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313B1 - 허리 보호용 압박대 - Google Patents

허리 보호용 압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313B1
KR101649313B1 KR1020150187325A KR20150187325A KR101649313B1 KR 101649313 B1 KR101649313 B1 KR 101649313B1 KR 1020150187325 A KR1020150187325 A KR 1020150187325A KR 20150187325 A KR20150187325 A KR 20150187325A KR 101649313 B1 KR101649313 B1 KR 10164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belt
spring member
pressure pad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일
정진근
Original Assignee
김경일
정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일, 정진근 filed Critical 김경일
Priority to KR102015018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 보호용 압박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압박대는 허리를 둘러 감싸는 형태의 유연 신축성 압박 벨트 본체와, 양 단부가 상기 벨트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 유동이 가능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착용시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탄력적 작용에 의하여 착용자의 허리의 요추 부분에 상·하 방향 척력(斥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박대는, 허리 요추 뼈가 심각하게 손상된 상태 또는 허리 수술 바로 후의 상태에서 천천히 회복하는 경우에 상당히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허리 보호용 압박대 {Pressure band for waist protection}
본 발명은 인체의 허리 부분에 둘러 착용함으로써 허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허리 보호용 압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 보호대는 인체의 허리 부분에 둘러 착용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허리 부분을 압박하여 복부가 앞으로 나오는 것을 억제하거나 또는 허리를 지나는 요추의 이상을 바로 잡는다거나 요추 간 마찰 등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허리보호대는 대부분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 부위는 넓고 양 측면부는 약간 좁은 띠 형상의 탄력 지지부와 그 양단의 외면·내면에 벨크로 파스너를 부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력 지지부를 허리에 두른 후 상기 탄력 지지부의 양단을 잡아 착용자의 허리에 맞도록 당긴 다음 상기 파스너를 서로 부착함으로써 허리를 지지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허리 보호대는 대부분 늘어나거나 조여지는 신축성만으로 허리를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허리 보호대를 착용한 착용자가 허리를 움직일 때마다 그 특성에 의해 신축되고, 중앙 부분에서는 접혀지기도 한다. 따라서 디스크 환자와 같이 허리 요추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해야 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제안된 것이, 종래의 허리 보호대를 기반으로 그 중앙 부분의 일측에 포켓이나 홈 등의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거기에 경질 패드 또는 척추 지지판을 착탈식으로 고정한 것이다.
이 경우 경질의 패드 또는 지지판에 의하여 허리 보호대가 요추 부분에서 허리를 지지해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지지판은 허리를 경직되게 지지함으로써 허리 보호대 착용자의 거동이 오히려 심하게 불편해지거나 허리에 상해를 입을 수도 있다. 한편, 실제로 허리 통증은 하중에 따른 요추 간 마찰에 의한 경우가 많은데, 이 허리 보호대는 허리를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경직되게 지지할 뿐, 이러한 허리 통증을 완화하면서 치료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38717호 (2008. 3. 3.)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452호 (2013. 1. 18.)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7100호 (2013. 12. 11.) 등록특허공보 제10-1386713호 (2014. 4. 18.)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1683호 (2015. 5. 4.) 등록특허공보 제10-1386713호 (2015. 6. 2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허리 요추 간 척력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허리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허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허리 통증이 완화 및 치료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인 허리 보호용 압박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프링 척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정도의 스프링 압력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허리 보호용 압박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허리 보호용 압박대는:
허리를 둘러 감싸는 형태의 유연 신축성 압박 벨트와, 상기 벨트의 양단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파스너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벨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양 단부가 상기 벨트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 유동이 가능한 스프링 부재;
를 포함하며,
착용시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탄력적 작용에 의하여, 착용자의 허리의 요추 부분에 상·하 방향 척력(斥力)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중앙에 마름모 형태로 굴절된 융기부가 상기 중심선 또는 그 반대쪽을 향하여 형성된 강선 스프링으로, 양 단부가 상기 벨트의 상·하부에 형성된 고정용 포켓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켓은 중심선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허리 보호용 압박대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인장에 의한 척력 조절을 위하여, 상기 융기부에 고정되는 손잡이;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는 일단이 상기 융기부에 고정된 띠로서, 착용자가 손으로 당겨 상기 벨트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용 압박대는 스프링 부재를 이용하여 착용자 허리의 요추 간 척력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허리를 압박 및 지지한다. 따라서 허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허리 통증이 완화 및 치료될 수 있도록 하는데 각별한 효과가 있다. 또한, 착용자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스프링의 척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정도의 스프링 압력을 임의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용 압박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A-A 부분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용 압박대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상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허리 보호용 압박대(이하 "압박대"라 함)의 특징과 작용효과는,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압박대가 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압박대(10)는 허리를 둘러 감싸는 형태의 유연성의 압박 벨트로 된 본체(20)와, 상기 벨트(20)를 기반으로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 부재(30), 상기 스프링 부재(30)를 기반으로 고정 설치되는 조절 손잡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0)는 허리를 둘러 감싸는 형태의 유연 신축성 압박 벨트(21)와, 상기 벨트(21)의 양단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파스너(22a,22b,22c)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21)는 두 겹의 직물로 구성되며, 이때 어느 일측의 직물에는 횡방향의 절개선(23)이 형성되어 있다. 실제로 상기 벨트(21)는 그 재료에 따라 폭이 자유롭게 가변될 수도 있을 것이나, 이 경우 압박 벨트로서의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절개선(23)은 벨트(21)의 재료에 한정됨이 없이, 상기 벨트(21)의 폭을 유연하게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부재(30)의 상하방향 인장에 대하여 상기 벨트(21)가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스너(22a,22b,22c)는 통상의 벨크로 테입이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파스너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프링 부재(30)는 벨트(20)의 중심선(X-X)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양 단부(31a,31b)가 상기 벨트(21)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 유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중심선(X-X)은 예컨대 착용자의 요추 선에 해당할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척력은 요추의 좌우에서 동시에 균형적으로 제공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 부재(30)는 중앙에 마름모 형태로 굴절된 융기부(32)가 상기 중심선(X-X)을 향하여 형성된 강선 스프링으로, 양 단부(31a,31b)가 상기 벨트(21)의 상·하부에 형성된 고정용 포켓(24)에 끼워져 설치된다. 구조적으로, 상기 스프링 부재(30)는 융기부(32)의 굴절 부분에 스프링 코일(33)이 형성되어, 스프링 부재(30)의 탄력과 복원력을 보강한다.
상기한 스프링 부재(30)의 중앙 융기부(32)의 구조 및 형태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과 척력을 구현하는데 최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스프링 부재(30)의 반복적 사용에 대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그 굴절부분의 코일(33)은 스프링 부재(30)의 상기한 특성 즉 탄성, 복원력, 척력 및 내구성을 보강하는 수단으로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융기부(32)가 상기 중심선(X-X)을 향하여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설계에 따라서는 그 중심선(X-X)의 반대쪽을 향하여 형성된 것이어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상기 포켓(24)은 중심선(X-X)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스프링 부재(30)의 신축 또는 인장 방향을 일정하고 정확히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스프링 부재(30)가 본체(20)로부터 분리 및 설치될 때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스프링 부재(30)의 척력 조절을 위하여, 상기 융기부(32)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40)는 일단이 상기 융기부(32)에 고정된 띠로서, 착용자가 손으로 당겨 상기 벨트(21)의 파스너(22a,22b)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호 41은 상기 손잡이(40)의 활용을 쉽게 하기 위하여 그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손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손 고리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압박대(10)는 허리 착용시 상기 스프링 부재(30)의 탄력적 작용에 의하여, 착용자의 허리의 요추 부분에 대하여 상·하 방향 척력(斥力)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 척력은 착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조작함으로써 쉽게 조절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착용자가 본 발명의 허리 보호용 압박대(10)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30)에 의한 척력은 미리 조정된 것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압박대(10) 본체(20)를 허리에 둘러 허리를 압박하면서 벨트(21)의 양단에 대응하여 구비된 파스너(22a,22c)를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압박대(10)를 착용한다. 이때 스프링 부재(30)는 착용자의 요추 선을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척력은 착용자의 요추 좌우에서 동시에 균형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허리 부분의 운동이 생기거나 안 생기거나, 운동량이 크거나 작거나를 불문하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압박대(10)는 스프링 부재(30)에 의한 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척력은, 허리를 편 상태이거나 약간 굽힌 상태에서도 요추를 구성하는 복수의 상·하측 뼈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양측 뼈 간의 마찰이나 충격이 가능한 억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압박대(10)는, 허리 요추 뼈가 심각하게 손상된 상태 또는 허리 수술 바로 후의 상태에서 천천히 회복하는 경우에 상당히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착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정도의 척력을 위한 조절 및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착용자는 설정된 압박대(10)의 척력이 자신에게 부족한 경우, 손잡이(40)를 잡고 회전 방향(화살표 ① 참조)으로 당겨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융기부(32)가 압력을 받아 당겨지는 동시에 스프링 부재(30)가 상·하 방향으로 인장(화살표 ② 참조)되면서 압박대(10)의 척력이 점점 강해지는데, 그 척력이 필요한 수준이 되면 손잡이(40) 끝단을 벨트(21) 파스너(22a,22b)에 부착하여 고정(도 6의 화살표 ③ 참조)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압박대(10)의 척력이 손쉽게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 척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 부재(30)가 상·하 방향으로 인장됨에 따라 상기 벨트(21)의 절개선(23)이 신축적으로 벌어지면서 대응한다. 따라서 상기한 척력 조절에 따른 본체(20) 및 벨트(21)의 손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10. 허리 보호용 압박대
20. 본체
21. 벨트
22a,22b,22c. 파스너
23. 절개선
24. 포켓
30. 스프링 부재
31a,31b. 단부
32. 융기부
33. 코일
40. 손잡이
41. 고리

Claims (6)

  1. 허리를 둘러 감싸는 형태의 유연 신축성 압박 벨트(21)와, 상기 벨트의 양단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파스너(22a,22b,22c)를 포함하는 본체(20);
    상기 벨트(21)의 중심선(X-X)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양 단부(31a,31b)가 상기 벨트(21)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 유동이 가능한 스프링 부재(30);
    를 포함하며,
    착용시 상기 스프링 부재(30)의 탄력적 작용에 의하여, 착용자의 허리 요추 부분에 상·하 방향 척력(斥力)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스프링 부재(30)는:
    중앙에 마름모 형태로 굴절된 융기부(32)가 상기 중심선 또는 그 반대쪽을 향하여 형성된 강선 스프링으로, 양 단부(31a,31b)가 상기 벨트(21)의 상·하부에 형성된 고정용 포켓(24)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용 압박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21)는:
    두 겹의 직물로 구성되며, 어느 일측의 직물에는 횡방향의 절개선(23)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용 압박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24)은 중심선(X-X)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용 압박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보호용 압박대는:
    상기 스프링 부재(30)의 인장에 의한 척력 조절을 위하여, 상기 융기부(32)에 고정되는 손잡이(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용 압박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0)는:
    일단이 상기 융기부(32)에 고정된 띠로서, 착용자가 손으로 당겨 상기 벨트(21)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용 압박대.
KR1020150187325A 2015-12-28 2015-12-28 허리 보호용 압박대 KR101649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25A KR101649313B1 (ko) 2015-12-28 2015-12-28 허리 보호용 압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25A KR101649313B1 (ko) 2015-12-28 2015-12-28 허리 보호용 압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313B1 true KR101649313B1 (ko) 2016-08-19

Family

ID=5687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325A KR101649313B1 (ko) 2015-12-28 2015-12-28 허리 보호용 압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3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525B1 (ko) * 2018-10-16 2019-09-03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요천추 척추 보조기
CN111084686A (zh) * 2018-10-23 2020-05-01 广州市容科贸易有限公司 一种椎曲护腰腰带
CN111297566A (zh) * 2020-04-07 2020-06-19 青岛市第九人民医院 一种临床护理用干湿分离护理垫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070Y1 (ko) * 2000-07-31 2001-03-15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KR20080008696A (ko) * 2006-07-21 2008-01-24 (주)엠큐어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허리견인용 에어 벨트
KR200438717Y1 (ko) 2007-01-30 2008-03-03 강욱 허리보호대용 지지판
JP4867061B2 (ja) * 2006-06-28 2012-02-01 有限会社シーシェル 腰用ベルト
KR20130000452U (ko) 2012-12-17 2013-01-18 유태우 허리보호대
KR20130007100U (ko) 2012-06-01 2013-12-11 박상주 허리보호대 및 골반조임대
KR101386713B1 (ko) 2013-10-04 2014-04-18 홍정완 허리보호대
JP2014090959A (ja) * 2012-11-06 2014-05-19 Isao Kono 腰曲がり矯正具
KR20150001683U (ko) 2013-10-24 2015-05-04 황인옥 허리보호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070Y1 (ko) * 2000-07-31 2001-03-15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JP4867061B2 (ja) * 2006-06-28 2012-02-01 有限会社シーシェル 腰用ベルト
KR20080008696A (ko) * 2006-07-21 2008-01-24 (주)엠큐어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허리견인용 에어 벨트
KR200438717Y1 (ko) 2007-01-30 2008-03-03 강욱 허리보호대용 지지판
KR20130007100U (ko) 2012-06-01 2013-12-11 박상주 허리보호대 및 골반조임대
JP2014090959A (ja) * 2012-11-06 2014-05-19 Isao Kono 腰曲がり矯正具
KR20130000452U (ko) 2012-12-17 2013-01-18 유태우 허리보호대
KR101386713B1 (ko) 2013-10-04 2014-04-18 홍정완 허리보호대
KR20150001683U (ko) 2013-10-24 2015-05-04 황인옥 허리보호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525B1 (ko) * 2018-10-16 2019-09-03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요천추 척추 보조기
CN111084686A (zh) * 2018-10-23 2020-05-01 广州市容科贸易有限公司 一种椎曲护腰腰带
CN111297566A (zh) * 2020-04-07 2020-06-19 青岛市第九人民医院 一种临床护理用干湿分离护理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7438B2 (en) Adjustable wrist brace
EP2693993B1 (en) Adjustable brace apparatus
US5656023A (en) Adjustable knee support
JP4840881B2 (ja) 腰用サポータ
KR20210021389A (ko) 보조 이동성을 위한 시스템 및 디바이스
US20130190670A1 (en) Orthopaedic device
KR101649313B1 (ko) 허리 보호용 압박대
US20200276043A1 (en) Trunk orthosis
US20190364990A1 (en) Stabilized support device for a limb guard
US20110308528A1 (en) Sleep disorder relief device and method
US8359669B2 (en) Face mask
KR10169527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434837Y1 (ko) 허리 보호대
KR10180186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120005025U (ko) 허리보호대
KR200279878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JP2576473Y2 (ja) 腰痛帯
KR101895004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447242B1 (ko) 허리 보호대
KR19990018498U (ko) 앉은자세 교정벨트
KR101666174B1 (ko) 기능성 척추 디스크 보호대
KR100972123B1 (ko) 조절식 척추 보조기
KR102354144B1 (ko) 허리 보호대
JP2001254214A (ja) ふくらはぎ用サポータ
KR200375255Y1 (ko) 허리보호대를 이용한 허리근육 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