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673B1 - 두 개의 연질층 및 하나의 경질층을 갖는 골프공 - Google Patents

두 개의 연질층 및 하나의 경질층을 갖는 골프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673B1
KR101650673B1 KR1020157004589A KR20157004589A KR101650673B1 KR 101650673 B1 KR101650673 B1 KR 101650673B1 KR 1020157004589 A KR1020157004589 A KR 1020157004589A KR 20157004589 A KR20157004589 A KR 20157004589A KR 101650673 B1 KR101650673 B1 KR 101650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re
jis
mantle layer
golf ball
out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776A (ko
Inventor
아서 몰리나리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50030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6Multi-piece balls, i.e. having two or more intermediat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38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 A63B37/0039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38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 A63B37/004Physical properties
    • A63B37/0043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51Materials other than polybutadienes; 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51Materials other than polybutadienes; Constructional details
    • A63B37/0059Ionom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2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2Hardness
    • A63B37/00621Centre 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2Hardness
    • A63B37/00622Surface 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4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7Physical properties
    • A63B37/0078Coefficient of re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7Physical properties
    • A63B37/0088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7Physical properties
    • A63B37/0092Hardness distribution amongst different ball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골프공의 다양한 층들의 경도 값들 간에 특정 관계를 갖는 골프공이 제공된다. 골프공은 내부 코어, 외부 코어, 맨틀층 및 커버층을 포함하는 4-피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내부 코어, 외부 코어, 및 맨틀층 중에서, 두 개는 연질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며, 하나는 경질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내부 코어는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 개의 연질층 및 하나의 경질층을 갖는 골프공{GOLF BALL WITH TWO SOFT LAYERS AND ONE HARD LAYER}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가출원일련번호 제61/682,754호 (발명의 명칭: "Golf Ball with Two Soft Layers and One Hard Layer", 2012년 8월 13일에 출원됨)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는 정식 출원으로서, 이는 이의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내부 코어, 외부 코어, 및 맨틀층을 갖는 골프공으로서, 이러한 세 개의 층들 중 적어도 두 개가 경질이며 세번째 층이 연질인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골프공은 유리한 플레이 특성(play characteristics)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골퍼에 의해 선호되는 소리(sound)를 형성시킬 수 있다.
골프 경기는 아마추어 및 프로 수준 둘 모두에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골프공들의 제작 및 디자인과 관련된 광범위한 기술들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다양한 플레이 특성 및 내구성을 갖는 골프공을 형성시킨다. 예를 들어, 일부 골프공들은 초기 속도, 스핀, 및 전체 거리의 측면에서 다른 골프공들보다 양호한 비행 성능을 갖는다.
최근에, 고성능 수지, 특히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물질을 갖는 골프공은 시장에 도입되었다. 고도로 중화된 산 폴리머는 골프공 코어를 위한 물질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6,653,382호 (Statz 등, 발명의 명칭:"Highly Neutralized Ethylene Copolymers and Their Use in Golf Balls," 2000년 10월 18일에 출원됨)에는 용융-가공 가능한, 고도로 중화된 에틸렌 산 코폴리머를 갖는 골프 코어가 기재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6,756,436호 (Rajagopalan 등, 발명의 명칭: "Golf Balls Comprising Highly-Neutralized Acid Polymers," 2002년 4월 9일에 출원됨)에는 고도로 중화된 산 폴리머 코어를 갖는 골프공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다른 통상적인 고도로 중화된 산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미국특허번호 제7,652,086호 (Sullivan 등, 발명의 명칭: "Highly-neutralized Thermoplastic Copolymer Center for Improved Multi-layer Core Golf Ball," 2006년 2월 3일에 출원됨)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문헌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물질로 제조된 코어를 갖는 공지된 골프공은 요망되는 성능 성질들을 달성할 수 있지만, 골프 클럽의 면에 의해 충격을 받을 때에 통상적이지 않은 소리를 가질 수 있다. 골퍼, 특히 숙련된 골퍼 및 프로 골퍼는 타격될 때에 골프공에 의해 형성된 소리에 대해 매우 까다롭다. 이러한 소리가 심미적으로 만족스럽거나 공 타격(ball hit)의 정확성과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골퍼들은 공 구매의 요소로서 정확하게 타격된 골프공의 소리를 고려한다.
이에 따라, 골프 클럽에 의해 타격되었을 때에 또한 유리한 소리를 형성하는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코어를 갖는 골프공이 당해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부터 제조된 내부 코어, 외부 코어 및 맨틀층을 갖는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세 개의 층은 골프공이 골프 클럼에 의해 타격될 때에 바람직한 플레이 특성 및 요망되는 소리 둘 모두를 형성하는 이들의 경도 값 간의 관계를 갖는다. 즉, 세 개의 언급된 층들 중 두 개는 비교적 연질이어야 하며, 세 개 중 하나는 비교적 경질이어야 한다. 골프공을 타격하는 골프 클럽의 소리의 설명은 미국특허출원번호 13/048,665호 (2011년 3월 15일에 출원됨, 미국특허출원 US2012-0070009호로서 공개됨)에 제공되어 있으며, 이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골프공의 중심을 포함하고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내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내부 코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고무로 이루어진 외부 코어; 외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외부 코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이오노머로 이루어진 맨틀층; 및 맨틀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맨틀층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골프공으로서, 내부 코어, 외부 코어, 및 맨틀층 중 두 개가 연질이며, 내부 코어, 외부 코어, 및 맨틀층 중 적어도 하나가 경질이며, 연질 내부 코어가 약 50 내지 약 72 JIS C의 단면 경도를 가지며, 경질 내부 코어가 약 73 내지 약 95 JIS C의 단면 경도를 가지며, 연질 외부 코어가 약 50 내지 약 83 JIS C의 단면 경도를 가지며, 경질 외부 코어가 약 84 내지 약 95 JIS C의 단면 경도를 가지며, 연질 맨틀층이 약 50 내지 약 86 JIS C의 단면 경도를 가지며, 경질 맨틀층이 약 87 내지 약 95 JIS C의 단면 경도를 갖는 골프공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골프공의 중심을 포함하고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내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내부 코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고무로 이루어진 외부 코어; 외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외부 코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이오노머로 이루어진 맨틀층; 및 맨틀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맨틀층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골프공으로서, 내부 코어가 약 70 내지 약 72 JIS C의 단면 경도를 가지며, 외부 코어가 약 80 내지 약 83 JIS C의 단면 경도를 가지며, 맨틀층이 약 87 내지 약 91 JIS C의 단면 경도를 갖는 골프공을 제공한다.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골프공의 중심을 포함하고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내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내부 코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고무로 이루어진 외부 코어; 외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외부 코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이오노머로 이루어진 맨틀층; 및 맨틀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맨틀층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골프공으로서, 내부 코어가 약 70 내지 약 72 JIS C의 단면 경도를 가지며, 외부 코어가 약 83 내지 약 85 JIS C의 단면 경도를 가지며, 맨틀층이 약 82 내지 약 86 JIS C의 단면 경도를 갖는 골프공을 제공한다.
제4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골프공의 중심을 포함하고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내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내부 코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고무로 이루어진 외부 코어; 외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외부 코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이오노머로 이루어진 맨틀층; 및 맨틀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맨틀층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골프공으로서, 내부 코어가 약 72.51 내지 약 76 JIS C의 단면 경도를 가지며, 외부 코어가 약 80 내지 약 83 JIS C의 단면 경도를 가지며, 맨틀층이 약 82 내지 약 86 JIS C의 단면 경도를 갖는 골프공을 제공한다.
제5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골프공의 중심을 포함하고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내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내부 코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고무로 이루어진 외부 코어; 외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외부 코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이오노머로 이루어진 맨틀층; 및 맨틀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맨틀층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골프공으로서, 골프공이 약 3.75 kHz 미만의 피크 주파수 소리, 적어도 0.772의 COR 값, 및 89 mph의 클럽 헤드 스피드에서 적어도 131.5 mph의 드라이버 초기 속도를 갖는 골프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들, 방법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하기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의 검토 시에, 당업자에게 분명해지거나 분명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모든 추가적인 시스템들, 방법들, 특징들 및 장점들이 이러한 설명 및 이러한 요약 내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고,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은 하기 도면 및 설명을 참조로 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 않으며,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함에 따라 강조하여 도시된다. 또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다른 도면들에서 상응하는 부분들을 지정한다.
도 1은 내부 코어, 외부 코어, 맨틀층, 및 커버층을 갖는 4-피스 구조인,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골프공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여러 비교예 골프공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 골프공에 대한 피크 주파수 소리 및 COR의 다양한 값들을 나타낸 차트이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적어도 세 개의 층, 즉 내부 코어, 외부 코어 및 맨틀층을 갖는 골프공을 제공한다. 세 개의 층은 양호한 플레이 특성을 달성하면서 동시에 골프공에 의해 타격되었을 때 요망되는 소리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것들의 경도 값 간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특정 물질 성질 및 골프공 성질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경도"는 일반적으로 ASTM D-2240 및 JIS K 6253에 따라 측정된다. 물질의 경도는 슬랩 경도(slab hardness)로서 얻어지며, 골프공 성분의 경도는 몰딩된 골프공 성분의 구부러진 표면 상에서 측정된다. 골프공 성분의 "단면" 경도는 절반으로 절단된 골프공의 단면 상에서 측정하는 경우에, 상기 시험 절차에 따라 측정된 경도이다. 경도 측정이 딤플이 형성된 커버층 상에서 이루어질 때에, 경도는 딤플이 형성된 커버층의 랜드 구역(land area) 상에서 측정된다. 일반적으로 경도 단위는 명시된 바와 같이 쇼어 D, 쇼어 C, 및 JIS C로 제공된다.
"반발 계수" 또는 "COR"은 일반적으로 하기 절차에 따라 측정된다. 시험 대상은 에어 캐논(air cannon)에 의해 40 m/sec의 초기 속도로 발사되며, 스피드 모니터링 디바이스(speed monitoring device)는 캐논으로부터 0.6 내지 0.9 미터의 거리에 떨어져 위치된다. 에어 캐논으로부터 약 1.2 미터 이격되게 정위된 강철판을 타격한 후에, 시험 대상은 스피드-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통해 리바운드된다. 리턴 속도(return velocity)를 초기 속도로 나눈 것이 COR이다.
"굴곡 탄성률(flexural modulus)"은 일반적으로 ASTM D-790에 따라 측정된다.
"Vicat 연화 온도"는 일반적으로 ASTM D-1525에 따라 측정된다.
본원에서 "압축 변형(compression deformation)"은 힘 하에서 공의 변형량을 명시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힘이 10 kg에서 130 kg이 되도록 증가될 때에, 130 kg의 힘 하에서 공의 변형량에서 10 kg의 힘 하에서 공의 변형량을 차감하면, 공의 압축 변형값이 된다. 본원에서의 모든 시험은 Automated Design Corp. (ADC; Illinois, USA)로부터 입수 가능한 압축 시험 기계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ADC 압축 시험기는 제1 하중을 가하고 제1 변형량을 획득하고, 이후 선택된 기간 후에 제2의 통상적으로 보다 높은 하중을 가하고 제2 변형량을 결정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에서 제1 하중은 10 kg이며, 본원에서 제2 하중은 130 kg이며, 압축 변형은 제2 변형과 제1 변형의 차이이다. 여기에서, 이러한 거리는 밀리미터로 보고된다. 압축은 거리로서, 또는 다른 변형 측정 기술에 대한 등가물, 예를 들어 Atti 압축으로서 보고될 수 있다. 상기에서 확인된 ADC 압축 시험 기계가 이러한 압축 시험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지만, 이러한 유형의 압축 시험은 또한 다른 시험 기계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피크 주파수 소리(peak frequency sound)"는 하기 절차에 따라 결정된다. 골프공은 4 인치 이상의 두께를 갖는 폴리싱된 콘크리트 슬랩(polished concrete slab) 상에, 70 인치 높이에서 낙하된다. 골프공이 콘크리트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소리는 어레이 마이크로폰(array microphone)으로 기록된다. 소리는 가장 높은 데시벨 수준을 갖는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 스펙트럼 분석된다. 피크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골프공의 전체 소리의 주요 구성성분이고, 골퍼에 의해 인지되는 공의 소리를 특징짓기 위해 고려된다. 스펙트럼 분석의 세부사항은 오디오 공학의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주파수"는 피크 주파수 소리를 지칭한다.
다른 성질들 및 시험들은 본원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골프공 제작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알려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본원의 하기에서 달리 논의되는 것을 제외하고, 본원에서 논의되는 임의의 골프공은 일반적으로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유형의 골프공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반대로 명시하지 않는 한, 골프공은 일반적으로 골프공에 대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구조, 예를 들어 공인 또는 비-공인 구조일 수 있다. 공인 골프공은 미국골프협회 (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 USGA)에 의해 승인된 바와 같은 "Rules of Golf"을 충족하는 골프공이다. 본원에서 논의되는 골프공은 또한 달리 주지되는 것을 제외하고, 골프공 제작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임의의 물질들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특성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구현예의 구성요소, 및 다양한 화학식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하지 않음)이 요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조합, 하위조합, 또는 배열로, 본원에 기술되는 임의의 다른 특성들과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마지막으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 및 "실질적으로"는 기하 및 제작 공차를 설명하기 위해 의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골프공(100)은 4-피스 골프공(four-piece golf ball)이다. 즉, 골프공(100)은 내부 코어(102), 외부 코어(104), 맨틀층(106) 및 커버층(108)을 포함한다.
골프공(100)은 중심(101)에서 외부 표면(103)으로 연장하는 반경(200)을 포함한다. 각 성분은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수를 가질 수 있지만, 도 1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도시되지는 않는다. 즉, 내부 코어(102)는 반경(202)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 코어(104)는 두께(204)를 가질 수 있으며, 맨틀층(106)은 두께(206)를 가질 수 있으며, 커버층(108)은 두께(208)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층들의 조성, 및 두께 및 다른 성질은 하기에서 논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의 추가 구현예(미도시됨)는 도 1에 도시된 것 이외에 하나 이상의 추가 층들 또는 피스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코어 층 및/또는 추가 커버층은 5, 6, 7, 또는 심지어 그 보다 높은 피스 공을 형성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골프공의 다양한 층들은 임의의 공지된 골프공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첫째로, 내부 코어(102)는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때때로 고도로 중화된 산 폴리머 또는 고도로 중화된 산 폴리머 조성물로 불리워지는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조성물은 이오노머(ionomer)의 한 유형이다.
이오노머는 일반적으로, 이온화된 작용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폴리머 물질로서 이해된다. 이오노머 수지는 종종 올레핀 및 불포화 카복실산의 염의 이온성 코폴리머이다. 올레핀은 약 2 내지 약 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고, 알파-올레핀일 수 있다. 산은 약 3 내지 약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불포화 모노카복실산일 수 있고, 알파,베타-불포화 카복실산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오노머는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중 어느 하나의 코폴리머이다. 일부 상황에서, 추가 코-모노머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즉 이소- 또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등)는 또한 테르폴리머(terpolymer)를 형성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광범위한 이오노머는 골프공 제작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알려져 있다.
이오노머에서 산 기의 상당 부분이 양이온에 의해 중화될 때에, 이오노머 물질은 고도로 중화된 산 폴리머(highly neutralized acid polymer)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폴리머는 적어도 70%의 산 기가 양이온에 의해 중화될 때에 고도로 중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고도로 중화된 산 폴리머는 적어도 75%,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적어도 99%, 또는 실질적으로 100%까지 중화될 수 있다.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이오노머의 산 함량은 폴리머 충 중량에 대한 불포화 카복실산의 중량 백분율로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산 함량은 1 % 내지 50%의 범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 함량은, 산 함량이 15%를 초과하지 않을 때에 "일반(normal)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오노머가 "높은" 산 함량을 갖는 특정 구현예에서, 산 함량은 15%를 초과하고 50% 미만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산 함량은 20% 내지 50% 또는 20% 내지 40%일 때에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보다 높은 산 수준은 보다 높은 밀도를 가능하게 할 수 있지만, 보다 높은 산 수준은 또한 용융-가공성 및 관련된 성질들, 예를 들어 신율(elongation) 및 강인성(toughness)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이오노머의 산 함량은 경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높은 산 수준은 폴리머에 달리 존재하는 임의의 결정도(crystallinity)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코어(102)는 단 하나의 유형 또는 포뮬레이션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다양한 백분율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들의 상이한 유형 또는 포뮬레이션의 블렌드가 사용된다. 최내부 코어층은 사출 성형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하지 않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코어(102)는 일반적으로 첨가제, 충전제, 및 용융 흐름 조정제(melt flow modifier)를 갖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코어(102)는 일반적으로 HPF 수지, 예를 들어 E. 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에 의해 생산되는 HPF2000 및 HPF AD1035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코어(102)는 100 중량%의 HPF AD1035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코어(102)는 80 중량%의 HPF AD1035 및 20 중량%의 첨가제, 충전제, 및 용융 흐름 조정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코어(102)는 70 중량%의 HPF AD1035 및 30 중량%의 HPF2000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코어(102)는 60 중량%의 HPF AD1035, 20 중량%의 HPF2000, 및 20 중량%의 첨가제, 충전제, 및 용융 흐름 조정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HPF AD1035, HPF2000, 및 첨가제, 충전제, 및 용융 흐름 조정제의 상대적 백분율은 변할 수 있는데, HPF2000은 조성물의 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범위이고/거나, HPF AD1035는 조성물의 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범위이고/거나, 첨가제, 충전제, 및 용융 흐름 조정제는 조성물의 0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범위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내부 코어(102)는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적어도 하나의 이오노머 및 선택적으로 공의 질량 및 비중을 요망되는 수준으로 조정하기 위한 중량 충전제(weight filler)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코어는 약 40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제1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예를 들어, HPF AD1035), 약 0 중량% 내지 약 45 중량%의 제2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예를 들어, HPF 2000), 약 2 중량% 내지 약 8 중량%의 이오노머 (예를 들어, Surlyn®), 및 약 0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BaS04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코어(102)는 특정의 평균 단면 경도 값을 가질 수 있다. 평균 단면 경도 값은 적어도 5회의 샘플 측정으로부터 또는 특히 정확하게 5회의 샘플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평균값으로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내부 코어(102)는 이의 단면 상에서 "연질" 또는 "경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연질 내부 코어는 이의 단면 상에서 약 50 내지 약 72.5 JIS C 미만, 또는 50 내지 약 72 JIS C의 평균 경도 값을 가질 수 있다. 연질 내부 코어(102)는 대안적으로 이의 단면 상에서 약 70 내지 약 72.5 JIS C 미만, 또는 70 내지 약 72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 값을 가질 수 있다. 경질 내부 코어(102)는 약 72.5 내지 약 95 JIS C, 또는 약 73 내지 약 9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경질 내부 코어(102)는 대안적으로 약 72.5 내지 약 76 JIS C, 또는 약 73 내지 약 76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에서, 내부 코어(102)가 "연질" 범위 또는 "경질"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는 외부 코어(104)의 경도 및 맨틀층(106)의 경도에 따른다.
일반적으로, 내부 코어(102), 외부 코어(104), 및 맨틀층(106) 각각은 이의 개개 단면에 대하여 "경질" 경도 값 범위 및 "연질" 경도 값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경질" 및 "연질"에 대한 값은 각 층에 대해 상이하고, 하기에서 다양하게 논의된다. 세 개의 층들 중 단 하나는 임의의 특정 구현예에서 이의 "경질" 범위 내에 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나머지 두 개는 이의 "연질"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내부 코어(102)가 "연질"인 경우에, 외부 코어(104)는 연질이며, 맨틀층은 경질이거나, 외부 코어(104)는 경질이며, 맨틀층(106)은 연질이다. 반대로, 내부 코어(102)가 경질인 경우에, 외부 코어(104) 및 맨틀층(106) 둘 모두는 연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경도는 내부 코어(102)가 실질적으로 균일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코어(102)의 전체 단면 전반에 걸쳐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내부 코어(102)의 경도는 제1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및 제2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의 상대적인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는 제1의 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제2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는 제2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이후에, 두 개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는, 이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 제1의 경도와 제2의 경도 사이에 있는 경도를 갖는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혼합될 수 있다.
보다 특히, 내부 코어(102)가 두 유형 이상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구현예에서, 각 유형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의 상대적인 양은 단면 경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HPF2000에 대해 HPF AD1035의 백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는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단면 경도 대 HPF AD1035 백분율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선형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H가 단면 경도이며 P가 내부 코어 조성물에서 HPF AD1035의 백분율인 경우에, H와 P의 관계는, HPF AD1035가 HPF2000과 함께 블렌딩될 때에, 표준 기하/제작 공차 내에서 하기 방정식 1에 의해 제공된다: H = 78-0.12P. 이러한 방정식은 마스터배치(masterbatch)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 유효하다.
내부 코어(102)에서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조성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적합한 첨가제 및 충전제는 예를 들어, 블로우잉 및 포우밍제(blowing and foaming agent), 형광 발광제(optical brightener), 착색제, 형광제, 증백제, UV 흡수제, 광안정화제, 소포제, 가공 보조제, 운모, 탈크, 나노충전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유연제, 방향 성분, 가소제, 충격 보강제, 산 코폴리머 왁스,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는 또한 무기 충전제, 예를 들어 아연 옥사이드, 티탄 디옥사이드, 주석 옥사이드, 칼슘 옥사이드, 마그네슘 옥사이드, 바륨 설페이트, 아연 설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아연 카보네이트, 바륨 카보네이트, 운모, 탈크, 클레이, 실리카, 납 실리케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는 또한 고비중 금속 분말 충전제, 예를 들어 텅스텐 분말 및 몰리브덴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용융 흐름 조정제는 예를 들어, 지방산 및 이의 염,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우레아, 다가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들 중 일부에서, 내부 코어(102)는 20 mm 내지 35 mm, 또는 24 mm 내지 3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직경 값의 절반인 반경(202)을 도시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내부 코어(102)의 직경은 약 24 mm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내부 코어(102)의 직경은 약 28 mm일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내부 코어(102)의 직경은 약 28 mm 내지 약 30 mm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는 드라이버 거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유리한 내구성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은 외부 코어(104)를 도시한다. 외부 코어(104)는 내부 코어(102)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위치되며, 외부 코어(104)는 내부 코어(102)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외부 코어(104)는,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4.8 mm의 두께(204)를 가질 수 있다. 내부 코어(102)가 20 mm 내지 28 mm 범위의 직경을 갖는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조성물로 제조되는 구현예에서, 외부 코어(104)의 두께가 약 4.8 mm 미만인 경우에, 골프공은 충분한 내구성을 갖지 못할 수 있다. 내부 내구성은 외부 코어(104)의 두께가 5.0 mm 내지 8 mm 범위일 때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코어 (내부 코어(102) 및 외부 코어(104) 함께)의 직경은 약 34 mm 내지 약 40 mm의 범위일 수 있다. 내부 코어(102)가 28 mm 초과 내지 35 mm 미만 범위의 직경을 갖는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조성물로 제조된 구현예에서, 외부 코어(104)의 두께(204)는 34 mm 내지 40 mm의 전체 코어 직경을 유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되는 임의의 구현예에서, 외부 코어(104)의 두께(204)는 공인 골프공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는데, 여기서 공인 골프공의 전체 직경은 1.68 인치 이상이다.
외부 코어(104)는 임의의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지만, 일부 구현예에서, 열경화성 폴리부타디엔 고무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코어(104)는 일반적으로 미국특허번호 제8,193,29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폴리부타디엔 고무 조성물을 가교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헌의 내용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다양한 첨가제들이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고무에 첨가될 수 있다. 첨가제는 가교제 및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가교제는 아연 디아크릴레이트, 마그네슘 아크릴레이트, 아연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마그네슘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연 디아크릴레이트는 유리한 탄성 성질(resilience property)을 제공할 수 있다. 충전제는 물질의 비중을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충전제는 아연 옥사이드, 바륨 설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또는 마그네슘 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연 옥사이드는 이의 유리한 성질들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금속 분말, 예를 들어 텅스텐은 대안적으로, 요망되는 비중을 달성하기 위해 충전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코어의 비중은 약 1.05 내지 약 1.45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코어의 비중은 약 1.05 내지 약 1.35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희토류 원소 촉매와 함께 합성된 폴리부타디엔은 외부 코어(10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부타디엔은 골프공의 우수한 탄성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희토류 원소 촉매의 예는 란탄 계열 희토류 원소 화합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알목산(almoxane) 및 할로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한다. 란탄 희토류계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부타디엔은 대개 란탄 희토류 (57 내지 71의 원자번호) 화합물, 예를 들어 네오디뮴 화합물의 조합을 이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 0.5 중량부 내지 약 5 중량부의 할로겐화된 유기황 화합물을 갖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조성물은 외부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부타디엔 고무 조성물은 적어도 약 1 중량부 내지 약 4 중량부의 할로겐화된 유기황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할로겐화된 유기황 화합물은 펜타클로로티오페놀; 2-클로로티오페놀; 3-클로로티오페놀; 4-클로로티오페놀; 2,3-클로로티오페놀; 2,4-클로로티오페놀; 3,4-클로로티오페놀; 3,5-클로로티오페놀; 2,3,4-클로로티오페놀; 3,4,5-클로로티오페놀; 2,3,4,5-테트라클로로티오페놀; 2,3,5,6-테트라클로로티오페놀; 펜타플루오로티오페놀; 2-플루오로티오페놀; 3-플루오로티오페놀; 4-플루오로티오페놀; 2,3-플루오로티오페놀; 2,4-플루오로티오페놀; 3,4-플루오로티오페놀; 3,5-플루오로티오페놀; 2,3,4-플루오로티오페놀; 3,4,5-플루오로티오페놀; 2,3,4,5-테트라플루오로티오페놀; 2,3,5,6-테트라플루오로티오페놀; 4-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티오페놀; 펜타요오도티오페놀; 2-요오도티오페놀; 3-요오도티오페놀; 4-요오도티오페놀; 2,3-요오도티오페놀; 2,4-요오도티오페놀; 3,4-요오도티오페놀; 3,5-요오도티오페놀; 2,3,4-요오도티오페놀; 3,4,5-요오도티오페놀; 2,3,4,5-테트라요오도티오페놀; 2,3,5,6-테트라요오도티오페놀; 펜타브로모티오페놀; 2-브로모티오페놀; 3-브로모티오페놀; 4-브로모티오페놀; 2,3-브로모티오페놀; 2,4-브로모티오페놀; 3,4-브로모티오페놀; 3,5-브로모티오페놀; 2,3,4-브로모티오페놀; 3,4,5-브로모티오페놀; 2,3,4,5-테트라브로모티오페놀; 2,3,5,6-테트라브로모티오페놀; 및 이들의 아연 염, 이의 금속 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외부 코어(104)는 임의의 적합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코어(104)는 압축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외부 코어(104)를 제조하는 공정은 다양한 요소를 기초로 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코어(104)를 제조하는 공정은 외부 코어(104)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의 유형 및/또는 다른 층들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정을 기초로 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코어(104)는 130℃ 내지 190℃ 범위의 가황 온도(vulcanization temperature) 및 5 내지 20분 범위의 가황 시간을 포함하는 압축 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가황 단계는 두 스테이지(stage)로 나누어질 수 있다: (1) 외부 코어 물질은 외부 코어-형성 몰드에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반-가황화된 반구형 컵을 형성하기 위해 초기 가황화되며, (2) 사전 제작된 내부 코어는 반구형 컵들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반구형 컵에 의해 덮혀질 수 있으며, 가황화가 완료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반구형 컵에 배치된 내부 코어(102)의 표면은 내부 코어와 외부 코어 간의 접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배치 이전에 거칠어지게 만들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코어 표면은 골프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높은 리바운드(rebound)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반구형 컵에 내부 코어를 배치시키기 전에 접착제로 사전-코팅될 수 있다.
외부 코어(104)는 특정의 평균 단면 경도 값을 가질 수 있다. 평균 단면 경도 값은 적어도 5회의 샘플 측정으로부터, 또는 특히 정확하게 5회 샘플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평균 값으로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외부 코어(104)는 이의 단면 상에서 "연질" 또는 "경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연질 외부 코어(104)는 약 50 내지 약 83 JIS C, 또는 약 80 내지 약 83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 값을 가질 수 있다. 경질 외부 코어(104)는 약 83 초과 내지 약 95 JIS C, 또는 약 84 내지 약 85 JIS C, 또는 약 83 초과 내지 85 JIS C, 또는 약 84 내지 8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경질" 및 "연질"에 대한 이러한 범위는 내부 코어(102) (상기에서 논의됨) 및 맨틀층(106) (하기에서 논의됨)에 대한 경질 및 연질 범위와는 상이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에서, 외부 코어(104)가 이의 "연질" 범위 또는 이의 "경질" 범위 내에 속하는 지에 대한 여부는 내부 코어(102)의 경도 및 맨틀층(106)의 경도에 따른다. 즉, 세 개의 층들 중 두 개는 이의 "연질" 범위 내에 속하며, 하나는 이의 "경질" 범위 내에 속한다. 예를 들어, 외부 코어(104)가 또한 "연질"인 경우에, 내부 코어(102)는 연질이며, 맨틀층은 경질이거나, 내부 코어(102)는 경질이며, 맨틀층(106)은 연질이다. 반대로, 외부 코어(104)가 경질인 경우에, 내부 코어(102) 및 맨틀층(106) 둘 모두는 연질이다.
일반적으로, 고무 화합물의 경도는 가교제, 예를 들어 아연 디아크릴레이트 (ZDA) 또는 퍼옥사이드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고무에 대한 특별히 요망되는 경도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가교제를 변화시키는 것은 골프공 제작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의 기술 내에 속한다.
셋째로, 도 1은 맨틀층(106)을 도시한다. 맨틀층(106)은 외부 코어(104)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위치되고 외부 코어(104)를 일반적으로 둘러싸고 에워싼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106)은 이오노머 물질로 제조된다. 이오노머는 상기에서 대략적으로 논의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106)은 Surlyn®으로 이루어진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106)에서 사용되는 Surlyn®은 약 15 중량% 이하인 산 함량을 갖는 일반 산(normal acid)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106)에서 사용되는 Surlyn®은 15 중량% 내지 50 중량%의 산 함량을 갖는 고산성(high acid)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106)의 고산성 Surlyn®은 약 20 중량%의 산 함량을 갖는다.
맨틀층(106)은 임의의 요망되는 두께(206)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 두께(206)는 골프공이 공인 골프공이 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 두께(206)는 0.5 내지 1.3 m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 두께(206)는 약 0.95 mm 내지 약 1.2 m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 두께(206)는 약 0.5 mm 내지 0.95 m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 두께(206)는 약 0.6 m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 두께(206)는 약 0.95 m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 두께(206)는 약 1.2 mm이다.
맨틀층(106)에 대한 산 수준 및 두께의 조합은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106)을 구성하는 물질은 일반 산 이오노머이고 약 0.95 mm의 두께(206)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 물질은 고산성 이오노머이고 약 0.95 mm의 두께(206)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 물질은 고산성 이오노머이고 약 1.2 mm의 두께(206)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 물질은 일반 산 이오노머이고 약 1.2 mm의 두께(206)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 물질은 일반 산 이오노머이고 약 0.6 mm의 두께(206)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 물질은 고산성 이오노머이고 약 0.6 mm의 두께(206)를 갖는다.
맨틀층(106)은 또한 특정의 단면 경도 값을 가질 수 있다. 평균 단면 경도 값은 적어도 5회의 샘플 측정으로부터, 또는 특히 정확하게 5회 샘플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평균 값으로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맨틀층(106)은 이의 단면 상에서 "연질" 또는 "경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연질 맨틀층(106)은 약 50 내지 약 86.5 JIS C, 또는 약 50 내지 약 86 JIS C, 또는 약 82 내지 약 86.5 JIS C, 또는 약 82 내지 약 86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 값을 가질 수 있다. 경질 맨틀층(106)은 약 86.5 초과 내지 약 95 JIS C, 또는 약 87 내지 약 95 JIS C, 또는 약 86.5 초과 내지 약 91 JIS C, 또는 약 87 내지 약 91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경질" 및 "연질"에 대한 이러한 범위는 내부 코어(102) 및 외부 코어(104)의 평균 단면 경도에 대한 경질 및 연질 범위(둘 모두 상기에서 논의됨)와는 다를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에서, 맨틀층(106)이 이의 "연질" 범위 또는 이의 "경질" 범위 내에 속하는 지의 여부는 내부 코어(102)의 경도 및 외부 코어(104)의 경도에 따른다. 즉, 세 개의 층들 중 둘은 이의 "연질" 범위 내에 속하며 하나는 이의 "경질" 범위 내에 속한다. 예를 들어, 맨틀층(106)이 또한 "연질"인 경우에, 내부 코어(102)는 연질이며, 외부 코어(104)는 경질이거나, 내부 코어(102)는 경질이며, 외부 코어(104)는 연질이다. 반대로, 맨틀층(106)이 경질인 경우에, 내부 코어(102) 및 외부 코어(104) 둘 모두는 연질이다.
일반적으로, 맨틀층(106)의 경도는 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 물질(stock material)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즉,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106)은 둘 이상의 모 Surlyn® 물질들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맨틀층(106)의 경도는 제1의 Surlyn® 이오노머 및 제2의 Surlyn® 이오노머, 및 적용 가능한 경우에 추가 Surlyn® 이오노머(들)의 상대적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의 Surlyn® 이오노머는 제1의 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제2의 Surlyn® 이오노머는 제2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이후에, 두 개의 Surlyn® 이오노머들은 이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 제1의 경도와 제2의 경도 사이에 있는 경도를 갖는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첨가제의 양은 둘 이상의 Surlyn® 이오노머들의 혼합물의 경도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맨틀층(106)은 DuPont의 Surlyn® 이오노머 S9150, S8150, 및 S9320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은 커버층(108)을 도시한다. 커버층(108)은 맨틀층(106)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위치되고 맨틀층(106)을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커버층(108)은 Surlyn®, 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발라타(balata), 및 이러한 물질들의 조합물과 같은 이오노머들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골프공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커버층(108)은 다양한 중량 백분율의 PTMEG, BG, TMPME, DCP, 및 MDI의 블렌드인 가교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물질로부터 제조된다. "PTMEG"는 2,000의 수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로서, 이는 Invista에서 Terathane® 2000의 상표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BG"는 BASF 및 다른 공급업체들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1,4-부탄디올이다. "TMPME"는 Perstorp Specialty Chemicals AB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트리메틸올프로판 모노알릴에테르이다. "DCP"는 LaPorte Chemicals Ltd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디쿠밀 퍼옥사이드이다. "MDI"는 Huntsman으로부터 Suprasec® 1100의 상표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상세하게, 이러한 물질들은 성분들을 고속 교반식 교반기에서 1분 동안 혼합하고, 약 70℃의 온도에서 출발하여, 약 100℃의 온도에서 10시간 후경화 공정으로 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후경화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작은 칩으로 그라인딩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외부 커버층 조성물은 하기 특허 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러한 문헌 각각은 전문이 본원에 포함된다:
미국특허공개번호 US-2012-0004050호, 현재 미국특허출원일련번호 12/829,131호 (Yasushi Ichikawa 등, 2010년 7월 1일에 출원, 발명의 명칭 "Golf Ball Incorporat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미국특허공개번호 , 현재 미국특허출원일련번호 13/341,544호 (Thomas J. Kennedy III, 2011년 12월 30일에 출원, 발명의 명칭 "Ionomer/Polyamide Alloy for Golf Balls"); 및
미국특허공개번호 , 현재 미국특허출원일련번호 13/342,551호 (Yasushi Ichikawa 등, 2012년 1월 3일에 출원, 발명의 명칭 "Over-Index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Comprising The Elastomer").
커버층(108)은 사출 성형, RIM, 및 압축 성형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하지 않는 임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커버층(108)의 두께(208)는 임의의 요망되는 두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208)는 골프공(100)이 공인 골프공일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208)는 골프공(100)의 감촉(feel)을 향상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208)는 약 0.5 mm 내지 약 1.5 mm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208)는 약 1.1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에는 골프공의 공기역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 커버층 상에 딤플(dimple)이 제공된다. 임의의 형상 및 깊이를 가지고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패턴의 임의의 수의 딤플은 커버층(108)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200 내지 500개의 딤플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300 내지 400개의 딤플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320 내지 350개의 딤플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코팅층들이 커버층(108)에 적용될 수 있다. 코팅층(들)은 임의의 이유로, 예를 들어 스커프 내성(scuff resistance)을 위해, 커버층(108)의 경도를 변경시키고, 골프공(100)의 공기역학을 변경시키고, 골프공(100)의 명시도(visibility)를 향상시키고, 심미적 목적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코팅은 페인트, 잉크, 클리어 코트(clear coat), 우레탄 코팅, 스파클 코팅(sparkle coating),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하지 않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유형의 코팅일 수 있다. 코팅은 분무, 스탬핑(stamping), 패드 프린팅(pad printing), 브러시 도포(brush application), 이러한 기술들의 조합,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하지 않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어셈블링된 후에,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은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특성들을 나타낼 것이다. 이러한 특성들 중 일부는 공 COR, 공 중량, 및 공 압축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100)의 COR은 약 0.772 보다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골프공(100)은 약 35 g 내지 약 55 g, 특히 약 45 g 내지 약 46 g의 중량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골프공(100)은 약 2.4 내지 3.3 mm, 또는 약 2.7 내지 약 3.0 mm의 압축 변형 값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마감처리된 골프공은 유리한 피크 주파수 소리(peak frequency sound)를 달성할 수 있다. 피크 주파수 소리는 골프 클럽으로 타격될 때에 골프공이 만드는 소리가 낮은 피치(low pitch)이고 "단단한(solid)" 소리를 내도록, 특히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피크 주파수 소리는 약 3.75 kHz 미만일 수 있다. 이러한 낮은 주파수 소리는 이루어진 샷(shot)의 질(quality)을 보다 잘 전할 수 있기 때문에, 골퍼에 의해 선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고려하여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E1 내지 E7, 및 비교예 C1 내지 C8을 하기에서 논의되고 표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E1 내지 E7, 및 비교예 C1 내지 C8의 시험 결과는 또한 표 1에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샘플을 시험 전에 제작 후 적어도 8주 동안 에이징시켰다. 모든 샘플을 시험을 수행하기 이전에 대략 23℃, 0% 습도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각 내부 코어를 하나 이상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하였다. 내부 코어는 HPF AD1035와 HPF2000의 혼합물로서, 중량에 대해 소량의 추가 Surlyn® 이오노머, 뿐만 아니라 BaS04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다. 다양한 경도 값은 AD1035 및 HPF2000의 상대적인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되었다. 표 1에서 주지되는 바와 같이, 특정 비교예에서 내부 코어의 직경은 24 mm이며, 다른 모든 것은 28 mm의 직경을 갖는다.
각 외부 코어를 네오디뮴-촉매화된 부타디엔 고무 ("Nd-BR")로부터 제조하였다. BaS04를 외부 코어에 첨가하여 공의 질량 한계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중량을 부가하였다. 외부 코어의 다양한 경도는 고무 조성물에서 ZDA 또는 퍼옥사이드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되었다.
각 실시예 맨틀층을 DuPont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Surlyn®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사용된 Surlyn®은 DuPont의 S9150, S8150, 및 S9320의 혼합물이었다. 맨틀층의 다양한 경도 값은 S9150, S8150, 및 S9320의 상대적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되었다. 다양한 맨틀층 포뮬레이션의 설명은 2009년 11월 30일에 출원되고 미국특허출원번호 US-2011-0130220-A1호로서 공개된 미국특허출원번호 12/627,992호에 제공되며, 이러한 문헌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각 비교예 맨틀층을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각 커버층을 폴리우레탄, 예를 들어 상기에서 언급된 미국특허출원번호 13/342,551호에 기재된 것으로부터 제조하였다.
하기 결과가 달성되었다:
표 1
Figure 112015018055087-pct00001
하기 항목들은 표 1에 나열된 것이다:
구성(configuration): 내부 코어, 외부 코어, 및 맨틀층의 경도 값들의 관계를 지칭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예를 들어, "SSH"는 내부 코어가 연질이며, 외부 코어가 연질이며, 맨틀층이 경질임을 의미한다. 표 2는 각 층에 대한 연질 및 경질의 정의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 값은 JIS C로 제공된다.
표 2 - 평균 경도값의 범위
Figure 112015018055087-pct00002
이러한 측정은 절반으로 절단하고 샌딩한 (이후에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함) 샘플로부터 얻어진 JIS C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내부 코어 물질 및 Surlyn® 맨틀층 물질의 경도는 균일하며, 고무 외부 코어 물질은 이의 단면 상의 다양한 포인트에서 경도값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각 측정은 특정된 층의 단면의 거의 중심에서 얻어진 것이다. JIS C 경도 게이지 니들을 절반 절단된 샘플에 대해 수직으로 유지시키고, 이후에 샘플에 대해 견고하게 압축시켜 명확하게 판독하였다. 표 1에서 기술된 숫자는 10회 측정의 평균이다. 하나의 반구체가 다른 반구체에 비해 약간 더 크도록 공을 대략 절반으로 절단하였다. 보다 큰 반구체의 절단 측면을 평면 측정 표면을 분명히 정의하기 위해 평평하게 샌딩하였다. 얻어진 측정 표면은 공의 중심면에 해당한다. 명칭: S = Surlyn® 맨틀층, U = 우레탄 맨틀층.
맨틀층: ASTM D-2240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맨틀 물질의 슬랩(slab)의 쇼어 D 경도.
커버층: ASTM D-2240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커버층 물질의 슬랩의 쇼어 D 경도.
중량: 그램(gram) 단위의 마감처리된 공 중량.
압축: 마감처리된 골프공 압축의 압축 변형.
COR: 마감처리된 골프공의 반발 계수.
커버층 쇼어 D: 이는 프렛 구역(fret area)(딤플들 사이) 상에서 얻어진 5회의 측정의 평균으로서 측정된 공의 커버의 쇼어 D 경도이다. ASTM 표준 D-2240이 사용되지만, 평평한 플라크(flat plaque) 대신에, 골프공의 중심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딤플들 사이의 구역과 접촉하도록, 마감처리된 골프공은 니들 아래에 정위된다.
커버층 JIS C: 쇼어 D를 위한 ASTM 표준 D-2240 대신에 JIS C 게이지 (JIS K 6253에서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음)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커버층 쇼어 D 방법을 참조한다.
맨틀층 JIS C: 이의 측정은 절반으로 절단하고 샌딩한 (이후에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함) 샘플로부터 얻어진 JIS C (JIS K 6253)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각 측정은 맨틀층의 단면의 거의 중심에서 수행되었다. JIS C 경도 게이지 니들을 절반 절단된 샘플에 대해 수직으로 유지시키고, 이후에 샘플에 대해 견고하게 압축시켜 명확하게 판독하였다. 표 1에서 기술된 숫자는 10회 측정의 평균이다. 상세하게, 하나의 반구체가 다른 반구체에 비해 약간 더욱 크도록 공을 대략 절반으로 절단하였다. 보다 큰 반구체의 절단 측면을 평면 측정 표면을 분명히 정의하기 위해 평평하게 샌딩하였다. 얻어진 측정 표면은 공의 중심면에 해당한다.
외부 코어 JIS C: 이의 측정은 절반으로 절단하고 샌딩한 (이후에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함) 샘플로부터 얻어진 JIS C (JIS K 6253)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모든 측정은 특정된 층의 단면 (내부 코어와 맨틀층 사이의 중간)의 거의 중심에서 수행되었다. JIS C 경도 게이지 니들을 절반 절단된 샘플에 대해 수직으로 유지시키고, 이후에 샘플에 대해 견고하게 압축시켜 명확하게 판독하였다. 표 1에서 기술된 숫자는 10회 측정의 평균이다. 상세하게, 하나의 반구체가 다른 반구체에 비해 약간 더욱 크도록 공을 대략 절반으로 절단하였다. 보다 큰 반구체의 절단 측면을 평면 측정 표면을 분명히 정의하기 위해 평평하게 샌딩하였다. 얻어진 측정 표면은 공의 중심면에 해당한다.
내부 코어 JIS C: 이의 측정은 절반으로 절단하고 샌딩한 (이후에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함) 샘플로부터 얻어진 JIS C (JIS K 6253)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모든 측정은 내부 코어의 거의 중심에서 수행되었다. JIS C 경도 게이지 니들을 절반 절단된 샘플에 대해 수직으로 유지시키고, 이후에 샘플에 대해 견고하게 압축시켜 명확하게 판독하였다. 표 1에서 기술된 숫자는 10회 측정의 평균이다. 상세하게, 하나의 반구체가 다른 반구체에 비해 약간 더욱 크도록 공을 대략 절반으로 절단하였다. 보다 큰 반구체의 절단 측면을 평면 측정 표면을 분명히 정의하기 위해 평평하게 샌딩하였다. 얻어진 측정 표면은 공의 중심면에 해당한다.
주파수: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피크 주파수를 참조한다.
드라이버 시험: 각각 마감처리된 12개의 골프공 샘플을 Golf Labs 로봇으로 야외에서 타격하였다. 티(tee)는 로봇의 중심에서 앞쪽으로 대략 2인치이며, 공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중심에 위치하고 면(face)의 중심점에서 위로 대략 반 인치의 드라이버 면(driver face)에 충돌시켰다. 헤드 스피드는 대략적으로 89 mph이었다. 사용되는 드라이버는 엑스트라 스티프 샤프트(extra stiff shaft)를 갖는 VR Pro 9.5도 로프트(loft)이다. 데이타를 모으기 위하여 트랙맨 네트 시스템(trackman net system)(레이더 기반 론치 모니터(radar based launch monitor))을 사용하였다.
도 2는 표 1로부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피크 주파수 소리 및 COR의 다양한 값의 챠트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들이 기술되어 있지만, 이러한 설명은 한정하기 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더욱 많은 구현예들 및 실행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을 고려하는 것을 제외하고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변형 및 변화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0)

  1. 골프공의 중심을 포함하고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상기 내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상기 내부 코어를 둘러싸는, 고무로 이루어진 외부 코어;
    상기 외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상기 외부 코어를 둘러싸는, 이오노머로 이루어진 맨틀층; 및
    상기 맨틀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상기 맨틀층을 둘러싸는 커버층
    을 포함하는 골프공으로서,
    상기 내부 코어, 상기 외부 코어, 및 상기 맨틀층 중 두 개는 연질(soft)이고 나머지 한 개는 경질(hard)이며,
    연질 내부 코어가 70 내지 72.5 JIS C 미만의 평균 단면 경도(average cross-sectional hardness)를 가지며, 경질 내부 코어가 72.5 내지 76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연질 외부 코어가 80 내지 83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경질 외부 코어가 83 초과 내지 8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연질 맨틀층이 82 내지 86.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경질 맨틀층이 86.5 초과 내지 91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고,
    평균 단면 경도는 10회 측정의 평균이며, 상기 외부 코어에 대한 각각의 측정은 상기 외부 코어의 단면의 중심에서 얻어지는 것이고, 상기 맨틀층에 대한 각각의 측정은 상기 맨틀층의 단면의 중심에서 얻어지는 것이며, 상기 내부 코어에 대한 각각의 측정은 상기 내부 코어의 중심에서 얻어지는 것인 골프공.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코어가 70 내지 72.5 JIS C 미만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외부 코어가 80 내지 83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맨틀층이 86.5 초과 내지 91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갖는 골프공.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코어가 70 내지 72.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외부 코어가 83 초과 내지 8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맨틀층이 82 내지 86.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갖는 골프공.
  4.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코어가 72.5 내지 76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외부 코어가 80 내지 83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맨틀층이 82 내지 86.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갖는 골프공.
  5. 제1항에 있어서, 골프공이 3.75 kHz 미만의 피크 주파수 소리(peak frequency sound)를 갖는 골프공.
  6. 제1항에 있어서, 골프공이 적어도 0.772의 COR 값을 갖는 골프공.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코어가 둘 이상의 다른 유형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골프공.
  9.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코어가 28 mm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골프공.
  10.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코어가 28 mm의 직경을 가지며, 내부 코어가 73 내지 76 JIS C의 단면 경도를 갖는 골프공.
  11. 골프공의 중심을 포함하고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내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내부 코어를 둘러싸고, 고무로 이루어진 외부 코어;
    외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외부 코어를 둘러싸고, 이오노머로 이루어진 맨틀층; 및
    맨틀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맨틀층을 둘러싸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골프공으로서,
    내부 코어가 70 내지 72.5 JIS C 미만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외부 코어가 80 내지 83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맨틀층이 86.5 초과 내지 91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고,
    평균 단면 경도는 10회 측정의 평균이며, 상기 외부 코어에 대한 각각의 측정은 상기 외부 코어의 단면의 중심에서 얻어지는 것이고, 상기 맨틀층에 대한 각각의 측정은 상기 맨틀층의 단면의 중심에서 얻어지는 것이며, 상기 내부 코어에 대한 각각의 측정은 상기 내부 코어의 중심에서 얻어지는 것인 골프공.
  12. 골프공의 중심을 포함하고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내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내부 코어를 둘러싸고, 고무로 이루어진 외부 코어;
    외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외부 코어를 둘러싸고, 이오노머로 이루어진 맨틀층; 및
    맨틀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맨틀층을 둘러싸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골프공으로서,
    내부 코어가 70 내지 72.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외부 코어가 83 초과 내지 8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맨틀층이 82 내지 86.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갖는 골프공.
  13. 골프공의 중심을 포함하고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내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내부 코어를 둘러싸고, 고무로 이루어진 외부 코어;
    외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외부 코어를 둘러싸고, 이오노머로 이루어진 맨틀층; 및
    맨틀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맨틀층을 둘러싸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골프공으로서,
    내부 코어가 72.5 내지 76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외부 코어가 80 내지 83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맨틀층이 82 내지 86.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갖는 골프공.
  14. 골프공의 중심을 포함하고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내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내부 코어를 둘러싸고, 고무로 이루어진 외부 코어;
    외부 코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외부 코어를 둘러싸고, 이오노머로 이루어진 맨틀층; 및
    맨틀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정위되고 맨틀층을 둘러싸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골프공으로서,
    골프공이 3.75 kHz 미만의 피크 주파수 소리, 및 적어도 0.772의 COR 값을 가지고,
    상기 내부 코어, 상기 외부 코어 및 상기 맨틀층 중 두 개는 연질이고 나머지 한 개는 경질이며,
    연질 내부 코어가 70 내지 72.5 JIS C 미만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경질 내부 코어가 72.5 내지 76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연질 외부 코어가 80 내지 83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경질 외부 코어가 83 초과 내지 8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연질 맨틀층이 82 내지 86.5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며, 경질 맨틀층이 86.5 초과 내지 91 JIS C의 평균 단면 경도를 가지고,
    평균 단면 경도는 10회 측정의 평균이며, 상기 외부 코어에 대한 각각의 측정은 상기 외부 코어의 단면의 중심에서 얻어지는 것이고, 상기 맨틀층에 대한 각각의 측정은 상기 맨틀층의 단면의 중심에서 얻어지는 것이며, 상기 내부 코어에 대한 각각의 측정은 상기 내부 코어의 중심에서 얻어지는 것인 골프공.
  15. 제14항에 있어서, 내부 코어가 28 mm의 직경을 갖는 골프공.
  16. 제15항에 있어서, 내부 코어가 73 내지 76 JIS C의 경도를 갖는 골프공.
  17. 제14항에 있어서, 내부 코어가 적어도 두 개의 고도로 중화된 폴리머, 이오노머, 및 중량 증가 충전제(weight increasing filler)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골프공.
  18. 제14항에 있어서, 외부 코어가 열경화성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는 골프공.
  19. 제14항에 있어서, 맨틀층이 Surlyn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골프공.
  20. 삭제
KR1020157004589A 2012-08-13 2013-08-12 두 개의 연질층 및 하나의 경질층을 갖는 골프공 KR101650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82754P 2012-08-13 2012-08-13
US61/682,754 2012-08-13
US13/963,380 US20140045622A1 (en) 2012-08-13 2013-08-09 Golf Ball With Two Soft Layers And One Hard Layer
US13/963,380 2013-08-09
PCT/US2013/054546 WO2014028390A1 (en) 2012-08-13 2013-08-12 Golf ball with two soft layers and one hard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776A KR20150030776A (ko) 2015-03-20
KR101650673B1 true KR101650673B1 (ko) 2016-08-23

Family

ID=5006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589A KR101650673B1 (ko) 2012-08-13 2013-08-12 두 개의 연질층 및 하나의 경질층을 갖는 골프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45622A1 (ko)
EP (1) EP2882505A4 (ko)
JP (1) JP2015528333A (ko)
KR (1) KR101650673B1 (ko)
CN (1) CN104768618A (ko)
WO (1) WO2014028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1224B2 (ja) * 2015-12-14 2020-01-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ツーピースゴルフボー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6677A1 (en) 2006-12-29 2008-07-24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balls with improved feel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255B1 (ko) * 1990-06-01 1992-08-01 일야실업 주식회사 세겹으로 이루어진 골프공
US5725442A (en) * 1995-06-14 1998-03-10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JP2817668B2 (ja) * 1995-06-14 1998-10-30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2910650B2 (ja) * 1995-12-22 1999-06-23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5816937A (en) * 1996-01-12 1998-10-06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having a multilayer cover
JP2964952B2 (ja) * 1996-05-14 1999-10-18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US5772531A (en) * 1996-11-01 1998-06-30 Kasco Corporation Solid golf ball
GB2320440B (en) * 1996-12-20 2001-04-11 Sumitomo Rubber Ind Four piece solid golf ball
JP3930934B2 (ja) * 1997-02-03 2007-06-13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US20050070377A1 (en) * 1997-05-27 2005-03-31 Christopher Cavallaro Thin-layer-covered multilayer golf ball
US6849006B2 (en) * 1997-05-27 2005-02-01 Acushnet Company Thin, thermoset, polyurethane-covered golf ball with a dual core
US6045460A (en) * 1997-05-29 2000-04-04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US6123630A (en) * 1997-05-29 2000-09-26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JP4260293B2 (ja) * 1998-09-18 2009-04-30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マルチピースゴルフボール
JP4012638B2 (ja) * 1998-11-13 2007-11-21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マルチピースゴルフボール
JP4282177B2 (ja) * 1998-12-28 2009-06-17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フォー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US6419595B1 (en) * 1999-07-09 2002-07-16 Bridgestone Sports Co., Ltd. Solid golf ball
US20060106175A1 (en) * 2001-06-26 2006-05-18 Murali Rajagopalan Highly neutralized acid polymer compositions having a low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and their use in golf balls
JP4214003B2 (ja) * 2002-08-12 2009-01-28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US6923735B1 (en) * 2004-02-04 2005-08-02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US8177665B2 (en) * 2005-02-01 2012-05-15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Multi-layer golf ball
US7300363B2 (en) * 2005-02-07 2007-11-27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US7294068B2 (en) * 2005-05-24 2007-11-13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US8523707B2 (en) * 2006-05-31 2013-09-03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JP4925098B2 (ja) * 2006-06-05 2012-04-25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20090181801A1 (en) * 2008-01-10 2009-07-16 Sullivan Michael J Two-Layer Core Golf Ball
US7527566B2 (en) * 2007-04-13 2009-05-05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US8025594B2 (en) * 2009-06-26 2011-09-27 Acushnet Company Golf ball with single layer core having specific regions of varying hardness
US7429221B1 (en) * 2007-07-03 2008-09-30 Acushnet Company Negative hardness gradient outer core layer for dual core golf ball
US7744492B2 (en) * 2007-07-31 2010-06-29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US7425182B1 (en) * 2007-07-31 2008-09-16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US7740547B2 (en) * 2007-07-31 2010-06-22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US7727084B2 (en) * 2007-10-29 2010-06-01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JP5312914B2 (ja) * 2008-08-05 2013-10-09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9517385B2 (en) * 2008-12-26 2016-12-13 Dunlop Sports Co., Ltd. Golf ball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20100179001A1 (en) * 2009-01-12 2010-07-15 Feng Tay Enterprises Co., Ltd. Golf ball
US20110053707A1 (en) * 2009-02-19 2011-03-03 Nike, Inc. Multilayer Solid Golf Ball
US8545347B2 (en) * 2009-06-23 2013-10-01 Nike, Inc. Golf ball with oriented particles
US9302157B2 (en) * 2009-11-30 2016-04-05 Nike, Inc. Solid golf ball with thin mantle layer
CN102166404B (zh) * 2009-12-02 2016-09-14 阿库施耐特公司 多层芯高尔夫球
JP5411688B2 (ja) * 2009-12-28 2014-02-12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20120077621A1 (en) * 2010-06-30 2012-03-29 Nike, Inc. Four-Piece Golf Balls Including A Crosslink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Cover Layer
US20120064998A1 (en) * 2010-08-20 2012-03-15 Nike, Inc. Golf Ball Having High Initial Veloc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6677A1 (en) 2006-12-29 2008-07-24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balls with improved f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82505A4 (en) 2016-03-09
JP2015528333A (ja) 2015-09-28
CN104768618A (zh) 2015-07-08
US20140045622A1 (en) 2014-02-13
KR20150030776A (ko) 2015-03-20
EP2882505A1 (en) 2015-06-17
WO2014028390A1 (en)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4940B2 (en) Golf ball with a large and soft polymer core
EP2760551B1 (en) Golf ball having relationships among the densities of various layers
US20130217517A1 (en) Golf Ball Having Outer Cover With Low Flexural Modulus
US9033823B2 (en) Golf ball with specified density inner cover layer
US9101798B2 (en) Golf ball with high density and high hardness mantle
KR101650673B1 (ko) 두 개의 연질층 및 하나의 경질층을 갖는 골프공
US20140045623A1 (en) Golf Ball With Hard Cover Layer
US8944935B2 (en) Multilayer golf ball with resin inner core and specific coefficient of restitu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 layers
US8992340B2 (en) Golf ball with an outer core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restitution
US9061184B2 (en) Golf ball with specified inner core and outer core compression
US20130244813A1 (en) Golf Ball With Resin Inner Core
US8920263B2 (en) Golf ball with resin inner core and specified inner core and ball compression
US8905864B2 (en) Golf ball with resin inner core with a designated specific gravity
US8911307B2 (en) Golf ball with resin inner core and specified inner core and cover layer hardness
US8911306B2 (en) Golf ball with resin inner core having specified coefficient of restitution of the inner core at various speeds
US8932153B2 (en) Golf ball with specified core coefficient of restitution
US20140045620A1 (en) Golf Ball With Resin Inner Core
US20130210549A1 (en) Golf Ball With Specified Core Compression Ratio
US8936520B2 (en) Multilayer golf ball with resin inner core and specified hardness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ous layers
WO2013103689A1 (en) Golf ball with resin inner core
US20130210552A1 (en) Golf ball having high initial velo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