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781B1 - 2단 핸드 카트 - Google Patents

2단 핸드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781B1
KR101650781B1 KR1020160073749A KR20160073749A KR101650781B1 KR 101650781 B1 KR101650781 B1 KR 101650781B1 KR 1020160073749 A KR1020160073749 A KR 1020160073749A KR 20160073749 A KR20160073749 A KR 20160073749A KR 101650781 B1 KR101650781 B1 KR 101650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grooves
handle
grooves
storage box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신동
Original Assignee
여신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신동 filed Critical 여신동
Priority to KR102016007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68Additional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7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collapsible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3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상부에 절첩식 수납함을 구비하여 본체와 수납함에 물건을 각각 적재하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과 더불어 적재효율 및 수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2단 핸드 카트에 관한 것으로, 본체(짐받이)(2)의 전후방 저부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형 캐스터(3) 및 회전형 캐스터(3k)와, 본체(2) 후방에 설치되는 절첩식 손잡이(4) 및 제동페달(7)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4) 상부에는 각종 사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납실(47)이 형성되는 수납함(10)이 절첩 수단에 의해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납함(10) 절첩 수단은, 수납함(10)의 전후측 테두리 부재(21)(2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홈(25)(26)과, 슬라이드홈(25)(26)을 따라 형성되고 슬라이드홈(25)(26)의 바깥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개방홈(23)(24)과, 상기 개방홈(23)(24)과 슬라이드홈(25)(26)의 전방 부분에 결합된 다음 무두볼트(33)로 고정되는 고정구(27)(28)와, 손잡이(4)의 측부재(4a)(4b)에 축결합 된 다음 슬라이드홈(25)(26)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홈(25)(26)의 길이방향으로 구름운동하는 롤러(35)(36)와, 고정구(27)(28)에 상단부가 축결합되고 손잡이(4)의 측부재(4a)(4b) 하단에 하단부가 축결합되는 지지부재(13)(14)로 구성된다.

Description

2단 핸드 카트{Hand cart of two floor}
본 발명은 2단 핸드 카트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단에 절첩식 수납함을 구성하여 본체와 수납함에 물건을 각각 적재하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과 더불어 적재효율 및 수납효율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건이나 공구, 부품 등(이하 '물건' 이라 한다)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핸드 카트(Hand Cart)는 물건을 얹거나 적재할 수 있도록 소정 평면적의 본체(짐받이)가 구비되고, 본체의 저부면 전후에는 복수의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가 각각 설치되고, 본체 후방에는 절첩식 손잡이와 제동수단(제동 페달)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드 카트의 손잡이를 밀면 전후방의 캐스터가 미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소정 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큰 힘들이지 않고 물건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최근 택배 운송이 보편화되고, 물류 창고가 대형화되는 환경에서 일정 구간 내에서 물건을 운반하는데 핸드 카트가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단층 구조의 본체 상부에만 물건을 얹거나 적재한 다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적재효율과 운반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본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테두리 부재가 없어 본체에 적재되거나 얹힌 물건이 운반 도중 밑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크기(부피)가 작은 물건(또는 부품이나 공구 등)을 운반하기에는 매우 비효율적인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9644호(발명의 명칭: 무한궤도를 갖는 핸드카트, 2011. 08. 25.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실1989-0000438호(고안의 명칭: 핸드 카트, 1989. 03. 10. 실용신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5495호(발명의 명칭: 인서트너트 운반용 카트리지, 2010. 06. 25. 특허공고)
본 발명은 핸드 카트 상부에 절첩식 수납함을 설치하여 본체 상부면과 수납함에 물건을 각각 적재하거나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효율 및 수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2단 핸드 카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정 평면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부 전후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와, 상기 본체 후방에 설치되는 절첩식 손잡이 및 제동 페달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 상단에 소정 평면적의 수납함을 절첩 수단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첩 수단은, 수납함의 전후측에 형성되는 테두리 부재와, 상기 테두리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형성되고 슬라이드홈의 바깥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개방홈과, 상기 개방홈과 슬라이드홈의 전방 부분에 결합된 다음 고정되는 고정구와, 손잡이의 측부재의 상단 내측에 축결합 된 다음 슬라이드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으로 구름 운동하는 롤러와, 상기 고정구에 상단부가 축결합되고 손잡이의 측부재 하단에 하단부가 축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의 측부재는 물건이 수납실에 수납되고 상승하여 수평 상태로 펼쳐진 수납함의 무게 중심이 수납함의 후방으로 치중되면서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5~20°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핸드 카트 상부에 절첩식 수납함을 설치하여 2단으로 구성된 본체(2) 상부와 수납함(10)에 물건을 각각 적재하거나 수납(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과 더불어 적재효율 및 수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3점 지지구조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는 수납함(10)이 상승하여 수평으로 펼쳐지면서 2단 적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3점 지지구조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는 수납함(10)이 본체(2) 상부면으로 하강 접촉하면서 접혀지게 되므로, 접은 상태의 부피가 크지 않아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수납함(10)의 칸막이 부재(48)(49)는 결합홈(21a)(48d)과 결합부(48a)(49a)의 삼각형 암수 결합 구조에 의해 결합 후 벌어짐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평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저면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측면도로, 수납함을 펼친 상태.
도 6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측면도로, 수납함을 접은 상태.
도 7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수납함의 슬라이드 부분 단면도.
도 8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수납함 부분 확대 평면도.
도 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수납함 부분 단면도.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수납함 부분 사시도.
도 1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지지부재의 하부 축 결합 상태 단면도.
도 1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수납함 슬라이드홈에 결합된 롤러의 축 결합 상태 단면도.
도 1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지지부재의 상부 축 결합 상태 단면도.
도 1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지지부재의 상부 축 분해 상태 사시도.
도 1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지지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16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수납함 부분 사시도.
도 17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수납함 부분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 도 5는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2단 핸드 카트(1)의 수납함(10)을 펼친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6은 수납함(10)을 접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 2단 핸드 카트(1)는, 소정 평면적의 본체(짐받이)(2)와, 본체(2)의 저면부(2a) 전후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형 캐스터(3) 및 회전형 캐스터(3k)와, 본체(2) 후방에 설치되는 절첩식(접철식) 손잡이(4) 및 제동 페달(7)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4) 상부에 소정 평면적의 수납함(10)이 절첩 수단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면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납함(10)은 바닥 부재(47a)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향 테두리 부재가 사방에 형성되고, 테두리 부재 내부에 설치되거나 형성되는 복수의 칸막이 부재(48)(49)에 의해 크고 작은 수납실(47)이 복수로 형성되어 각종 사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납실(47)은 물건을 쉽게 수납할 수 있도록 상향 개방형 구조이다.
상기 수납함(10)은 손잡이(4)의 측부재(4a)(4b) 내측에 축 설치되며, 본체(2)보다 작은 크기의 평면적을 가진다. 상기 수납함(10) 또는 수납실(47)의 높이는 물건을 충분히 수납할 수 있도록 50~400㎜ 일수 있다.
상기 수납함(10)을 수평으로 접철시키는 절첩 수단은, 도 9, 도 10과 같이 수납함(10)의 전후측에 형성되는 테두리 부재(21)(22)와, 테두리 부재(21)(2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홈(25)(26)과, 슬라이드홈(25)(26)을 따라 형성되고 슬라이드홈(25)(26)의 바깥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개방홈(23)(24)과, 상기 개방홈(23)(24)과 슬라이드홈(25)(26)의 전방 부분에 결합된 다음 무두볼트(33)(34)로 고정되는 고정구(27)(28)와, 손잡이(4) 측부재(4a)(4b)의 상단 내측에 축결합 된 다음 슬라이드홈(25)(26)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홈(25)(26)의 길이방향으로 구름 운동하는 롤러(35)(36)와, 고정구(27)(28)에 상단부가 축결합되고 손잡이(4)의 측부재(4a)(4b) 하단에 하단부가 축결합되는 지지부재(13)(14)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홈(23)(24)의 높이는 슬라이드홈(25)(26)의 높이보다 1/2~1/4 낮게 형성되어 슬라이드홈(25)(26)에 결합된 롤러(35)(36) 및 고정구(27)(28)의 분리가 방지된다.
도 5, 도 6에서 3a는 본체(2) 저면부에 고정되는 고정형 브라켓이고, 3m은 본체(2) 저면부에 고정되는 수평 회전형 브라켓이다.
상기 고정구(27)(28)는, 도 13,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25)(26)에 각각 결합되며,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9)(30)는 개방홈(23)(24)에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도 7, 도 13과 같이 무두볼트(33)(34)에 의해 수납함(10)에 체결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27)(28) 내부에는 축볼트(15)(16)의 머리부(15a)(16a)가 각각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화되며, 돌출부(29)(30) 바깥으로 돌출된 나사부에는 와셔 및 지지부재(13)(14)의 상단부에 형성된 축공(13a)(14a)이 각각 끼워진 다음 그 바깥에 풀림방지너트(31)(32)가 각각 체결되어 지지부재(13)(14)의 상단부가 축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27)(28)는 무두볼트(33)(34)에 의해 수납함(10)에 체결되어 있어서 축 이동이 방지된다.
상기 롤러(35)(36)는, 도 7,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25)(26)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구름 운동하게 되며, 롤러(35)(36)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축부(37)(38)에는 나사부(39)(40)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39)(40)에는 측부재(4a)(4b)의 상단 축공(4e)(4f)에 각각 끼워진 볼트(11)(12)의 나사부가 체결되어 롤러(35)(36)가 축 설치된다.
상기 롤러(35)(36)는 슬라이드홈(25)(26)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방(길이방향)으로 구름 운동하고, 축부(37)(38)는 개방홈(23)(24)에 접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롤러(35)(36)가 원활히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조력하게 된다. 상기 축부(37)(38)의 바깥측면은 측부재(4a)(4b)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볼트(11)(12)로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롤러(35)(36)의 견고한 축지지가 달성된다.
상기 축부(37)(38)는 도 12와 같이 소정의 돌출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측부재(4a)(4b)와 수납함(10) 사이에 소정의 이격 거리(L1)가 형성되며, 상기 이격 거리(L1)는 도 13에 예시된 지지부재(13)(14)의 두께(L2)보다 조금 크게 이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재(13)(14)의 양측면부에는 도 15와 같이 대칭 경사면(13c)(14c)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도 6과 같이 수납함(10)이 접힐 때 지지부재(13)(14)가 상기 이격 거리(L1)로 여유있게 유입될 수 있어서 수납함(10)이 본체(2) 상부면으로 하강할 때 저항없이 접혀지게 된다.
도 11은 지지부재(13)(14)의 하단부가 축 설치되는 상태의 단면도로, 본체(2)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축 브라켓(5)(6) 사이에 손잡이(4)의 측부재(4a)(4b) 하단이 각각 결합된 다음 머리부(17a)(18a)를 갖는 축부재(17)(18)가 측부재(4a)(4b) 하단의 축공(4c)(4d)을 각각 지나 축 브라켓(6)으로 돌출되어 축 결합되며, 축 브라켓(6)으로 돌출된 축단부(17b)(18b)에는 지지부재(13)(14)의 하단부에 형성된 축공(13b)(14b)이 각각 축 결합된 다음 축단부(17b)(18b)에 억지 결합되는 억지결합너트(19)(20)에 의해 지지부재(13)(14)의 하단부가 축지지 된다. 상기 축은 이동이 억제된(금지된) 고정축이다.
상기 수납함(10)은 도 5, 도 7과 같이 축볼트(15)(16)와 롤러(35)(36) 및 축부재(17)(18)에 의한 3점 지지구조에 의해 수납함(10)이 수평으로 상승하여 펼쳐지거나, 도 6과 같이 축볼트(15)(16)와 롤러(35)(36) 및 축부재(17)(18)에 의한 3점 지지구조에 의해 수납함(10)이 본체(2) 상부면으로 하강 접촉하면서 수평으로 접혀지게 되며, 접힌 상태의 높이는 수납함(10)의 높이(50~400㎜)이므로 전체 높이와 부피가 크게 증가하지 않아 보관이 쉽다.
상기 개방홈(23)(24)과 슬라이드홈(25)(26)의 전방은 롤러(35)(36)와 고정구(27)(28)가 끼워진 다음 이탈하지 못하도록 막힌 구조이고, 개방홈(23)(24)과 슬라이드홈(25)(26)의 후방은 롤러(35)(36)와 고정구(27)(28)가 끼워질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이며, 상기 개방홈(23)(24)과 슬라이드홈(25)(26)으로 롤러(35)(36)와 고정구(27)(28)가 끼워지면 개방홈(23)(24)과 슬라이드홈(25)(26)의 후방 단부에 캡(41)(42)을 결합한 다음 무두볼트(45)로 각각 체결 고정시켜 개방홈(23)(24)과 슬라이드홈(25)(26)을 폐쇄시킴으로써 롤러(35)(36)와 고정구(27)(28)가 개방홈(23)(24)과 슬라이드홈(25)(26)의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캡(41)(42)은 도 7, 도 10과 같이 슬라이드홈(25)(26)에 각각 결합되며, 캡(41)(42)의 측면에는 개방홈(23)(24)에 각각 결합되는 돌출부(43)(44)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개방홈(23)(24)과 슬라이드홈(25)(26)에 결합되며, 도 7과 같이 무두볼트(45)에 의해 수납함(10)에 견고하게 체결되면서 분리 이탈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홈(25)(26)에 결합되어 구름 운동하는 롤러(35)(36)의 이탈이나 과도한 이동이 방지된다.
도 5에서 하단부가 축설치되는 손잡이(4)의 측부재(4a)(4b)는 물건이 수납실(47)에 수납되고 상승하여 수평 상태로 펼쳐진 수납함(10)의 무게 중심이 수납함(10)의 후방으로 치중되면서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가상 수직선을 기준으로 수납함(10)의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θ1)는 5~20°범위이다.
상기 손잡이(4)의 상부는 핸드 카트(1)의 운전이나 조작이 쉽도록 수납함(10)의 후방으로 더욱 치중되도록 구성되며, 수납함(10)의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θ2)는 10~30°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4)는, 도 5와 같이 수납함(10)의 후방으로 5~20°기울어지게 한 경우 본체(2)에 설치되는 걸림수단에 의해 측부재(4a)(4b)의 하단부가 각각 걸림되면서 기울어진 각도(θ1)가 유지되며, 손잡이(4)를 도 6과 같이 접고자하는 경우, 또는 상기 걸림을 해제시키고자하는 경우, 해제 페달(7a)을 발로 밟아 주면 측부재(4a)(4b) 하단부의 걸림이 해제된다.
본체(2)의 전면부(2c) 모서리 부분에 축 설치되는 수평롤러(8)는 본체(2)의 손상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며, 수평롤러(8)에 대응되는 부분에도 수평롤러(8)의 구름운동에 의해 손상이나 파손 등이 방지된다.
상기 수납함(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칸막이 부재(48)(49)는 테두리 부재 및 바닥 부재(47a)에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도 16, 도 17과 같이 암수 결합구조에 의해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테두리 부재(21)의 내측면에 외향 개방부의 폭이 좁은 결합홈(21a)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칸막이 부재(48)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결합홈(21a)에 결합되는 외향 확개형의 결합부(48a)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21a)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칸막이 부재(48)의 대략 중앙부, 또는 소정 위치에 외향 개방부의 폭이 좁은 결합홈(48d)과, 결합홈(48d) 양측의 보강부(48b)(48c)를 수직으로 각각 형성하고, 다른 칸막이 부재(48)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결합홈(21a)에 결합되는 외향 확개형의 결합부(49a)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48d)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칸막이 부재(48) 또는 다른 칸막이 부재(49)의 분리나 결합 상태에 따라 수납실(47)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함(10)의 칸막이 부재(48)(49)는 결합홈(21a)(48d)과 결합부(48a)(49a)의 삼각형 암수 결합 구조에 의해 결합 후 벌어짐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도 6과 같이 수납함(10)을 접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4)를 본체(2) 전방으로 밀게 되면, 축부재(17)(18)를 축 중심으로 손잡이(4)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손잡이(4) 측부재(4a)(4b)에 볼트(11)(12)로 설치된 롤러(35)(36)가 슬라이드홈(25)(26)을 따라 고정구(27)(28) 방향으로 하강 이동하게 되고, 지지부재(13)(14) 또한 축부재(17)(18)를 축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하강 이동하게 되며, 지지부재(13)(14)의 상단부는 축볼트(15)(16)에 의해 수납함(10)에 축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납함(10)이 수평 상태로 하강하면서 도 6과 같이 본체(2) 상부면에 접촉하면서 접어지게 된다.
상기 수납함(10)이 접어질 때, 측부재(4a)(4b)와 수납함(10) 사이에 지지부재(13)(14)의 두께(L2)보다 조금 크게 이격된 이격 거리(L1)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재(13)(14)의 양측면부는 도 15와 같이 대칭 경사면(13c)(14c)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수납함(10)이 접힐 때 지지부재(13)(14)가 상기 이격 거리(L1)로 여유있게 유입되므로 수납함(10)이 본체(2) 상부면으로 하강할 때 저항없이 하강하면서 접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함(10)을 도 5와 같이 펼치고자 하는 경우, 하강해 있는 손잡이(4)를 들어올려 도 5와 같이 손잡이(4)의 측부재(4a)(4b) 각도(θ1)가 가상 수직선을 기준으로 수납함(10)의 후방으로 5~20°범위로 기울어지도록 하면 손잡이(4) 측부재(4a)(4b)에 볼트(11)(12)로 설치된 롤러(35)(36)가 슬라이드홈(25)(26)을 따라 고정구(27)(28) 반대방향으로 상승 이동하게 되고, 지지부재(13)(14) 또한 축부재(17)(18)를 축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상승 이동하게 되며, 지지부재(13)(14)의 상단부는 축볼트(15)(16)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납함(10)이 수평 상태로 상승하면서 도 5와 같이 펼쳐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수납실(47)에 물건을 수납한 다음 손잡이(4)를 잡고 소정 위치로 이동하면 물건이 운반된다.
상기에서 본체(2) 상부면에 다른 물건을 얹거나 적재시켜 수납물건과 함께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2단 핸드 카트(1)를 사용 중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제동 페달(7)을 한 번 밟게 되면 고정형 캐스트(3)가 제동되면서 2단 핸드 카트(1)가 정지하고, 제동 페달(7)을 재차 밟게 되면 고정형 캐스트(3)의 제동이 해제되면서 2단 핸드 카트(1)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체(2)의 전면부(2c)에 형성된 보조 손잡이(9)는 2단 핸드 카트(1)를 보조적으로 움직일 때, 또는 2단 핸드 카트(1)를 들어 이동시킬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2)의 전면부(2c) 모서리 부분에 축 설치되는 수평롤러(8)에 의해 이동 중 주변 물체와의 직접적인 충돌이 방지되므로 본체(2)의 손상이나 파손이 방지되고, 수평롤러(8)에 대응되는 사물의 손상이나 파손도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2단 핸드 카트 (2)--본체(짐받이)
(2a)--본체의 저면부 (2c)--본체의 전면부
(2d)--본체의 후면부 (3)--고정형 캐스터
(3a)(3m)--캐스터 브라켓 (3k)--회전형 캐스터
(4)--손잡이 (4a)(4b)--손잡이의 측부재
(4c)(4d)(4e)(4f)--축공 (5)(6)--축 브라켓
(7)--제동페달 (8)--수평 롤러(코너링 롤러)
(10)--수납함 (11)(12)--볼트
(13)(14)--지지부재 (13a)(14a)(13b)(14b)--축공 (13c)(14c)--경사면 (15)(16)--축볼트
(15a)(16a)--축볼트의 머리부 (17a)(18a)--머리부
(17b)(18b)--축단부 (19)(20)--억지결합너트
(21)(22)--테두리 부재 (21a)(48d)--결합홈
(23)(24)--개방홈 (25)(26)--슬라이드홈
(27)(28)--고정구 (29)(30)--돌출부
(31)(32)--풀림방지너트 (33)(34)(45)--무두볼트
(35)(36)--롤러 (37)(38)--축부
(39)(40)--나사부 (41)(42)--캡
(47)--수납실 (47a)--바닥 부재
(48)(49)--칸막이 부재 (48a)--결합부
(48b)(48c)--보강부 (49a)--결합부
(L1)--이격 거리 (L2)--두께
(θ1)(θ2)--각도

Claims (3)

  1. 소정 평면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부 전후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
    상기 본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절첩식 손잡이 및 제동 페달;
    상기 손잡이 상단에 절첩 수단으로 설치되는 소정 평면적의 수납함; 을 포함하고,
    상기 절첩 수단은,
    수납함(10)의 전후측에 형성되는 테두리 부재(21)(22);
    테두리 부재(21)(2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홈(25)(26);
    슬라이드홈(25)(26)을 따라 형성되고 슬라이드홈(25)(26)의 바깥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개방홈(23)(24);
    개방홈(23)(24)과 슬라이드홈(25)(26)의 전방 부분에 결합된 다음 고정되는 고정구(27)(28);
    손잡이(4) 측부재(4a)(4b)의 상단 내측에 축결합 된 다음 슬라이드홈(25)(26)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홈(25)(26)의 길이방향으로 구름 운동하는 롤러(35)(36);
    고정구(27)(28)에 상단부가 축결합되고 손잡이(4)의 측부재(4a)(4b) 하단에 하단부가 축결합되는 지지부재(13)(14);
    를 포함하는 2단 핸드 카트.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4)의 측부재(4a)(4b)는 물건이 수납실(47)에 수납되고 상승하여 수평 상태로 펼쳐진 수납함(10)의 무게 중심이 수납함(10)의 후방으로 치중되면서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5~20°임을 특징으로 하는 2단 핸드 카트.
KR1020160073749A 2016-06-14 2016-06-14 2단 핸드 카트 KR101650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749A KR101650781B1 (ko) 2016-06-14 2016-06-14 2단 핸드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749A KR101650781B1 (ko) 2016-06-14 2016-06-14 2단 핸드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781B1 true KR101650781B1 (ko) 2016-08-24

Family

ID=5688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749A KR101650781B1 (ko) 2016-06-14 2016-06-14 2단 핸드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7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8684A (zh) * 2016-08-30 2016-12-14 北京九星智元科技有限公司 一种底盘折叠装置
KR101814336B1 (ko) * 2017-05-22 2018-01-02 여신동 보조 베이스판을 가지는 절첩식 손수레
JP2019051855A (ja) * 2017-09-15 2019-04-04 昌宏 中右 カートおよび収容部材
KR200492853Y1 (ko) * 2019-08-30 2020-12-21 (주)씨엠26 접이식 운반용 카트
KR102371405B1 (ko) * 2022-01-13 2022-03-07 주식회사 피엠오디자인 접이식 박스형 카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438A (ko) 1987-06-22 1989-03-14 알란 브라이안 벡 피라진 유도체
KR100965495B1 (ko) 2008-07-16 2010-06-25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인서트너트 운반용 카트리지
WO2010125509A1 (en) * 2009-04-28 2010-11-04 Christoff Erasmus Jooste A trolley
KR101059644B1 (ko) 2010-10-15 2011-08-25 허기호 무한궤도를 갖는 핸드카트
KR101452757B1 (ko) * 2014-02-20 2014-10-22 여신동 컴팩트형 카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438A (ko) 1987-06-22 1989-03-14 알란 브라이안 벡 피라진 유도체
KR100965495B1 (ko) 2008-07-16 2010-06-25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인서트너트 운반용 카트리지
WO2010125509A1 (en) * 2009-04-28 2010-11-04 Christoff Erasmus Jooste A trolley
KR101059644B1 (ko) 2010-10-15 2011-08-25 허기호 무한궤도를 갖는 핸드카트
KR101452757B1 (ko) * 2014-02-20 2014-10-22 여신동 컴팩트형 카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8684A (zh) * 2016-08-30 2016-12-14 北京九星智元科技有限公司 一种底盘折叠装置
KR101814336B1 (ko) * 2017-05-22 2018-01-02 여신동 보조 베이스판을 가지는 절첩식 손수레
JP2019051855A (ja) * 2017-09-15 2019-04-04 昌宏 中右 カートおよび収容部材
KR200492853Y1 (ko) * 2019-08-30 2020-12-21 (주)씨엠26 접이식 운반용 카트
KR102371405B1 (ko) * 2022-01-13 2022-03-07 주식회사 피엠오디자인 접이식 박스형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781B1 (ko) 2단 핸드 카트
US8936258B2 (en) Rolling container assembly with adjustable storage units
US20190111956A1 (en) Modular utility cart with removably positionable bins and drawer
US6199879B1 (en) Dolly and box for use with the dolly
US6983946B2 (en) Transportable containers apparatus and method
US20060119060A1 (en) Transportable containers
CA3075155C (en) Utility assembly and connectivity system therefore
US20090057305A1 (en) Modular cargo tray
CA3009156C (en) Cart and dolly handle with stacking position
JPH0788017A (ja) 工具及び材料を用意する手段
JP6037352B2 (ja) 運搬台車
KR101451976B1 (ko) 다용도 접이식 카트
US2733076A (en) Burnett
KR20210041937A (ko) 물품의 적재 및 운반을 위한 롤테이너
JP3213355U (ja) 運搬用台車
JP2005014960A (ja) 荷物搬送用パレット
EP3880408A1 (en) Storage unit
CA2714163C (en) Rolling container assembly with adjustable storage units
US20120286485A1 (en) Cart for large area objects
JP2540849Y2 (ja) コンテナ運搬台車
JP3089620U (ja) 荷物搬送用ボックス型パレット
KR200390470Y1 (ko) 휴대가 용이한 쇼핑카트
JPH07329970A (ja) パレット
JPH0815928B2 (ja) 鉄板等長尺物、金型等重量物品を収容する台車付き収容棚
CA2582080A1 (en) Do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