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904B1 - 지수판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지수판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904B1
KR101649904B1 KR1020150012197A KR20150012197A KR101649904B1 KR 101649904 B1 KR101649904 B1 KR 101649904B1 KR 1020150012197 A KR1020150012197 A KR 1020150012197A KR 20150012197 A KR20150012197 A KR 20150012197A KR 101649904 B1 KR101649904 B1 KR 101649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chor
mold
groov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722A (ko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김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조 filed Critical 김영조
Priority to KR1020150012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9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7Expansion elements for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Abstract

본 발명의 지수판 연결 장치는 콘크리트에 설치되는 제1 앵커부가 구비되고 복수의 지수판이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상기 지수판에 포개지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수판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WATERSTOP CONNECTOR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교차 설치되는 복수의 지수판을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토목, 지하 구조물 등의 콘크리트 시공시 선타설부가 완성되면, 선타설부에 이어서 후타설 공사가 진행될 수 있다.
후타설부의 콘크리트가 건조됨에 따라 선타설부와 후타설부 간의 이음 부위에는 공극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의 공극을 통해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지수판이 이용될 수 있다.
선타설부와 후타설부의 이음 부위가 통상 직선인 관계로 지수판 역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선타설부와 후타설부의 이음 부위가 직선이 아닌 경우 복수의 지수판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교차 설치될 수 있다.
이때의 교차 지점에 대한 처리가 미비하면 누수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차 지점에서 각 지수판을 연결하는 부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761567호에는 2개의 지수판을 연결하는 구조물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해당 구조물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지수판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수판의 교차 지점에 설치되기 어렵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761567호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교차되는 복수의 지수판을 연결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지수판 연결 장치는 콘크리트에 설치되는 제1 앵커부가 구비되고 복수의 지수판이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상기 지수판에 포개지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 부재 제조 장치는 판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앵커부가 마련된 지수판 연결 부재가 사출 성형되는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금형에는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기 위한 판 형상의 판부, 상기 제1 앵커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판부에 형성된 제1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지수판 연결 부재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탈되도록 상기 제1 홈부의 측벽은 상기 판부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수직 방향에 구배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수판 연결 장치에는 콘크리트에 삽입되는 제1 앵커부가 마련된 몸체부로부터 지수판에 포개지도록 연장되는 날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날개부에 따르면, 지수판에 형성된 제2 앵커부를 제1 앵커부에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날개부가 몸체부와 지수판의 이음 부위를 밀폐시키는 패킹으로 기능하므로, 이음 부위의 누수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 부재 제조 장치에는 지수판 연결 부재가 사출 성형되는 금형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금형에는 지수판 연결 부재의 제1 앵커부를 성형하는 제1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홈부는 지수판 연결 부재의 몸체부를 성형하는 판부의 수직 방향 또는 구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홈부에 따르면, 금형 내에서 성형이 완료된 지수판 연결 부재를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도 1은 NATM(New Austrian Tunnelling Method) 공법으로 시공된 터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널 내의 지수판 설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터널에 설치된 지수판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수판 연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수판 연결 장치에 지수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돌출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돌출부에 수팽창 지수제가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앵커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제1 앵커부와 제2 앵커부의 연결 부위에 접착되는 방수 테이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지수판 연결 장치의 뒷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연결 부재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제1 홈부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제1 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연결 부재 제조 장치에 설치되는 인서트 코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2 홈부와 인서트 코어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인서트 코어로 사용되는 수팽창 지수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금형에 마련된 주입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NATM(New Austrian Tunnelling Method) 공법으로 시공된 터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널 내의 지수판 설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NATM 공법에 의한 터널 시공시, 지반을 점진적으로 발파하고 토석들이 붕괴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벽면에 숏크리트를 사출하여 원형굴(1)을 형성한다. 숏크리트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공기압 등으로 뿜어 붙임으로써 벽면에 타설하는 것을 말한다.
숏크리트가 타설된 원형굴(1)의 벽면에는 방수 시트(2)가 도포되고, 원통형의 거푸집(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거푸집의 길이는 작업성을 고려하여 수 미터 이내로 형성된다.
그리고 원통형 거푸집과 원형굴(1)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한 뒤, 원통형 거푸집을 분리해 콘크리트 라이닝(3)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다음 부분의 콘크리트 라이닝(3)을 계속 타설한다.
이때, 터널 내부를 지하수의 침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수 시트(2)가 이용될 수 있다.
방수 시트(2)는 원형굴(1)의 원주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각 콘크리트 라이닝(3)의 이음 부위는 방수 시트(2)만으로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수판(4)을 덧대어 접합시킴으로써 이음 부위에서의 누수를 방지한다. 이때, 지수판(4)은 콘크리트 라이닝(3)과 방수 시트(2)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3은 터널에 설치된 지수판(4)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지수판(4)은 각 콘크리트 라이닝(3)의 사이에 형성된 이음 부위, 즉 라이닝 조인트(9)를 덮는 판 형상의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라이닝(3)을 향해 돌출된 중앙부(25) 및 제2 앵커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25)는 평면 형상을 갖는 본체부(10)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며, 도 3과 같이 2개의 라이닝 콘크리트가 마주보는 라이닝 조인트(9)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부(25)에는 중공 벌브(bulb) 모양의 중공부(24)가 마련될 수 있다. 중공부(24)에 따르면 중앙부(25)는 라이닝 조인트(9)의 형상에 맞춰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중앙부(25)는 누수에 대해서 라이닝 조인트(9)를 효과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제2 앵커부(30)는 단면상으로 중앙부(25)를 중심으로 좌우에 복수로 마련되며, 2개의 라이닝 콘크리트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앵커부(30)의 단부에는 돌기(31)가 마련될 수 있다.
돌기(31)는 제2 앵커부(30)의 측면부에 형성된 주름 또는 제2 앵커부(30)의 측면부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요소일 수 있다. 돌기(31)에 따르면 제2 앵커부(30)와 콘크리트 라이닝(3)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빗물 등의 이물질이 숏크리트를 포함한 원형굴(1) 및 방수 시트(2)를 뚫고 진입하더라도, 해당 이물질은 경로 ⓦ를 통과해야지만 라이닝 조인트(9)에 도달할 수 있다. 경로 ⓦ는 본체부(10)와 콘크리트 라이닝(3) 사이의 틈, 복수로 마련된 제2 앵커부(30)와 콘크리트 라이닝(3) 사이의 틈, 중앙부(25)와 콘크리트 라이닝(3) 사이의 틈을 거치는 경로로, 사실상 경로 ⓦ를 거쳐 이물질이 침투되기는 불가능하다.
만약, 본체부(10)에 수팽창 지수제(50)를 지지하는 지지부(40)가 추가된다면, 물을 흡수하여 팽창되는 수팽창 지수제(50)에 의해 경로 ⓦ는 더욱 복잡해지게 될 것이다.
그런데, 지수판(4)이 도 2와 같이 X 지점에서 교차될 경우 방수 기능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교차 지점 X에서 세로로 연장되는 지수판(4)의 위에 가로로 연장되는 지수판(4)이 놓여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세로로 연장되는 지수판(4)의 방수 기능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가로로 연장되는 지수판(4)의 방수 기능이 훼손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가로 지수판이 세로 지수판을 타고 넘어가면서 제2 앵커부(30)의 일부가 콘크리트 라이닝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지수판 연결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수판 연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지수판 연결 장치(100)는 몸체부(110) 및 제1 앵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콘크리트 라이닝(3)을 덮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라이닝 조인트(9)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1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이닝 조인트(9)가 만나는 지점, 즉 교차 지점 X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의 교차 지점 X는 복수의 지수판(4)이 교차되는 지점일 수 있다.
제1 앵커부(130)는 콘크리트 라이닝(3)에 설치되는 요소로, 몸체부(1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앵커부(130)는 지수판(4)에 마련된 제2 앵커부(30)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라이닝(3)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앵커부(130)의 단부는 제2 앵커부(30)의 단부에 대면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지수판(4)과 유사한 형태의 지수판 연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런데, 몸체부(110)와 제1 앵커부(130)만 구성되면, 제1 앵커부(130)와 제2 앵커부(30)의 이음 부분에 다시 틈이 발생되므로 이 틈을 통해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지수판 연결 장치에는 날개부(150)가 추가될 수 있다.
날개부(150)는 몸체부(110)에 연결되는 지수판(4)에 포개지도록 몸체부(110)로부터 지수판(4)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날개부(150)는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날개부(150)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날개부(150)는 평면상으로 몸체부(110)의 상하좌우 4곳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날개부(150)는 몸체부(110)에 연결되는 지수판(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을 갖는 xyz 3차원 공간에서 몸체부(110)가 xy 평면에 놓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몸체부(110)에 연결되는 지수판(4)이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면, 날개부(150)는 몸체부(110)로부터 양의 x축 방향, 음의 x축 방향, 양의 y축 방향, 음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날개부(150)의 개수에 대응하여 몸체부(110)에는 4개의 지수판(4)이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4개의 지수판(4)은 도 2의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지수판(4)에서 교차 지점 X를 제거한 모습과 유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수판 연결 장치에 지수판(4)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살펴보면, 교차 지점 X에 몸체부(110)가 배치되고, 몸체부(110)로부터 연장되는 각 날개부(150)는 각 지수판(4)에 포개어질 수 있다. 도 5에서 몸체부(110)를 중심으로 날개부(150)는 x축 방향으로 2개, y축 방향으로 2개가 마련되고 있다.
이상의 날개부(150)에 따르면, 도 5에서 z축의 양의 방향을 따라 침투되는 이물질이 서로 대면되는 제1 앵커부(130)와 제2 앵커부(30)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복수 방향으로 연결되는 각 지수판(4)에 마련된 제2 앵커부(30)에 대응하여 제1 앵커부(13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로 연결되는 지수판(4)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지수판을 제1 지수판 ①과 제2 지수판 ②로 가정하기로 한다. 이때, 날개부(150)는 제1 지수판 ①이 포개지는 제1 날개부 ⓐ, 제2 지수판 ②가 포개지는 제2 날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앵커부(130)는 일단이 제1 날개부 ⓐ에 대면되고, 타단이 제2 날개부 ⓑ에 대면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날개부 ⓐ의 연장 방향과 제2 날개부 ⓑ의 연장 방향이 90도의 각도차를 갖는 경우 제1 앵커부(130)는 양단이 각 날개부(150)에 대면되도록 90도로 꺾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수판 연결 장치에도 앞에서 설명된 경로 ⓦ가 형성되도록 제1 앵커부(130)의 일단은 제1 지수판 ①에 마련된 제2 앵커부(3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제1 앵커부(130)의 타단은 제2 지수판 ②에 마련된 제2 앵커부(3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좋다.
방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몸체부(110)에는 평면상으로 제1 앵커부(13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돌출부(170)는 막대 형상의 수팽창 지수제(5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일예로, 수팽창 지수제(50)는 돌출부(170)에 삽입되거나 본딩될 수 있다.
도 6은 돌출부(17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A-A`의 절단면일 수 있다.
돌출부(170)는 제1 앵커부(130)와 유사하게 몸체부(1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70)에는 수팽창 지수제(5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171), 수팽창 지수제(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73)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수팽창 지수제(50)는 돌출부(170)의 단부로부터 끼워지는 방식으로 돌출부(17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70)와 수팽창 지수제(50)의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에 따르면 수팽창 지수제(50)가 돌출부(170)에 본딩되므로, 보다 확실하게 수팽창 지수제(50)와 돌출부(170)가 체결될 수 있다.
그런데, 돌출부(170)가 제1 앵커부(130)와 마찬가지로 평면상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다면, 하나의 연속된 수팽창 지수제(50)를 돌출부(170)의 양단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도 7은 돌출부(170)에 수팽창 지수제(50)가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도이다.
돌출부(170)는 평면상으로 특정 지점 Y를 기준으로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걸림턱(173)에 의해 돌출부(170)의 단부로부터 끼워지는 수팽창 지수제(50)의 진입은 특정 지점 Y에서 막힐 수 있다.
일예로, 도 7과 같이 돌출부(170)가 특정 지점 Y를 기준으로 90도로 꺾인 경우 y축 방향으로 진입한 수팽창 지수제(50)는 음의 x축 방향으로 꺾이기 힘들다. 마찬가지로 수팽창 지수제(50)가 x축 방향으로 진입하더라도 음의 y축 방향으로 꺾이기 힘들다.
평면상으로 굴곡된 돌출부(170)에 수팽창 지수제(50)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 하나의 돌출부(170)에는 복수의 수팽창 지수제(50)가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돌출부(170)의 일단으로부터 특정 지점 Y까지의 구간을 제1 구간 S1이라 하고, 돌출부(170)의 타단으로부터 특정 지점 Y까지의 구간을 제2 구간 S2라 할 때, 제1 구간 S1과 제2 구간 S2에는 별개의 수팽창 지수제(5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2개의 수팽창 지수제(50)를 마련하고, 그 중 하나는 y축 방향으로 돌출부(170)에 끼우고, 다른 하나는 x축 방향으로 돌출부(170)에 끼우면 용이하게 수팽창 지수제(50)를 설치할 수 있다.
보다 용이한 설치를 위해 2개의 수팽창 지수제(50) 중 하나를 돌출부(170)에서 막히는 부분까지 밀어넣고, 다른 하나를 이미 돌출부(170)에 설치된 수팽창 지수제(50)에 닿을 때까지 밀어넣을 수도 있다. 도 4에서 A-A` 단면이 쳐진 돌출부(170)를 살펴보면, y축 방향으로 삽입된 수팽창 지수제(50)의 단부가 돌출부(170)의 내벽면에 닿을 때까지 삽입되고 있다. 그리고, x축 방향으로 삽입된 수팽창 지수제(50)의 단부가 y축 방향으로 기삽입된 수팽창 지수제(50)에 닿을 때까지 삽입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물질이 침투되기 힘든 경로 ⓦ가 지수판(4)으로부터 지수판 연결 장치에 연속되도록 하기 위해 제2 앵커부(30)의 단부는 제1 앵커부(130)에 단부에 맞춰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런데, 날개부(150) 또는 몸체부(110)에는 날개부(150)를 제외하고 지수판(4)을 정렬시키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날개부(150)에 지수판(4)을 배치할 때, 제1 앵커부(130)와 제2 앵커부(30)가 정확하게 정렬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앵커부(130)와 제2 앵커부(30)는 엇갈린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방수 테이프(90)를 이용해 제1 앵커부(130)와 제2 앵커부(30)를 붙이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어느 정도 제1 앵커부(130)와 제2 앵커부(30)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앵커부(130)는 특수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앵커부(13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일예로, 제1 앵커부(130)에서 제2 앵커부(30)에 대면되는 단부의 폭 W1은 제2 앵커부(30)의 단부의 폭 W2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앵커부(30)가 제1 앵커부(130)로부터 일부 어긋나게 배치되더라도 제2 앵커부(30)의 단부는 제1 앵커부(130)의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방수 테이프(90)를 붙이는 작업을 수행하면 제1 앵커부(130)와 제2 앵커부(30)를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방수 테이프(90)는 제1 앵커부(130)와 제2 앵커부(30)의 연결 부위에 접착될 수 있다. 두 앵커부의 연결 부위에 접착된 방수 테이프(90)는 연결 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수 테이프(90)는 제1 앵커부(130) 또는 제2 앵커부(30)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는 제1 앵커부(130)와 제2 앵커부(30)의 연결 부위에 접착되는 방수 테이프(9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앵커부(130)의 단부의 폭을 제2 앵커부(30)보다 크게 하는 다양한 방안이 있을 수 있다.
일예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앵커부(130)에서 제1 앵커부(130)의 단부는 양측 방향, 즉 양의 y축 방향 및 음의 y축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방수 테이프(90)는 수작업에 의해 제1 앵커부(130)와 제2 앵커부(30)의 연결 부위에 접착될 수 있는데, 도 9의 (b)에 따르면, 면접촉되는 방수 테이프(90)의 특성상 제1 앵커부(130)의 연장 라인 L1과 제2 앵커부(30)의 연장 라인 L2가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르면, 제1 앵커부(130)에 의해 형성된 경로 ⓦ와 제2 앵커부(30)에 의해 형성된 경로 ⓦ가 연속되지 못할 수 있다. 아울러, 전체적으로 지수판 연결 장치와 지수판(4)은 L1과 L2의 차이만큼 어긋난 상태가 된다. 더욱이, 제1 앵커부(130)에서 단부의 연장 길이가 방수 테이프(90) 폭의 절반 미만이라면, 방수 테이프(90)는 제1 앵커부(130)에 견고하게 면접촉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앵커부(130)에서 제1 앵커부(130)의 단부가 일측 방향으로만 폭이 확장된다면 위에서 언급된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다. 도 9의 (a)에는 제1 앵커부(130)의 단부를 구성하는 좌측 벽이 y축의 양의 방향으로만 확장되는 상태가 개시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앵커부(130)의 단부의 우측벽에 맞춰 제2 앵커부(30)가 배치되면, 제1 앵커부(130), 제1 앵커부(130)의 단부 및 제2 앵커부(30)는 동일한 연장 라인 L1 상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L1 상에 제2 앵커부(30)를 위치시키는 것은 방수 테이프(90)를 붙이는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1 앵커부(130)와 제2 앵커부(30)에 방수 테이프(90)가 면접촉되도록 제2 앵커부(3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자연스럽게 지수판 연결 장치 전체와 지수판(4)이 정렬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앵커부(130)에서 단부의 연장 길이와 상관없이 방수 테이프(90)는 제1 앵커부(130)에 신뢰성 있게 면접촉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10)는 지수판(4)과 마찬가지로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몸체부(110), 제1 앵커부(130) 및 날개부(150)는 PVC(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한 몸체부(110)에 복수의 지수판(4)이 연결되면, 각 지수판(4)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몸체부(110)가 뒤틀릴 수 있다. 몸체부(110) 역시 제1 앵커부(130)에 의해 교차 지점 X에서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몸체부(110)가 뒤틀리면 방수 기능이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지수판(4)으로부터 제공되고 몸체부(110)을 비틀어버리는 힘에 상관없이 몸체부(110)는 교차 지점 X에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지수판(4) 등으로부터 인가되고 몸체부(110)를 비트는 외력을 몸체부(110)를 대신하여 받아내는 요소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지수판 연결 장치의 뒷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예로, 몸체부(110)에는 홈 형상의 리브(19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리브(190)는 몸체부(110)의 중심 O로부터 각 지수판(4)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중심 O에 형성된 리브(190)는 몸체부(110)를 변형시키는 외력이 인가되면 몸체부(110)보다 먼저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190)에 의하면 몸체부(1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지수판 연결 장치에 따르면, 가이드로 기능하는 날개부(150)를 이용해 지수판(4)의 설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지수판(4)과의 연결 부위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수판(4)에 연결되는 동시에 이물질이 통과하기 힘든 경로 ⓦ를 형성하기 위해 굴곡된 제1 앵커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용이하게 지수판(4)을 연결하기 위해 제1 앵커부(130)의 단부의 폭이 확장되고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리브(19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성 요소를 갖는 지수판 연결 장치는 이하의 연결 부재 제조 장치에 의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연결 부재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연결 부재 제조 장치는 판 형상의 몸체부(110), 몸체부(1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앵커부(130)가 마련된 지수판 연결 부재(100)가 사출 성형되는 금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지수판 연결 부재(100)는 도 4 내지 도 10에서 살펴본 지수판 연결 장치일 수 있다.
금형(200)에는 몸체부(110)를 형성하기 위한 판 형상의 판부(211, 221), 제1 앵커부(130)를 형성하기 위해 판부(211, 221)에 형성된 제1 홈부(213)가 음각될 수 있다.
금형(200)으로부터 지수판 연결 부재(100)가 몸체부(110)의 수직 방향을 따라 이탈되도록 제1 홈부(213)의 측벽은 판부(211, 221)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도 12와 같이 수직 방향에 구배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제1 홈부(213)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제1 홈부(213)의 측벽은 판부(211, 221)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있다. 이때의 경사 방향은 제1 홈부(213)의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제1 홈부(213)가 좁아지도록 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1 홈부(213)와 지수판 연결 부재(100) 간에 걸리는 요소가 없으므로, 별다른 무리없이 금형(200)으로부터 지수판 연결 부재(100)를 떼어낼 수 있다.
다시 도 11로 돌아가서 몸체부(110) 및 날개부(150)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판부(211, 221)는 평면상으로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평면상으로 판부(211, 221)를 중심 부분과, 중심 부분으로부터 상하좌우로 연장되는 가장 자리 부분으로 구분할 때, 제1 홈부(213)는 중심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판부(211, 221)에서 사출 성형되는 지수판 연결 부재(100)는 몸체부(110), 몸체부(110)로부터 연장되는 날개부(150)를 가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수판 연결 부재(100)에 마련된 제1 앵커부(130)의 단부는 제2 앵커부(30)의 단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도 13과 같이 제1 홈부(213)에서 단부의 폭은 양단 사이의 특정 구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13은 제1 홈부(213)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을 살펴보면, 제1 홈부(2130에서 특정 구간의 일측벽과 단부의 일측벽은 동일한 가상선 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구간의 타측벽과 단부의 타측벽은 서로 다른 가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특정 구간의 타측벽이 가상선 L3를 따라 연장될 때, 제1 홈부(213) 단부의 타측벽은 다른 가상선 L4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지수판 연결 부재(100)의 제1 앵커부(130)에는 일측으로만 폭이 증가하는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수판 연결 부재(100)에서 수팽창 지수제(50)가 설치되는 돌출부(170)를 성형하기 위해 판부(211, 221)에는 제2 홈부(217)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돌출부(170)에는 수팽창 지수제(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73)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걸림턱(173)에 의해 지수판 연결 부재(100)가 금형(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제2 홈부(217)에 지수판 연결 부재(100)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홈부(217)에는 인서트 코어(29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연결 부재 제조 장치에 설치되는 인서트 코어(29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인서트 코어(290)는 돌출부(170)에서 수팽창 지수제(5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71)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부(291), 상기 공간 형성부(291)로부터 판부(211, 221)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9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70)의 걸림턱(173)을 형성하기 위해 연장부(293)의 폭은 공간 형성부(29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공간 형성부(291)와 연장부(293)의 사이에는 지수판 연결 부재(100)의 걸림턱(173)을 형성하는 둔턱(29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217)와 인서트 코어(290)에 의해 지수판 연결 부재(100)에는 수팽창 지수제(5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71)과 수팽창 지수제(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73)을 갖는 돌출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제2 홈부(217)와 인서트 코어(290)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지수판 연결 부재(100)에 마련된 돌출부(170)는 제2 홈부(217), 제2 홈부(217)에 끼워진 인서트 코어(290)의 사이 공간 ⓥ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공간 ⓥ가 형성되도록 제2 홈부(217)의 폭은 인서트 코어(290)의 공간 형성부(291)의 폭 및 연장부(293)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인서트 코어(290)가 끼워지도록 제2 홈부(217)의 바닥면에는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코어(290)의 연장부(293)가 삽입되는 삽입홈(218)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5의 (b)는 삽입홈(218)을 통해 제2 홈부(217)에 설치된 인서트 코어(290)의 모습이 개시된다. 도 15의 (b)에서 공간 ⓥ를 살펴보면, 그 형상이 도 6에 개시된 돌출부(17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삽입홈(218)에는 밀핀(60)이 삽입되는 밀핀 홀(280)이 마련될 수 있다. 밀핀(60)은 성형 완료 후 금형(200)으로부터 지수판 연결 부재(100)를 밀어내는 기구일 수 있다. 밀핀(60)은 금형(200)에 마련된 밀핀 홀(28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데, 밀핀 홀(280)은 삽입홈(218) 외에도 다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삽입홈(218)에 형성된 경우 지수판 연결 부재(100)의 획득 후에도 지수판 연결 부재(100)에 밀핀(60) 자국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위 구성에서 밀핀(60)에 의해 금형(200)으로부터 이탈된 지수판 연결 부재(100)에는 인서트 코어(290)가 그대로 남을 수 있다. 이때의 인서트 코어(290)는 돌출부(170)의 측면 방향으로 이탈될 수 있다. 만약, 돌출부(170)가 특정 지점에서 굴곡된 형태를 갖는 경우, 인서트 코어(290)는 복수의 부재로 분리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4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하나의 인서트 코어(290)를 형성하고 있다. 인서트 코어(290)가 이탈된 돌출부(170)에는 수팽창 지수제(5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코어(290)는 지수판 연결 부재(100)에서 돌출부(170)에 삽입되는 수팽창 지수제(50)일 수 있다. 인서트 코어(290) 및 금형(200)은 용융된 상태를 갖는 지수판 연결 부재(100)의 성형 재료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코어(290)로 사용되는 수팽창 지수제(50)는 성형 재료가 갖는 온도에서 녹지 않을 필요가 있다. 즉, 수팽창 지수제(50)의 용융점은 지수판 연결 부재(100)보다 높은 용융점을 갖는 것이 좋다.
이에 따르면, 금형(200)으로부터 지수판 연결 부재(100)를 떼어낸 후, 인서트 코어(290)를 빼내고, 그 자리에 수팽창 지수제(50)를 설치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왜냐하면, 금형(200)으로부터 지수판 연결 부재(100)를 떼어내기만 하면 수팽창 지수제(50)가 돌출부(170)에 설치된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에 따르면,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돌출부(170) 및 수팽창 지수제(5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은 인서트 코어(290)로 사용되는 수팽창 지수제(5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수팽창 지수제(50)의 단면 형상은 도 6의 수팽창 지수제(50)과 비교하여 복잡한 형상을 갖고 있다. 심지어 단면상으로 수팽창 지수제(5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마련되더라도, 별다른 무리없이 돌출부(170)에 설치된 상태의 수팽창 지수제(50)가 획득될 수 있다.
아울러, 용융된 상태의 성형 재료가 자연스럽게 수팽창 지수제(50)에 접착되므로, 둘의 접착을 위한 별도의 접착제가 불필요할 수 있다.
다시 도 11로 돌아가서, 금형(200)은 서로 대면되는 제1 금형(210)과 제2 금형(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210)에는 판부(211, 221), 제1 홈부(213), 제2 홈부(217), 제3 홈부(219)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3 홈부(219)는 지수판 연결 부재(100)의 리브(190)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상으로 판부(211, 221)의 중심으로부터 상하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홈부(219)에 대응하여 제2 금형(220)에는 제3 홈부(219)에 삽입되는 삽입부(2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의 제3 홈부(219) 및 삽입부(223)에 의해 지수판 연결 부재(100)에는 홈 형상의 리브(190)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판부(211, 221)는 제1 금형(210)과 제2 금형(220)에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판부(211, 221)의 두께가 a일 때, 제1 금형(210)에는 a보다 작은 b의 두께(음각 높이)를 갖는 제1 판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금형(220)에는 a에서 b를 감산한 c의 두께를 갖는 제2 판부(22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금형(210)에는 밀핀 홀(280)이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밀핀 홀(280)(도 15 참조)에는 제1 금형(210)으로부터 지수판 연결 부재(100)를 떼어내는 밀핀(60)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금형(210)에는 성형이 완료된 지수판 연결 부재(100)가 꽉 끼인 제1 홈부(213) 등이 마련되므로,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밀핀 홀(280)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제2 금형(220)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밀핀 홀(280)이 추가되거나 배제될 수 있다.
지수판 연결 부재(100)에서 몸체부(1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앵커부(130) 등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밀핀 홀(280)은 제1 앵커부(130) 등이 회피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일예로, 밀핀 홀(280)은 평면상으로 지수판 연결 부재(100)의 몸체부(110)에 대면되는 위치 또는 인서트 코어(290)가 삽입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 금형(220)에는 지수판 연결 부재(100)의 성형 재료가 주입되는 주입구(26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7은 제2 금형(220)에 마련된 주입구(26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 금형(220)에서 주입구(260)는 1개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주입구(260)로부터 주입된 성형 재료가 판부(211, 221) 전체, 각 홈부 전체에 고르게 전파되도록, 주입구(260)는 평면상으로 판부(211, 221)의 중심에 대면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제1 금형(210)에는 제3 홈부(219)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홈부(219)는 평면상으로 판부(211, 221)의 중심으로부터 상하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홈부(219)에 대응하여 제2 금형(220)에는 제3 홈부(219)에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삽입부(2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삽입부(223)의 형성 위치는 주입구(260)의 형성 위치에 겹칠 수 있다.
제2 금형(220)의 입장에서 삽입부(223)는 제2 판부(221)로부터 돌출된 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223)에 주입구(260)가 마련되면, 삽입부(223)에 의해 성형 재료가 전파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성형 재료가 효과적으로 전파되도록 삽입부(223)에는 평면상으로 주입구(260)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통홈(261)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7을 살펴보면 삽입부(223)가 주입구(260)로부터 서로 직교하는 4개의 방향, 즉 십자 형태로 연장되고 있다. 이때, 소통홈(261)은 대각선 방향, 다시 말해 위 십자 형태가 90도 회전한 형태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성형 재료는 소통홈(261)을 통해 판부(211, 221) 또는 제1 홈부(213)로 용이하게 퍼져 나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원형굴 2...방수 시트
3...콘크리트 라이닝 4...지수판
9...라이닝 조인트 10...본체부
24...중공부 25...중앙부
30...제2 앵커부 31...돌기
40...지지부 50...수팽창 지수제
60...밀핀 90...방수 테이프
100...지수판 연결 부재 110...몸체부
130...제1 앵커부 150...날개부
170...돌출부 171...삽입 공간
173...걸림턱 190...리브
200...금형 210...제1 금형
211...제1 판부 213...제1 홈부
217...제2 홈부 218...삽입홈
219...제3 홈부 220...제2 금형
221...제2 판부 223...삽입부
260...주입구 261...소통홈
280...밀핀 홀 290...인서트 코어
291...공간 형성부 293...연장부
295...둔턱

Claims (17)

  1. 콘크리트에 설치되는 제1 앵커부가 구비되고 복수의 지수판이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상기 지수판에 포개지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앵커부는 상기 지수판에 마련된 제2 앵커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앵커부에서 상기 제2 앵커부에 대면되는 단부의 폭은 상기 제2 앵커부의 단부의 폭보다 크며,
    상기 제1 앵커부와 상기 제2 앵커부의 연결 부위에 접착되는 방수 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앵커부의 단부는 일측 방향으로만 상기 폭이 확장되는 지수판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평면상으로 상기 몸체부의 상하좌우 4곳에 마련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상기 지수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 형상인 지수판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제1 지수판과 제2 지수판이 마련될 때,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지수판이 포개지는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지수판이 포개지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앵커부는 일단이 상기 제1 날개부에 대면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날개부에 대면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앵커부의 일단은 상기 제1 지수판에 마련된 제2 앵커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앵커부의 타단은 상기 제2 지수판에 마련된 제2 앵커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수판 연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 앵커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막대 형상의 수팽창 지수제가 삽입되거나 본딩되는 지수판 연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 앵커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는 평면상으로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굴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특정 지점까지의 구간을 제1 구간이라 하고, 상기 돌출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특정 지점까지의 구간을 제2 구간이라 할 때,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에는 별개의 수팽창 지수제가 설치되는 지수판 연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홈 형상의 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각 지수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앵커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수판 연결 장치.
  9. 판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앵커부가 마련된 지수판 연결 부재가 사출 성형되는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금형에는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기 위한 판 형상의 판부, 상기 제1 앵커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판부에 형성된 제1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홈부에서 단부의 폭은 양단 사이의 특정 구간의 폭보다 크고,
    상기 특정 구간의 일측벽과 상기 단부의 일측벽은 동일한 가상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특정 구간의 타측벽과 상기 단부의 타측벽은 서로 다른 가상선 상에 배치되는 연결 부재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는 평면상으로 십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판부를 중심 부분과 상기 중심 부분으로부터 상하좌우로 연장되는 가장 자리 부분으로 구분할 때,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중심 부분에만 형성되는 연결 부재 제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지수판 연결 부재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탈되도록 상기 제1 홈부의 측벽은 상기 판부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수직 방향에 구배지게 형성된 연결 부재 제조 장치.
  12. 삭제
  13. 판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앵커부가 마련된 지수판 연결 부재가 사출 성형되는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금형에는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기 위한 판 형상의 판부, 상기 제1 앵커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판부에 형성된 제1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판부에는 상기 지수판 연결 부재의 돌출부가 성형되는 제2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홈부에는 인서트 코어가 삽입되며,
    상기 제2 홈부와 상기 인서트 코어에 의해 상기 지수판 연결 부재에는 수팽창 지수제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과 상기 수팽창 지수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코어는 상기 지수판 연결 부재에서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는 수팽창 지수제이고,
    상기 수팽창 지수제는 상기 지수판 연결 부재보다 높은 용융점을 갖는 연결 부재 제조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판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앵커부가 마련된 지수판 연결 부재가 사출 성형되는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금형에는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기 위한 판 형상의 판부, 상기 제1 앵커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판부에 형성된 제1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금형은 서로 대면되는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에는 상기 판부 및 상기 제1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금형에는 상기 지수판 연결 부재의 성형 재료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주입구는 평면상으로 상기 판부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금형에는 제3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 홈부는 평면상으로 상기 판부의 중심으로부터 상하좌우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금형에는 상기 제3 홈부에 삽입되는 십자 형상의 삽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주입구는 상기 삽입부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평면상으로 상기 주입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통 홈이 형성되며,
    상기 성형 재료는 상기 소통 홈을 통해 상기 판부 또는 상기 제1 홈부로 퍼져 나가는 연결 부재 제조 장치.
KR1020150012197A 2015-01-26 2015-01-26 지수판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 KR101649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197A KR101649904B1 (ko) 2015-01-26 2015-01-26 지수판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197A KR101649904B1 (ko) 2015-01-26 2015-01-26 지수판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722A KR20160091722A (ko) 2016-08-03
KR101649904B1 true KR101649904B1 (ko) 2016-08-22

Family

ID=5670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197A KR101649904B1 (ko) 2015-01-26 2015-01-26 지수판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5313B (zh) * 2018-12-14 2023-10-27 深圳市普赛特建筑工程技术有限公司 防水装置
CN111456105B (zh) * 2020-04-30 2021-10-08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地下车库底板后浇带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241Y1 (ko) 1999-12-04 2000-04-15 이인길 콘크리트 신축 이음용 복합지수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850Y1 (ko) * 1996-11-30 1999-05-15 대우전자 주식회사 사출금형의 리브부구조
KR200191857Y1 (ko) * 2000-02-03 2000-08-16 박영성 스프링지지편과 상호 맞닿는 볼트 머리부의 일측면에표면처리부가 형성된 파일 양생용 몰드고정구
KR20060133502A (ko) * 2006-11-01 2006-12-26 박정호 연결 지수판
KR100761567B1 (ko) 2006-11-24 2007-09-27 김영조 지수판 연결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241Y1 (ko) 1999-12-04 2000-04-15 이인길 콘크리트 신축 이음용 복합지수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722A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904B1 (ko) 지수판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
KR20190101610A (ko) 그라우트 주입형 지수판과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방법
KR20150039409A (ko) 근입 안정성이 우수한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
KR101694165B1 (ko) 콘크리트 지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CN105780940A (zh) 建筑物伸缩缝防渗漏结构
KR102108976B1 (ko) 지수판
KR101650723B1 (ko) 지수판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
KR200447273Y1 (ko) 유로폼 거푸집용 줄눈 성형장치
CN207003451U (zh) 拼接钢板以及边坡支护模架
CN108952206A (zh) 一种混凝土建筑体不连续裂缝的修复方法
KR101609940B1 (ko) 벽돌의 횡방향 연결 방법과 벽돌의 횡방향 연결용 인서트
JP2018053466A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
CN107988994B (zh) 万向预应力生态景观组合护岸
KR101068684B1 (ko) 주입공 사이의 진공배수공 형성 및 진공배수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주입방향 제어를 이용하는 지중 그라우팅 구조물 시공방법
KR101839681B1 (ko)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CN105133735A (zh) 一种预制混凝土剪力墙与楼板接缝处灌浆的封堵方法
TWI806748B (zh) 免拆模板
KR102070298B1 (ko) 토류판용 지지클램프 및 h파일-지지클램프 조립체
JP7481306B2 (ja) コンクリート壁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13774474U (zh) 墙体阴角模板锁具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CN217105679U (zh) 一种钢筋混凝土剪力墙
CN216239102U (zh) 预制混凝土墙体
KR200255534Y1 (ko) 옹벽의 누수차단장치
KR100524188B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