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548B1 -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 Google Patents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548B1
KR101650548B1 KR1020140111835A KR20140111835A KR101650548B1 KR 101650548 B1 KR101650548 B1 KR 101650548B1 KR 1020140111835 A KR1020140111835 A KR 1020140111835A KR 20140111835 A KR20140111835 A KR 20140111835A KR 101650548 B1 KR101650548 B1 KR 101650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exponent
sleeve
rubber pad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693A (ko
Inventor
주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벤텍
Priority to KR102014011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5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브, 가이드벨트, 고무패드, 지수패드, 고정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을 관로의 이상부위에 시공하면 슬리브와 관로 사이에 1차적으로 고무패드가 오염수의 유출을 차단하고 2차적으로 지수패드가 오염수의 유출을 차단하는 이중 밀봉 구조를 갖기 때문에 오염수의 유출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고, 지수패드의 외면을 고정와이어가 잡아주고 고무패드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를 통해서 고무패드의 움직임을 잡아주기 때문에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고무패드와 지수패드의 위치 이동 및 변형이 생기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관로의 이상부위에 시공할 때 불량률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Non-excavating repair materials of a pipe}
본 발명은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수부재와 관로의 사이에 밀봉력을 향상시켜 관로의 이상부위를 확실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개선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관로가 부분적으로 파손되거나 이음부가 벌어지거나 단차가 생기는 등 누수를 야기할 수 있는 다양한 이상부위가 발생하는 경우 토양 오염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보수하기 위한 다양한 비굴착 내면 보수공법들이 개발되어 있다.
이같은 보수공법들로는 이상부위 구간에 전체적으로 합성수지 관을 끼워 넣어서 보수하는 전체보수공법, 접착수지액과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이상부위만을 대상으로 유리섬유에 접착수지액을 도포하여 함침시킨 후 경화시켜 부분적으로 보수하는 라이닝 부분보수공법, 원통형으로 감기도록 구성된 지수패드의 외면에 지수패드가 씌워져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를 관로 내에 밀착하여 이상부위를 부분적으로 보수하는 보강링공법 등이 있다.
이러한 공법들 가운데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를 사용하는 보강링공법은 작업시간이 비교적 짧고 공사방법이 간단하여 비굴착 보수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가 관로의 이상부위에 시공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소재로 한 판을 원통 형태로 감은 슬리브(10)와, 슬리브(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슬리브(10)가 원통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가이드벨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가이드벨트(20)의 일단은 슬리브(10)의 일단에 접합 고정되고, 타단은 슬리브(10)를 원통 형태로 감았을 때 슬리브(10)의 타단에 형성된 절개부(14)를 통해 삽입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벨트(2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되게 다수개의 걸림공(22)이 형성되고, 슬리브(10)에는 걸림공(22)과 대응되는 걸림돌기(12)가 형성되어, 걸림돌기(12)가 걸림공(22)에 걸려 슬리브(10)가 원통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원통 형태로 감겨 있는 슬리브(10)의 외면에는 지수액이 함침된 지수패드(30)가 씌워지게 관로(P)의 이상부위를 밀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를 관로의 이상부위에 시공할 때는 에어백 형태의 보수기(미도시)에 수축된 상태로 씌워 장착한 후 관로(P)의 이상부위로 이동시켜 보수기를 통해 슬리브(10)를 팽창시켜 지수패드(30)가 관로(P)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때, 걸림돌기(12)가 걸림공(22)에 걸려 지지되기 때문에 슬리브(10)는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 다음, 보수기를 슬리브(10)에서 분리하여 관로(P) 밖으로 빼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수가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의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는 지수패드가 불량이거나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 지수패드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지수패드에 균열이 생기고 이 균열 부분으로 오염수가 침투하여 관로의 이상부위로 배출되면서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리브에 씌워진 지수패드를 잡아주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지수패드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응고되기 전에 유동에 의해서 말리거나 접히면서 관로의 이상부위와 지수패드 사이에 틈이 생겨 오염수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26123호에는 가이드벨트의 연결부분에 밀봉을 위한 고무시트가 부분적으로 설치된 관로의 비굴착 보수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관로의 비굴착 보수부재는 지수패드 대신 고무시트가 설치되어 있지만 고무시트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한 밀봉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가이드벨트가 설치된 틈새로 오염수가 유출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슬리브와 관로의 내면 사이로 침투하는 오염수는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오염수가 조금씩 관로의 이상부위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26123호(공개일: 2006년12월07일), 발명의 명칭: "관로의 비굴착 보수부재용 고무시트"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1634호(등록일: 2002년09월27일), 고안의 명칭: "관로 보수용 고강도 라이닝재"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6994호(등록일: 2012년11월26일), 발명의 명칭: "스테인레스 보강관을 이용한 관로 내면 부분보수공법"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5745호(등록일: 2012년05월07일), 발명의 명칭: "통형관과 이를 이용한 관로 내면 보수공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리브의 외면에 1차적으로 고무패드를 감싸도록 설치하고 고무패드의 외면에 2차적으로 지수패드를 감싸도록 설치하여 밀봉력을 향상시켰으며, 고무패드와 지수패드를 잡아주는 구조를 추가하여 시공시 고무패드와 지수패드가 움직이거나 접히면서 생기는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봉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슬리브의 외면 양측에 각각 밀봉링을 위치 및 형태 변형없이 안정적으로 결합 설치하여 슬리브와 관로의 내면 사이로 오염수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개선한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은, 판이 원통 형태로 감겨 있고 양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확대되는 오염수안내경사면이 형성된 슬리브와, 슬리브의 외면에 설치되어 슬리브가 원통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가이드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지수액이 함침된 지수패드와, 상기 지수패드의 외면에 스크류 타입으로 권취되어 지수패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고정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리브의 양측 단부에는 링안착홈이 형성되고, 이 링안착홈에는 밀봉링이 결합되어 슬리브와 관로의 내면 사이로 오염수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게 구성하고, 상기 링안착홈은 슬리브의 양측 단부를 내측 방향으로 눌러서 형성하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곡선면으로 형성되어 오염수가 슬리브 내부로 흐를때 오염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링안착홈에 걸리는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밀봉링은 하부에 링안착홈에 삽입되는 홈삽입고정부가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는 오염수안내경사면과 링안착홈 사이의 공간을 충진할 수 있게 공간충진부가 연장 형성되어, 슬리브의 외측에 결합될 때 밀봉링이 오염수안내경사면에서 지수패드 사이의 공간을 충진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밀봉링의 타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드의 단부에는 결합홈과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밀봉링과 고무패드가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밀봉링이 슬리브 외면과 관로의 내면 사이에서 가압될 때 밀봉링이 고무패드의 단부를 잡아주어 고무패드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패드의 외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수패드가 고무패드의 외면에 감싸지게 설치되었을 때 미끄럼방지돌기가 지수패드에 내면에 파묻혀 걸림 현상에 의해 고무패드와 지수패드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수패드의 외면에 권취되어 있는 고정와이어는 지수패드가 관로의 내면에 밀착될 때 지수패드 외면에 파묻혀 지수패드와 관로의 내면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를 관로의 이상부위에 시공하면 슬리브와 관로 사이에 1차적으로 고무패드가 오염수의 유출을 차단하고 2차적으로 지수패드가 오염수의 유출을 차단하는 이중 밀봉 구조를 갖기 때문에 오염수의 유출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수패드의 외면을 고정와이어가 잡아주고 고무패드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를 통해서 고무패드의 움직임을 잡아주기 때문에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고무패드와 지수패드의 위치 이동 및 변형이 생기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관로의 이상부위에 시공할 때 불량률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리브의 양측 단부에 밀봉링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더 우수한 밀봉력을 갖게 되며, 밀봉링이 안착되는 링안착홈이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오염수가 슬리브 내부로 흐를때 오염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돌출된 링안착홈에 걸리는 현상이 생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곡선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원활한 흐름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가 관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가 관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밀봉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가 관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밀봉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소재로 한 판이 원통 형태로 감겨 있고 양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확대되는 오염수안내경사면(130)이 형성된 슬리브(100)와, 슬리브(100)의 외면에 설치되어 슬리브(100)가 원통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가이드벨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가이드벨트(200)의 일단은 슬리브(100)의 일단에 접합 고정되고, 타단은 슬리브(100)를 원통 형태로 감았을 때 슬리브(100)의 타단에 형성된 절개부(120)를 통해 삽입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벨트(2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되게 다수개의 걸림공(210)이 형성되고, 슬리브(100)에는 걸림공(210)과 대응되는 걸림돌기(110)가 형성되어, 걸림돌기(110)가 걸림공(210)에 걸려 슬리브(100)가 원통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물론, 슬리브(100) 직경의 수축 또는 확장에 따라 걸림돌기(110)가 걸리는 걸림공(210)의 위치가 변형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는 원통 형태로 감겨 있는 슬리브(100)의 외면에는 고무패드(300)가 슬리브(10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고무패드(300)의 외면에는 지수액이 함침된 지수패드(400)가 고무패드(30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지수패드(400)의 외면에는 고정와이어(500)가 스크류 타입으로 권취되어 지수패드(400)가 외압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고무패드(300)와 지수패드(400)는 서로 간에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고정와이어(500)가 지수패드(400)의 외면에 권취되었을 때 지수패드(400)와 함께 고무패드(300)의 움직임도 제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고무패드(300)의 외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310)가 돌출 형성되어 지수패드(400)가 고무패드(300)의 외면에 감싸지게 설치되었을 때 미끄럼방지돌기(310)가 지수패드(400)에 내면에 파묻혀 걸림 현상이 생기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고무패드(300)와 지수패드(400)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3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패드(300)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고무패드(300)의 중간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미끄럼방지돌기(310)는 좌측으로 향하게 기울어지고 우측에 위치하는 미끄럼방지돌기(310)는 우측을 향하게 기울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미끄럼방지돌기(310)가 지수패드(400)에 경사지게 파묻히기 때문에 좌측으로 움직이려는 현상은 좌측의 미끄럼방지돌기(310)가 확실하게 잡아주고 우측으로 움직이려는 현상은 우측의 미끄럼방지돌기(310)가 확실하게 잡아주게 된다.
그리고 고정와이어(500)는 지수패드(400)의 외면에 권취되어 있지만 직경이 가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지수패드(400)의 표면에 파묻혀 돌출되지 않게 구성된다. 즉, 지수패드(400)가 관로(P)의 내면에 밀착될 때 고정와이어(500)는 지수패드(400) 외면에 파묻혀 지수패드(400)와 관로(P)의 내면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수패드(400)의 외면에 고정와이어(500)가 삽입되는 홈을 스크류 방식으로 형성하여 처음부터 고정와이어(500)가 지수패드(400)의 외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는 원통 형태로 감겨 있는 슬리브(100)의 양측 단부에 링안착홈(140)을 형성하고, 이 링안착홈(140)에는 밀봉링(600)이 안착된 상태로 유동되지 않게 결합되어 밀봉력을 향상시키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링안착홈(140)은 슬리브(100)의 양측 단부를 내측 방향으로 눌러서 형성하는 것으로, 제1경사면(142)과 제2경사면(144)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경사면(142)과 제2경사면(144)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곡선면(146)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오염수가 슬리브(100) 내부로 흐를때 오염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돌출된 링안착홈(140)에 걸리는 현상이 생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곡선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원활한 흐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밀봉링(600)은 원형의 링으로 형성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링(600)은 하부에 링안착홈(140)에 삽입되는 홈삽입고정부(610)가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는 오염수안내경사면(130)과 링안착홈(140) 사이의 공간(150)을 충진할 수 있게 공간충진부(620)가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슬리브(100)의 외측에 결합될 때 밀봉링(600)이 오염수안내경사면(130)에서 지수패드(400) 사이의 공간을 전부 충진하게 되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원형의 링보다 우수한 밀봉력을 갖게 된다.
또한, 밀봉링(600)의 타측에는 결합홈(630)이 형성되고, 고무패드(300)의 단부에는 결합홈(630)과 대응되는 결합돌기(320)가 돌출 형성되어, 밀봉링(600)과 고무패드(300)가 결합홈(630)과 결합돌기(320)에 의해 서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밀봉링(600)이 슬리브(100) 외면과 관로(P)의 내면 사이에서 가압될 때 밀봉링(600)이 고무패드(300)의 단부를 잡아주어 고무패드(30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를 관로(P)의 이상부위에 시공할 때는 에어백 형태의 보수기(미도시)에 수축된 상태로 씌워 장착한 후 관로(P)의 이상부위로 이동시켜 보수기를 통해 슬리브(100)를 확장시켜 밀봉링(600)과 지수패드(400)가 관로(P)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관로(P)의 내부에서 슬리브(100)가 확장될 때 걸림돌기(110)가 걸림공(210)에 걸려 지지되기 때문에 슬리브(100)는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 다음, 보수기를 슬리브(100)에서 분리하여 관로(P) 밖으로 빼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보수를 하면, 본 발명은 슬리브(100) 내부로 안내되는 오염수가 1차적으로 고무패드(300)에 의해 밀봉되고 2차적으로 지수패드(400)에 의해 밀봉되기 때문에 우수한 밀봉력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오염수가 관로(P)의 이상부위로 유출되는 문제가 완벽하게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슬리브(100)의 양측 단부에 밀봉링(600)을 추가로 설치하면, 밀봉링(600)이 슬리브(100)와 관로(P)의 내면 사이로 오염수가 침투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때문에 오염수가 관로(P)의 이상부위로 유출되는 것이 더욱 확실히 차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와이어(500)가 지수패드(400)외 외면을 잡아주고 지수패드(400)와 고무패드(300) 간에는 미끄럼방지돌기(31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시공하는 과정에서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지수패드(400)나 고무패드(300)가 움직이면서 말리거나 접히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 되고, 따라서 관로(P)의 이상부위에 시공할 때 불량이 생기는 문제가 해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슬리브 110: 걸림돌기
120: 절개부 130: 오염수안내경사면
140: 링안착홈 142: 제1경사면
144: 제2경사면 146: 곡선면
150: 공간 200: 가이드벨트
210: 걸림공 300: 고무패드
310: 미끄럼방지돌기 320: 결합돌기
400: 지수패드 500: 고정와이어
600: 밀봉링 610: 홈삽입고정부
620: 공간충진부 630: 결합홈
P: 관로

Claims (4)

  1. 판이 원통 형태로 감겨 있고 양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확대되는 오염수안내경사면이 형성된 슬리브와, 슬리브의 외면에 설치되어 슬리브가 원통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가이드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지수액이 함침된 지수패드와,
    상기 지수패드의 외면에 스크류 타입으로 권취되어 지수패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고정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리브의 양측 단부에는 링안착홈이 형성되고, 이 링안착홈에는 밀봉링이 결합되어 슬리브와 관로의 내면 사이로 오염수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게 구성하고,
    상기 링안착홈은 슬리브의 양측 단부를 내측 방향으로 눌러서 형성하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곡선면으로 형성되어 오염수가 슬리브 내부로 흐를때 오염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링안착홈에 걸리는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밀봉링은 하부에 링안착홈에 삽입되는 홈삽입고정부가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는 오염수안내경사면과 링안착홈 사이의 공간을 충진할 수 있게 공간충진부가 연장 형성되어, 슬리브의 외측에 결합될 때 밀봉링이 오염수안내경사면에서 지수패드 사이의 공간을 충진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밀봉링의 타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드의 단부에는 결합홈과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밀봉링과 고무패드가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밀봉링이 슬리브 외면과 관로의 내면 사이에서 가압될 때 밀봉링이 고무패드의 단부를 잡아주어 고무패드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의 외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수패드가 고무패드의 외면에 감싸지게 설치되었을 때 미끄럼방지돌기가 지수패드에 내면에 파묻혀 걸림 현상에 의해 고무패드와 지수패드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수패드의 외면에 권취되어 있는 고정와이어는 지수패드가 관로의 내면에 밀착될 때 지수패드 외면에 파묻혀 지수패드와 관로의 내면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3. 삭제
  4. 삭제
KR1020140111835A 2014-08-26 2014-08-26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KR101650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835A KR101650548B1 (ko) 2014-08-26 2014-08-26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835A KR101650548B1 (ko) 2014-08-26 2014-08-26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693A KR20160024693A (ko) 2016-03-07
KR101650548B1 true KR101650548B1 (ko) 2016-08-23

Family

ID=5554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835A KR101650548B1 (ko) 2014-08-26 2014-08-26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446B1 (ko) * 2021-02-17 2021-10-06 주식회사 창진 비굴착 관로의 강도 보강용 내면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 보수 공법
CN114382166B (zh) * 2021-12-06 2023-08-25 济南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排水管道检测系统
CN115972643B (zh) * 2022-12-06 2023-07-21 河北晟泽管道制造集团有限公司 一种塑套钢保温管的生产装置及生产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377Y1 (ko) * 2005-12-21 2006-03-08 주식회사 새미래환경이엔씨 하수관의 보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24Y2 (ja) * 1991-09-06 1995-03-08 株式会社大阪防水建設社 チューブライニングの端末固定構造
KR200291634Y1 (ko) 2002-07-08 2002-10-11 모악개발 주식회사 관로 보수용 고강도 라이닝재
KR20050079088A (ko) * 2004-02-04 2005-08-09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관로 보수용 슬리브
KR20060126123A (ko) 2005-06-03 2006-12-07 주식회사 한강개발 관로의 비굴착 보수부재용 고무시트
KR101145745B1 (ko) 2011-05-30 2012-05-16 주식회사 창진 통형관과 이를 이용한 관로 내면 보수공법
KR101206994B1 (ko) 2011-09-02 2012-11-30 (주)엔코텍 스테인레스 보강관을 이용한 관로 내면 부분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377Y1 (ko) * 2005-12-21 2006-03-08 주식회사 새미래환경이엔씨 하수관의 보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693A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548B1 (ko)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JP2008533405A (ja) 管路の非掘削補修部材及び補修方法
FI94901C (fi) Tiivisterengas
JP5501664B2 (ja) 既設管路の耐震止水構造
CA2645985C (en) Grout and lifting tube
EP0413494A1 (en) Method for water leakage prevention in pipeline and liner for water leakkage prevention
KR100512024B1 (ko) 관로의 비굴착 보수부재
KR100938015B1 (ko) 굴착공사의 지반보강 충전제의 충전장치
KR101650546B1 (ko)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KR101658738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공법
JP6216273B2 (ja) 閉塞部材および支保孔の閉塞方法
KR20130052272A (ko) 복합 배관 및 그 조립 방법
KR101546781B1 (ko)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WO2012011529A1 (ja) 管路更生管
JP2018193732A (ja) 既設水路構造物を更生する方法および構造、ならびに既設水路構造物用の更生管
KR200407553Y1 (ko) 비굴착식 하수관 보수기
JP5909207B2 (ja) 地下埋設管更生用管材
JP6713296B2 (ja) 閉塞具および管路更生方法
JP4711996B2 (ja) 切管端面の防食塗装方法
EP3953633B1 (en) Sealing assembly
KR100940387B1 (ko) 지하수 심정 그라우팅장치
JP2022182755A (ja) 管間端口のシール方法及びシール構造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KR100775634B1 (ko)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및 보수공법
EP3242068A1 (de) Verfahren zum dauerhaften abdichten einer rohrverbindung und rohrverbindung zwischen zwei abwasserrohren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