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452B1 -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452B1
KR101650452B1 KR1020150009855A KR20150009855A KR101650452B1 KR 101650452 B1 KR101650452 B1 KR 101650452B1 KR 1020150009855 A KR1020150009855 A KR 1020150009855A KR 20150009855 A KR20150009855 A KR 20150009855A KR 101650452 B1 KR101650452 B1 KR 101650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type operating
information
management
opera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429A (ko
Inventor
이동기
황성일
최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to KR102015000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4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운용 제어 또는 복수의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제1 타입 운용 모듈을 포함한 복수의 자동판매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기들 중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의 상기 통합 운용 관리 중에 제2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이 상기 자동판매기의 운용 제어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 및 시스템{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운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판매기들의 운용과 관련한 통합 제어 모듈을 복수 개를 마련하여 보다 안정적인 운용 관리를 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길거리나 건물 내부의 작은 공간에서도 무인상태로 각종 상품을 진열 및 판매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류에 따라, 냉동 또는 냉장을 위한 장치가 구비되거나, 또는 판매되어진 상품을 즉석에서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구가 구비되거나, 사발면이나 우동 등의 판매를 위해 뜨거운 용수를 보급할 수 있는 온수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등이 많다.
한편, 자동판매기들은 개별적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자동판매기들의 제품 관리는 해당 자동판매기를 관리할 책임 또는 권한이 있는 관리자가 각각의 자동판매기들의 상태를 파악하고 운용해오고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은 자동판매기 운용과 관련한 확인 작업이 필요한 시점에 수행되지 않거나 또는 확인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시점에 수행되는 등의 불필요한 노동력 낭비 등이 있었다.
일본등록특허 제3191561호, 2001.05.25. 등록 (명칭: 자동 판매기의 절전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보다 효율적인 자동판매기들의 관리를 수행하면서도,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과 관련한 통합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를 복수개로 마련한 후 선택적으로 운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운용 관리를 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은 자동판매기의 운용 제어 또는 복수의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제1 타입 운용 모듈을 포함한 복수의 자동판매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기들 중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의 상기 통합 운용 관리 중에 제2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이 상기 자동판매기의 운용 제어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자동판매기는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이 정상 상태인지 확인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자동판매기에 포함된 제1 타입 운용 모듈은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에 전송한 지정된 정상 동작 확인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 또는 응답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의 정상 상태를 확인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자동판매기에 포함된 제1 타입 운용 모듈은 비정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지정된 시간 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자동판매기에 포함된 제1 타입 운용 모듈은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이 비정상 상태이면 비정상 상태 안내 정보를 관리 서버 장치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기들 중 제2 자동판매기는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기 운용과 관련한 운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은 상기 자동판매기의 운용 제어를 수행하는 자동판매기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 자신의 자동판매기 운용 정보를 수집 및 제어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 외부 관리 서버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자신 또는 다른 자동판매기로부터 수신된 운용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센서 정보 수집을 제어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자신의 자동판매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 자신의 자동판매기의 운용 제어 및 일군의 전체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은 상기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자동판매기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 자신의 자동판매기 운용 정보를 수집 및 수신된 제어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센서 정보 수집을 제어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자신의 자동판매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를 동작시키도록 설정되거나, 상기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자동판매기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센서 정보 수집을 제어하고 수집된 센서 정보를 상기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자동판매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를 동작시키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자동판매기들 중 제1 자동판매기의 제11 타입 운용 모듈이 자동판매기의 운용 관리 및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 상기 제11 타입 운용 모듈과 동일한 제2 자동판매기의 제12 타입 운용 모듈이 자신의 자동판매기의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1 타입 운용 모듈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12 타입 운용 모듈이 활성화되어 상기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은 통합 제어와 관련한 복수개의 통합 제어 모듈을 선택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지정된 통합 제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자동판매기의 운용 관리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운용 관리를 위한 운용 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운용 모듈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10)은 제1 타입 운용 모듈들(110a, 110b)을 각각 포함하는 제1 자동판매기들(100), 제2 타입 운용 모듈들(210a, 210b, 210c)을 포함하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 관리 서버 장치(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10)에서 제1 자동판매기들(100)은 제1 타입 운용 모듈들(110a, 110b)을 기반으로 운용될 수 있다. 특히, 제1 자동판매기들(100)에 배치된 제1 타입 운용 모듈들(110a, 110b)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은 제2 타입 운용 모듈들(210a, 210b, 210c)을 포함하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 및 제1 자동판매기들(100)을 통합 운용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에 에러가 발생하거나 이상이 생김에 따라 통합 운용 관리 기능 실행이 불가능한 경우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 이외의 다른 제12 타입 운용 모듈(110b)이 제2 자동판매기들(200) 및 제1 자동판매기들(100)의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10)은 자동판매기 자신의 운용 관리 및 일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제1 타입 운용 모듈들(110a, 110b)을 복수 개를 마련한 후, 선택적으로 운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10)에서 제1 타입 운용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자동판매기들은 예컨대 2개 이상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동판매기들(100) 또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품이 입고될 수 있는 입고 공간과, 입고된 제품이 외부로 제공될 수 있는 노출 가능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동판매기들(100) 또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은 예컨대, 커피나 캔과 같은 음료수류를 판매하는 음료 자판기, 인스턴트 식품류 등을 판매할 수 있는 인스턴트 식품 판매 자판기, 과자나 빵류를 판매할 수 있는 식품 판매 자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자동판매기들(100) 또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은 예컨대, 상기 상품들이 배치될 수 있는 진열장과, 진열장을 밀폐시키는 케이스와, 진열장에 배치된 상품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상품 이동 수단, 영구전원과 연결되어 전원 공급을 지원하는 전원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동판매기들(100) 또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은 예컨대, 진열대에 진열된 상품들의 상태 보존 또는 지정된 상태로 판매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열 장치 또는 냉각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동판매기들(100)은 제1 타입 운용 모듈들(110a, 110b)이 각각 배치된 자동판매기들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자동판매기들(100)은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이 배치된 제11 타입 자동판매기(100a), 제12 타입 운용 모듈(110b)이 배치된 제12 타입 자동판매기(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입 운용 모듈들(110a, 110b)은 자신의 운용 관리와 다른 제1 자동판매기들(100) 및 제2 자동판매기들(200)의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타입 운용 모듈들(110a, 110b) 중 어느 하나는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관리 서버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타입 운용 모듈들(110a, 110b) 중 어느 하나는 제1 자동판매기들(100)과 제2 자동판매기들(200)로부터 수집한 복수 자판기의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판매기들의 전력 소비 측정 차단, 자판기 제어, 판매 수요 예측, 에너지절감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은 제2 타입 운용 모듈들(210a, 210b, 210c)의 기능 수행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자신의 자동판매기 운용 관리)을 수행하면서 추가적으로 전체 자동판매기들에 대한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은 관리 서버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자신이 수집한 복수 자판기의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 소비 측정 차단, 자판기 제어, 판매 수요 예측, 에너지절감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은 센서 정보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타입 운용 모듈들(110a, 110b) 중 어느 하나(예: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가 활성화되어 전체 자동판매기들에 대한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다가, 이상 발생 시 다른 제1 타입 운용 모듈 예컨대 제12 타입 운용 모듈(110b)이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지 않는 예컨대 제12 타입 운용 모듈(110b)은 제2 타입 운용 모듈들(210a, 210b, 210c)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동판매기들(200) 각각은 제2 타입 운용 모듈들(210a, 210b, 210c)을 기반으로 운용될 수 있다. 제2 자동판매기들(200)은 제품 판매에 따라 수집된 정보(또는 운용 정보)를 제2 타입 운용 모듈들(210a, 210b, 210c)을 이용하여 제1 자동판매기들(100) 중 지정된 제1 자동판매기 예컨대 제11 타입 자동판매기(100a)의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자동판매기들(200) 중 어느 하나의 자동판매기 예컨대, 제21 자동판매기(200a)는 제2 타입 운용 모듈에 해당하는 제21 타입 운용 모듈(120a)을 운용할 수 있다. 제21 타입 운용 모듈(120a)은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과 통신을 수행하여 제21 자동판매기들(200a)의 운용 및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각 제21 자동판매기들(200a)의 관리와 관련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모듈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2 자동판매기(200b)는 제22 타입 운용 모듈(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2 타입 운용 모듈(120b)은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과 제22 자동판매기(200b) 운용과 관련한 정보의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제23 자동판매기(200c)는 제23 타입 운용 모듈(12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3 타입 운용 모듈(120c)은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과 제23 자동판매기(200c) 운용과 관련한 정보의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400)는 제1 자동판매기들(100)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400)는 제11 타입 자동판매기(100a)와 관리 서버 장치(300) 간에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1 타입 자동판매기(100a)의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이 이상이 발생하여 통합 운용 관리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400)는 제12 타입 운용 모듈(110b)을 포함한 제12 타입 자동판매기(100b)와 통신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관리 서버 장치(300)의 제어 정보 또는 프로그램 갱신 정보 등을 제11 타입 자동판매기(100a) 또는 제12 타입 자동판매기(100b) 중 어느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제11 타입 자동판매기(100a) 또는 제12 타입 자동판매기(100b)로부터 일정 군 단위 자동판매기들의 운용 정보를 관리 서버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 장치(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제11 타입 자동판매기(100a) 또는 제12 타입 자동판매기(100b)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 장치(300)는 예컨대, 자동판매기들에 공급되는 제품 관리를 위한 장치로서 예컨대, 창고 재고 관리, 차량 경로 관리, 고장 진단 관리, 보충 주기 관리, 품목 할당 관리, 업데이트 관리 등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 장치(300)는 자동판매기들의 제품 판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서버 장치(300)는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 또는 제12 타입 운용 모듈(110b)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 위치한 또는 해당 군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자동판매기들의 운용 정보를 수집하고, 운용과 관련된 제어 정보 또는 프로그램 갱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타입 운용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를 제11 타입 자동판매기(100a)와 제12 타입 자동판매기(100b)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타입 운용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는 보다 많은 수의 자동판매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타입 운용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가 3개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은 SEM(Smart enhanced module) 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하여 해당 군 단위 전체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SEM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모듈)은 SCM(Smart control module) 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하여 각각의 자동판매기 운용 제어와 관련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동판매기들(200)을 3개의 장치로서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제2 자동판매기는 예컨대 1대 이상일 수 있다. 또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을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10)에 포함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제외될 수도 있다. 즉, 제1 자동판매기들(100)만이 배치된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10)이 운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SEM 장치로서의 역할은 예컨대, 자신의 자동판매기 운용 관리 및 일군(예: 근거리 통신 채널로 연결되는)의 자동판매기들의 전체 통합 운용 관리일 수 있다. SCM 장치로서의 역할은 자신의 자동판매기 운용 관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타입 운용 모듈들(110a, 110b) 중 어느 하나는 해당하는 제1 자동판매기의 운용 관리 수행과 함께 일정 군에 속한 전체 자동판매기들의 제품 판매와 관련한 통합 운용 관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운용 관리를 위한 운용 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예컨대, 통합 운용 관리를 위한 운용 모듈은 앞서 언급한 제1 타입 운용 모듈들(110a, 110b)일 수 있다. 제1 타입 운용 모듈들(110a, 110b)은 예컨대 SEM(Smart evolution module) 장치일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제1 타입 운용 모듈들에 대하여 도면번호 110을 할당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타입 운용 모듈(110)은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 이동통신부(113),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 및 통합 제어부(116)(R-SEM, Reconfigurable SEM)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타입 운용 모듈(110)은 전체 자동판매기들(예: 제1 자동판매기들 및 제2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를 위한 SEM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 특정 자동판매기의 운용 관리만을 수행하는 SCM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타입 운용 모듈(110)이 SEM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 이동통신부(113),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 및 통합 제어부(116)(R-SEM, Reconfigurable SEM)들을 모두 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는 제2 타입 운용 모듈들(210a, 210b, 210c)에 배치된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와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는 통합 제어부(116)의 제어에 대응하여 주변에 제2 자동판매기들(200)이 있는지 검색(scan 또는 discovery)을 수행하고, 검색된 제2 자동판매기들(2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의 구동과 관련한 제어 신호를 제2 자동판매기들(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의 구동에 따라 수집된 전력 사용 정보 또는 제품 판매 또는 재고 정보 등을 제2 자동판매기들(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는 수집된 정보들을 통합 제어부(116)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에 배치된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통신 모듈로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 또는 BLE 통신 모듈,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는 또한 제1 타입 운용 모듈들 중 SCM(Smart control module) 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예컨대,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이 SEM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보유된 SEM 장치를 SCM 장치로서 구동하는 제12 타입 운용 모듈(110b)과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는 제12 타입 자동판매기(100b)의 운용 정보를 수신하고, 제12 타입 자동판매기(100b)의 통합 운용 관리를 위한 제어를 제12 타입 자동판매기(100b)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는 일정 군에 속한 자동판매기들 중 SCM 장치를 포함한 제2 자동판매기들(200) 및 SEM 장치를 포함하였지만 SCM 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자동판매기들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는 자동판매기들(예: 일정 군 단위 전체 자동판매기들로서 예컨대, 제1 자동판매기들(100) 및 제2 자동판매기들(200))의 제품 판매량 정보 또는 전체 자동판매기들의 재고량 정보 등을 포함하는 운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는 이와 관련하여, 지정된 주기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를 통하여 제2 자동판매기들(200) 및 SEM 장치로서 동작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동판매기에 운용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는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6)가 전달한 제2 자동판매기들(200) 및 일부 제1 자동판매기(SEM 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제1 자동판매기)의 운용 정보를 통합 제어부(116)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는 운용 정보 수집이 지정된 시간 동안 수행된 경우 또는 운용 정보가 지정된 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수집된 운용 정보를 통합 제어부(116)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는 자신의 제품 판매와 관련한 운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는 전체 자동판매기들의 제품 판매 및 재고량 등을 기준으로 해당 제품과 관련한 정보 표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는 특정 종류의 제품의 재고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자동판매기에서 제품 판매가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제어하고, 제품의 재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자동판매기에서 제품이 품절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는 제품 보충이 수행된 경우, 제품 보충에 따른 제품 판매 가능량 또는 제품 재고량에 대한 정보 표시가 수행되도록 전체 자동판매기들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부(113)는 제1 자동판매기들(100)의 외부 통신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부(113)는 예컨대 이동통신 모듈 또는 인터넷 통신 모듈 또는 3G, 4G, LTE, 5G 등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부(113)는 위치적으로 일정 공간 떨어져 있는 관리 서버 장치(300)와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113)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관리 서버 장치(300)에 판매 수요 예측 정보를 제공하거나, 관리 서버 장치(300)로부터 자동판매기들 관리와 관련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113)는 관리 서버 장치(300)로부터 프로그램 갱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 예시로서, 이동통신부(113)는 다른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의 에러 발생 안내 정보 또는 비정상 상태 안내 정보를 관리 서버 장치(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는 예컨대, 제1 자동판매기들(100)에 포함된 센서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동판매기들(100)은 입고된 제품 판매와 관련한 센서 또는 입고된 제품 판매와 관련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동판매기들(100)은 입고된 제품 재고량을 센싱하는 센서, 제품 판매에 따른 제품 판매를 카운트하는 센서, 제품 판매와 관련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는 상술한 제1 자동판매기들(100)에 포함된 센서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센서 활성화를 제어하고, 활성화된 센서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로서, 제1 자동판매기들(100)은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는 예컨대, 상기 카메라 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는 카메라 센서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카메라 센서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는 카메라 센서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통합 제어부(116)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로서,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는 제1 자동판매기들(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는 위치 정보 수집 센서에 요청하여 제1 자동판매기들(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합 제어부(116)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는 제1 센서부(11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센서부(117)는 상술한 재고량 센싱 센서, 제품 판매 카운트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가 제1 센서부(117)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자동판매기는 별도의 센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는 제1 자동판매기들(100)의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는 자동판매기에 배치된 스위치 및 타이머의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는 통합 제어부(116)로부터 제1 자동판매기들(100)의 전력 제어와 관련한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여 스위치 및 타이머를 제어하여 제1 자동판매기들(100)의 제품 판매와 관련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는 제1 자동판매기들(100)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력 사용량 정보와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전력 차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는 통합 제어부(116)로부터 과도한 전력 소비에 따른 전력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과도한 전력 소비의 기준이 되는 설정 정보는 예컨대, 자동판매기의 운용과 관련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동 인구가 많은 시간대(또는 위치)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소비 전력이 설정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유동 인구가 적은 시간대(또는 위치)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소비 전력이 설정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전력 차단 제어 신호는 예컨대, 제1 자동판매기들(100)에 배치된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차단 제어 신호는 타이머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차단 제어 신호의 타이머 시간은 예컨대, 계절 또는 날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외부 온도가 지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는 가열 장치의 전력 공급 타이머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한 제어 신호를 통합 제어부(116)로부터 수신하여 그에 따른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온도가 지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는 냉각 장치의 전력 공급 타이머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한 제어 신호를 통합 제어부(116)로부터 수신하여 그에 따른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외부 온도가 지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는 가열 장치의 전력 공급 타이머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한 제어 신호를 통합 제어부(116)로부터 수신하고 그에 따른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온도가 지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는 냉각 장치의 전력 공급 타이머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한 제어 신호를 통합 제어부(116)로부터 수신하고 그에 따른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제어부(116)는 관리 서버 장치(300)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관리 서버 장치(300)로 전체 자동판매기들 운용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16)는 관리 서버 장치(300)로부터 예컨대, 일정 군 단위 자동판매기들(예: 제1 타입 운용 모듈(110)과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합 운용 관리되도록 설정된 자동판매기들)의 판매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버전 갱신 정보, O&M(Organization and methods) 제어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부(116)는 판매 데이터, 재고 데이터, 수요 예측 결과 및 O&M 데이터 등을 관리 서버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통합 제어부(116)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타입 운용 모듈(110)이 SCM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 만을 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들은 해당 제1 자동판매기의 운용 관리를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는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제1 자동판매기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운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는 자동판매기 운용과 관련된 제어 정보로서, 예컨대, 자동판매기의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 가열 장치 또는 냉각 장치 구동 시간 제어, 조명 장치 운용 제어, 제품 판매량에 따른 재고 요청 제어, 현금 보관 상태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제1 타입 운용 모듈(110)이 선택적으로 SCM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와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만을 동작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합 제어부(116)는 판매 수요 예측 모듈(116a), 에너지 절감 관리 모듈(116b), 갱신 제어 모듈(116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수요 예측 모듈(116a)은 전체 자동판매기들이 제공한 제품 판매량 정보 또는 제품 재고량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판매 수요 예측 모듈(116a)은 누적 저장된 정보들을 토대로 어떠한 종류의 제품이 어느 시점에 얼마의 양만큼 팔릴 것인지에 대한 판매 수요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판매 수요 예측 모듈(116a)은 판매 수요 예측 정보를 이동통신부(113)를 통해 관리 서버 장치(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절감 관리 모듈(116b)은 전체 자동판매기들의 제품 판매와 관련하여 운용되는 시간 관리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에너지 절감 관리 모듈(116b)은 제품 판매 패턴을 파악하고, 어떠한 제품이 많이 팔리는 시간대와 적게 팔리는 시간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 관리 모듈(116b)은 제품이 많이 팔리는 시간대에는 정상적인 전원 공급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적게 팔리는 시간대에는 일부 진열 라인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전원 절약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에너지 절감 관리 모듈(116b)은 전체 자동판매기들 중 적어도 일부 자동판매기들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전체 자동판매기들의 전원 공급을 수행하여 제품 판매 패턴과 관련한 에너지 절감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갱신 제어 모듈(116c)은 통합 제어부(116)의 프로그램 갱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갱신 제어 모듈(116c)은 일정 주기 또는 지정된 주기 또는 관리 서버 장치(300) 요청에 따라 관리 서버 장치(300)로부터 갱신한 버전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갱신 제어 모듈(116c)은 수신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예시로서, 갱신 제어 모듈(116c)은 제품이 팔리지 않는 시점 또는 거의 팔리지 않는 시점을 추출하고, 해당 시점에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운용 모듈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2 타입 운용 모듈(120)은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제2 타입 운용 모듈들(210a, 210b, 210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타입 운용 모듈들(210a, 210b, 210c)에 대하여 도면번호 120을 할당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타입 운용 모듈(120)은 예컨대 SCM(Smart control module)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타입 운용 모듈(110)은 제2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21), 제2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22), 제2 센서 인터페이스부(124),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예시로서, 제2 타입 운용 모듈(120)은 제2 센서 인터페이스부(124)와 제2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21) 및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타입 운용 모듈(110)은 제2 센서 인터페이스부(124)와 제2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21)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21)는 제1 타입 운용 모듈(110)의 요청에 따라 또는 지정된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여 주기적으로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21)는 제1 타입 운용 모듈(11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의 운용에 따른 운용 정보를 제1 타입 운용 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21)는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21)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BLE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22)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의 제품 판매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22)는 제품 판매량, 재고량, 현금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22)는 가열 장치 또는 냉각 장치 상태, 조명 장치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2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22)는 수집된 자판기 정보를 제2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21)를 통하여 제1 타입 운용 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2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22)는 제1 타입 운용 모듈(11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특정 제품 판매를 중단하거나, 특정 제품 판매의 가열 상태 또는 냉각 상태 등을 다르게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22)는 앞서 설명한 제1 타입 운용 모듈(110)에서의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와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센서 인터페이스부(124)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등)와 연결되어, 해당 센서들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센서 인터페이스부(124)는 해당 센서들의 활성화, 해당 센서들의 운용에 따른 센서 정보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센서 인터페이스부(124)는 수집된 센서 정보를 제2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21)를 통해 제1 타입 운용 모듈(11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센서 인터페이스부(124)는 앞서 설명한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와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센서 인터페이스부(124)는 제2 센서부(12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센서부(127)는 예컨대, 상술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는 앞서 설명한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의 전력 소비 상태를 측정하고 지정된 스케줄에 따라 또는 지정된 기준에 따라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재공급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는 제2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21)를 통하여 제1 타입 운용 모듈(110)로부터 전력 소비 운용과 관련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제어 정보에 따른 전력 소비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는 지정된 스케줄링 정보에 대응하여 또는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6)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스위치 상태 또는 타이머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는 외부 전원 공급 인터페이스와 내부 전력 공급 인터페이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는 예컨대 110/200V AC 전원의 공급 또는 공급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소모 구성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제품 판매 카운트 센서 등)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장치 또는 냉각 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25)에 포함된 타이머는 제2 자동판매기들(200)의 조명 시스템을 지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타이머는 가열 장치의 가열을 위한 전원 공급 시간 또는 냉각 장치의 냉각을 위한 전원 공급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머의 설정과 관련한 정보는 제2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21)가 제1 타입 운용 모듈(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에 있어서, 제1 SEM(110a)은 예컨대 제11 자동판매기(100a)의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일 수 있다. 또한 제2 SEM(110b)은 예컨대 제12 자동판매기(100b)의 제12 타입 운용 모듈(110b)일 수 있다.
제1 SEM(110a)은 501 과정에서 지정된 기능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SEM(110a)은 전체 자동판매기들에 대한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운용 관리는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자동판매기들에 대한 제품 판매량 검출, 제품 재고량 검출, 전력 절감 제어, 센서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SEM(110b)은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 이동통신부(113),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 및 통합 제어부(116)를 모두 운용할 수 있다.
제2 SEM(110b)은 501 과정에서 SCM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SEM(110b)은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 제1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112),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 제1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115)만을 동작시키거나 또는 제1 센서 인터페이스부(114) 및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501 과정과 503 과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SEM(110a)이 동작하는 동안 제2 SEM(110b)은 SCM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503 과정에서, 제2 SEM(110b)은 정상 동작 확인 메시지를 제1 SEM(110a)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정상 동작 확인 메시지는 제1 SEM(110a)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질의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제1 SEM(110a)은 제2 SEM(110b)으로부터 정상 동작 확인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505 과정에서 정상 동작 응답 메시지를 제2 SEM(110b)에 전송할 수 있다. 정상 동작 응답 메시지는 실질적으로 제1 SEM(110a)이 정상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 대응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정상 동작 응답 메시지는 예컨대 ACK 메시지일 수 있다. 제2 SEM(110b)은 제1 SEM(110a)으로부터 지정된 메시지(예: 정상 동작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507과정에서 이전 상태를 유지(예: SCM 기능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로서, 제1 SEM(110a)은 정상 동작 응답 메시지를 제2 SEM(110b)에 전송하면서 또는 전송하기 전, 전송 중 또는 전송 후 자동판매기들(제1 자동판매기들 및 제2 자동판매기들)의 운용과 관련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제2 SEM(110b)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SEM(110b)은 제1 SEM(110a)으로부터 자동판매기들 운용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메모리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제2 SEM(110b)은 전체 자동판매기들 운용과 관련한 데이터 백업이 완료되면 SCM 기능 수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에 있어서, 제1 SEM(110a)은 예컨대 제11 자동판매기(100a)의 제11 타입 운용 모듈(110a)이고, 제2 SEM(110b)은 제12 자동판매기(100b)의 제12 타입 운용 모듈(110b)일 수 있다. 제1 SEM(110a)은 601 과정 이전에 도 5에서 설명한 501 과정을 수행 중인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SEM(110a)은 외부 충격 또는 내부 오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과정 601에서와 같이 기능 중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SEM(110b)은 601 과정에서 도 5에서 설명한 501 과정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SCM 기능을 지원하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SEM(110b)은 605 과정에서 지정된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여 정상 동작 확인 메시지를 제1 SEM(110a)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정상 동작 확인 메시지는 제1 SEM(110a)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질의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정상 동작 확인 메시지는 지정된 바이너리 코드이거나 지정된 특정 패턴의 메시지일 수 있다.
한편, 제1 SEM(110a)은 601 과정에서와 같이 에러 상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SEM(110a)은 정상적으로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이거나, 다른 자동판매기들과 통신할 수 없는 상태이거나 또는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 등일 수 있다. 즉, 제1 SEM(110a)은 다른 자동판매기들(예: SCM 기능을 수행하는 SEM을 가진 제1 자동판매기 및 제2 자동판매기들)과의 통신 채널 형성과 다른 자동판매기들의 정보 취합 및 제어를 지원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SEM(110a)은 또한 제2 SEM(110b)과 정상적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없는 상태이거나, 또는 통신 채널이 형성되더라도 정보 전송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603 과정에서 정상 동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제1 SEM(110a)은 제2 SEM(110b)으로부터 정상 동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정상 동작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SEM(110a)은 605 과정에서와 같이 비정상 응답 메시지를 제2 SEM(110b)에 전달하거나 또는 무응답할 수 있다.
제1 SEM(110a)으로부터 비정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지정된 시간 내에 어떠한 응답 메시지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제2 SEM(110b)은 제1 SEM(110a)을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SEM(110b)은 607 과정에서 SEM 기능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SEM(110b)은 동작하지 않던 이동통신부(113) 및 통합 제어부(116)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2 SEM(110b)이 지정된 시간 스케줄에 따라 활성화되어 제1 SEM(110a)의 기능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에 있어서, 제1 SEM(110a)은 일정 시간 주기로 또는 지정된 주기로 자신이 정상 상태로 동작하고 있음을 안내하는 정상 동작 상태 확인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SEM(110a)은 정상 동작 상태 확인 메시지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제2 SEM(110b)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제1 SEM(110a)은 이동통신부(113)를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제1 SEM(110a)은 통합 제어부(116)를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SEM(110a)은 SEM 기능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제1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111)를 이용하여 SEM 기능 지원이 가능한 자동판매기(예: 제2 SEM(110b)을 가진 자동판매기)에 SEM 기능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한 예시로서, 제2 SEM(110b)은 주변 자동판매기들의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들을 검색하여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자동판매기들과 형성된 통신 채널(예: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제어 정보의 전송 또는 자동판매기들의 운용 정보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에서 제2 SEM(110b)은 이전 제1 SEM(110a)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자동판매기들의 운용 및 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SEM(110b)은 관리 서버 장치(300)에 운용 정보 등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제1 SEM(110a)에 문제가 발생했음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은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SEM을 이중화 구조로 지원함으로써, 특정 SEM이 정상동작하지 않더라도 다른 SEM이 해당 동작을 대체하여 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 100a, 100b : 제1 자동판매기
110a, 110b : 제1 타입 운용 모듈 200a, 200b, 200c : 제2 자동판매기
210a, 210b, 210c : 제2 타입 운용 모듈
300 : 관리 서버 장치
400 : 네트워크

Claims (10)

  1. 자동판매기의 운용 제어 또는 복수의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제1 타입 운용 모듈을 포함한 복수의 자동판매기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기들 중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이 상기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동안, 제2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은 제2 자동판매기의 운용 제어를 수행하면서,
    상기 제2 자동판매기가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이 정상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 대신, 상기 제2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이 상기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동판매기에 포함된 제1 타입 운용 모듈은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에 전송한 지정된 정상 동작 확인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 또는 응답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의 정상 상태를 확인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동판매기에 포함된 제1 타입 운용 모듈은
    비정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지정된 시간 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동판매기에 포함된 제1 타입 운용 모듈은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이 비정상 상태이면 비정상 상태 안내 정보를 관리 서버 장치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기들 중 제2 자동판매기는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기 운용과 관련한 운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은
    상기 자동판매기의 운용 제어를 수행하는 자동판매기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
    자신의 자동판매기 운용 정보를 수집 및 제어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
    외부 관리 서버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자신 또는 다른 자동판매기로부터 수신된 운용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센서 정보 수집을 제어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자신의 자동판매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
    자신의 자동판매기의 운용 제어 및 일군의 전체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동판매기의 제1 타입 운용 모듈은
    상기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자동판매기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 자신의 자동판매기 운용 정보를 수집 및 수신된 제어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자판기 정보/제어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센서 정보 수집을 제어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자신의 자동판매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소비 측정/차단 인터페이스부;를 동작하도록 설정되거나,
    상기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자동판매기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센서 정보 수집을 제어하고 수집된 센서 정보를 상기 개별/군 단위 관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자동판매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를 동작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운용 시스템.
  9. 복수의 자동판매기들 중 제1 자동판매기의 제11 타입 운용 모듈이 자동판매기의 운용 관리 및 상기 복수의 자동판매기들의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
    상기 제11 타입 운용 모듈과 동일한 제2 자동판매기의 제12 타입 운용 모듈이 자신의 자동판매기의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제11 타입 운용 모듈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12 타입 운용 모듈이 활성화되어 상기 통합 운용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
  10. 삭제
KR1020150009855A 2015-01-21 2015-01-21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650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855A KR101650452B1 (ko) 2015-01-21 2015-01-21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855A KR101650452B1 (ko) 2015-01-21 2015-01-21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429A KR20160090429A (ko) 2016-08-01
KR101650452B1 true KR101650452B1 (ko) 2016-08-24

Family

ID=5670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855A KR101650452B1 (ko) 2015-01-21 2015-01-21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4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1561A (ja) 1989-12-20 1991-08-21 Nec Corp リードフレーム
JPH07152952A (ja) * 1993-11-29 1995-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販売機及びそのデータ収集システム
JPH11328511A (ja) * 1998-05-19 1999-11-30 Tif:Kk 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
KR20030089626A (ko) * 2002-05-16 2003-11-22 여태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429A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72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mesh network of configurable signage
US10704960B2 (en) Low-power user interface device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US8912886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nic shelf labels and the like
KR101001913B1 (ko) 전자 선반 레이블 태그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US20100308736A1 (en) Street lamp system
US9129518B2 (en) Device control system, wireless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2169970A5 (ko)
JP2023072040A (ja) 計測端末装置及び遠隔監視システム
CN101542545A (zh) 机柜监视和报告设备和系统
KR102614006B1 (ko)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
CN103477692A (zh) 接收机、通信系统及店铺内设备监视系统
KR20150139763A (ko)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KR101650452B1 (ko) 자동판매기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643171B1 (ko) 비콘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862300B (zh) 电子标签装置、任务信息分配方法和任务处理系统
CN102043135A (zh) 一种实时检测设备指示灯的方法及装置
KR20210052373A (ko) 매장의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
JP5894255B1 (ja) 自動販売機の運用方法及び装置
JP5401738B2 (ja) 自動販売機の省エネシステム
US202300679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eople in the store
JP2012237843A (ja) 電子表示システム
US200901533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sign system
JP2009110465A (ja) 自動販売機
AU2022268621A1 (en) System for managing stock of a shelf via near field radio communication
JP2021534053A (ja) 製品パレット、及び製品パレットの位置を把握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