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359B1 -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359B1
KR101649359B1 KR1020100015175A KR20100015175A KR101649359B1 KR 101649359 B1 KR101649359 B1 KR 101649359B1 KR 1020100015175 A KR1020100015175 A KR 1020100015175A KR 20100015175 A KR20100015175 A KR 20100015175A KR 101649359 B1 KR101649359 B1 KR 101649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resin
weight
parts
film adhesive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609A (ko
Inventor
박용민
정훈희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5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3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초저온(영하 100 내지 180℃)에서도 우수한 접착강도를 가지며, 고온(80℃)에서도 5시간 이내에 경화가 가능한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분자 내에 2 이상의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부의, 말단에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반응성 고무;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부의 디시안디아미드 경화제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의 우레아계 경화촉진제; 및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의 변성아민 경화촉진제를 포함하며, 70℃에서 점도가 3,000 내지 100,000cps이고, 80℃에서 경화시간이 5시간 이내인 것이다.

Description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Epoxy resin composition for film adhesive}
본 발명은,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초저온(영하 100 내지 180℃)에서도 우수한 접착강도를 가지며, 고온(80℃)에서도 5시간 이내에 경화가 가능한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는 화석연료의 하나인 천연가스가 액화된 것으로서,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지상에 설치되거나 지중에 매립되는 육상 저장 탱크, 자동차, 선박 등의 운송수단에 설치되는 이동형 저장 탱크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액화천연가스는 충격에 노출 시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액화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초저온 상태로 보관되어야 한다. 따라서, 액화천연가스를 보관하는 저장 탱크는 상온은 물론이고, 초저온에서도 높은 충격강도를 가져야 하며, 기밀성(氣密性)이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화천연가스(2)의 저장 탱크가 형성된 선박(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천연가스(2)의 저장 탱크가 형성되는 선박(1)은 통상적으로, 외형을 이루는 외부벽(3)과 외부벽(3)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벽(4)을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선체를 갖는다. 상기 선박(1)의 내부벽(4)과 외부벽(3)은 연결 리브(5)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내부벽(4)이 존재하지 않은 단일구조의 선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내부벽(4)의 내부공간은 하나 이상의 격벽(10)에 의하여 분할될 수 있고, 상기 격벽(10)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내부공간(6)은 액화천연가스(2)와 같은 초저온액체를 적재하는 공간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6)의 내부에는 밀봉벽(단열 패널)에 의해 기밀(氣密), 액밀(液密) 상태로 밀봉되는 공간, 즉 저장탱크(11)가 위치한다. 상기 저장탱크(11)는 복수개의 금속판(밀봉벽, 단열 패널)들이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저장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2)를 누출 없이 저장 및 수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초저온 상태인 액화천연가스(2)와 직접 접촉하는 저장탱크(11)의 내부 벽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액화천연가스(2)의 선하적에 따른 온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1)는 다수의 앵커 구조체(9)에 의해 선박(1)의 내부벽(4) 또는 격벽(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선체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1)와 내부벽(4) 또는 격벽(10) 사이에는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평면 구조체(7) 및 코너 구조체(8) 형태의 단열 패널이 포함된다. 즉, 상기 단열층은, 상기 저장탱크(11)를 내부벽(4) 또는 격벽(11)에 더욱 고정시키는 앵커 구조체(9), 저장탱크(11)의 평평한 부분에 배치되는 평면 구조체(7) 및 저장탱크(11)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코너 구조체(8)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상기 저장 탱크의 상기 평면 구조체(7)와 코너 구조체(8) 형태의 단열 패널 및 상기 단열 패널과 기밀 격막재(25)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탱크(11)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 구조체(7)는 평면 단열재(21)와 단열재 표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알루미늄 박막(23)이 접착된 단열 패널의 형태이고, 상기 코너 구조체(8)는 코너 단열재(22)와 단열재 표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알루미늄 박막(23)이 접착된 단열 패널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평면 단열재(21) 및 코너 단열재(22)는 통상적으로 우레탄폼 재질로 형성되며, 각 단열재(21, 22)와 상기 알루미늄 박막(23)은 평면 구조체(7, 21+23)와 코너 구조체(8, 22+23))의 제작 단계에서 필름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액화천연가스(2)의 저장탱크(11)를 구성 시, 미리 제작된 평면 구조체(7, 21+23)와 코너 구조체(8, 22+23)를 내부벽(4), 격벽(10) 등의 내부에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단열 패널과 단열 패널 사이에는 이음새(26)가 발생하게 된다. 이음새(26)의 기밀을 위해 다시 별도의 기밀 격막재(25)를 단열 패널 전면에 부착하게 된다. 상기 격막재(25)로는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박막 양 표면에 유리섬유 직물이 접착된 형태인 Triple-X가 사용되며, 격막재(25)와 단열 패널의 접착은 필름접착제(24)를 이용하여 선박 조립 현장에서 진행하게 된다.
이상, 대략적으로 액화천연가스(2) 저장 탱크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전술하였다시피, 액화천연가스(2) 저장 탱크는 초저온에서 견고함과 기밀이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 특성에 맞도록 전 구성 재료들의 저온 물성이 우수해야 한다. 특히 격막재(25)와 단열 패널 사이에 접착을 담당하는 필름접착제(24)는 저온에서도 높은 접착강도를 가져야 하며, 상온과 극저온을 오가는 주기적인 온도변화에서도 파괴되지 않을 정도로 우수한 피로강도를 가져야 한다. 또한 접착 시 모재(母材)인 우레탄 재질의 단열재의 물성에 변화를 주지 않을 정도로 낮은 온도에서 접착이 가능해야 한다. 통상의 우레탄 폼의 유리전이온도(Tg)가 90℃ 전후이므로, 단열재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접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80℃ 이하의 온도에서 경화가 이루어져 접착이 가능한 필름접착제 이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필름접착제는 일반적으로 경화온도가 125℃ 이상으로 접착 시 단열재를 변형시키는 문제가 있다. 80℃ 미만에서 경화-접착시키는 필름접착제도 시판되고 있으나 접착강도가 낮고 경화-접착에 필요한 시간이 8시간 이상 걸려 저장탱크 제조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저온(영하 100 내지 180℃)에서도 우수한 접착강도를 가지며, 고온(80℃)에서도 5시간 이내에 경화가 가능한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자 내에 2 이상의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부의, 말단에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반응성 고무;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부의 디시안디아미드 경화제;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의 우레아계 경화촉진제; 및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의 변성아민 경화촉진제를 포함하며, 70℃에서 점도가 3,000 내지 100,000cps이고, 80℃에서 경화시간이 5시간 이내인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상온(25℃) 뿐만 아니라, 초저온(영하 100 내지 180℃)에서도 우수한 접착강도와 내충격성을 가진다. 따라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 패널 등에 본 발명에 따른 필름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단열 패널의 격막재 등의 파손을 방지하여 액화천연가스의 누액,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80℃ 온도에서 5시간 이내에 경화 및 접착이 가능하여, 고온에 의한 단열재의 변형 없이 빠른 시간 안에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 패널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필름접착제용 수지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의 저장 탱크가 형성된 선박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평면 구조체와 코너 구조체 형태의 단열 패널 및 상기 단열 패널과 기밀 격막재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탱크 일부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필름접착제 경화물(1) 및 비교예 1에 따른 필름접착제 경화물(2)의 주사시차열량계(DSC)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분자 내에 2 이상의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말단에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반응성 고무, 디시안디아미드 경화제, 우레아계 경화촉진제 및 변성아민 경화촉진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는, 분자 내에 2 이상의 글리시딜기를 가지며, 경화가 가능한 에폭시 수지를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상온에서, 고상, 반고상, 액상 및 이들의 혼합상(고상, 반고상 또는 액상을 갖는 에폭시 수지가 둘 이상 혼합된 형태) 등의 성상으로 존재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혼합상 형태의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 A형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그 성상이 액상인 YD128(국도화학), DER331(다우케미칼), Epikote828(헥시온) 등과, 성상이 고상인YD011, YD014, YD017, YD019(이상 국도화학), DER661, DER664, DER667, DER669(이상, 다우케미칼), Epon1001, Epon1004, Epon1007, Epon1009(이상, 헥시온)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비스페놀 F형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피코트 YL-983-U(자판에폭시주식회사), RE-304, RE-404, RE-303S(이상, 일본화약)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반응성 고무는, 사전 부가 반응을 통해 에폭시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말단에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반응성 고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에폭시 수지 조성물과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상온에서 액상인 반응성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말단에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 고무, 말단에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부타디엔 고무, 말단에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고무,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시판되는 반응성 고무로는 Hycar CTBNX162, CTBNX21, CTBNX8, CTBNX13, CTBNX9, CTBNX18(이상, Emerald Chem)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성 고무는 상기 에폭시 수지와 혼합 시, 100℃ 이상의 온도에서 2시간 이상 교반을 통해 사전 부가 반응을 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성 고무의 함량은,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부이다. 상기 반응성 고무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일 경우,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초저온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기 에폭시 수지와 반응하지 못한 미반응물이 발생되고,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경화 시,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Tg)와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시안디아미드(dicyanamide) 경화제는, 상기 에폭시 수지와 반응하여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고상이고, 잠재성이 우수하여 특정온도 이하에서는 안정하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반응이 급격하게 진행되어 1액형 필름접착제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입자가 작을수록 분산에 유리하고 경화 후 물성이 우수하므로, 1 내지 15㎛의 입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시안디아미드 경화제로는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G1400, DICYNEX1400B(이상, 에어프로덕트(Airproduct) 화학), DDA5(CVC특수화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시안디아미드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부이다. 상기 디시안이미드 경화제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경화반응이 완결되지 않아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20중량부를 초과하면, 미반응 디시안디아미드 경화제가 잔류하여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레아계 경화촉진제 및 변성아민계 경화촉진제는, 상기 디시안디아마이드 경화제의 경화 반응을 촉진시켜 필름접착제의 경화를 80℃에서 5시간 이내로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우레아계 경화촉진제와 변성아민계 경화촉진제가 동시에 사용될 때 물성(접착강도 등) 개선 효과 및 경화시간 단축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우레아계 경화촉진제는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onouron, Diuron, U-52, U-405, U-410, U-415, U-24, U-35(이상, CVC특수화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아계 경화촉진제의 함량은,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부이다. 상기 우레아계 경화촉진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경화 반응속도가 늦어져, 필름접착제 접착 시공 시 작업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고, 경화 후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변성아민계 경화촉진제는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Y-24, MY-H, MY-D(이상, 아지노모토 판인 테크노사), Fujicure FXR1020, FXR1030, FXR1080, FXR1110(이상, 후지카세이사), 노바큐어HX-3088, HX3722, HX-3748, HX-3921(이상, 아사히케미칼주식회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변성아민계 경화촉진제의 함량은,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중량부이다. 상기 변성아민계 경화촉진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경화 반응속도가 늦어져, 필름접착제 접착 시공 시 작업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에폭시수지 조성물의 반응성이 너무 높아져 필름접착제 생산 시 어려움이 있으며, 제조된 필름접착제의 보관기간이 현저하게 줄어들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80℃에서 점도가 3,000 내지100,000cps,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70,000cps,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30,000cps인 것으로서, 필름접착제를 제조하는 데 적합하며, 상온에서 적절한 끈기를 유지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80℃에서 경화시간이 5시간 이내,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시간인 것이다. 상기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점도 및 경화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필름접착제를 형성하기 어렵거나, 필름접착제를 형성하여도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작업시간의 증가 등)가 있다.
상기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통상의 무기물 충전제, 커플링제, 소포제, 안료 등의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고,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상기 각 성분을 충분히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진공 및 가열 상태에서, 공자전 믹서, 만능 혼합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필름접착제화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콤마 코터(comma coater), 다이 코터(die coater), 롤 코터(roll coater) 등을 이용하여 레진 필름을 형성한 후, 통상의 테이프 라인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필름접착제화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필름접착제 제조
액상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국도화학, YD128) 40중량부 및 고상 비스페놀 A형 에폭시(국도화학, YD011) 60중량부에, 상기 전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고무(Emerald Chem, CTBNX13) 15중량부, 디시안디아마이드 경화제(에어프로덕트 화학, CG1400) 5중량부, 우레아계 경화촉진제(CVC특수화학, Diuron) 5중량부 및 변성아민계 경화촉진제(아사이카세이케미칼, 노바큐어 HX-3088) 0.5중량부를 혼합하여,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유리섬유 직물(제품명: HD103, 제조사: 현대화이바)를 이용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60℃에서 콤마코터를 이용하여 이형지 위로 코팅시킨 후, 테이프 라인(Tape Line) 내에서 유리섬유 직물로 전사시켜 유리섬유 서포터(supporter)가 있는 필름접착제를 제조하였다. 필름접착제 중 섬유 중량은 30g/m2이며, 수지 중량은 300g/m2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통상의 필름접착제
시판중인 필름접착제인 K50FA300(제조사: SK케미칼, 섬유 중량: 30g/m2, 수지 중량: 300g/m2)을 입수하여 사용하였다. K50FA300는 125℃ 경화형 필름접착제이다.
[비교예 2] 통상의 필름접착제
시판중인 필름접착제인 L05FA300(제조사: SK케미칼, 섬유 중량: 30g/m2, 수지 중량: 300g/m2)을 입수하여 사용하였다. L05FA300는 80℃ 경화형 필름접착제이다.
[실험예 1] 필름접착제의 경화 특성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필름접착제의 경화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필름접착제를 3cm x 3cm 크기로 재단한 후, 재단한 필름접착제를 핫프레스(Hot Press)를 이용하여, 80℃ 및 1kgf/cm2의 온도 및 압력에서 5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경화물의 경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사시차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열 흐름(heat flow)을 측정하였다. 도 3에 실시예 1 에 따른 필름접착제 경화물(1) 및 비교예 1에 따른 필름접착제 경화물(2)의 주사시차열량계(DSC)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도 3으로부터, 상기 실시예 1의 필름접착제 경화물(1)은 상기 경화 조건(80℃ 및 1kgf/cm2의 온도 및 압력에서 5시간 동안 경화)에서 완전한 경화가 이루어진 반면 비교예 1의 필름접착제 경화물(2)은 경화가 완전히 이뤄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필름접착제의 물성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필름접착제의 물성(접착강도) 평가를 위하여, 접착강도 시편을 ASTM D1002 규정에 의거하여 제조하였다. 성형장비는 핫프레스(Hot Press)를 이용하였으며, 80℃ 및 1kgf/cm2의 온도와 압력에서 5시간 동안 경화시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편들은 25℃와 영하 175℃에서 각각 접착강도(단위: MPa) 시험을 진행하였다. 접착강도 시험은 ASTM D1002의 규정을 준수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25℃ 접착강도 (MPa) -175℃ 접착강도 (MPa)
실시예 1 17.5 17.2
비교예 2 8.5 7.9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필름접착제(실시예 1)는, 상온(25℃) 및 초저온(-175℃)에서의 접착강도가 통상의 필름접착제(비교예 2)에 비하여, 100% 이상 우수한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예 1 및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80℃에서도 5시간 이내에 경화가 완료되어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 제작 시 고온(90℃ 이상)에 의한 단열재의 손상을 막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온(25℃) 및 초저온(-175℃)에서도 높은 접착강도를 가지므로, 초저온에서 보관되어야 하는 액화천연가스의 저장 탱크 제조 시 사용되는 필름접착제용 수지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Claims (4)

  1. 분자 내에 2 이상의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부의, 말단에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반응성 고무;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부의 디시안디아미드 경화제;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의 우레아계 경화촉진제; 및
    상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의 변성아민 경화촉진제를 포함하며,
    70℃에서 점도가 3,000 내지 100,000cps이고, 80℃에서 경화시간이 5시간 이내이며,
    상기 반응성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 고무,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에폭시 수지와 혼합 시, 100℃ 이상의 온도에서 2시간 이상 교반을 통해 사전 부가 반응시켜 사용되는 것인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상온에서, 고상, 반고상, 액상 및 이들의 혼합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상으로 존재하는 것인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4. 삭제
KR1020100015175A 2010-02-19 2010-02-19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101649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175A KR101649359B1 (ko) 2010-02-19 2010-02-19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175A KR101649359B1 (ko) 2010-02-19 2010-02-19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609A KR20110095609A (ko) 2011-08-25
KR101649359B1 true KR101649359B1 (ko) 2016-08-18

Family

ID=4493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175A KR101649359B1 (ko) 2010-02-19 2010-02-19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758B1 (ko) * 2013-12-30 2014-08-29 주식회사 이녹스 비전도성 접착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접착필름
KR101462845B1 (ko) * 2014-08-21 2014-11-19 주식회사 이녹스 유연성이 향상된 비전도성 접착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접착필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1495B2 (ja) * 1997-04-23 2003-06-03 株式会社有沢製作所 極低温用絶縁材及びエポキシ系接着剤
WO2007137829A1 (de) * 2006-05-31 2007-12-06 Huntsman Advanced Materials (Switzerland) Gmbh Metall-kunststoff-hybrid-strukturbaute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609A (ko)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389B1 (ko) 구조용 접착제 및 이의 접합 용도
CN108291130B (zh) 具有改善的失败模式的结构粘合剂
US9475904B2 (en) Heat curable epoxy resin composition with water as foaming agent
KR102155006B1 (ko) 자동차용 이액형 접착제 조성물, 이의 경화물 및 자동차 소재 접착방법
CN104804696B (zh) 基于甲硅烷基化聚合物的粘合剂组合物用于低温应用的用途
KR20170053785A (ko) 2액형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KR101649359B1 (ko) 필름접착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US10899950B2 (en) One-component thermosetting epoxy adhesive with improved adhesion
KR20110039044A (ko) 프리프레그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WO2021190970A1 (en) One-component thermosetting epoxy composition with improved adhesion
KR102425139B1 (ko) 우레탄 함유 에폭시 수지,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TW202309215A (zh) 黏接劑組成物及黏接劑組成物之製造方法
US20240110056A1 (en) Structural adhesive having superior compression properties
KR102147015B1 (ko) 1액형 에폭시계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품
CN113302240A (zh) 阻燃环氧组合物及其使用方法
CN110461901B (zh) 用于航空航天应用的具有低收缩和较低后固化特性与耐化学品性的环氧-有机硅混合密封剂组合物
JPH03234782A (ja) 管路の補修用一液性接着剤組成物
CN117715997A (zh) 具有改善的粘附性的可膨胀单组分热固性环氧粘合剂
WO2015084627A1 (en) Two-part epoxy resin compositions with latent curing agent
JP2023000846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エポキシ樹脂組成物製品
JP2022139977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WO2021124049A1 (en) Shimming adhesive
EP4282908A1 (en) One-component thermosetting epoxy composition with improved adhesion
CN117659612A (zh) 包含含氟化合物的环氧树脂组合物、使用该组合物的工艺及产品
WO2020003122A1 (en) Curabl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