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169B1 -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 - Google Patents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169B1
KR101649169B1 KR1020140071717A KR20140071717A KR101649169B1 KR 101649169 B1 KR101649169 B1 KR 101649169B1 KR 1020140071717 A KR1020140071717 A KR 1020140071717A KR 20140071717 A KR20140071717 A KR 20140071717A KR 101649169 B1 KR101649169 B1 KR 101649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fence
main body
collecting
d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960A (ko
Inventor
강대형
Original Assignee
(주) 대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유 filed Critical (주) 대유
Priority to KR1020140071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16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이나 저수지의 수면에 떠있는 부유물을 수거하여 저장하고, 일정 장소로 이동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댐이나 저수지에 부력에 의하여 뜨게 되는 부구에 부유물을 걷어올릴 수 있는 제진기 본체를 각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댐이나 저수지의 부유물을 제진기 본체에서 걷어올려 수거함과 함께 수거된 부유물을 부구의 저부에 장착된 펜스식 저장부에 저장하고, 일정한 장소로 이동하여 펜스식 저장부에 저장된 부유물을 제진기 본체에서 다시 걷어올려 육지 등의 수집장소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Dust removing machine for removing floating waste used in dam}
본 발명은 댐이나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댐이나 저수지의 수면에 떠있는 부유물을 수거하여 저장하고, 일정 장소로 이동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마철의 집중 호우 또는 태풍 등의 영향에 따른 강수로 인하여 댐 주변이나 저수지, 하천 등에는 나무가지, 통나무, 비닐봉지, 플라스틱 용기, 병, 캔, 종이, 나무, 폐자재 등 각종 쓰레기나 오물 등이 상류로부터 떠밀려 내려와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댐이나 저수지 및 하천과 연계된 양·배수장이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못하거나 농수로가 막히는 일이 발생하고, 또한 물이 오염되어 자연생태계의 환경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삭제
특히, 댐이나 저수지 등에 쌓인 다량의 슬러지 및 쓰레기 등의 오물이 농업용 관개용수와 관련된 양·배수장이나 농수로 또는 저수지의 물 유입지역 등에 유입되면, 농업용수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댐이나 저수지 등에 쌓여 있는 부유물을 미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심이 깊은 댐이나 저수지 등에 접근하는 것은 여의치 않을 뿐만 아니라 소형 선박 등을 이용하여 접근하고 부유물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지만 워낙 많은 오물이 쌓이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모두 인력으로 제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소형 선박 내에는 제거된 부유물을 저장하는 공간이 부족하여 계속 육지쪽으로 소형 선박을 왕복하여 육지의 일정 장소에 부유물을 하역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댐이나 저수지의 부유물을 수거함에 있어서, 단지 부유물을 수거만 하고 이를 자동으로 배출하지 못함에 따라 부유물 제거작업의 능률이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의 특허문헌에 종래의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종래의 기술은 수거된 부유물을 육지로 이동하여 배출할 수 없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58267(공고일자 2006년03월1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31814(공고일자 2011년04월29일)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댐이나 저수지에 부력에 의하여 뜨게 되는 부구에 부유물을 걷어올릴 수 있는 제진기 본체를 각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부유물을 제진기 본체에서 걷어올려 수거함과 함께 부유물을 부구의 저부에 장착된 펜스식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고, 일정한 장소로 이동하여 펜스식 저장부에 저장된 부유물을 제진기 본체에서 다시 걷어올려 육지 등의 일정한 수집장소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면 위에 부력에 의하여 뜰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 한 쌍의 부구와; 상기 부구에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면 위의 부유물을 걷어올리는 제진기 본체와; 부구의 저부에 장착되어, 부유물을 가두면서 저장하는 펜스식 저장부와; 상기 제진기 본체를 수면 위의 부유물을 걷어 올려 펜스식 저장부로 낙하시키는 정방향의 경사도로 조절하거나, 펜스식 저장부에 갇힌 부유물을 걷어올려 수집장소로 낙하시키는 역방향의 경사도로 조절하는 제진기 본체 각회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부구는 부력을 갖는 한 쌍의 중공형 파이프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평행하게 배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펜스식 저장부는, 각 부구의 저면에 일체로 장착되어 수면내로 삽입되는 제1 및 제2가로방향 펜스와; 제1 및 제2가로방향 펜스를 일체로 연결하며 사각형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세로방향 펜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펜스식 저장부의 제1 및 제2가로방향 펜스를 비롯하여 제1 및 제2세로방향 펜스는 상하에 배치되는 가로방향 파이프를 다수의 세로방향 파이프로 연결시킨 구조로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펜스식 저장부의 제1세로방향 펜스는 각회전 가능하도록 그 상단부가 제1 및 제2가로방형 펜스에 대하여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제진기 본체 각회전 수단은 유압실린더로 채택되고,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본체는 각 부구의 상면에 힌지 체결되는 동시에 실린더내에 전후진 가능하게 내장된 피스톤의 상단은 제진기 본체의 상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제진기 본체는, 각 부구의 내측면에 각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이 힌지 체결되는 측면프레임과, 양 측면프레임의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횡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프레임과; 양 측면프레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스프로킷과, 양 측면프레임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걸쳐 환형으로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을 따라 환형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메인 스프로킷에 감아져서 메인 스프로킷의 회전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환형 링크 체인으로 구성되는 레이크부재 이송장치와; 상기 환형 링크 체인 간에 좌우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환형 링크 체인과 함께 환형으로 순환 이동하면서 수면 위의 부유물을 걷어올리는 레이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댐이나 저수지 등에 부력에 의하여 떠다니면서 부유물이 존재하는 수심이 깊은 곳까지 용이하게 접근한 후, 제진기 본체를 이용하여 각종 부유물을 걷어올려서 수거하는 동시에 일시 저장할 수 있으므로 부유물을 다량으로 수거할 수 있다.
둘째, 다량으로 수거된 부유물은 육지 등의 일정한 수집장소로 이동한 후, 제진기 본체를 각회전시켜 저장된 부유물을 다시 걷어올려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부유물의 수거 및 배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셋째, 제진기 본체가 부구에 의하여 떠다니면서 댐이나 저수지의 부유물을 수거하고, 수거후 이동하여 용이하게 배출하게 되므로 인력에 비하여 댐이나 저수지의 부유물의 수거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로서, 부유물의 수거 및 저장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로서, 저장된 부유물의 배출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로서, 부구 및 펜스식 저장부만을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로서, 부유물의 수거 및 저장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저장된 부유물의 배출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00은 수면 위에 부력에 의하여 뜰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 한 쌍의 부구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구(100)는 부력을 갖는 한 쌍의 중공형 파이프(102)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평행하게 배열시킨 것으로 채택된다.
이때, 상기 각 부구(100)는 부구(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진기 본체(200)와 부구(100)의 저부에 장착되는 펜스식 저장부(300) 등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수면 위에 뜰 수 있는 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채택이 가능하다.
상기 각 부구(100) 사이에는 수면 위의 부유물을 걷어올리는 제진기 본체(200)가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진기 본체(200)를 부구(100)에 장착할 때, 제진기 본체(200)의 하단 일부는 물속에 잠기고, 제진기 본체(200)의 중간 부분이 각 부구(100)의 내측에 힌지 체결되고, 제진기 본체(200)의 상단부는 수면 위에 배치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진기 본체(200)의 본체프레임(210)에 포함된 양 측면프레임(212)의 중간 부분 외면이 각 부구(100)의 내측면에 힌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진기 본체(200)의 본체프레임(21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부구(100)의 내측면에 각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측면프레임(212)과, 양 측면프레임(212)의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횡프레임(214)으로 구성되며, 제진기 본체(200)의 골격체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양 측면프레임(212)의 상단부 내측에는 메인 스프로킷(22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메인 스프로킷(222)의 중심 회전축에는 엔진이나 모터와 같은 전동수단(미도시됨)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진기 본체(200)의 일 구성으로서, 양 측면프레임(212)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걸쳐 레일(224)이 환형으로 설치되고, 이 레일(224)내에는 환형 링크 체인(226)이 환형 이송 가능하게 내설된다.
이때, 상기 환형 링크 체인(226)이 레일(224)을 따라 환형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메인 스프로킷(222)에 감아지게 되며, 메인 스프로킷(222)의 회전시 레일(22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양 측면프레임(212)의 레일(224)내에 배열된 환형 링크 체인(226) 간에는 좌우 횡방향으로 레이크부재(230)가 연결되는 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이크부재(230)는 상하로 길게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된 레이크가 구비되어 환형 링크 체인(226)과 함께 환형으로 순환 이동하면서 수면 위의 부유물을 걷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부구(100)의 저부에는 레이크부재(230)가 수면 위로부터 걷어 올린 부유물을 가두면서 저장하는 펜스식 저장부(300)가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펜스식 저장부(300)는 첨부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구(100)의 저면에 각각 일체로 장착되어 수면내로 삽입되는 제1가로방향 펜스(310) 및 제2가로방향 펜스(320)를 포함하고, 또한 제1가로방향 펜스(310)와 제2가로방향 펜스(320)를 연결하는 제1세로방향 펜스(330)와 제2세로방향 펜스(3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가로방향 펜스(310,320)를 비롯하여 제1 및 제2세로방향 펜스(330,340)는 상하에 배치되는 가로방향 파이프(302)를 창살 역할을 하는 다수의 세로방향 파이프(304)로 연결시킨 구조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세로방향 펜스(330)는 제1가로방향 펜스(310) 및 제2가로방향 펜스(320)의 전단부 간을 일체로 연결하게 되고, 상기 제2세로방향 펜스(340)는 제1가로방향 펜스(310) 및 제2가로방향 펜스(320)의 후단부 간을 일체로 연결하게 되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가로방향 펜스(310,320)와 제1 및 제2세로방향 펜스(330,340)는 위에서 보았을 때, 부유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가두어줄 수 있는 사각형의 저장공간(350)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진기 본체(200)가 정방향의 경사각 또는 부방향의 경사각으로 각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상기 펜스식 저장부(300)의 제1세로방향 펜스(330)는 그 상단부가 제1 및 제2가로방형 펜스(310,320)에 대하여 힌지(306)로 연결된다.
이에, 상기 제진기 본체(200)가 정방향의 경사각 또는 부방향의 경사각으로 각회전할 때, 제진기 본체(200)의 하단부가 제1세로방향 펜스(330)에 닿아 간섭이 발생되더라도, 제진기 본체(200)의 하단부가 제1세로방향 펜스(330)에 닿는 순간 제1세로방향 펜스(330)가 제진기 본체(200)의 각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게 되므로, 제진기 본체(200)가 정방향의 경사각 또는 역방향의 경사각으로 용이하게 각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부구(100)와 제진기 본체(200) 간에는 제진기 본체(200)를 정방향의 경사각 또는 역방향의 경사각으로 각회전시키기 위한 제진기 본체 각회전 수단(400)이 장착된다.
즉, 상기 제진기 본체 각회전 수단(400)는 제진기 본체(200)를 수면 위의 부유물을 걷어올려 펜스식 저장부(300)로 낙하시키는 정방향의 경사도로 조절하거나, 펜스식 저장부(300)에 갇힌 부유물을 걷어올려 수집장소로 낙하시키는 역방향의 경사도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진기 본체 각회전 수단(400)은 유압실린더를 채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본체(410)는 각 부구(100)의 상면에 힌지 체결되고, 실린더 본체(410)내에 전후진 가능하게 내장된 피스톤(420)의 상단끝은 제진기 본체(200)의 상단부에 힌지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 정방향의 경사각은 제진기 본체가 댐이나 저수지의 부유물을 걷어올려서 수거하는 경우의 제진기 본체의 각회전 경사각을 의미하는 것이고, 역방향의 경사각은 일정한 수집장소로 이동한 후 수거된 부유물을 걷어올려서 배출하는 경우의 제진기 본체의 각회전 경사각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한 도 1을 참조하면 수면 위에 존재하는 부유물의 수거 및 저장 을 위하여 제진기 본체(200)가 정방향의 경사각으로 조절된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420)을 최대한 후진시켜 실린더 본체(410)내에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제진기 본체(200)가 부구(100)에 대한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각회전하여 부유물의 수거 및 저장을 위하여 정방향의 경사각으로 조절된다.
다음으로, 전동수단을 구동시켜 제진기 본체(200)의 메인 스프로킷(22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메인 스프로킷(222)에 감겨진 환형 링크 체인(226)이 레일(224)을 따라 정방향의 환형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환형 링크 체인(226) 간에 연결된 레이크부재(230)도 환형 링크 체인(226)과 함께 정방향의 환형 이동을 하게 되고, 이때 레이크부재(230)가 수면 위의 부유물을 걷어올리게 된다.
연이어, 상기 레이크 부재(230)에 수면 위에서 제진기 본체(200)의 상단부까지 부유물을 걷어 올리며 이송된 후, 다시 수면쪽으로 이송하는 순간에 부유물이 펜스식 저장부(300)내로 낙하되어 저장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가로방향 펜스(310,320)와 제1 및 제2세로방향 펜스(330,340)에 의하여 형성된 사각형의 저장공간(350)내에 부유물이 낙하되어 저장되고, 물론 저장된 부유물은 사각형의 저장공간(350)내의 한정된 공간내에서 수면 위에 떠 있을 뿐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상기 펜스식 저장부(300)내로 부유물이 낙하되어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부력에 의하여 떠 있는 부구(100)를 육지 등의 부유물 수집장소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펜스식 저장부(300)내에 저장된 부유물을 육지 등의 특정 부유물 수집장소로 배출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를 위해, 첨부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420)을 최대한 전진시켜 실린더 본체(410)로부터 최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제진기 본체(300)가 부구(100)에 대한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각회전하여 부유물의 배출을 위하여 역방향의 경사각으로 조절된다.
다음으로, 전동수단을 구동시켜 제진기 본체(200)의 메인 스프로킷(22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메인 스프로킷(222)에 감겨진 환형 링크 체인(226)이 레일(224)을 따라 역방향의 환형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환형 링크 체인(226) 간에 연결된 레이크부재(230)도 환형 링크 체인(226)과 함께 역방향의 환형 이동을 하게 되고, 이때 레이크부재(230)가 펜스식 저장부(300)내에 저장된 부유물을 걷어올리게 된다.
연이어, 상기 레이크 부재(230)에 제진기 본체(200)의 상단부까지 부유물을 걷어 올리며 이송된 후, 다시 수면쪽으로 이송하는 순간, 부유물이 육지 등의 특정 부유물 수집장소로 낙하되며 배출된다.
이와 같이, 댐이나 저수지 등에 부구(100)를 이용하여 떠다니면서 부유물이 존재하는 곳까지 용이하게 접근한 후, 제진기 본체(200)를 이용하여 각종 부유물을 걷어올려서 수거하는 동시에 펜스식 저장부(300)내에 댜량으로 일시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저장된 부유물을 육지 등의 일정 수집장소에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100 : 부구 102 : 중공형 파이프
200 : 제진기 본체 210 : 본체프레임
212 : 측면프레임 214 : 횡프레임
220 : 레이크부재 이송장치 222 : 메인 스프로킷
224 : 레일 226 : 환형 링크 체인
230 : 레이크부재 300 : 펜스식 저장부
302 : 가로방향 파이프 304 : 세로방향 파이프
306 : 힌지 310 : 제1가로방향 펜스
320 : 제2가로방향 펜스 330 : 제1세로방향 펜스
340 : 제2세로방향 펜스 400 : 제진기 본체 각회전 수단
410 : 실린더 본체 420 : 피스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수면 위에 부력에 의하여 뜰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 한 쌍의 부구(100)와, 상기 부구(100)에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면 위의 부유물을 걷어올리는 제진기 본체(200)와, 상기 부구(100)의 저부에 장착되어 부유물을 가두면서 저장하는 펜스식 저장부(300)와, 상기 제진기 본체(200)를 수면 위의 부유물을 걷어올려 펜스식 저장부(300)로 낙하시키는 정방향의 경사도로 조절하거나 펜스식 저장부(300)에 갇힌 부유물을 걷어올려 수집장소로 낙하시키는 역방향의 경사도로 조절하는 제진기 본체 각회전 수단(400)으로 된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 본체(200)는, 각 부구(100)의 내측면에 각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이 힌지 체결되는 측면프레임(212)과, 양 측면프레임(212)의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횡프레임(214)으로 구성되는 본체프레임(210)과;
    양 측면프레임(2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스프로킷(222)과, 양 측면프레임(212)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걸쳐 환형으로 설치되는 레일(224)과, 레일(224)을 따라 환형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메인 스프로킷(222)에 감아져서 메인 스프로킷(222)의 회전시 레일(224)을 따라 이동하는 환형 링크 체인(226)으로 구성되는 레이크부재 이송장치(220)와;
    상기 환형 링크 체인(226) 간에 좌우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환형 링크 체인(226)과 함께 환형으로 순환 이동하면서 수면위의 부유물을 걷어올리는 레이크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
KR1020140071717A 2014-06-12 2014-06-12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 KR10164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717A KR101649169B1 (ko) 2014-06-12 2014-06-12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717A KR101649169B1 (ko) 2014-06-12 2014-06-12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960A KR20150142960A (ko) 2015-12-23
KR101649169B1 true KR101649169B1 (ko) 2016-08-18

Family

ID=5508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717A KR101649169B1 (ko) 2014-06-12 2014-06-12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1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647A (ja) 2000-03-31 2001-10-10 Marsima Aqua System Corp 除塵装置
KR100911346B1 (ko) 2008-12-24 2009-08-07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이동식 제진기
KR101230340B1 (ko) * 2012-11-09 2013-02-07 주식회사 아이엔텍 탈부착 스크린을 갖는 협잡물 종합 처리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267B1 (ko) 2004-01-03 2006-03-10 한국해양연구원 발전소 취수구 유입 해양생물 제거시스템 및 제거방법
KR101182753B1 (ko) * 2009-11-02 2012-09-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부유식 고속스크린 장치
KR101031814B1 (ko) 2010-08-30 2011-04-29 (주) 대유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647A (ja) 2000-03-31 2001-10-10 Marsima Aqua System Corp 除塵装置
KR100911346B1 (ko) 2008-12-24 2009-08-07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이동식 제진기
KR101230340B1 (ko) * 2012-11-09 2013-02-07 주식회사 아이엔텍 탈부착 스크린을 갖는 협잡물 종합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960A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066686U (zh) 靠岸垃圾打捞装置
CN107719593A (zh) 一种具备浮动式打捞运输结构的水面垃圾清扫船
KR101055921B1 (ko) 부유물 수거선
KR20170045852A (ko) 수초 제거용 보트
CN105539745B (zh) 一种海洋环保工程服务船
CN111196338B (zh) 一种移动式海洋微塑料回收装置
KR102080550B1 (ko) 조류수거용 선박
FR3000936A1 (fr) Navire recuperateur de dechets oceaniques
KR20200136232A (ko) 수상 쓰레기 청소장치
KR20170041394A (ko) 염전구역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비트를 이용한 소금 자동 채염장치
KR100488391B1 (ko) 수륙양용 해양오염 방제장치
CN109572947B (zh) 一种海漂垃圾收集船
CN210975774U (zh) 一种河道用水生态修复系统
KR101551646B1 (ko) 해양부유물쓰레기 수거용 처리장치
CN114108586B (zh) 一种自动巡航式智能漂浮垃圾收集器及收集方法
CN205975543U (zh) 水上轻质漂浮物收集装置
KR101649169B1 (ko)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
CN210712795U (zh) 浮动式水面漂浮物清理装置
CN113565072A (zh) 一种水库专用漂浮物拦截清理装置
GB2554415A (en) Contaminant recovery apparatus
CN105052382A (zh) 一种用于水草收割船的水草运输装置
KR20010090045A (ko) 하천쓰레기등 부유물제거를 위한 친환경-무동력자동스크린 시스템
CN106996124A (zh) 智能水下清淤装置
CN106592551A (zh) 水利水闸处水体漂浮物自动清理方法
CN214089785U (zh) 一种环境保护沟渠杂物阻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