레이트홀더(71)와 시트백프레임(7)에 결합되는 섹터투스(7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홀더(71)에는 회전중심돌기(71a)가 형성되고, 상기 섹터투스(72)에는 기어치(72a)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홀더(71)와 섹터투스(72) 사이의 공간에 리클라이닝 샤프트(37)와 스플라인 결합된 캠레버(73), 캠스프링(74), 기어치(75a)가 형성된 폴투스(75)가 설치된 구성이다.The round reclining device 70 mainly comprises a plate holder 71 coupled to the seat cushion frame 3 and a sector tooth 72 coupled to the seatback frame 7, And a gear tooth 72a is formed in the sector tooth 72. The rotation center protrusion 71a is formed in the sector tooth 72 and the reclining shaft 37 and the spline 72 ar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plate holder 71 and the sector tooth 72, A cam lever 73, a cam spring 74, and a pole tooth 75 formed with a gear tooth 75a.

도 4의 도시 상태는 섹터투스(72)와 기어치(72a)와 폴투스(75)의 기어치(75a)가 치합을 이루고 있는 록킹 상태로서, 도 4의 상태에서 리클라이닝 샤프트(37)의 회전에 의해 캠레버(73)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폴투스(75)가 회전 중심돌기(71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섹터투스(72)와 기어치(72a)와 폴투스(75)의 기어치(75a)가 치합 해제됨에 따라 이때부터 록킹 해제상태가 된다.4 is a locking state in which the sector tooth 72, the gear teeth 72a and the gear teeth 75a of the pawl teeth 75 mesh with each other. In the state shown in Fig. 4, the rotation of the reclining shaft 37 When the cam lever 73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pole tooth 75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center projection 71a, so that the sector tooth 72 and the gear teeth 72a are rotated, And the gear teeth 75a of the pawl tooth 75 are released from engagement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은 록킹 해제상태에서는 섹터투스(72)가 플레이트홀더(71)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시트백은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unlocked stat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tor tooth 72 can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plate holder 71, the seatback can be adjus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그리고, 시트백의 각도조절 후 리클라이닝 샤프트(37)의 가해주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캠스프링(74)의 복원력으로 캠레버(73)가 복귀하고, 계속해서 폴투스(75)가 복귀하여 섹터투스(72)의 기어치(72a)와 폴투스(75)의 기어치(75a)가 다시 치합된 록킹상태를 이룸에 따라 시트백은 각도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external force exerted by the reclining shaft 37 is removed after the angle of the seat back is adjusted, the cam lever 73 is return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am spring 74 and the pole tooth 75 is returned to the sector tooth 72 and the gear teeth 75a of the pawl tooth 7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eatback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angle adjustment is comple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라운드형 리클라이닝 장치(70)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번호 10-0923944호에 기재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였다.The round type reclining apparatus 7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923944 filed and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briefly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레버브라켓(5)과 상기 연결기구(9)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의 바깥쪽 측면에 설치된 구조이고, 상기 로터(21)와 상기 베이스브라켓(27)과 상기 스토퍼브라켓(29)은 상기 레버브라켓(5)과 대향하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의 안쪽 측면에 설치된 구조이다.The lever bracket 5 and the connecting mechanism 9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eat cushion frame 3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or 21, the base bracket 27, The stopper bracket 29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at cushion frame 3 so as to face the lever bracket 5.

상기 레버브라켓(5)은 세 개의 단부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그 중 하나의 단부는 레버축(5a)을 매개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폴딩레버(1)와의 연결을 위한 폴딩케이블(43)의 일단이 결합되며, 나머지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기구(9)가 결합된다.The lever bracket 5 is formed to have three ends, on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 cushion frame 3 via a lever shaft 5a, One end of a folding cable 43 for connection with the connector 1 is coupled, and the connector 9 is coupled to the other end.

상기 연결기구(9)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을 관통한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37)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된 샤프트브라켓(9a)과, 상기 레버브라켓(5)과 상기 샤프트브라켓(9a)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로드브라켓(9b)으로 구성된다.The connecting mechanism 9 includes a shaft bracket 9a integr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reclining shaft 37 penetrating the seat cushion frame 3 and a shaft bracket 9b integrally coupled to the lever bracket 5 and the shaft bracket 9a, And a load bracket 9b installed to connect the load bracket 9b.

그리고, 상기 레버핀(25)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에는 상기 레버브라켓(5)이 상기 레버축(5a)을 중심으로 회전을 할 때에 상기 레버핀(25)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핀구멍(3a)이 상기 레버브라켓(5)의 회전 반경을 따라 원호모양으로 형성된다.The lever pin 25 is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seat cushion frame 3. To this end, the lever bracket 5 is rotated about the lever shaft 5a to the seat cushion frame 3 A lever pin hole 3a for enabling the movement of the lever pin 25 is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the turning radius of the lever bracket 5. [

그리고, 상기 로터(21)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레버핀(25)과 접촉하는 레버핀접촉돌기(21a),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의 접촉으로 상기 로터(21)가 회전할 때에 일측은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레버핀(25)과 접촉하는 스토퍼돌기(21b), 상기 로크케이블(19)의 일단이 결합되는 케이블결합돌기(21c)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 is provided with a lever pin contact protrusion 21a for contacting the lever pin 25 and a lever pin contact protrusion 21a on one side when the rotor 21 is rotated by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23, A stopper projection 21b which contacts the support bracket 23 and contacts the lever pin 25 on the other side and a cable coupling protrusion 21c to which one end of the lock cable 19 is coupled project radially outward Respectively.

또한, 상기 로터(21) 몸체에는 상기 로터스프링(31)의 일단이 결려져 고정되는 스프링결합홀(21d) 및, 상기 스토퍼핀(35)의 일단이 관통하고 상기 로터(21)의 회전 반경을 따라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로터구멍(21e)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The rotor 21 has a spring engagement hole 21d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rotor spring 31 is coupled and fixed and a stopper pin 35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stopper pin 35 passes, A rotor hole 21e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is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로터(21)의 바깥 둘레면 중 상기 레버핀접촉돌기(21a)와 상기 스토퍼돌기(21b) 사이의 둘레면은 상기 로터(21)의 회전 반경을 따른 원호곡면(21f)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버핀접촉돌기(21a)에서 상기 로터구멍(21e)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상기 로터축(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핀삽입홈(21g)이 형성된 구조이다.The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lever pin contact protrusion 21a and the stopper protrusion 21b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 is formed as a circular arc curved surface 21f along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rotor 21 And a pin insertion groove 21g which is reces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rotor shaft 11 is form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otor hole 21e from the lever pin contact protrusion 21a.

그리고, 상기 베이스브라켓(27)에서 상기 로터구멍(21e)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로터(21)의 회전 반경을 따라 원호모양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스토퍼핀(35)의 타단이 관통하는 브라켓구멍(27a)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A bracket hole 27a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rotor hole 21e in the base bracket 27 so as to have an arc shape along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rotor 21 and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pin 35 passes ) Are integrally formed.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되 먼저 시트백의 폴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seat back will be described.

차량 탑승자가 폴딩레버(1)를 도 2의 도시 상태에서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브라켓(45)이 도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폴딩케이블(43)이 상기 회전브라켓(45)쪽으로 당겨진다.When the vehicle occupant rotates the folding lever 1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2, the rotation bracket 45 rotates clockwise in the illustrated state, and the folding cable 43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

그러면, 레버브라켓(5)이 레버축(5a)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레버핀(25)은 레버핀구멍(3a)을 따라 이동한다.Then, the lever bracket 5 rotates counterclockwise about the lever shaft 5a, and the lever pin 25 moves along the lever pin hole 3a.

상기 레버브라켓(5)이 도 2의 도시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로드브라켓(9b)과 연결된 샤프트브라켓(9a)이 도시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샤프트브라켓(9a)과 결합된 리클라이닝 샤프트(37)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시트 좌우 양측에 장착된 리클라이닝 장치(70)는 섹터투스(72)와 기어치(72a)와 폴투스(75)의 기어치(75a)가 치합 해제됨에 따라 이때부터 록킹 해제상태가 된다.When the lever bracket 5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state of FIG. 2, the shaft bracket 9a connected to the rod bracket 9b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illustrated state, The reclining device 70 mount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sector tooth 72 and the gear teeth 72a and the teeth of the pole teeth 75 As the teeth 75a are disengaged, the lock state is released from this time.

또한, 레버브라켓(5)이 레버축(5a)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레버핀(25)은 레버핀구멍(3a)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레버핀(25)은 도 3의 도시 상태에서 레버핀접촉돌기(21a)와의 접촉으로 로터(2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로터(21)는 로터축(11)을 중심으로 도 8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레버핀(25)은 도 8과 같이 상기 로터(21)의 핀삽입홈(21g)으로 삽입된다.When the lever bracket 5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lever shaft 5a and simultaneously the lever pin 25 moves along the lever pin hole 3a, The rotor 21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contact with the lever pin contact protrusion 21a in the state of Fig. 8, so that the rotor 21 rotates clockwise around the rotor shaft 11 At this time, the lever pin 25 is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groove 21g of the rotor 21 as shown in FIG.

여기서, 로터(21)가 도 3의 도시 상태와 같이 회전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로터(21)의 스토퍼돌기(21b)가 서포트브라켓(23)의 회전 반경에 위치하여 상기 서포트브라켓(23)의 회전을 구속하는 상태이지만, 도 8의 도시 상태와 같이 상기 로터(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가 되면 상기 스토퍼돌기(21b)는 서포트브라켓(23)의 회전 반경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상기 서포트브라켓(23)은 스토퍼돌기(21b)에 의한 구속이 없어져서 자유롭게 회전된다.3, the stopper projection 21b of the rotor 21 is positioned at the rotation radius of the support bracket 23 so that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racket 23 The stopper protrusion 21b deviates from the turning radius of the support bracket 23 when the rotor 21 rotates clockwise as shown in Fig. 8, The support bracket 23 is free to be restrained by the stopper projection 21b and freely rotated.

또한, 로터(21)가 레버핀(25)에 의해 도 3에서 도 8의 도시 상태와 같이 로터축(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로터스프링(21)은 압축된 상태가 되고, 로크케이블(19)은 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rotor 21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rotor shaft 11 as shown in FIG. 3 through FIG. 8 by the lever pin 25, the rotor spring 21 is in a compressed state , The lock cable 19 maintains a loose state in which no tension is generated.

상기 로크케이블(19)이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로크브라켓(17)에 구비된 포크(17a)는 도 9와 같이 고정레일(13)과 이동레일(15)의 포크구멍(13a,15a)을 동시에 관통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상기 이동레일(15)은 상기 고정레일(13)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없는 구속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The fork 17a provided in the lock bracket 17 is inserted into the fork holes 13a and 15a of the fixed rail 13 and the movable rail 15 as shown in FIG. The movable rails 15 are held in a restrained state in which they can not slide with respect to the fixed rails 13.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장치(70)가 록킹 해제상태가 되고, 동시에 로터(21)가 도 8의 도시 상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가 되면, 시트백프레임(7)은 리클라이닝 스프링(47)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결과 차량의 시트백은 도 10과 같이 폴딩된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lining device 70 is in the unlocked state and the rotor 21 is rotated clockwise as shown in Fig. 8, the seatback frame 7 is rotated by the reclining spring 47 So that the seat back of the vehicle is folded as shown in Fig.

상기 리클라이닝 스프링(47)은 코일스프링으로 일단은 시트쿠션프레임(3)에 걸려져서 설치되고 타단은 서포트브라켓(23)에 걸려져서 설치된 구조이다.The reclining spring 47 is a coil spring having one end hooked to the seat cushion frame 3 and the other end hooked to the support bracket 23.

도 10과 같이 시트백프레임(7)이 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가 되더라도, 로크브라켓(17)의 구속력에 의해 이동레일(15)은 고정레일(13)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없는 바, 이로 인해 시트의 워크인 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The movable rail 15 is slid forward along the fixed rail 13 by the restraining force of the lock bracket 17 even if the seat back is folded as the seat back frame 7 rotates forward as shown in Fig. And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seat as a workpiece does not occur.

그리고, 전방으로 회전하여 폴딩된 시트백은 사용자가 다시 시트백을 후방으로 밀어서 세워주면 도 1과 같은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어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When the user pushes the seatback backward, the folded back seatback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1 and prepares for the next operation.

다음으로, 시트의 워크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heet as a workpiece will be described.

차량 탑승자가 시트백의 상단에 장착된 워크인레버(39)를 도 11과 같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주게 되면 워크인케이블(41)이 상기 워크인레버(39)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워크인케이블(41)의 작용에 의해 좌측 샤프트브라켓(49)이 도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좌측 샤프트브라켓(49)과 일체로 결합된 리클라이닝 샤프트(37)는 도 11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vehicle occupant lifts the lever 39, which is a work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tback, as shown in Fig. 11, the work-in cable 41 is pulled toward the work-in lever 39, The left shaft bracket 49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action of the left shaft bracket 49 and the reclining shaft 37 integrally coupled with the left shaft bracket 49 rotates clockwise in the state of FIG. do.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37)가 도 11의 도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는 도 2의 도시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와 동일한 바, 상기와 같이 리클라이닝 샤프트(37)가 회전하면 동시에 리클라이닝 장치(70)는 록킹 해제상태가 되고, 동시에 우측의 샤프트브라켓(9a)도 도 2의 도시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state in which the reclining shaft 37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11 is the same as the state in which the reclining shaft 37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state shown in Fig. 2. When the reclining shaft 37 is rotated, The apparatus 70 is brought into the unlocked s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shaft bracket 9a on the right side also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우측의 샤프트브라켓(9a)가 도 2의 도시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샤프트브라켓(9a)과 연결된 로드브라켓(9b)의 작동에 의해 레버브라켓(5)이 레버축(5a)을 중심으로 도 2의 도시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또한 레버핀(25)이 레버핀구멍(3a)을 따라 이동하면서 로터(21)와 접촉하여 상기 로터(21)를 도 3의 도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지만, 상기 레버핀(25)에 의한 로터(21)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보다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70)의 록킹 해제가 먼저 진행됨에 따라 시트백프레임(7) 및 서포트브라켓(23)은 리클라이닝 스프링(47)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신속하게 회전하게 된다.2, the operation of the rod bracket 9b connected to the shaft bracket 9a causes the lever bracket 5 to mov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lever shaft 9a And the lever pin 25 is moved along the lever pin hole 3a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rotor 21 to rotate the rotor 21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eat back frame 7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3, but the locking of the reclining device 70 is performed earlier than the rotation of the rotor 21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lever pin 25, And the support bracket 23 are quickly rotated for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clining spring 47.

그러면, 로터(21)의 스토퍼돌기(21b)가 서포트브라켓(23)의 회전반경을 벗어나기 전에 상기 스토퍼돌기(21b)는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터(21)는 도 12의 도시 상태와 같이 스토퍼브라켓(29)과 함께 로터축(11)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바, 상기 로터(21)의 반 시계방향 회전은 스토퍼돌기(21b)가 레버핀(25)에 걸려질 때까지 진행된다.The stopper projection 21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23 before the stopper projection 21b of the rotor 21 moves away from the rotation radius of the support bracket 23, The rotor 21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rotor shaft 11 together with the stopper bracket 29 as shown in the state of FIG. 12. The rotation of the rotor 21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auses the stopper protrusion 21b to rotate (25).

도 12의 상태와 같이 로터(21)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시트백프레임(7)이 전방으로 회전을 하여 로터(21)의 스토퍼돌기(21b)가 레버핀(25)에 걸려져 고정되면, 상기 시트백프레임(7)은 전방으로 완전히 회전된 상태 즉 도 10과 같이 폴딩 상태가 되는 것이 아니라 대략 30도(°) 내외의 각도로 회전해서 고정된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차량의 시트백은 전방으로 반 폴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12, when the rotor 21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seatback frame 7 rotates forward and the stopper projection 21b of the rotor 21 is caught and fixed to the lever pin 25 , The seatback frame 7 is not fully folded forward, that is, folded as shown in FIG. 10, but is rotated and fixed at an angle of about 30 degrees (degrees) Folded state.

또한, 시트백의 반 폴딩 상태 유지를 위해 상기와 같이 로터(21)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로크케이블(19)이 도 12와 같이 상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장력이 발생하여 로크브라켓(17)을 도 12의 도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When the rotor 21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maintain the half-folded state of the seatback, tension is generated as the lock cable 19 is pulled upward as shown in FIG. 12, and the lock bracket 17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그러면, 로크브라켓(17)에 구비된 포크(17a)는 도 13과 같이 고정레일(13)과 이동레일(15)의 포크구멍(13a,15a)으로부터 모두 다 빠지게 됨에 따라 이동레일(15)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이동레일(15)은 워크인스프링(51)의 당기력(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레일(13)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 바, 이 결과 차량의 시트는 도 14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한 워크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13, the fork 17a provided in the lock bracket 17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fork holes 13a, 15a of the fixed rail 13 and the movable rail 15, The movable rail 15 is slid forward along the fixed rail 13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work-in spring 51.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4, a walk-in operation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워크인스프링(51)은 압축스프링으로 일단은 전방쪽 고정레일(13)에 걸려져서 설치되고 타단은 후방쪽 이동레일(15)에 결려져 설치된 상태로서, 시트쿠션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워크인 동작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길이가 줄어드는 작동을 하게 된다.Here, the work-in spring 51 is a compression spring, one end of which is hooked to the front-side fixed rail 1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ear-side moving rail 15, and the seat cushion is moved rearward In the state, the length is maintained in the increased state,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which the length is reduc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work-in operation.

그리고, 전방으로 이동하여 워크인 동작으로 한 시트를 사용자가 다시 시트를 후방으로 밀어주고, 반 폴딩된 시트백은 회전시켜서 세워주면 도 1과 같은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어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When the user pushes back the seat backward by moving the seat forward by the work in operation and the half-folded seatback is rotated, the seat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1 and the next operation is prepar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백의 폴딩 동작과 시트의 워크인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본 발명에 따른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는 구성 부품수가 작고 전체적인 외형적 부피가 크게 감소된 장치인 바, 이로 인해 중량 감소와 원가 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소형차와 같이 크기가 작은 시트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seatback and the work operation of the seat can be performed together. The apparatus, which is a folding wal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having a small number of component parts and a greatly reduced overall external volume This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weight reduction and cost reduction, and furthermore, it can be applied to a sheet having a small size such as a compact car.

또한, 본 발명은 부품 모듈화에 따른 조립공정 축소 및 조립공정 상 발생할 수 있는 품질문제(조립부품누락, 유격발생 등)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greatly reducing the quality problems (omission of assembled parts, occurrence of clearances, etc.) that may occur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and the assembling process due to the part modularization.

1 - 폴딩레버 3 - 시트쿠션프레임
5 - 레버브라켓 7 - 시트백프레임
9 - 연결기구 11 - 로터축
13 - 고정레일 15 - 이동레일
17 - 로크브라켓 19 - 로크케이블
21 - 로터 23 - 서포트브라켓
25 - 레버핀 27 - 베이스브라켓
29 - 스토퍼브라켓 37 - 리클라이닝 샤프트
39 - 워크인레버 70 - 리클라이닝 장치
1 - Folding lever 3 - Seat cushion frame
5 - Lever bracket 7 - Seatback frame
9 - Connecting device 11 - Rotor shaft
13 - fixed rail 15 - movable rail
17 - Lock bracket 19 - Lock cable
21 - Rotor 23 - Support Bracket
25 - Lever pin 27 - Base bracket
29 - Stopper bracket 37 - Reclining shaft
39 - Walk in lever 70 - Reclining device

Claims (10)

폴딩레버(1) 조작시 회전할 수 있도록 시트쿠션프레임(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브라켓(5)과;
상기 레버브라켓(5)이 회전할 때에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과 시트백프레임(7)의 연접부위에 장착된 리클라이닝 장치(7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브라켓(5)과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7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기구(9)와;
상기 레버브라켓(5)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로터축(11)을 매개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레일(13)에 대한 이동레일(15)의 이동을 구속하는 로크브라켓(17)과 로크케이블(19)을 매개로 연결된 로터(21)와;
상기 시트백프레임(7)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백프레임(7)에 결합되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7)의 폴딩 동작 및 워크인 동작시 상기 로터(21)의 회전 유무에 따라 상기 로터(21)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된 서포트브라켓(23)과;
일단은 상기 레버브라켓(5)과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로터(21)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레버브라켓(5)과 함께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로크케이블(19)의 장력이 느슨해지도록 상기 로터(21)를 회전시키고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의 접촉으로 상기 로터(21)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로터(21)가 소정 각도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레버핀(25)
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A lever bracket 5 rotatably provided on the seat cushion frame 3 so as to be rotatable when the folding lever 1 is operated;
The lever bracket 5 and the reclining device 7 are operated so that the reclining device 70 moun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at cushion frame 3 and the seatback frame 7 when the lever bracket 5 rotates. A connecting mechanism (9)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70, 70);
A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eat cushion frame 3 via a rotor shaft 11 so as to be rotatable in association with rotation of the lever bracket 5 and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oving rail 15 A rotor 21 connected to the lock bracket 17 via a lock cable 19;
The seat back frame 7 is coupled to the seat back frame 7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at back frame 7 so that the seat back frame 7 can be folded and operated, A support bracket 23 provided to be in selective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23;
One end of which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lever bracket 5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rotor 21 so that when the lever bracket 5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lever bracket 5, And a lever pin 25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rotor 21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rotor 21 rotates by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23,
Wherein the folding of the vehicle seat is carried out by the folding of the vehicle se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브라켓(27)과;
상기 베이스브라켓(27)에 상기 로터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로터(21)가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의 접촉으로 회전할 때에만 상기 로터(21)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스토퍼브라켓(29)과;
상기 레버핀(25)의 작동으로 회전한 상기 로터(21)를 탄력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로터(21)와 상기 베이스브라켓(27)에 양단이 걸려져서 설치된 로터스프링(31)과;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의 접촉으로 회전한 상기 로터(21)를 탄력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27)과 상기 스토퍼브라켓(29)에 양단이 걸려져서 설치된 스톱퍼스프링(33)과;
상기 로터(21)와 상기 스토퍼브라켓(29)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레버핀(25)의 작동으로 상기 로터(21)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로터(21)만이 상기 로터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의 접촉으로 상기 로터(21)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로터(21)와 상기 스토퍼브라켓(29)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핀(35)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The seat cushion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se bracket (27) fixed to the seat cushion frame (3);
The base bracket 27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rotor shaft 11 so that the rotor 21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or 21 only when the rotor 21 rotate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23 An installed stopper bracket 29;
A rotor spring (31)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tor (21) and the base bracket (27) so as to elastically return the rotor (21)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pin (25);
A stopper spring 33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se bracket 27 and the stopper bracket 29 so as to elastically return the rotor 21 rotated by the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23;
When the rotor 21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pin 25, only the rotor 21 rotates around the rotor shaft 11 A stopper pin 35 for allowing the rotor 21 and the stopper bracket 29 to rotate together when the rotor 21 rotates due to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23,
Wherein the folding wall is a folding wall of the vehicle se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70)는 시트의 좌우측에 두 개가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리클라이닝 장치(70)는 리클라이닝 샤프트(37)를 매개로 일체로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37)는 상기 시트백프레임(7)의 상단에 장착된 워크인레버(39)와 워크인케이블(41)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상기 워크인케이블(41)이 상기 워크인레버(39)쪽으로 당겨질 때와 또는 상기 폴딩레버(1)의 조작에 따른 상기 연결기구(9)의 회전시에 각각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The reclining apparatus (7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wo of the reclining device (70)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The two reclining devices 70 are installed so as to be operatively connected together through a reclining shaft 37;
The reclining shaft 37 is connected to a lever 39 which is a work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tback frame 7 via a work-in cable 41 so that the work- ), Or when the connecting mechanism (9) is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olding lever (1)
Wherein the folding portion is a folding portion of the vehicle sea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브라켓(5)과 상기 연결기구(9)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의 바깥쪽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로터(21)와 상기 베이스브라켓(27)과 상기 스토퍼브라켓(29)은 상기 레버브라켓(5)과 대향하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의 안쪽 측면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3. The seat cush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ever bracket (5) and the connecting mechanism (9) are install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eat cushion frame (3);
The rotor 21, the base bracket 27 and the stopper bracket 29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at cushion frame 3 so as to face the lever bracket 5
Wherein the folding portion is a folding portion of the vehicle sea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버브라켓(5)은 세 개의 단부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그 중 하나의 단부는 레버축(5a)을 매개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폴딩레버(1)와의 연결을 위한 폴딩케이블(43)의 일단이 결합되며;
나머지 하나의 단부는 상기 연결기구(9)가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5. The seat cushion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lever bracket (5) is formed to have three ends, on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 cushion frame (3) via a lever shaft (5a)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one end of a folding cable 43 for connection with the folding lever 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chanism 9
Wherein the folding portion is a folding portion of the vehicle sea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9)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을 관통한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37)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된 샤프트브라켓(9a)과;
상기 레버브라켓(5)과 상기 샤프트브라켓(9a)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로드브라켓(9b)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onnecting mechanism (9)
A shaft bracket 9a integr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reclining shaft 37 passing through the seat cushion frame 3;
A rod bracket 9b provided to connect the lever bracket 5 and the shaft bracket 9a,
Wherein the folding portion is a folding portion of the vehicle sea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버핀(25)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에는 상기 레버브라켓(5)이 상기 레버축(5a)을 중심으로 회전을 할 때에 상기 레버핀(25)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핀구멍(3a)이 상기 레버브라켓(5)의 회전 반경을 따라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6. The sea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ever pin (25)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seat cushion frame (3);
A lever pin hole 3a for allowing the lever pin 25 to move when the lever bracket 5 is rotated about the lever shaft 5a is provided in the seat cushion frame 3, (5) in the shape of an arc along the radius of rotation
Wherein the folding portion is a folding portion of the vehicle sea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터(21)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레버핀(25)과 접촉하는 레버핀접촉돌기(21a),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의 접촉으로 상기 로터(21)가 회전할 때에 일측은 상기 서포트브라켓(23)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레버핀(25)과 접촉하는 스토퍼돌기(21b), 상기 로크케이블(19)의 일단이 결합되는 케이블결합돌기(21c)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21) 몸체에는 상기 로터스프링(31)의 일단이 결려져 고정되는 스프링결합홀(21d) 및, 상기 스토퍼핀(35)의 일단이 관통하고 상기 로터(21)의 회전 반경을 따라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로터구멍(21e)이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The ro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 is provided with a lever pin contact projection (21a) for contacting the lever pin (25) A stopper projection 21b on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23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ever pin 25 and a cable coupling protrusion 21c on which one end of the lock cable 19 is engaged, As shown in Fig.
The rotor 21 has a spring engagement hole 21d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rotor spring 31 is coupled and fixed and an end of the stopper pin 35 through which a circular arc Shaped rotor holes 21e are integrally formed
Wherein the folding portion is a folding portion of the vehicle sea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터(21)의 바깥 둘레면 중
상기 레버핀접촉돌기(21a)와 상기 스토퍼돌기(21b) 사이의 둘레면은 상기 로터(21)의 회전 반경을 따른 원호곡면(21f)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버핀접촉돌기(21a)에서 상기 로터구멍(21e)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상기 로터축(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핀삽입홈(21g)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The roto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lever pin contact protrusion 21a and the stopper protrusion 21b is formed as a circular arc curved surface 21f along the turning radius of the rotor 21;
A pin insertion groove 21g is form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otor hole 21e from the lever pin contact protrusion 21a so as to be recess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otor shaft 11
Wherein the folding portion is a folding portion of the vehicle sea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27)에서 상기 로터구멍(21e)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스토퍼핀(35)의 타단이 관통하고 상기 로터(21)의 회전 반경을 따라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브라켓구멍(27a)이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The roto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pin (35) passes through a position opposite to the rotor hole (21e) in the base bracket (27) (27a) are integrally formed
Wherein the folding portion is a folding portion of the vehicle seat.
KR1020100134436A 2010-12-24 2010-12-24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KR1016512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36A KR101651296B1 (en) 2010-12-24 2010-12-24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36A KR101651296B1 (en) 2010-12-24 2010-12-24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600A KR20120072600A (en) 2012-07-04
KR101651296B1 true KR101651296B1 (en) 2016-08-25

Family

ID=4670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436A KR101651296B1 (en) 2010-12-24 2010-12-24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29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543A (en)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다스 Seat Having variable Shaft for Vehicle
KR101897405B1 (en) * 2017-04-19 2018-09-12 주식회사다스 Vehicle dual motion walk-in
KR20180112296A (en) * 2017-04-03 2018-10-12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for vehicle
KR20210002738U (en) 2020-06-01 2021-12-0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Operating safety apparatus of 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557B1 (en) 2013-12-02 2019-12-03 주식회사 다스 Walk-in memory apparatus for seat of car
KR102220815B1 (en) * 2020-01-10 2021-02-26 (주)케이엠앤아이 Work-In and Fold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Seat
CN113706872B (en) * 2021-09-27 2023-04-18 陕西汉唐计算机有限责任公司 Fatigue driving prevention method
CN115366760A (en) * 2022-08-23 2022-11-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Supplementary seat structure and car that rese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090B1 (en) 2005-06-22 2006-11-24 주식회사 오스템 Walk in device of vehicular seat
KR100805414B1 (en) 2006-12-14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he folding apparatus which is the work of the seat for a car
JP2010083343A (en) 2008-09-30 2010-04-15 Ts Tech Co Ltd Seat arrangement apparatus of seat of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720B1 (en) * 2001-04-30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cliner of seat for automobile
KR100606436B1 (en) * 2004-12-27 2006-08-01 주식회사다스 Recliner assembly with walk in and fold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090B1 (en) 2005-06-22 2006-11-24 주식회사 오스템 Walk in device of vehicular seat
KR100805414B1 (en) 2006-12-14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he folding apparatus which is the work of the seat for a car
JP2010083343A (en) 2008-09-30 2010-04-15 Ts Tech Co Ltd Seat arrangement apparatus of seat of automobi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543A (en)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다스 Seat Having variable Shaft for Vehicle
KR20180112296A (en) * 2017-04-03 2018-10-12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for vehicle
KR101981050B1 (en) * 2017-04-03 2019-06-20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for vehicle
KR101897405B1 (en) * 2017-04-19 2018-09-12 주식회사다스 Vehicle dual motion walk-in
KR20210002738U (en) 2020-06-01 2021-12-0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Operating safety apparatus of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600A (en)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296B1 (en)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KR100794038B1 (en) A locking equipment for vehicle's folding seat
KR101241161B1 (en) Seat for vehicle
KR101210155B1 (en) Back reclining device interconnected with cushion of seat for vehicle
JP3472515B2 (en) Rotating seat, especially for rolling stock
CN101412381B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6006720A (en) Seat storage device for vehicle
CN108698529B (en) Headrest assembly and seat for motor vehicle
JP2009067345A (en) Vehicle seat
US8162393B2 (en) Headrest
KR101268179B1 (en)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KR101578944B1 (en)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KR101372960B1 (en) Apparatus for folding and walk-in motions of vehicle seat
KR101651297B1 (en)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KR101853739B1 (en) Recliner device for vehicle having work in funtion
KR100559464B1 (en) Reclin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KR101095299B1 (en) Apparatus for reclining seat in vehicle
JP5343710B2 (en) Ottoman equipment
KR20120036610A (en) Apparatus for improving angle folding of seat back
KR101881860B1 (en) Recliner Unit with Folding based on Reclining
KR101869052B1 (en) Seat Having variable Shaft for Vehicle
WO2013094342A1 (en) Vehicle footrest device and vehicle seat with same
JP2004105363A (en) Reclining device
JP2009149219A (en) Seat for vehicle
JP3964340B2 (en)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