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525B1 - 요천추 척추 보조기 - Google Patents

요천추 척추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525B1
KR102017525B1 KR1020180123050A KR20180123050A KR102017525B1 KR 102017525 B1 KR102017525 B1 KR 102017525B1 KR 1020180123050 A KR1020180123050 A KR 1020180123050A KR 20180123050 A KR20180123050 A KR 20180123050A KR 102017525 B1 KR102017525 B1 KR 102017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brace
support
fixing portion
vel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직
김병택
안동영
심우섭
조민
양희승
강규복
김태완
Original Assignee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filed Critical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Priority to KR1020180123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2Orthopaedic corsets consisting of one or more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요천추 척추 보조기가 개시되며, 상기 요천추 척추 보조기는, 착용자의 착용시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며 배치 가능하도록, 착용자의 요천추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게 착용자의 등 부위 상에 위치하는 후방 지주부 및 상기 후방 지주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으로부터 착용자의 일측 옆구리 및 타측 옆구리 각각을 따라 연장되어 착용자의 복부 상에서 상호 연결되는 일측 복부 지지부와 타측 복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내부 보조기; 및 착용자의 착용시, 상기 내부 보조기 상에서 또는 단독으로 상기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며 배치 가능하도록, 착용자의 일측 옆구리 및 타측 옆구리 각각을 따라 연장되어 착용자의 복부 상에서 상호 연결되는 일측 고정부와 타측 고정부 및 착용자의 등 부위 상에서 상기 일측 고정부와 상기 타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끈 구조체를 포함하는 외부 보조기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보조기 및 상기 외부 보조기 각각은 단독으로 착용되거나, 또는, 상호 결합되어 착용된다.

Description

요천추 척추 보조기{LUMBO-SACRAL ORTHOSIS}
본원은 요천추 척추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보조기는 추간판 탈출증, 척추관 협착증, 척추 골절, 척추 전방전위증 등으로 수술 후 손상된 근육이나 척추관절을 보호하기 착용하는 것과 척추 측만증, 척추 후만증 등의 변형 및 질환을 교정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척추 질환의 수준(level)에 따라 경추, 흉추, 요추, 천추 부위에 적용할 수 있도록 천장부(sacroiliac), 요천추부(lumbosacral), 흉요천추부(thoracolumbosacral), 경추부(cervical) 보조기로 나뉜다. 또한 경성(rigid)과 연성(flexible) 보조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경성 보조기는 골반과 흉추부를 고정할 수 있는 밴드(band)가 포함되어 체간 운동을 제한하는데 효과적이고, 연성 보조기는 벨트 또는 코르셋이라고도 불리며 직물, 피혁 등의 섬유재질이 많이 사용되어 복강내압을 상승시키고 착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착용자의 보조기 착용 과정에서, 착용자의 호전 정도에 따라 점차 착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보조기의 압박력이 줄어들어야 하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착용자가 필요한 압박력에 따라 보조기를 복수 개 구매해야 했다.
또한, 흉요천추 보조기는 유연성 보조기와 경직성 보조기로 분류 할 수 있는데 유연성보조기는 착용시 외관상 보기가 좋고 무게가 가볍고 고령 및 비만환자에 적합한 반면 허리관절범위 제한효과가 적어 경미한 요추부 통증시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경직성 보조기의 경우 측방 및 회전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하고 요추부의 체위를 잘 조절하여 요추부 수술초기 수술부위 안정성유지를 위하여 처방하게 된다. 그러나 경직성 보조기는 운동제한 효과가 좋은 반면 요추근의 근력약화가 상대적으로 심하여 지속적 사용 시 추후 보조기 없이는 정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경우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현재는 요추부수술환자의 경우 수술초기 안정성을 위해 경직성보조기를 착용하고 점차적으로 요추부 운동을 병행하면서 경직성 보조기 사용시간을 줄이고 유연성보조기 사용시간을 늘리면서 최종적으로는 보조기 없이 정상생활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경우 2종류의 보조기를 전부 다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보조기 구입비용이 환자들에게는 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215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에게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압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요천추 척추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요천추 척추 보조기는, 착용자의 착용시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며 배치 가능하도록, 착용자의 요천추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게 착용자의 등 부위 상에 위치하는 후방 지주부 및 상기 후방 지주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으로부터 착용자의 일측 옆구리 및 타측 옆구리 각각을 따라 연장되어 착용자의 복부 상에서 상호 연결되는 일측 복부 지지부와 타측 복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내부 보조기; 및 착용자의 착용시, 상기 내부 보조기 상에서 또는 단독으로 상기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며 배치 가능하도록, 착용자의 일측 옆구리 및 타측 옆구리 각각을 따라 연장되어 착용자의 복부 상에서 상호 연결되는 일측 고정부와 타측 고정부 및 착용자의 등 부위 상에서 상기 일측 고정부와 상기 타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끈 구조체를 포함하는 외부 보조기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보조기 및 상기 외부 보조기 각각은 단독으로 착용되거나, 또는, 상호 결합되어 착용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내부 보조기는, 착용자의 착용시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며 배치 가능하도록, 착용자의 요천추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게 착용자의 등 부위 상에 위치하는 후방 지주부; 및 상기 후방 지주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으로부터 착용자의 일측 옆구리 및 타측 옆구리 각각을 따라 연장되어 착용자의 복부 상에서 상호 연결되는 일측 복부 지지부와 타측 복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착용자가 수술 직후와 같이 강합 압박력을 제공 받아야하는 척추 보조기 착용의 초기 단계의 경우, 착용자는 내부 보조기 및 외부 보조기를 착용함으로써, 착용자가 착용한 부위의 적어도 일부에 내부 보조기의 압박력과 외부 보조기의 압박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할 수 있고, 수술 이후 소정 기간이 흘러, 착용자에게 초기 단계보다 더 적은 압박력이 필요한 경우, 착용자는 내부 보조기를 착용함으로써 중간 정도의 압박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수술 이후 장기간이 흘러, 착용자가 가장 작은 압박력이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경우, 착용자는 외부 보조기만을 착용함으로서 상기 중간 정도의 압박력보다 작은 압박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보조기 착용 과정에서, 착용자의 호전 정도에 따라 점차 착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보조기의 압박력이 줄어들어야 한다는 점이 고려되어, 착용자가 보조기를 추가로 구매하지 않아도, 하나의 보조기로 3종류 이상의 압박감이 착용자의 착용부위에 작용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천추 척추 보조기의 내부 보조기를 후방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천추 척추 보조기의 외부 보조기를 후방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천추 척추 보조기의 내부 보조기와 외부 보조기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천추 척추 보조기의 일측 끈 부재와 타측 연결 끈 부재가 일측 끈 연결 고리에 의해 결합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하측, 하부, 전방, 후방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2및 도 4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후방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요천추 척추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천추 척추 보조기(이하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천추 척추 보조기의 내부 보조기를 후방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천추 척추 보조기의 외부 보조기를 후방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후면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천추 척추 보조기의 내부 보조기와 외부 보조기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천추 척추 보조기의 일측 끈 부재와 타측 연결 끈 부재가 일측 끈 연결 고리에 의해 결합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는, 내부 보조기(1)를 포함한다. 내부 보조기(1)는 착용자의 착용시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며 배치 가능하다. 내부 보조기(1)는 착용자의 착용시, 착용자의 요천추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게 착용자의 등 부위 상에 위치하는 후방 지주부(11)를 포함한다. 또한, 내부 보조기(1)는 착용자의 착용시, 후방 지주부(11)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으로부터 착용자의 일측 옆구리 및 타측 옆구리 각각을 따라 연장되어 착용자의 복부 상에서 상호 연결되는 일측 복부 지지부(12)와 타측 복부 지지부(13)를 포함한다.
후방 지주부(11)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지주판(111), 지주판(111)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대(112) 및 지주판(111)에 구비되어 지지대(112)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수용하는 지지대 수용부(113)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지주부(11)는 척추와 주변 연부조직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2)는 플라스틱 판 또는 알루미늄 판일 수 있다. 또한, 지지대 수용부(113)는 4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112)는 4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2)는 척추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절반씩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지대(112)가 4개 구비되는 경우, 척추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 각각에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타측 복부 지지부(13)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 타측 본체면(131) 및 내부 타측 본체면(131)의 타단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고정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 복부 지지부(12)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 일측 본체면(121) 및 내부 일측 본체면의 일단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고정부(132)가 탈착되는 내측 탈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32)와 내측 탈착부(122)는 벨크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32)는 벨크로 돌기부 또는 벨크로 돌기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고, 내측 탈착부(122)는 벨크로 돌기 수용부 또는 벨크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탈착부(122)는 그의 길이(착용자의 허리 둘레 방향으로의 길이)가 고정부(132)의 길이보다 길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고정부(132)를 그의 전방으로 잡아 당겨 내측 탈착부(122)에 보다 자유롭게 부착 위치를 선택해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2) 및 내측 탈착부(122) 각각은 가로형(2인치)으로서, 두께 방향으로 간격(이를 테면, 2cm 이상)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32) 및 내측 탈착부(122) 각각이 일대일 대응하며 정확한 위치에 상호 결합되도록 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다(유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내부 보조기(1)는 복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연성 보호대일 수 있다. 즉, 본원은 지주판(111), 일측 복부 지지부(12) 및 타측 복부 지지부(13) 각각을 연성인 매쉬 소재로 형성하되, 지주판(111)에 대하여 지지대(112)를 구비함으로써, 내부 보조기(1) 자체만으로도 경미한 질환 또는 치료 후반부의 경우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내부 보조기(1)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기성품 보조기는 내구성 강화를 위하여 탄성이 적은 나일론 재료로 이루어져 통기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많은데, 본 보조기는 땀 배출 및 통기성 강화를 위하여 내부 보조기(1)의 등판 부분(지주판(111)) 및 복대 부분(내부 일측 본체면(121) 및 내부 타측 본체면(131))을 망사 재료를 사용하였고, 벨크로 및 웨빙 재료는 꼭 필요한 부분에만 적용하였다.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에 있어서, 내부 보조기(1)는 코르셋 형태에 후방 지주판과(11) 전면 복대(일측 복부 지지부(112) 와 타측 복부 지지부(13), 후방 지주판(11)과 전면 복대사이에 탄력성 높은 연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골반과 늑골 등 예민한 부위의 압박으로 인한 찰과상을 예방할 수 있고, 앉기 자세 등의 일상생활 활동 시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2)는 플라스틱(2mm. 4mm) 또는 알루미늄 판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처방에 따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 증진이 될 수 있다. 참고로, 내부 보조기(1)에 있어서, 지지대 수용부(113)의 상단은 지지대(112)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절개될 수 있는데(1131), 다른 예로서, 지지대(112) 삽입을 위하여 웨빙 재봉 시 상단 1인치 부분은 등판 몸체에 암 벨크로를 웨빙 상단 1인치 부분은 수 벨크로를 재봉하여 쉽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내부 보조기(1)에 의하면, 내부 보조기(1) 자체만으로도 경미한 질환 또는 치료 후반부의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는, 외부 보조기(2)를 포함한다. 외부 보조기(2)는 내부 보조기(1) 상에서 또는, 단독으로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며 배치 가능하다. 다시 말해, 내부 보조기(1) 및 외부 보조기(2) 각각은 단독으로 착용되거나,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호 결합되어 착용된다. 또한, 내부 보조기(1)와 외부 보조기(2)가 상호 결합되어 착용될 경우, 외부 보조기(2)는 내부 보조기(1)를 사이에 두고 착용자에 착용된다. 따라서, 본원에서 외부 보조기(2)의 착용자에 대한 착용이라 함은, 외부 보조기(2)가 단독으로 착용자에 착용되는 것과, 내부 보조기(1)를 착용한 착용자에 착용되는 것(다시 말해, 착용자에 착용된 내부 보조기(1) 상에 외부 보조기(2)가 착용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보조기(2)는, 착용자의 착용시, 착용자의 일측 옆구리 및 타측 옆구리 각각을 따라 연장되어 착용자의 복부 상에서 상호 연결되는 일측 고정부(21)와 타측 고정부(22) 및 착용자의 등 부위 상에서 일측 고정부(21)와 타측 고정부(22)를 연결하는 끈 구조체(23)를 포함한다.
먼저, 타측 고정부(22)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타측 본체면(221) 및 외부 타측 본체면(221)의 후면에 형성되는 타측 고정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타측 고정면(222)은 타측 고정부(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 고정부(21)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일측 본체면(211) 및 외부 일측 본체면(211)의 후면에 형성되는 일측 고정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 고정면(212)은 일측 고정부(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측 고정부(22)의 타단부의 전면에는 일측 고정면(212)의 적어도 일부에 탈착 가능한 외측 탈착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필요한 자세를 취한 후, 타측 고정부(22)가 착용자의 전방을 가로지르며 일측 고정부(21)를 향하도록 타측 고정부(22)를 잡아 당긴 후 일측 고정면(212)의 필요한 부분에 외측 탈착부(223)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일측 고정면(212)은 일측 고정부(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탈착부(223)가 잡아당겨져 일측 고정면(212)에 부착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허리 둘레 사이즈에 제한되지 않고, 착용자에게 보조기로서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측 고정면(212)과 외측 탈착부(223)는 벨크로 결합될 수 있다. 벨크로 결합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일측 고정면(212) 및 타측 고정면(221)은 전측방 조임 망사 섬유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끈 구조체(23)는 일단이 일측 고정부(21)의 타측부의 상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일측 고정부(21)의 타측부의 하측과 연결되는 일측 끈 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측 끈 부재(231)의 일단은 전면이 일측 고정부(21)의 타측부의 상측의 후면과 접촉되게 연결되고 일측 끈 부재(231)의 타단은 후면이 일측 고정부(21)의 타측부의 하측의 후면과 접촉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측 끈 부재(231)는 한번 꼬여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끈 구조체(23)는 타단이 타측 고정부(22)에 고정되고 일단이 타측 고정면(222) 또는 일측 고정면(212)에 탈착 가능한 타측 연결 끈 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타측 연결 끈 부재(232)의 타측부의 전면에는 타측 고정면(222) 또는 일측 고정면(212)에 벨크로 부착되는 벨크로 결합부(232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측 연결 끈 부재(232)의 벨크로 결합부(2321)에는 벨크로 돌부 또는 벨크로 돌기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고, 타측 고정면(222) 및 일측 고정면(212)에는 벨크로 돌기 수용부 또는 벨크로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끈 구조체(23)는 일측 끈 부재(231)의 일부와 타측 연결 끈 부재(232)의 일부를 감싸며 타측 연결 끈 부재(232)(타측 연결 끈 부재(232) 및 일측 끈 부재(2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일측 끈 연결 고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타측 연결 끈 부재(232)를 잡아당기면 일측 끈 연결 고리(233)가 이동하며 일측 끈 부재(231)가 당겨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착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타측 연결 끈 부재(232)를 잡아 당겨도, 일측 끈 부재(231)가 용이하게 잡아 당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또한, 손의 힘이 없거나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쉽게 당겨 붙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끈 구조체(23)는 일단이 타측 고정부(22)의 일측부의 상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타측 고정부(22)의 일측부의 하측과 연결되는 타측 끈 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타측 끈 부재(234)의 일단은 전면이 타측 고정부(22)의 일측부의 상측의 후면과 접촉되게 연결되고 타측 끈 부재(234)의 타단은 후면이 타측 고정부(22)의 일측부의 하측의 후면과 접촉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측 끈 부재(234)는 한번 꼬여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끈 구조체(23)는 타단이 일측 고정부(21)에 고정되고 일단이 일측 고정면(212) 또는 타측 고정면(222)에 탈착 가능한 일측 연결 끈 부재(235)를 포함할 수 있다. . 일측 연결 끈 부재(235)의 일측부의 전면에는 타측 고정면(222) 또는 일측 고정면(212)에 벨크로 부착되는 벨크로 결합부(235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 연결 끈 부재(235)의 벨크로 결합부(2351)에는 벨크로 돌부 또는 벨크로 돌기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고, 타측 고정면(222) 및 일측 고정면(212)에는 벨크로 돌기 수용부 또는 벨크로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끈 구조체(23)는 타측 끈 부재(234)의 일부와 일측 연결 끈 부재(234)의 일부를 감싸며 일측 연결 끈 부재(2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타측 끈 연결 고리(2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렛대 원리에 의해, 착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일측 연결 끈 부재(235)를 잡아 당겨도, 타측 끈 부재(234)가 용이하게 잡아 당겨질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앞서 일측 끈 연결 고리(233)를 이용한 지렛대 원리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외부 보조기(2)는 일측 본체면(211) 및 타측 본체면(221) 각각이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의 일측 및 타측으로 잡아당겨지고 외측 탈착부(223)가 일측 고정면(212)의 특정 부분에 부착됨으로서, 착용자의 요천추를 압박 및 지지하며 착용자에 착용될 수 있고, 이후, 끈 구조체(23)의 타측 연결 끈 부재(232)가 잡아당겨지고 일측 연결 끈 부재(235)가 잡아 당겨져, 타측 연결 끈 부재(232)가 타측 고정면(222) 또는 타측 고정면(222)을 가로질러 일측 고정면(212)에 부착되고, 일측 연결 끈 부재(235)가 일측 고정면(212) 또는 일측 고정면(212)을 가로질러 타측 고정면(222)에 부착됨으로써 착용자의 외부 보조기(2)에 의해 감싸여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압박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내부 타측 본체면(131) 및 내부 일측 본체면(121) 각각은, 외부 타측 본체면(221) 및 외부 일측 본체면(211)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의 탄력성(또는 탄력성에 따른 압박력)보다 큰 탄력성(또는 탄력성에 따른 압박력)을 가지고 신축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에 의하면, 착용자에게 필요한 척추 보조기의 탄력성 정도에 따라, 내부 보조기(1) 및 외부 보조기(2)의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수술 직후와 같이 척추 보조기를 착용 해야 하는 초기 단계의 경우, 착용자에게 큰 탄력성(또는 탄력성에 따른 압박력)이 필요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착용자는 내부 보조기(1)를 착용하고 외부 보조기(2)를 착용함으로써, 착용자가 착용한 부위의 적어도 일부에 내부 보조기(1)와 외부 보조기(2)의 탄력성(또는 탄력성에 따른 압박력)의 합만큼 압박력이 작용될 수 있고, 수술 이후 장기간 시간(예를 들어 수술일로부터 3개월 이후)이 흘러, 착용자가 가장 작은 탄력성(또는 탄력성에 따른 압박력)을 필요로하는 경우, 착용자는 외부 보조기(2)만을 착용함으로서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가장 작은 탄력성(또는 탄력성에 따른 압박력)을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착용자가 퇴원은 했으나, 상기 소정시간 보다 적은 기간 이내와 같은 경우(예를 들어, 수술일로부터 2개월 이후), 중간 정도의 탄력성(또는 탄력성에 따른 압박력)이 필요할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 착용자는 내부 보조기(1)를 착용함으로써 중간 정도의 탄력성(또는 탄력성에 따른 압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는, 사용자가 보조기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착용자의 호전 정도에 따라 점차 압박감이 줄어들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착용자가 보조기를 추가로 구매하지 않아도, 하나의 보조기로 3종류 이상의 압박감이 착용자의 착용부위에 작용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지주판(111), 내부 일측 본체면, 내부 타측 본체면(131), 외부 타측 본체면(221) 및 외부 일측 본체면(211)은 통기성을 갖는 망사 섬유(매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부 보조기(2)의 외부 타측 본체면(221) 및 외부 일측 본체면(211)은 끈 구조체(23)에 의해 상호 결합되므로, 착용자는 내부 보조기(1) 및 외부 보조기(2)를 결합하여 착용하여도, 다시 말해, 이중으로 착용하여도 소정 이상의 통기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원에 있어서, 외부 보조기(2)는 내부 보조기(1)에 더해 추가적 보호 및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복강내압 상승 지지 밴드 역할을 하는 타측 연결 끈 부재(232) 및 일측 연결 끈 부재(235)를 포함할 수 있고, 인체 복부 후방의 척주 부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힘과 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힘의 이득을 줄 수 있는 지렛대 원리가 적용된 구조 반영되고, 외부 보조기(2) 만으로도 경미한 질환 또는 치료 중반부에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후방 지주부(11)는 지주판(111)의 일측 및 타측 각각의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벨크로 돌기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타측 고정부(22)는 지주판(111)의 타측에 구비되는 벨크로 돌기부(114)에 탈착 가능한 벨크로 돌기 수용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 고정부(21)는 지주판(111)의 일측에 구비되는 벨크로 돌기부(114)에 탈착 가능한 벨크로 돌기 수용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보조기(2)와 내부 보조기(1)는 후방 지주부(11)의 벨크로 돌기부(114)와 타측 고정부(22) 및 일측 고정부(21) 각각의 벨크로 돌기 수용부(224, 214)의 탈착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일측 고정부(21)의 벨크로 돌기 수용부(214)가 후방지주부(11)의 일측의 벨크로 돌기부(114)와 벨크로 결합될 수 있고, 타측 고정부(22)의 벨크로 돌기 수용부(214)가 후방지주부(11)의 타측의 벨크로 돌기부(114)와 벨크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타측 고정부(22) 및 일측 고정부(22)의 벨크로 돌기 수용부(224, 214)는 후방 지주부(11)의 벨크로 돌기구(114)보다 부드러울(soft)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보조기(2)가 단독으로 착용자에 착용되어 착용자에게 외부 보조기(2)의 타측 고정부(22) 및 일측 고정부(21) 각각의 벨크로 돌기 수용부(224, 214)가 접촉되더라도, 벨크로 돌기 수용부(224, 215)의 부드러운 촉감에 의해 사용자의 거부감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지지대 수용부(113)의 상단은 지지대(112)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절개될 수 있다(1131). 이에 따라, 지지대(112)는 교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황에 따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12)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12)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지지대 수용부(113)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보다 강한 지지력이 필요할 경우,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12)가 사용 가능 하고, 변형 가능하거나 보다 약한 지지력이 필요할 경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12)가 사용 가능하며, 지지대 수용부(113)의 위치, 다시 말해, 지지대(112)의 위치에 따라 지지대(112) 역시 적합한 재질의 지지대로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등판과 대향하는 부분에 내부 보조기(1)의 벨크로 돌기부(114)와 탈착 가능한 벨크로 돌기 수용부(224, 214)는 탄력성(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크로 돌기 수용부(224, 214) 각각의 후면에 탄력성을 갖는 탄력밸트가 재봉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보조기(1)와 외부 보조기(2)의 결합이 용이하고, 내부 보조기(1)와 외부 보조기(2)의 결합 후 강한 압박을 위해 외부 보조기(2)의 일측 및 타측 중 하나가 당겨졌을 때도 탄력 밴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 접힘 현상(우그라드는 현상) 없이 인체 체형에 맞추어 변형되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보조기(2)의 중앙의 좌, 우측 탄력 밴드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쪽에 암벨크로를 재봉하여 외부 보조기(2) 자체만으로도 경미한 질환 또는 치료 중반부에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외부 보조기(2)는 후방 압박 조절 끈 역할을 하는 끈 구조체(23) 및 압박조절 루프 역할을 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일측 고정부(21)와 타측 고정부(22)가 외부 보조기(2) 몸체에서 이탈되거나 늘어남으로 인하여 외부 환경에 걸릴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고, 착용 시 불편함이 없도록 끈이 지나는 부분인 복대 측면에 세로방향 1인치 웨빙을 재봉하는데 터널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는, 척추 수술 및 근력 기능약화로 인하여 척주의 형태 변형, 쇄약 등으로 요천추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척추 보조기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질환과 치료 시기에 따라 복강내압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 보조기(1) 및 외부 보조기(2)로 구분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분리형(각각이 단독)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척추 보조기에 의하면, 치료 시기 동안 침상에서 누웠을 때 보조기와 접촉하는 부위가 딱딱한 재료로 사용될 경우 불편함 발생 및 압박으로 인한 욕창의 위험성이 증가하여 탈착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는데,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에 의하면,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재료와 구조적 설계 개선으로 착용자가 편안하면서도 보조기 착용 시간을 늘릴 수 있어 치료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는, 기존의 연성 보조기 중 요천추 코르셋을 사용해야 하는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척추 보조기의 착용 방법의 어려움, 눕거나 앉기 동작 시 골 돌출부위 및 예민한 부위의 불편함 또는 2차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압박력을 착용자가 직접 조절하기 편하도록 내부 보조기(1)와 외부 보조기(2)를 분리형으로 설계하여 치료 진행상황과 시기에 따라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고 3가지 종류의 보조기(내부 보조기(1)와 외부 보조기(2)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내부 보조기(1)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외부 보조기(2)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형태)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어, 착용자가 보조기를 복수 개 이상 구매할 필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에 의하면, 내부 보조기(1)와 외부보조기(2)가 포함되므로, 수술초기 경직성 보조기가 필요한 시기에는 내부 보조기(1)와 외부 보조기(2)가 함께 착용되어 경직성 보조기의 요추부 운동 제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고, 경직성 보조기의 착용시 불편함을 감소시켜 순응도를 증가시키고 유연성 보조기로 전환 해야하는 시기에 내부 보조기(1) 또는 외부 보조기(2)만이 착용됨으로써 유연성 보조기로의 대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에 의하면, 하나의 보조기를 구입하고 2가지 이상의 시기에 사용 가능함으로써 환자입장에서는 경제적인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척추보조기들은 정형화되어 공급되어 환자들의 신체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고, 보조기의 성격상 신체사이즈에 맞지 않는 경우 본래의 교정효과를 보기 어렵다. 반면에,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에 의하면, 3in1 요천추 보조기가 구현될 수 있으므로, 외부 보조기(2)를 사이즈 별로 제작하는 기성품 형태로 제작되지만 맞춤형과 동일하게 본인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착용 할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보조기와 차별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요천추 척추 보조기에 적용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보조기('이하 본 내부 보조기'라 함)(1)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내부 보조기는 상술한 본 요천추 척추 보조기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 및 구성을 공유한다. 따라서, 본 내부 보조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며,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내부 보조기(1)는 착용자의 착용시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며 배치 가능하다. 내부 보조기(1)는 착용자의 착용시, 착용자의 요천추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게 착용자의 등 부위 상에 위치하는 후방 지주부(11)를 포함한다. 또한, 내부 보조기(1)는 착용자의 착용시, 후방 지주부(11)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으로부터 착용자의 일측 옆구리 및 타측 옆구리 각각을 따라 연장되어 착용자의 복부 상에서 상호 연결되는 일측 복부 지지부(12)와 타측 복부 지지부(13)를 포함한다.
후방 지주부(11)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지주판(111), 지주판(111)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대(112) 및 지주판(111)에 구비되어 지지대(112)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수용하는 지지대 수용부(113)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지주부(11)는 척추와 주변 연부조직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2)는 플라스틱 판 또는 알루미늄 판일 수 있다. 또한, 지지대 수용부(113)는 4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112)는 4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2)는 척추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절반씩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지대(112)가 4개 구비되는 경우, 척추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 각각에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타측 복부 지지부(13)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 타측 본체면(131) 및 내부 타측 본체면(131)의 타단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고정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 복부 지지부(12)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 일측 본체면(121) 및 내부 일측 본체면의 일단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고정부(132)가 탈착되는 내측 탈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내부 보조기
11: 후방 지주부
111: 지주판
112: 지주판
113: 지지대 수용부
114: 벨크로 돌기부
12: 일측 복부 지지부
121: 내부 일측 본체면
122: 내측 탈착부
13: 타측 복부 지지부
131: 내부 타측 본체면
132: 고정부
2: 외부 보조기
21: 일측 고정부
211: 외부 일측 본체면
212: 일측 고정면
214: 벨크로 돌기 수용부
22: 타측 고정부
221: 타측 고정면
223: 타측 탈착부
224: 벨크로 돌기 수용부
23: 끈 구조체
231: 일측 끈 부재
232: 타측 연결 끈 부재
2321: 벨크로 결합부
233: 일측 끈 연겨 ㄹ고리
234: 타측 끈 부재
235: 일측 연결 끈 부재
2351: 벨크로 결합부
236: 타측 끈 연결 고리

Claims (11)

  1. 요천추 척추 보조기에 있어서,
    착용자의 착용시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며 배치 가능하도록, 착용자의 요천추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게 착용자의 등 부위 상에 위치하는 후방 지주부 및 상기 후방 지주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으로부터 착용자의 일측 옆구리 및 타측 옆구리 각각을 따라 연장되어 착용자의 복부 상에서 상호 연결되는 일측 복부 지지부와 타측 복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내부 보조기; 및
    착용자의 착용시, 상기 내부 보조기 상에서 또는 단독으로 상기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며 배치 가능하도록, 착용자의 등 부위 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착용자의 일측 옆구리 및 타측 옆구리 각각을 따라 연장되고 착용자의 복부 상에서 상호 연결되는 일측 고정부와 타측 고정부 및 착용자의 등 부위 상에서 상기 일측 고정부와 상기 타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끈 구조체를 포함하는 외부 보조기를 포함하되,
    상기 후방 지주부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지주판, 지주판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지주판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수용하는 지지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 복부 지지부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 타측 본체면 및 상기 내부 타측 본체면의 타단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복부 지지부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 일측 본체면 및 상기 내부 일측 본체면의 일단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탈착되는 내측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지주부는, 상기 지주판의 일측 및 타측 각각의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벨크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측 고정부는, 상기 지주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벨크로 돌기부에 탈착 가능한 벨크로 돌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일측 고정부는, 상기 지주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벨크로 돌기부에 탈착 가능한 벨크로 돌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보조기와 상기 내부 보조기는 상기 후방 지주부의 벨크로 돌기부와 상기 타측 고정부 및 상기 일측 고정부의 벨크로 돌기 수용부의 탈착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며,
    상기 내부 보조기 및 상기 외부 보조기 각각은 단독으로 착용되거나, 또는, 상호 결합되어 착용되고,
    상기 타측 고정부 및 상기 일측 고정부의 벨크로 돌기 수용부는, 상기 후방 지주부의 벨크로 돌기부보다 부드러운(soft) 것이고, 상기 외부 보조기의 단독 착용시 착용자에게 접촉되는 것인, 요천추 척추 보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고정부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타측 본체면 및 상기 외부 타측 본체면의 후면에 형성되는 타측 고정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 고정부는 매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일측 본체면 및 상기 외부 일측 본체면의 후면에 형성되는 일측 고정면을 포함하며,
    상기 타측 고정부의 타단부의 전면에는 상기 일측 고정면의 적어도 일부에 탈착 가능한 외측 탈착부가 형성되는 것인, 요천추 척추 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끈 구조체는,
    일단이 상기 일측 고정부의 타측부의 상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일측 고정부의 타측부의 하측과 연결되는 일측 끈 부재;
    타단이 상기 타측 고정부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타측 고정면 또는 상기 일측 고정면에 탈착 가능한 타측 연결 끈 부재;
    상기 일측 끈 부재의 일부와 상기 타측 연결 끈 부재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타측 연결 끈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일측 끈 연결 고리;
    일단이 상기 타측 고정부의 일측부의 상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타측 고정부의 일측부의 하측과 연결되는 타측 끈 부재;
    타단이 상기 일측 고정부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일측 고정면 또는 상기 타측 고정면에 탈착 가능한 일측 연결 끈 부재;
    상기 타측 끈 부재의 일부와 상기 일측 연결 끈 부재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일측 연결 끈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타측 끈 연결 고리를 포함하는 것인, 요천추 척추 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끈 부재의 일단은 전면이 상기 일측 고정부의 타측부의 상측의 후면과 접촉되게 연결되고 상기 일측 끈 부재의 타단은 후면이 상기 일측 고정부의 타측부의 하측의 후면과 접촉되게 연결되고,
    상기 타측 끈 부재의 일단은 전면이 상기 타측 고정부의 일측부의 상측의 후면과 접촉되게 연결되고 상기 타측 끈 부재의 타단은 후면이 상기 타측 고정부의 일측부의 하측의 후면과 접촉되게 연결되는 것인, 요천추 척추 보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타측 본체면 및 상기 내부 일측 본체면 각각은, 상기 외부 타측 본체면 및 상기 외부 일측 본체면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의 탄력성보다 큰 탄력성을 가지고 신축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인, 요천추 척추 보조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수용부의 상단은 상기 지지대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절개되는 것인, 요천추 척추 보조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23050A 2018-10-16 2018-10-16 요천추 척추 보조기 KR102017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050A KR102017525B1 (ko) 2018-10-16 2018-10-16 요천추 척추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050A KR102017525B1 (ko) 2018-10-16 2018-10-16 요천추 척추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525B1 true KR102017525B1 (ko) 2019-09-03

Family

ID=6795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050A KR102017525B1 (ko) 2018-10-16 2018-10-16 요천추 척추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5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213B1 (ko) * 2020-04-28 2020-07-15 주식회사 세노컴퍼니 허리 보호대
KR20210065305A (ko) * 2019-11-27 2021-06-04 이성종 허리 보호대
KR20210120903A (ko) * 2020-03-27 2021-10-07 고정현 자세 교정기
CN113749836A (zh) * 2021-09-02 2021-12-07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用于腰椎椎体骨质疏松性压缩性骨折的智能动态矫形器及应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075Y1 (ko) * 2000-07-31 2001-02-01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KR200216070Y1 (ko) * 2000-07-31 2001-03-15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KR101531760B1 (ko) * 2013-10-21 2015-06-25 장호석 이중 허리 보호대
KR101649313B1 (ko) * 2015-12-28 2016-08-19 김경일 허리 보호용 압박대
KR101811252B1 (ko) * 2017-09-29 2017-12-21 김용태 허리 보호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075Y1 (ko) * 2000-07-31 2001-02-01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KR200216070Y1 (ko) * 2000-07-31 2001-03-15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KR101531760B1 (ko) * 2013-10-21 2015-06-25 장호석 이중 허리 보호대
KR101649313B1 (ko) * 2015-12-28 2016-08-19 김경일 허리 보호용 압박대
KR101811252B1 (ko) * 2017-09-29 2017-12-21 김용태 허리 보호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305A (ko) * 2019-11-27 2021-06-04 이성종 허리 보호대
KR102354144B1 (ko) * 2019-11-27 2022-01-21 이성종 허리 보호대
KR20210120903A (ko) * 2020-03-27 2021-10-07 고정현 자세 교정기
KR102495559B1 (ko) 2020-03-27 2023-02-06 고정현 자세 교정기
KR102134213B1 (ko) * 2020-04-28 2020-07-15 주식회사 세노컴퍼니 허리 보호대
CN113749836A (zh) * 2021-09-02 2021-12-07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用于腰椎椎体骨质疏松性压缩性骨折的智能动态矫形器及应用方法
CN113749836B (zh) * 2021-09-02 2024-04-26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用于腰椎椎体骨质疏松性压缩性骨折的智能动态矫形器及应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525B1 (ko) 요천추 척추 보조기
US5445601A (en) Back support device having bands securing the support plate
US5599287A (en) Hyperextension orthotic apparatus useful for treating pain associated with spinal disorders
US5967998A (en) Lumbo-sacral orthosis
EP2600808B1 (en) Orthopaedic device
US5840050A (en) Post-operative hip brace
US9839554B2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US4688558A (en) Orthopedic appliance
US7837639B2 (en)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JP6357631B2 (ja) 椎体疾患用装具
US6896662B2 (en) Method for lordosis adjustment for treating discomfort in, or originating in, the cervical spine region
KR101369164B1 (ko) 자세교정용 보조기
US5782781A (en) All-in-one girdling belt for lumbar and coxa support
US9504596B1 (en) Convertible orthotic brace
US20160051392A1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KR101530484B1 (ko) 척추 교정 벨트
US11426300B2 (en) Motorized tightening mechanism for the Scoliosis Boston Brace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JP2022172432A (ja) 医療用簡易コルセット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RU2758543C1 (ru) Корриг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кифотических деформац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US20040167449A1 (en) Appliance for lordosis adjustment for treating discomfort in, or originating in, the cervical spine region
RU21418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кифосколиозов
KR101666174B1 (ko) 기능성 척추 디스크 보호대
AU2015335797B2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