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814B1 -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 Google Patents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814B1
KR101031814B1 KR1020100084280A KR20100084280A KR101031814B1 KR 101031814 B1 KR101031814 B1 KR 101031814B1 KR 1020100084280 A KR1020100084280 A KR 1020100084280A KR 20100084280 A KR20100084280 A KR 20100084280A KR 101031814 B1 KR101031814 B1 KR 101031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ke
plate
mai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형
Original Assignee
(주) 대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유 filed Critical (주) 대유
Priority to KR1020100084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33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individual filtering elements moving along a clos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배수장이나 농수로 또는 저수지나 하천 등의 물 유입지역의 수로에 설치하여 수면이나 수중에 쌓인 쓰레기 등의 오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골격을 형성하면서 전단부는 수면 근처 또는 수면 아래의 고정된 부분에 지지되고 후단부는 지면 또는 지면상의 고정구조물에 지지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전후로 순환 이동되면서 수면 또는 수중의 오물을 걷어올리게 되는 레이크부재와; 상기 레이크부재를 본체프레임을 따라 전후로 순환 이동시키는 레이크 이동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이크부재가 레이크 이동장치부에 의해 본체프레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전후 순환 이동되면서 오물제거를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Chain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used in pumping station and the waterway}
본 발명은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회전체인식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배수장이나 농수로 또는 저수지나 하천 등의 수면이나 수중에 쌓여 있는 오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배수장이나 농수로 또는 저수지 등은 농업용 수리시설로서, 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관개용수 공급이나 홍수로 인한 재해 방지 및 가뭄에 대한 용수 공급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농업용 수리시설은 많이 노후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최초 축조시에 자연재해로부터의 피해 방지, 농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수질이나 친환경적인 면을 고려하지 않고 축조된 관계로, 장마철에는 홍수 등으로 인해 비닐봉지, 플라스틱 용기, 병, 캔, 종이, 나무, 폐자재 등 각종 쓰레기나 오물이 상류로부터 떠밀려 내려와 양·배수장이나 농수로에 다량으로 쌓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양·배수장이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못하거나 농수로가 막히는 일이 발생하고 있고, 또한 물이 오염되어 자연생태계의 환경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농업용 관개용수와 관련된 양·배수장이나 농수로 또는 저수지의 물 유입지역 등에는 다량의 슬러지 및 쓰레기 등의 오물이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나 유입된 오물을 적절하게 제거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매년 여름철의 우기 및 홍수시에는 각종 쓰레기 등의 오물이 농수로에 흐르는 물을 차단하게 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쓰레기 등의 오물이 양·배수장이나 농수로 등에 쌓이게 되면 인력을 투입하여 수작업으로 쓰레기 등의 오물을 제거해야 하지만 워낙 많은 오물이 쌓이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모두 인력으로 제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양·배수장이나 농수로에 각종 오물이 쌓일 때마다 인력을 투입하여 제거하는 작업은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해야 하는 작업이므로 능률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물을 제거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수질오염이 가속화되고 있고, 오물 등의 부패로 인한 악취로 인해 대기환경이 오염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어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양·배수장이나 농수로 또는 저수지나 하천 등의 수로에 설치하여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도 수로의 수면이나 수중에 쌓인 쓰레기 등의 오물을 용이하게 걷어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골격을 형성하면서 전단부는 수면 근처 또는 수면 아래의 고정된 부분에 지지되고 후단부는 지면 또는 지면 상의 고정구조물에 지지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전후로 순환 이동되면서 수면 또는 수중의 오물을 걷어올리게 되는 레이크부재와; 상기 레이크부재를 본체프레임을 따라 전후로 순환 이동시키는 레이크 이동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레이크부재가 레이크 이동장치부에 의해 본체프레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전후 순환 이동되면서 오물을 제거를 하도록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양 측면부를 따라 설치되고 레이크부재를 이동시키는 레이크 이동장치부가 구성되며, 전, 후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된 부분과 상기 지면 또는 지면 상의 고정구조물에 지지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양 측면프레임의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횡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의 상측으로 고정 설치되어 양 측면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측부는 횡프레임을 덮고 있는 판형상의 구조물인 덮개판으로 형성되고, 상부프레임의 전측부는 전후로 길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격판이 횡프레임 상측에 나란히 배열 고정되어 이루어진 격판구조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이크 이동장치부는 양 측면프레임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로킷 축을 매개로 일체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과; 상기 양 측면프레임에 전단부와 후단부에 걸쳐 환형으로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양 측면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환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후단부의 메인 스프로킷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레이크부재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메인 스프로킷의 회전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레이크부재를 순환 이동시키는 환형 링크 체인과; 상기 메인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환형 링크 체인은 다수개의 링크부재가 환형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되, 상기 링크부재 간의 각 연결부인 힌지연결부에는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롤러가 측면프레임을 따라 설치된 레일을 구름 이동하면서 환형 링크 체인이 측면프레임에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크 이동장치부는 상기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을 각 측면프레임에서 전후로 위치 조정하여 환형 링크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양 측면프레임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을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스프로킷 축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전후 위치 조절되는 슬롯과; 상기 스프로킷 축의 양단부에 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어 각 측면프레임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축지지부재와; 상기 각 측면프레임의 후단부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프레임과; 헤드부가 상기 축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가 상기 체결프레임에 설치된 너트부재에 관통 체결되는 장력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절볼트의 회전 조작으로 상기 축지지부재가 스프로킷 축과 일체로 전후 이동되면서 메인 스프로킷의 전후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 측면프레임에는 상기 슬롯의 상측과 하측 위치에 전후로 길게 안내판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축지지부재가 상측 안내판과 하측 안내판에 사이에서 전후 길게 형성된 요홈과 돌출부를 매개로 각 안내판에 결합된 상태로 전후 이동 안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을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스프로킷 축에는 상부프레임의 덮개판이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덮개판은, 상부프레임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판과, 상기 스프로킷 축을 아래로 감싸는 구조의 이동형 덮개판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상기 이동형 덮개판이 상면판과의 겹침상태에서 전후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형 덮개판은 전후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면판과의 겹침상태에서 전후로 길게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홀 및 이에 체결되는 볼트너트에 의해 상면판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형 덮개판과 상면판이 상기 볼트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면판과 이동형 덮개판의 연결부분을 양 측면 위치에서 별도 체결하는 체결수단이 추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면판과 이동형 덮개판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이동형 덮개판의 체결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몸체가 상면판의 체결부에 나사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단부에는 수면 아래의 고정된 부분에 접지되는 접지프레임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접지프레임은 본체프레임의 전단부에서 연장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회전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접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부와 고정부의 베이스판에는 겹침상태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중간부분의 볼트체결홀을 중심으로 좌우에 전후로 길게 슬롯 형상의 볼트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는 볼트너트에 의해 고정부의 베이스판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크부재는 하측으로 상하 길게 갈퀴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레이크가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상부프레임 전측부에 전후로 길게 배치된 격판구조물의 격판에 결합되어 안내되는 요철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배수장이나 농수로 또는 저수지나 하천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수로에 쌓여 있는 쓰레기 등의 오물을 용이하게 적기에 걷어내어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수면이나 수중에 쌓여 있는 오물에 의한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물 등의 부패로 인한 악취로 인한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진기의 설치시 양 측면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된 접지프레임에 의하여 제진기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소정 위치에 제진기를 일정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진기의 상면판에 겹침상태로 체결된 이동형 덮개판을 환형 링크 체인의 장력조절과 함께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제진기의 장기간 사용시에도 덮개판이 스프로켓 축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제진기의 수명을 향상시킬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에서 본체프레임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장력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의 종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에서 이동형 덮개판의 위치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양·배수장의 수로나 농수로 또는 농업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저수지나 하천의 물 유입지역 등의 수로에 설치하여 수면이나 수중에 쌓여 있는 쓰레기 등의 오물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보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회전식 제진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회전식 제진기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회전식 제진기에서 본체프레임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장력조정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회전식 제진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회전식 제진기에서 이동형 덮개판의 위치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에서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전후로 순환 이동되는 오물제거용 레이크부재(200)와, 상기 레이크부재(200)를 본체프레임(100)을 따라 전후로 순환 이동시키는 레이크 이동장치부(30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작업시 설치된 상태에서 전측부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0056115744-pat00001
"의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작업시 본체프레임(100)의 전단부(보다 명확히는 후술하는 양 측면프레임의 전단부에 설치된 접지프레임이 됨)는 수면 근처 또는 수면 아래의 고정된 부분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부분이고, 본체프레임(100)의 후단부(양 측면프레임의 후단부가 됨)는 양·배수장 또는 농수로 후방의 지면 또는 지면 상의 고정구조물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체프레임(100)은 대략 "
Figure 112011007376379-pat00002
"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 측면부를 따라 고정 설치되고 레이크 이동장치부(300)가 구성되는 측면프레임(110)과, 상기 양 측면프레임(110)의 사이를 각각 횡방향으로 연결하되 전후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횡프레임(120)과, 상기 횡프레임(120)의 상측으로 고정 설치되어 양 측면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양 측면프레임(110)은 "
Figure 112011007376379-pat00003
"의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면서 양 측면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판형상의 프레임이며, 이러한 양 측면프레임(110)의 사이에는 좌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프레임(120)이 길게 연결된다.
상기 횡프레임(120)은 양 측면프레임(110)의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H-형강 등이 될 수 있으며, 횡프레임(120)의 상측에는 상부프레임(130)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에, 양 측면프레임(110)의 사이에 상부프레임(130)이 위치되는 구조로 측면프레임(110), 횡프레임(120), 상부프레임(130) 전체가 일체화되어 본체프레임(100)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프레임(130)의 후측부는 횡프레임(120)을 덮고 있는 판형상의 구조물인 덮개판(131)으로 형성되고, 상부프레임(130)의 전측부는 전후로 길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격판(136)이 횡프레임(120) 상측에 나란하게 배열 고정되어 이루어진 격판구조물(135)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격판(136)은 횡배치되는 연결봉(137)에 의해 결합되어 그 전체가 일체의 구조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부프레임(130)의 전측부가 물이 통과할 수 있게 다수의 격판(136)이 이격 배치된 격판구조물(135)로 구성됨으로써, 레이크부재(200)가 상부프레임(130) 위로 이동하면서 오물을 걷어올리게 될 때 격판(136) 사이의 공간으로 물 빠짐이 용이해질 수 있고, 또한 작업을 위한 최초 장치 세팅시에도 격판구조물(135)이 수면 아래로 용이하게 잠길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즉, 오물을 걷어올리기 위해 본체프레임(100)의 전측부, 특히 격판구조물(135)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130)의 전측부를 물속으로 잠기게 할 때, 물이 격판(136)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방으로 통과하게 되면서 본체프레임(100)의 전측부가 보다 용이하게 물에 잠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레이크부재(200)가 오물을 걷어올리기 위해 물이 있는 방향, 즉 수면을 향해 전진하게 될 때,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격판(136) 사이의 공간으로는 후술하는 레이크부재(200)의 요철부(202) 중 철부가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며, 이에 격판구조물(135)은 레이크부재(200)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레이크부재(200)는 레이크 이동장치부(300)에 의해 본체프레임(100)에서 상측과 하측의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환형의 순환 경로를 따라 전후로 순환 이동되는 구성으로서, 양단부가 레이크 이동장치부(300)에 결합된 상태로 이 레이크 이동장치부(300)에 의해 본체프레임(100)에서 전후로 순환 이동되면서 오물제거를 하게 된다.
상기 레이크부재(200)는 본체프레임(100)의 전후 길이방향에 대해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오물을 걷어낼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갈퀴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오물제거용 레이크(201)가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레이크부재(200)에서 등간격 형성된 다수개의 레이크(201)는 하측으로 빗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이크부재(200)의 레이크(201)가 수면 또는 수중의 오물을 걷어올림과 동시에 수면 위로 들어 올려질 때 레이크(201)와 레이크(201) 사이의 공간을 통해 물이 배수될 수 있고, 또한 오물이 수면으로부터 들려 올려질 때 오물의 일부가 레이크(201)와 레이크(201) 사이의 공간에 끼워진 상태로 들려 올려지므로 오물 전체가 보다 확실히 걷어 올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레이크부재(200)의 상측으로는 요철이 반복되는 구조의 요철부(2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이크부재(200)의 이동시 요철부(202) 중 철부가 상부프레임(130)의 전측부에 설치된 격판(136) 사이로 넣어져 이동하게 되며, 이때 격판(136)이 요철부(202) 중 요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이크부재(200)의 철부가 격판(136) 사이의 공간을 통해 안내되게 되며, 상기 레이크부재(200)에는 횡방향의 보강판(205)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이크부재(200)의 양단부는 본체프레임(100)의 양단부에서 측면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 이동장치부(300)의 환형 링크 체인(320)의 일측에 고정되는데, 환형 링크 체인(320)은 측면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상,하측의 이동경로를 따라 환형으로 순환 이동되면서 레이크부재(200)를 본체프레임(100)의 전후방향으로 순환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크부재(200)는 본체프레임(100)의 상부프레임(130) 아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다가 상부프레임(130) 위에서 다시 후방으로 복귀하는 경로를 반복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레이크부재(200)는 상부프레임(130) 하측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전방 이동하여 상부프레임(130) 전단 위치까지 도달한 뒤 상부프레임(130)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부프레임(130)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 상부프레임(130)의 상측에서 위로 경사지게 후방 이동하게 된다.
또한, 레이크부재(200)는 상부프레임(130)의 후단 위치까지 도달한 뒤 상부프레임(130)의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부프레임(130)의 하측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상부프레임(130)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경로를 반복하여 본체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전후 순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요컨대, 레이크부재(200)는 상부프레임(130)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이동한 뒤 상부프레임(130)의 전단부에서 회전과 동시에 상부프레임(130)의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부프레임(130)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이동한 뒤 상부프레임(130)의 후단부에서 다시 회전과 동시에 상부프레임(130)의 하측으로 이동한 다음, 상부프레임(130)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하는 바, 상부프레임(130)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상부프레임(130)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되돌아 오는 방식으로 순환 이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레이크부재(200)의 순환 이동에 있어서, 레이크부재(200)의 레이크(201)는 상부프레임(130)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이동할 때와 상측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하가 서로 바뀐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상부프레임(130)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때 갈퀴 형상의 레이크(201) 끝부분이 하방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에서 이동하고, 상부프레임(130)의 전단부에서 방향 전환될 때 레이크(201)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부프레임(130)의 상측으로 이동하며, 이어 방향 전환이 완료된 뒤 상부프레임(130)의 상측에서 레이크(201)는 상방을 향하도록 거꾸로 세워진 상태로 후방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레이크부재(200)는 상부프레임(130)의 하측에서 경사지게 아래로 내려온 뒤 상부프레임(130)의 전단 위치에서 상방으로 회전할 때 수면 또는 수중의 오물을 걷어 올리게 되고, 이후 상부프레임(130)의 상측에서 다시 후방으로 되돌아 올 때 오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레이크부재(200)와 함께 후방으로 이송된 오물은 본체프레임(100)의 후단부에서 분리되어 배출되게 된다. 이때, 배출되는 오물은 별도의 컨베이어에 의해 소정 장소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레이크부재(200)는 본체프레임(100)에서 전후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전체 레이크부재(200)가 각 위치에서 환형 링크 체인(320)에 고정된 상태로 환형 링크 체인의 이동에 의해 동시에 전후 순환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레이크부재(200)를 전후로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레이크 이동장치부(300)는 양 측면프레임(110)에서 전후로 순환 이동되는 환형 링크 체인(320)과, 상기 환형 링크 체인(320)을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환형 링크 체인(320)을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에 대해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양 측면프레임(110)을 따라 순환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환형 링크 체인(320)은 양 측면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전단부와 후단부에 걸쳐 환형으로 설치되는 레일(118)과,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 스프로킷(310)에 의해 지지 및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환형 링크 체인(320)은 양 측면프레임(110)에 설치된 레일(118)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단부의 메인 스프로킷(310)에 의해 지지되도록 환형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 스프로킷(310)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 형태로 레일(118)을 따라 순환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환형 링크 체인(320)이 양 측면프레임(110)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순환 이동되면서, 양 측면프레임(110)의 환형 링크 체인(320) 사이에 좌우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레이크부재(200)가 본체프레임(100), 즉 상부프레임(130) 및 측면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순환 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환형 링크 체인(320)은 다수개의 링크부재(321)가 환형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전동모터(330)에 연결된 체인(333)의 동력전달에 의해 측면프레임(110)에 구비된 레일(118)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118)은 양 측면프레임(110)의 각 내측면에 환형 링크 체인(320)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환형 링크 체인(320)이 레일(118) 내측으로 결합된 상태로 레일(118)을 따라 안내되어 순환 이동하게 된다.
이때, 환형 링크 체인(320)이 레일(118)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환형 링크 체인(320)에서 링크부재(321) 간의 각 연결부인 힌지연결부에는 레일(118)의 내측면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롤러(322)가 설치되며, 회전하는 메인 스프로킷(310)이 롤러(322)를 밀어주어 환형 링크 체인(320)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환형 링크 체인(320)은 롤러(322)가 레일(118)의 내측면을 따라 구름 이동하게 되면서 레일(118)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이크부재(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환형 링크 체인(320) 및 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322), 상기 롤러(322)가 이동하는 레일(118) 등을 구비하여 레일 이동식의 체인을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되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양 측면프레임(110)의 후단부 위치에는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3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비된다.
또한, 양 측면프레임(110)의 메인 스프로킷(310) 좌우 한 쌍 간에는 좌우 횡방향 배치되는 스프로킷 축(311)이 일체로 연결되며, 이에 메인 스프로킷(310)이 스프로킷 축(311)을 매개로 하여 회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양 측면프레임(110)의 메인 스프로킷(31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모터(330)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모터(330)의 회전력을 스프로킷 축(311)에 의해 연결된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310) 중 하나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전동모터(330)의 구동축 상에 장착된 구동 스프로킷(331)과, 측면프레임(110)의 외측면에서 메인 스프로킷(310)에 일체 회전되도록 조립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332)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331)과 종동 스프로킷(332)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체인(3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동모터(330)의 회전력이 체인장치를 통해 전달되어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310)이 회전되면, 레일(118)에 삽입된 환형 링크 체인(320)이 롤러(322)의 구름에 의해 양 측면프레임(110)에서 이동하게 되어, 레이크부재(200)가 상부프레임(130) 및 측면프레임(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프레임(10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환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체인회전식 제진기(1)는 메인 스프로킷(31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환형 링크 체인(3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140)을 더 포함하며, 이는 메인 스프로킷(310)의 전후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환형 링크 체인(320)의 장력을 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스프로킷(310)의 위치를 전후로 조정하기 위해 좌우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310)을 연결하고 있는 스프로킷 축(311)의 위치를 전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310)이 스프로킷 축(31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 스프로킷 축(311)의 양단부가 측면프레임(110)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슬롯(111)에 삽입된 상태로 전후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스프로킷 축(311)의 각 단부에는 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축지지부재(112)가 결합되고, 양 측면프레임(110)의 후단부 외측면에서 상기 슬롯(111)의 상측과 하측 위치에는 전후로 길게 배치되는 안내판(113a,113b)이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측과 하측의 안내판(113a,113b) 사이에 축지지부재(112)가 전후로 안내되도록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측 안내판(113a)과 하측 안내판(113b) 사이에 결합되는 축지지부재(112)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전후로 길게 요홈(114a)이 형성되고, 축지지부재(112)의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접하는 상측 안내판(113a)과 하측 안내판(113b)의 대응면에는 축지지부재(112)의 요홈(114a)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114b)가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측 안내판(113a) 및 하측 안내판(113b)의 돌출부(114b)가 축지지부재(112)의 요홈(114a)에 삽입된 상태로, 전후 일체로 움직이게 되는 축지지부재(112) 및 스프로킷 축(311)이 상측 및 하측 안내판(113a,113b)과 슬롯(111)을 따라 전후로 위치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 측면프레임(110)의 후단부 끝단에는 종부재(115a)와 횡부재(115b)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체결프레임(115)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체결프레임(115)의 종부재(115a)에는 너트부재(116)를 매개로 하여 장력조절볼트(117)가 관통 체결된다.
상기 장력조절볼트(117)는 헤드부가 축지지부재(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몸체가 체결프레임(115)의 종부재(115a)에 설치된 너트부재(116)를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볼트로서, 장력조절볼트(117)의 몸체 단부에는 각형(예컨대, 사각 또는 육각) 단면의 끼움부(117a)가 형성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축지지부재(112), 상측 및 하측 안내판(113a,113b), 체결프레임(115), 너트부재(116), 장력조절볼트(1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력조절수단(140)은 좌우 양측의 측면프레임(110) 후단부에 각각 구성되며, 양 측면프레임(110)의 장력조절수단(140)을 동시에 조작하여 스프로킷 축(311)의 전후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환형 링크 체인(32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즉, 공구를 장력조절볼트(117)의 끼움부(117a)에 끼운 뒤 장력조절볼트(117)를 회전시키면, 체결프레임(115)에 나사체결된 장력조절볼트(117)가 전후로 이동되면서 축지지부재(112)의 전후 위치가 조정되고, 이에 축지지부재(112)에 결합된 스프로킷 축(311)의 전후 위치가 조정되면서 메인 스프로킷(310)의 전후 위치가 조정되며, 이렇게 메인 스프로킷(310)의 전후 위치가 조정될 경우 환형 링크 체인(32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30)에서 판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후단부, 즉 덮개판(131)의 후단부는 좌우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310)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스프로킷 축(311)을 위에서 아래로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수단(140)에 의해 스프로킷 축(311)이 전후로 위치 조정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덮개판(131)은 횡프레임(120) 상측으로 배치되어 상부프레임(130)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판(132)과, 상기 스프로킷 축(311)을 아래로 감싸는 구조로 배치되는 이동형 덮개판(133)으로 분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형 덮개판(133)은 상면판(132)의 후단부에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으며, 상면판(132)의 후단부와 이동형 덮개판(133)의 일부를 겹친 상태에서 양측 덮개판(131)의 체결홀(133a)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 뒤 체결홀(133a)에 볼트(134)를 삽입하고 이어 너트(134a)를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양측 덮개판(131)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이동형 덮개판(133)의 체결홀(133a)은 전후로 길게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홀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판(132)의 체결홀은 다수개의 원형 홀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바, 이는 스프로킷 축(311)의 위치에 따라 이동형 덮개판(133)의 위치를 전후로 조정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면판(132)의 원형 홀과 이동형 덮개판(133)의 슬롯홀(133a)에 볼트(134)를 동시 삽입한 상태에서 스프로킷 축(311)의 전후 위치에 따라 스프로킷 축(311)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이동형 덮개판(133)의 위치를 전후로 적절히 조절한 뒤 볼트(134)에 너트(134a)를 체결하여 이동형 덮개판(13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슬롯홀 구조의 체결홀(133a)이 형성됨으로써 원형 홀 구조의 체결홀을 갖는 상면판(132)에서 이동형 덮개판(133)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한 뒤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형 덮개판(133)이 상면판(132)에서 슬롯홀 구조의 체결홀(133a)로 인해 슬립상태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형 덮개판(133)이 상면판(132)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체결수단(138)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면판(132)과 이동형 덮개판(133)이 볼트(134)로 체결된 상태에서 이동형 덮개판(133)이 움직이지 않게 완전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별도의 체결수단(138)은 상면판(132)과 이동형 덮개판(133)의 연결부분 양 측면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면판(132)과 이동형 덮개판(133)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체결부(139a,139b)와, 이동형 덮개판(133)의 체결부(139a)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몸체가 상면판(132)의 체결부(139b)에 나사체결되어 회전 조작시 위치 고정된 상면판(132)의 체결부(139b)에 대하여 이동형 덮개판(133)과 일체 전후 이동되는 볼트(141)를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볼트(141)의 타단부에 형성된 각형(예컨대, 사각 또는 육각) 단면의 끼움부(142)를 공구에 결합하여 공구를 통해 볼트를 회전시키면, 볼트(141)가 위치 고정된 상면판(132)의 체결부(139b)에서 전후 이동되면서 이동형 덮개판(133)이 볼트(141)와 함께 일체로 전후 이동되고, 이후 볼트(141)와 함께 이동형 덮개판(133)의 위치가 상면판(132)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볼트(141)를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는 한 이동형 덮개판(133)이 상면판(132)에서 전후로 움직일 수 없게 되므로 양측의 판을 움직이지 않게 볼트(141)가 잡아주게 되며, 이어 상면판(132)과 이동형 덮개판(133)을 겹침상태로 관통 체결하는 볼트(134)를 체결하게 되면 양측의 판이 완전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138)은 두 개의 판을 겹침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상호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됨이 없이 다양한 형태가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력조절수단(140) 및 이동형 덮개판(133) 구조가 설치되는 경우에 환형 링크 체인(320)의 늘어짐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해지며, 이로써 장기간 사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본체프레임(100)의 전단부, 보다 명확하게는 양 측면프레임(110)의 전단부에는 수면 아래나 수면 주변의 고정된 부위에 접지되는 부분으로서 접지프레임(150)이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접지프레임(150)은 측면프레임(110)의 전단부에서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151)와, 상기 고정부(151)에서 회전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접지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51)는 측면프레임(110)의 전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베이스판(152)과, 상기 베이스판(152) 내측면에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세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종판(1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52)과 여기에 세워져 설치되는 종판(153) 간에는 후측 일부를 용접하여 고정하나, 전측에는 종판(153)의 측단이 절개된 구조로 형성되어 절개된 부분에 의해 베이스판(152)과 종판(153)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접지부(155)는 "ㄴ"자의 판상 구조로 제작되어 내측면에는 보강판(156)이 고정 설치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측이 고정부(151)의 베이스판(152)과 종판(153)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삽입되어서 체결된다.
이때, 접지부(155)와 고정부(151)의 베이스판(152)은 겹침상태에서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양측의 볼트체결홀에 볼트를 삽입한 뒤 너트를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양측을 고정하게 되며, 특히 접지부(155)와 고정부(151)의 베이스판(152)의 하단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중간부분의 볼트체결홀(159a)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에 전후로 길게 슬롯 형상의 볼트체결홀(158)이 형성된다.
즉, 접지부(155)와 고정부(151)의 베이스판(152)의 하단 중간부분에 형성된 볼트체결홀은 원형홀로 형성하고, 접지부(155)와 고정부(151)의 베이스판(152)의 하단 좌우에 형성된 볼트체결홀(158)은 전후로 길게 형성된 슬롯홀로 형성하여, 양측의 볼트체결홀이 일치되는 상태에서 볼트(159)가 삽입된 뒤 볼트(159)가 중간부분의 볼트체결홀(159a)을 중심으로 슬롯홀에서 위치 조정됨과 동시에 접지부(155)가 고정부(151)의 베이스판(152)에 대해 중간부분의 볼트체결홀(159a)를 중심으로 하여 이동되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부위에 접지되는 접지프레임(150)을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체인회전식 제진기(1)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안정적으로 정확히 지면에 접지시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진기의 설치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오물을 제거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치하는 정위치에서, 본체프레임(100)(양 측면프레임)의 후단부는 양·배수장 또는 농수로 등의 지면상의 고정구조물에 지지시켜 고정하고, 본체프레임(100)의 전단부는 접지프레임(150)의 접지부(155)에 의해 설치 각도를 조정하여 수면 근처 또는 수면 아래의 고정구조물에 지지시켜 세팅한다.
이와 같이, 설치 정위치에 본 발명의 장치를 세팅하고 나면, 전동모터(330)를 구동하여 메인 스프로킷(310)을 회전 구동시키고, 이에 환형 링크 체인(320)이 메인 스프로킷(310)과 피동측 메인 스프로킷(310)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환형 링크 체인(320)의 이동이 시작되면 레이크부재(200)가 상부프레임(130)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수면 또는 수중에 도달하게 되며, 본체프레임(100)의 전단부에서 레이크부재(200)가 회전과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하는 순간 수면 또는 수중의 오물이 레이크(201)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레이크(201)에 오물이 걸린 상태에서 레이크부재(200)가 환형 링크 체인(320)의 이동으로 상부프레임(130)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복귀하게 되며, 이때 레이크(201)에 의해 수면 또는 수중으로부터 걷어 올려진 오물은 후방으로 이동되어 분리되게 되며, 분리된 오물은 별도 설치된 컨베이어에 의해 소정 장소로 이송되게 된다.
오물이 분리된 레이크부재(200)는 다시 본체프레임(100)의 후단부에서 회전과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한 뒤 상부프레임(130)의 하측에서 다시 수면을 향해 전진하게 되며, 이어 수면 또는 수중에 도달한 레이크부재(200)가 다시 수면 또는 수중의 오물을 걷어올린 뒤 후방으로 복귀하게 되는 바, 레이크부재(200)가 전후로 순환 이동하면서 오물을 걷어올리고 이동시키는 과정을 자동으로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체인회전식 제진기를 이용하게 되면 오물 제거 작업을 인력 없이 보다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적기에 실시할 수 있게 된다.
1 : 체인회전식 제진기 100 : 본체프레임
110 : 측면프레임 120 : 횡프레임
130 : 상부프레임 140 : 장력조절수단
150 : 접지프레임 200 : 레이크부재
300 : 레이크 이동장치부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전체적으로 골격을 형성하면서 전단부는 수면 근처 또는 수면 아래의 고정된 부분에 지지되고 후단부는 지면 또는 지면상의 고정구조물에 지지됨과 함께 양 측면부를 따라 레이크부재(200)를 이동시키는 레이크 이동장치부(300)가 설치되며, 전,후단부가 각각 고정된 지면 또는 지면상의 고정구조물에 지지되는 측면프레임(110)과, 상기 양 측면프레임(110)의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횡프레임(120)과, 상기 횡프레임(120)의 상측으로 고정 설치되어 양 측면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30)으로 된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에서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전후로 순환 이동되면서 수면 또는 수중의 오물을 걷어올리는 레이크부재(200)와; 상기 레이크부재(200)를 본체프레임(100)을 따라 전후로 순환 이동시키는 레이크 이동장치부(30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레이크 이동장치부(300)는, 양 측면프레임(11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로킷 축(311)을 매개로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310)과, 상기 양 측면프레임(110)에 전단부와 후단부에 걸쳐 환형으로 설치되는 레일(118)과, 상기 양 측면프레임(110)의 레일(118)을 따라 환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후단부의 메인 스프로킷(310)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레이크부재(200)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메인 스프로킷(310)의 회전시 레일(118)을 따라 이동되면서 레이크부재(200)를 순환 이동시키는 환형 링크 체인(320)과, 상기 메인 스프로킷(31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모터(330)로 구성되어, 상기 레이크부재(200)가 레이크 이동장치부(300)에 의해 본체프레임(100)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전후 순환 이동되면서 오물을 제거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 이동장치부(300)는, 상기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310)을 각 측면프레임(110)에서 전후로 위치 조정하여 환형 링크 체인(3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절수단(140)은, 양 측면프레임(110)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310)을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스프로킷 축(311)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전후 위치 조절되는 슬롯(111)과; 상기 스프로킷 축(311)의 양단부에 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어 각 측면프레임(110)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축지지부재(112)와; 상기 양 측면프레임(110)의 후단부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프레임(115)과; 헤드부가 상기 축지지부재(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가 상기 체결프레임(115)에 설치된 너트부재(116)에 관통 체결되는 장력조절볼트(11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절볼트(117)의 회전 조작으로 상기 축지지부재(112)가 스프로킷 축과 일체로 전후 이동되면서 메인 스프로킷(310)의 전후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프레임(110)에는 상기 슬롯(111)의 상측과 하측 위치에 전후로 길게 안내판(113a,113b)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축지지부재(112)가 상측 안내판(113a)과 하측 안내판(113b)에 사이에서 전후 길게 형성된 요홈(114a)과 돌출부(114b)를 매개로 각 안내판(113a,113b)에 결합된 상태로 전후 이동 안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메인 스프로킷(310)을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스프로킷 축(311)에는 상부프레임(130)의 덮개판(131)이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30)의 덮개판(131)은 상부프레임(130)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판(132)과, 상기 스프로킷 축(311)을 아래로 감싸는 구조의 이동형 덮개판(133)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상기 이동형 덮개판(133)이 상면판(132)과의 겹침상태에서 전후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덮개판(133)은 전후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면판(132)과의 겹침상태에서 전후로 길게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홀(133a) 및 이에 체결되는 볼트 너트에 의해 상면판(132)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덮개판(133)과 상면판(132)이 볼트(134)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면판(132)과 이동형 덮개판(133)의 연결부분을 양 측면 위치에서 별도 체결하는 체결수단(138)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수단(138)은, 상면판(132)과 이동형 덮개판(133)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체결부(139a,139b)와 상기 이동형 덮개판(133)의 체결부(139a)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몸체가 상면판(132)의 체결부(139b)에 나사체결되는 볼트(1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단부에는 수면 아래의 고정된 부분에 접지되는 접지프레임(150)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접지프레임(150)은 본체프레임(100)의 전단부에서 연장 설치되는 고정부(151)와, 상기 고정부(151)에서 회전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접지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155)와 고정부(151)의 베이스판(152)에는 겹침상태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트체결공(159a)을 중심으로 좌우에 전후로 길게 슬롯 형상의 볼트제결홀(158)이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155)는 볼트너트에 의해 고정부(151)의 베이스판(152)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부재(200)는 하측으로 상하 길게 갈퀴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레이크(201)가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상부프레임(130) 전측부에 전후로 길게 배치된 격판구조물(135)의 격판(136)에 결합되어 안내되는 요철부(20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KR1020100084280A 2010-08-30 2010-08-30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KR101031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280A KR101031814B1 (ko) 2010-08-30 2010-08-30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280A KR101031814B1 (ko) 2010-08-30 2010-08-30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814B1 true KR101031814B1 (ko) 2011-04-29

Family

ID=4405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280A KR101031814B1 (ko) 2010-08-30 2010-08-30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8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960A (ko) 2014-06-12 2015-12-23 (주) 대유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
KR20160002789U (ko) 2016-07-30 2016-08-10 (주) 대유 양ㆍ배수장의 길이가 긴 부유물을 커팅하는 커팅수단이 구비된 제진기
KR101962338B1 (ko) 2018-09-10 2019-03-26 (주)현대워터텍 로터리 제진기
KR102040829B1 (ko) 2018-06-28 2019-11-05 (주)현대워터텍 자동 개폐 및 회전 상승 가능한 전위 스크린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WO2021259708A1 (de) * 2020-06-22 2021-12-30 Huber Se Sieb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zugspannung an einer siebvorrichtung
CN117361812A (zh) * 2023-12-07 2024-01-09 广州市水之道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低负荷养殖池塘尾水循环利用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765A (ko) * 2001-06-05 2002-12-12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로터리식 제진기
KR200335743Y1 (ko) * 2003-09-19 2003-12-11 주식회사 타 셋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200371586Y1 (ko) * 2004-09-20 2005-01-14 유한회사 금전기업사 제진기의 전위 스크린
JP2006097428A (ja) * 2004-09-30 2006-04-13 ▲吉▼田工機株式会社 除塵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765A (ko) * 2001-06-05 2002-12-12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로터리식 제진기
KR200335743Y1 (ko) * 2003-09-19 2003-12-11 주식회사 타 셋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200371586Y1 (ko) * 2004-09-20 2005-01-14 유한회사 금전기업사 제진기의 전위 스크린
JP2006097428A (ja) * 2004-09-30 2006-04-13 ▲吉▼田工機株式会社 除塵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960A (ko) 2014-06-12 2015-12-23 (주) 대유 댐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배출용 제진기
KR20160002789U (ko) 2016-07-30 2016-08-10 (주) 대유 양ㆍ배수장의 길이가 긴 부유물을 커팅하는 커팅수단이 구비된 제진기
KR102040829B1 (ko) 2018-06-28 2019-11-05 (주)현대워터텍 자동 개폐 및 회전 상승 가능한 전위 스크린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KR101962338B1 (ko) 2018-09-10 2019-03-26 (주)현대워터텍 로터리 제진기
WO2021259708A1 (de) * 2020-06-22 2021-12-30 Huber Se Sieb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zugspannung an einer siebvorrichtung
CN117361812A (zh) * 2023-12-07 2024-01-09 广州市水之道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低负荷养殖池塘尾水循环利用系统
CN117361812B (zh) * 2023-12-07 2024-03-15 广州市水之道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低负荷养殖池塘尾水循环利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814B1 (ko)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체인회전식 제진기
KR101767872B1 (ko) 모래 제거를 위한 버킷이 구비된 로터리 제진기
KR101099431B1 (ko) 로타리 제진기
KR101057723B1 (ko) 콤비네이션 트래블링 워터 스크린장치
KR101551646B1 (ko) 해양부유물쓰레기 수거용 처리장치
CN212000966U (zh) 生态修复用河道垃圾收集结构
KR20130016489A (ko) 가이드바퀴가 설치된 수 처리장치
KR200255925Y1 (ko)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KR100623221B1 (ko)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CN111979993B (zh) 一种用于水利的河道拦污装置
KR101738635B1 (ko) 제진기에 마련된 전위 스크린의 전, 후 왕복 장치
JP4083532B2 (ja) 撹拌・掻上げ装置
US2023005970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llecting the acrotelm of peat bogs
KR20020092765A (ko) 로터리식 제진기
KR20160002789U (ko) 양ㆍ배수장의 길이가 긴 부유물을 커팅하는 커팅수단이 구비된 제진기
CA23907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ant of contaminated soil
KR100844197B1 (ko) 양·배수장 및 농수로용 오물 제거 장치
CN209987415U (zh) 一种养猪场粪便输送履带机
KR200359282Y1 (ko)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KR102173363B1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질들과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하천수 정화시스템
KR20120107554A (ko) 전복양식구 세척장치
CN117468426B (zh) 一种油污处理装置
WO2020049583A1 (en) A system for removing floating debris in an open water channel
AU2007100270A4 (en) Screen Cleaner
KR101483674B1 (ko) 폐원유와 원유 슬러지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