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561B1 - 냉풍 제습기 - Google Patents

냉풍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561B1
KR101649561B1 KR1020140114464A KR20140114464A KR101649561B1 KR 101649561 B1 KR101649561 B1 KR 101649561B1 KR 1020140114464 A KR1020140114464 A KR 1020140114464A KR 20140114464 A KR20140114464 A KR 20140114464A KR 101649561 B1 KR101649561 B1 KR 101649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ompressor
module
evaporato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274A (ko
Inventor
지춘근
Original Assignee
(주) 프렉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렉코 filed Critical (주) 프렉코
Priority to KR102014011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5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풍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습기의 기능과 냉풍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냉풍기의 기능으로 사용할 때에도 일반적인 제습기와 같은 제습능력을 갖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풍 제습기{Air cooling dehumidifier}
본 발명은 냉풍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제습기의 구조 및 작동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증발기(101)에서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101)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증발기(101)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도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주위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증발기(101)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되어 저수조(109)에 모이게 된다.
이처럼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는 온도가 하강하게 되는 동시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제거되는데,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응축기(105) 주변으로 흐르면서 고온, 건조해진 상태로 팬(107)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며, 이것이 제습기의 원리이다.
한편, 증발기(101)에서 기화된 냉매는 압축기(103)를 통과하면서 가압되고, 응축기(105)를 통과하면서 다시 액화가 되어 증발기(101)로 되돌아오는 순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일반적인 제습기에서는 증발기(101)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공기가 응축기(105)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바, 이처럼 고온, 건조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됨에 따라 제습기를 사용하는 공간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특히 여름철에 주로 사용되는 제습기의 불만 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즉, 응축기(105) 주변을 통과한 공기는 고온, 건조한 상태여서 주변의 공기 온도를 상승시켜 온풍기 역할을 하게 되므로 여름철에 제습기를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19163 '제습기 및 그 제어방법'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습기의 기능과 냉풍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냉풍기의 기능으로 사용할 때에도 일반적인 제습기와 같은 제습능력을 갖는 냉풍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공기가 흡입되는 측에 구비된 증발기와, 증발기에 연결되며 증발기의 전방에 구비된 제1응축기와, 상기 제1응축기의 전방에 구비된 제1팬을 포함하는 제1모듈; 증발기에 연결되는 압축기와, 압축기의 전방에 구비되며 증발기와 연결되는 제2응축기와, 압축기와 제2응축기 사이에 구비되는 제2팬을 포함하는 제2모듈; 압축기와 제1응축기와 제2응축기 각각에 연결되어 냉매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 및 제습모드와 냉풍모드의 선택에 따라 방향전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제1모듈과 제2모듈은 서로 분리구획되어 형성되고, 제1모듈은 제2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모듈의 공기 토출구는 상향으로 형성되고 제2모듈의 공기 토출구는 하향으로 형성되며, 제습모드시 제1팬만이 작동되고 냉풍모드시 제1팬과 제2팬이 함께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제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습기의 기능과 냉풍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냉풍기의 기능으로 사용할 때에도 일반적인 제습기와 같은 제습능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제습기의 구조 및 작동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풍 제습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냉풍 제습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냉풍 제습기가 제습모드인 경우의 구조 및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냉풍 제습기가 냉풍모드인 경우의 구조 및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모듈(207)을 기준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풍 제습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냉풍 제습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냉풍 제습기가 제습모드인 경우의 구조 및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냉풍 제습기가 냉풍모드인 경우의 구조 및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풍 제습기(200)는, 공기가 흡입되는 측에 구비된 증발기(201)와, 증발기(201)와 연결되며 증발기(201)의 전방에 구비된 제1응축기(203)와, 제1응축기(203)의 전방에 구비된 제1팬(205)을 포함하는 제1모듈(207); 증발기(201)에 연결되는 압축기(209)와, 압축기(209)의 전방에 구비되며 증발기(201)와 연결되는 제2응축기(211)와, 압축기(209)와 제2응축기(211) 사이에 구비되는 제2팬(213)을 포함하는 제2모듈(217); 압축기(209)와 제1응축기(203)와 제2응축기(211) 각각에 연결되어 냉매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215); 및 제습모드와 냉풍모드의 선택에 따라 방향전환밸브(2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부(219);를 포함하되, 제1모듈(207)과 제2모듈(217)은 서로 분리구획되어 형성되고, 제1모듈(207)은 제2모듈(217)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모듈(207)의 공기 토출구(301)는 상향으로 형성되고 제2모듈(217)의 공기 토출구(303)는 하향으로 형성되며, 제습모드시 제1팬(205)만이 작동되고 냉풍모드시 제1팬(205)과 제2팬(213)이 함께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모듈(207)은 증발기(201), 제1응축기(203) 그리고 제1팬(205)을 포함한다.
증발기(201)는 공기가 흡입되는 측에 구비되는데, 냉매는 증발기(201) 내에서 기화되면서 증발기(201) 자체의 온도를 하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습기가 많은 공기는 증발기(201) 주변을 통과하면서 이슬점에 도달해 습한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로 변해 수조(221)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
제1응축기(203)는 증발기(201)와 연결되며 증발기(201)의 전방에 구비되는데, 제1응축기(203)는 기화된 냉매를 액화시키면서 열을 발산하여, 증발기(201)를 거친 저온, 건조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제1팬(205)은 제1응축기(203)의 전방에 구비되는데, 제1팬(205)은 제1응축기(203)를 거친 고온, 건조한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킨다.
한편, 제1모듈(207)의 공기 토출구(301)는 상향으로 형성되어서, 제1모듈(207)을 거친 공기가 상방향을 향해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제2모듈(217)은 압축기(209), 제2응축기(211) 그리고 제2팬(213)을 포함한다.
압축기(209)는 증발기(201)에 연결되는데, 증발기(201)에서 기화된 냉매는 압축기(209)를 통과하면서 가압되게 된다.
제2응축기(211)는 압축기(209)의 전방에 구비되며 증발기(201)와 연결되는데, 제2응축기(211)는 기화된 냉매를 액화시키면서 열을 발산한다.
제2팬(213)은 압축기(209)와 제2응축기(211) 사이에 구비되는데, 제2팬(213)은 제어스위치부(219)가 냉풍 모드일 때 작동하여서, 제2모듈(217)로 흡입되는 공기를 압축기(209) 쪽으로 강제 송풍시킴으로써, 제2응축기(211)와 압축기(209)의 방열을 도와 효율이 높아지도록 한다.
또한, 제2모듈(217)의 공기 토출구(303)는 하향으로 형성되어서, 제2모듈(217)을 거친 공기가 하방향을 향해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방향전환밸브(215)는 압축기(209)와 제1응축기(203) 및 제2응축기(211) 각각에 연결되어 냉매의 흐름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이러한 방향전환밸브(215)는 제어스위치부(219)의 조작에 따라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제어스위치부(219)는 제습모드와 냉풍모드의 선택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전환밸브(21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술한 제1모듈(207)과 제2모듈(217)은 서로 분리구획되어 형성되고, 제1모듈(207)은 제2모듈(217)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모듈(207)의 공기 토출구(301)는 상향으로 형성되고, 제2모듈(217)의 공기 토출구(303)는 하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제1모듈(207)과 제2모듈(217)이 형성됨으로써, 냉풍모드시 제2모듈(217)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공기와, 제1모듈(207)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하강된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고 분리되어, 냉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제어스위치부(219)가 제습모드인 경우와 냉풍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냉풍 제습기(100)의 작동 과정 및 냉매의 흐름방향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스위치부(219)가 제습모드인 경우를 나타낸 도 4를 참고하면, 냉매는 압축기(209), 방향전환밸브(215), 제1응축기(203) 그리고 증발기(201)를 순차로 거쳐 다시 압축기(209)로 되돌아가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2팬(213)은 작동이 멈추게 되고 제1팬(205)만이 작동되며, 습한 공기는 제1모듈(207)을 통과하면서 고온, 건조한 공기로 바뀌게 되어, 제습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
한편, 제어스위치부(219)가 냉풍모드인 경우를 나타낸 도 5를 참고하면, 냉매는 압축기(209), 방향전환밸브(215), 제2응축기(211) 그리고 증발기(201)를 순차로 거쳐 다시 압축기(209)로 되돌아가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1응축기(203)로는 냉매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증발기(201)를 거치면서 저온, 건조하게 바뀐 공기가 제1팬(205)의 작동에 의해 제1모듈(207) 외부로 강제 송풍되면서 냉풍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제2팬(213)의 작동에 의해 제2모듈(217) 내부의 공기가 강제로 송풍됨으로써 제2응축기(211)와 압축기(209)의 방열 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습기의 기능과 냉풍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냉풍기의 기능으로 사용할 때에도 일반적인 제습기와 같은 제습능력을 갖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증발기
103 : 압축기
105 : 응축기
107 : 팬
109 : 저수조
200 : 냉풍 제습기
201 : 증발기
203 : 제1응축기
205 : 제1팬
207 : 제1모듈
209 : 압축기
211 : 제2응축기
213 : 제2팬
215 : 방향전환밸브
217 : 제2모듈
219 : 제어스위치부
221 : 수조
301, 303 : 공기 토출구

Claims (3)

  1. 공기가 흡입되는 측에 구비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며 증발기의 전방에 구비된 제1응축기와, 상기 제1응축기의 전방에 구비된 제1팬을 포함하는 제1모듈;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제2응축기와, 상기 압축기와 제2응축기 사이에 구비되는 제2팬을 포함하는 제2모듈;
    상기 압축기와 제1응축기와 제2응축기 각각에 연결되어 냉매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 및
    제습모드와 냉풍모드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방향전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스위치부가 제습모드인 경우,
    상기 냉매는 상기 압축기, 방향전환밸브, 제1응축기 그리고 증발기를 순차로 거쳐 다시 압축기로 되돌아가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어스위치부가 냉풍모드인 경우,
    상기 냉매는 상기 압축기, 방향전환밸브, 제2응축기 그리고 증발기를 순차로 거쳐 다시 압축기로 되돌아가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모듈과 제2모듈은 서로 분리구획되어 형성되고, 제1모듈은 제2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모듈의 공기 토출구는 상향으로 형성되고 제2모듈의 공기 토출구는 하향으로 형성되며, 제습모드시 상기 제1팬만이 작동되고 냉풍모드시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함께 작동되되,
    상기 제어스위치부가 냉풍모드시 작동되는 상기 제2팬은,
    상기 제2응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방열효율이 높아지도록, 상기 제2모듈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압축기 쪽으로 강제 송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제습기.
  2. 삭제
  3. 삭제
KR1020140114464A 2014-08-29 2014-08-29 냉풍 제습기 KR101649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64A KR101649561B1 (ko) 2014-08-29 2014-08-29 냉풍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64A KR101649561B1 (ko) 2014-08-29 2014-08-29 냉풍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274A KR20160026274A (ko) 2016-03-09
KR101649561B1 true KR101649561B1 (ko) 2016-08-19

Family

ID=5553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464A KR101649561B1 (ko) 2014-08-29 2014-08-29 냉풍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4835U1 (ru) * 2017-05-29 2018-11-1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Криогенная техника" Агрегат охлаждения и осушения воздуха системы поддержания температурно-влажностного режима
GB2595739A (en) * 2020-06-06 2021-12-08 Elsarrag Esam All in one: air conditioning, energy recovery, and water produc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425B1 (ko) 2007-05-29 2008-11-21 오병호 제습식 건조기
JP2009216332A (ja) 2008-03-12 2009-09-24 Apisute:Kk 精密空調機
KR101260418B1 (ko) * 2012-07-30 2013-05-07 정종인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건조기 겸용 저온 저장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작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837A (ko) * 2000-08-23 2002-03-02 김 종 민 제습기의 제어방법
KR20140019163A (ko) 2012-08-06 2014-02-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425B1 (ko) 2007-05-29 2008-11-21 오병호 제습식 건조기
JP2009216332A (ja) 2008-03-12 2009-09-24 Apisute:Kk 精密空調機
KR101260418B1 (ko) * 2012-07-30 2013-05-07 정종인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건조기 겸용 저온 저장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274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1344B2 (en) Dehumidifier
JP6754948B2 (ja) 除湿装置
US10101042B2 (e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hand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70067655A1 (en) Air conditioner units having improved apparatus for providing make-up air
CN106152580A (zh) 制冷系统及其电控装置的冷却方法
KR101649561B1 (ko) 냉풍 제습기
KR101624173B1 (ko) 실외기의 응축열을 재활용하여 항온항습 및 제습기능을 겸비한 항온항습장치에서 제습효율을 높인 제습장치
EP2570546A1 (en) A laundry dryer with a heat pump system
KR102138284B1 (ko) 기화열과 증발열을 이용한 2중 냉각 방식 공조기
JP6047722B2 (ja) 精密温調装置
US20160231009A1 (en) Air conditioner
CN104634066B (zh) 多功能空调、热泵烘干及除湿装置
KR102429294B1 (ko) 인버터 제습기의 제어 방법
KR20070108103A (ko) 냉각 제습 건조기
KR101226451B1 (ko) 대형창고의 양방향 제습건조시스템
KR101029596B1 (ko)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JP6526218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1071808B1 (ko)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20140019163A (ko) 제습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369537A1 (en) Column narrowing divider for a grain dryer
CN207649152U (zh) 空调系统及具有该空调系统的空调器
CN104251615A (zh) 一种带除湿功能的热泵烘干机
KR101582399B1 (ko) 제습기
JP2012159234A (ja) 空気調和機の吹出口に備えたルーバー構造
JP3187932U (ja) 除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