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826B1 -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826B1
KR101648826B1 KR1020140042711A KR20140042711A KR101648826B1 KR 101648826 B1 KR101648826 B1 KR 101648826B1 KR 1020140042711 A KR1020140042711 A KR 1020140042711A KR 20140042711 A KR20140042711 A KR 20140042711A KR 101648826 B1 KR101648826 B1 KR 101648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ns holder
lens
support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720A (ko
Inventor
남규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140042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82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로서, 특히 초점 조절을 위한 렌즈의 이동시에 렌즈 광축의 비틀림을 최소화하면서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분산시켜 내충격성이 우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이미지센서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부착되고, 타단이 휨 변형 가능한 자유단(自由端)으로 이루어지는 컨넥터; 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홀더; 일단이 상기 컨넥터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 및 상기 렌즈홀더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컨넥터의 타단에는 어느 일 방향으로 절곡된 벤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Camera actuator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로서, 특히 초점 조절을 위한 렌즈의 이동시에 렌즈 광축의 비틀림을 최소화하면서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분산시켜 내충격성이 우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소형, 경량화되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에 장착된다.
이러한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휴대단말기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카메라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오토 포커싱(auto-focusing), OIS(Optical Image Stabilizer)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중, 오토 포커싱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는 크게 로렌츠 힘(Lorentz force)을 이용하는 보이스 코일 액추에이터(voice coil actuator)와 피에조 압전 효과를 이용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piezo actuator)가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렌즈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렌즈가 장착되어 있는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서스펜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서스펜션부재는 와이어스프링, 판스프링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서스펜션부재는 액추에이터의 낙하 등에 의한 외부로부터 충격 발생시에 충격이 집중되어 소성변형되면서 탄성을 잃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렌즈홀더의 이동시에 렌즈홀더의 좌우 균형이 맞지 않게 되면 렌즈의 광축이 비틀어져 이미지센서의 중심과 어긋나게 되고 렌즈홀더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카메라 기능의 성능 저하 또는 심하게는 카메라 기능의 상실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점 조절을 위한 렌즈의 이동시에 렌즈 광축의 비틀림을 최소화하면서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분산시켜 내충격성이 우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렌즈를 이동시켜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로서, 이미지센서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부착되고, 타단이 휨 변형 가능한 자유단(自由端)으로 이루어지는 컨넥터; 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홀더; 일단이 상기 컨넥터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 및 상기 렌즈홀더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컨넥터의 타단에는 어느 일 방향으로 절곡된 벤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넥터와 렌즈홀더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벤딩부는 상기 렌즈홀더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와 컨넥터 사이에는 상기 컨넥터의 휨 변형을 위한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컨넥터가 부착되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컨넥터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넥터는, 두 개의 상기 삽입공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두 개의 결합공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부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와, 상기 고정부와 탄성부를 연결하는 두 개의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연결부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넥터가 부착되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컨넥터는 두 개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일측을 감싸도록 지지편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넥터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는 코일과,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코일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컨넥터는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된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와이어스프링을 통해 상기 컨넥터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마그네트와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는 스틸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와이어스프링이 연결되어 있는 컨넥터의 단부에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초점 조절을 위한 렌즈의 이동시에는 컨넥터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렌즈 광축의 비틀림을 방지하면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할 때는 컨넥터가 휨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충격을 분산시켜 와이어스프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렌즈홀더의 구동에 따른 렌즈홀더의 비틀림(틸트)을 최소화하여 렌즈홀더의 원활한 작동과 함께 카메라의 성능 및 촬영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벤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컨넥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렌즈를 이동시켜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은 렌즈가 이동하는 방향인 렌즈의 광축 방향이며, 카메라 액추에이터 또는 카메라 액추에이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상기 방향의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컨넥터가 부착되어 있는 방향에서 바라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마그네트 및 코일이 장착되어 있는 방향에서 바라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컨넥터와 비교하기 위하여 벤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컨넥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a)는 컨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와이어스프링이 연결되어 있는 컨넥터의 측면도이며, 도 6(c)는 렌즈홀더가 상승함에 따라 컨넥터가 휨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 컨넥터(200), 렌즈홀더(300), 와이어스프링(400), 구동부(500) 및 스틸플레이트(60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00)는 이미지센서(미도시)의 상부에 위치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100)의 상부에는 렌즈홀더(300)가 배치되고, 마그네트(52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는 베이스(100)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렌즈홀더(300)는 지지부(110)와 마그네트(520)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렌즈와 이미지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한편, 지지부(110)의 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돌출부(111)가 돌출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렌즈홀더(300)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을 내측 방향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외측 방향이라 한다.
즉 돌출부(111)는 지지부(110)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면을 제1면(112)이라 한다.
그리고 제1면(112)의 양측에는 제2면(113)이 형성되고, 제2면(113)에는 각각 고정돌기(114)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114)는 두 개로 이루어져 서로 상하로 이격되어 있다.
즉 하나의 제2면(113)에 두 개의 고정돌기(114)가 형성되고, 지지부(110)의 외측면에 총 네 개의 고정돌기(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면(113)은 컨넥터(200)가 부착되는 면이다.
그리고 지지부(110)에는 제2면(113)과 이웃한 제3면(115)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면(115)은 컨넥터(200)와의 사이에 이격공간(116)을 형성하고, 와이어스프링(400)이 관통하는 관통공(117)이 형성된다.
전술한 제2면(113) 및 제3면(115)은 제1면(112)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고, 제2면(113)은 제3면(115)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면(112)은 제2면(113)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면(113)에 컨넥터(200)가 부착되면 제3면(115)과 컨넥터(200) 사이에 이격공간(116)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컨넥터(200)와 제3면(115) 사이에 이격공간(116)이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발생할 때 와이어스프링(400)이 연결되어 있는 컨넥터(200)가 휨 변형되기 용이하다.
반면, 컨넥터(200)와 제3면(115) 사이에 이격공간(116)이 형성되지 않고 컨넥터(200)가 지지부(110)의 외측면에 밀착되면, 컨넥터(200)가 휨 변형되기 어려우며 외부 충격이 와이어스프링(400)에 집중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는 지지돌기(11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지지돌기(118)는 렌즈홀더(300)가 이동하지 않은 초기위치에 있을 때 렌즈홀더(300)의 하부에서 렌즈홀더(300)를 상부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118)는 지지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100)의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렌즈홀더(300)의 저면과 베이스(100)의 상면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렌즈홀더(300)를 지지한다.
컨넥터(200)는 일단이 지지부(110)에 부착되고, 타단이 휨 변형 가능한 자유단(自由端)으로 이루어진다.
즉 컨넥터(200)의 일단은 제2면(113)에 부착되고, 컨넥터(200)의 타단과 제3면(115)과의 사이에는 이격공간(116)이 형성되어 휨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컨넥터(200)는 두 개로 이루어져 돌출부(11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컨넥터(200)는 탄성 및 도전성을 갖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고,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10), 탄성부(220) 및 연결부(230)로 이루어진다.
고정부(210)는 제2면(113)에 부착되며, 두 개의 삽입공(211)이 상하로 형성되어 각각의 삽입공(211)에 고정돌기(114)가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부(210)에는 돌출부(111)의 일측을 감싸도록 지지편(212)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지지편(212)이 돌출부(111)의 양측을 감싼다.
지지편(212)은 고정부(210)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 되도록 고정부(210)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210)는 코일(51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된 단자부(213)를 포함한다.
단자부(213)는 지지편(212)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되고, 컨넥터(200) 및 와이어스프링(400)을 통해 코일(510)에 전류가 인가된다.
이러한 단자부(213)는 고정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부(220)는 와이어스프링(400)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두 개의 결합공(221)이 상하로 이격 형성되고, 벤딩부(222)가 형성된다.
벤딩부(222)는 렌즈홀더(300)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벤딩부(222)는 상하로 이격되어 있는 결합공(221)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전술한 고정부(210)는 컨넥터(200)의 일단이 되고, 탄성부(220)는 컨넥터(200)의 타단이 되며, 고정부(210)와 탄성부(220)는 연결부(230)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230)는 두 개가 상하로 이격되어 고정부(210)와 탄성부(220)를 연결하며, 두 개의 연결부(230) 사이에는 개구부(240)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컨넥터(200)는 전원부와 연결되어 코일(51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면서, 외부로부터 충격 발생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킨다.
이에 따라 컨넥터(200)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스프링(400)에 충격이 집중되어 소성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정상적으로 카메라 액추에이터가 작동함에 따라 렌즈홀더(3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컨넥터(200)의 타단에 벤딩부(222)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스프링(400)에 의해 탄성부(220)가 휨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렌즈 광축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컨넥터(200)는 외부의 강한 충격에 의해서 휨 변형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는 탄성부(220)가 휨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렌즈홀더(300)는 렌즈가 장착되고,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홀더(300)는 베이스(100)의 상부에서 지지부(110)와 마그네트(520) 사이에 배치된다.
와이어스프링(400)은 일단이 컨넥터(20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렌즈홀더(300)에 결합되어 렌즈홀더(300)를 지지한다.
즉 와이어스프링(400)은 일단이 탄성부(2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22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렌즈홀더(300)에 고정되어 렌즈홀더(300)를 지지한다.
구동부(500)는 렌즈홀더(3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500)는 렌즈홀더(300)에 장착되는 코일(510)과, 베이스(100)에 장착되어 코일(510)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5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코일(5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부(213)와 전원부가 연결되어 컨넥터(200)로부터 와이어스프링(400)을 통해 전류를 인가받는다.
마그네트(52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 내에 위치하는 코일(5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기력이 발생하고, 상기 전자기력은 렌즈홀더(3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된다.
스틸플레이트(600)는 렌즈홀더(300)에 장착되어 마그네트(520)와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플레이트(600)는 마그네트(520)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의 렌즈홀더(300) 상부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렌즈홀더(300)에 장착된 스틸플레이트(600)와 마그네트(52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인력에 의해 코일(51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때 렌즈홀더(300)가 초기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스틸플레이트(600)는 마그네트(520)와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여 렌즈홀더(300)의 초기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면, 렌즈홀더(300)의 어느 위치에도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스틸플레이트(600)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동작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51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렌즈홀더(300)는 임의로 이동하지 않고 마그네트(520)와 스틸플레이트(600)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초기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렌즈홀더(300)는 초기 위치에서 지지돌기(118)에 의해 지지된다.
만약, 액추에이터의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발생한다면 상기 충격은 와이어스프링(400)에 집중되어 와이어스프링(400)이 소성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스프링(400)을 탄성이 있는 컨넥터(200)에 연결하여 고정하고, 컨넥터(200)와 제3면(115) 사이에 이격공간(116)을 형성함으로써, 충격 발생시 컨넥터(200)가 휨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키도록 하였다.
한편, 정상적인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렌즈홀더(300)가 이동할 때, 탄성부(220)는 와이어스프링(400)에 의해 휨 변형될 수 있다.
탄성부(220)에는 와이어스프링(400)이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고, 와이어스프링(400)은 렌즈가 장착된 렌즈홀더(300)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20)에 벤딩부(2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때, 탄성부(220)가 휨 변형되어 렌즈홀더(300)가 틀어지면서 렌즈 광축이 비틀리게 된다.
또한, 탄성부(220)의 변형량이 좌우 불균형을 이루게 되면 렌즈홀더(30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렌즈 광축이 비틀리게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컨넥터(200)의 타단 즉 와이어스프링(400)이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220)의 단부에 벤딩부(222)를 형성함으로써, 렌즈홀더(300)의 이동시에 탄성부(220)의 휨 변형을 최소화하여 렌즈 광축이 비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탄성부(220)는 렌즈홀더(300)가 승강함에 따라 와이어스프링(400)이 연결되어 있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탄성부(2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연결부(230)에 의해 고정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였고, 비교적 응력 집중이 적은 탄성부(220)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는 개구부(240)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 발생시 컨넥터(200)의 휨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만약, 정상적인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작동시에 와이어스프링(400)이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220)의 휨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부(220) 또는 컨넥터(200) 전체를 두껍게 형성하거나 강성이 높은 소재로 제작한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와이어스프링(400)에 충격이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탄성을 갖는 컨넥터(200)에 와이어스프링(400)을 고정하고, 와이어스프링(400)에 의해 렌즈홀더(300)가 지지될 때,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발생하면 와이어스프링(400)이 연결되어 있는 컨넥터(200)가 휨 변형되도록 하여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켜 와이어스프링(400)의 파손을 방지하고, 탄성부(220)의 단부에 벤딩부(222)를 형성하여 렌즈홀더(3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는 벤딩부(222)에 의해 탄성부(220)의 휨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렌즈 광축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베이스, 110 : 지지부, 111 : 돌출부, 112 : 제1면, 113 : 제2면, 114 : 고정돌기, 115 : 제3면, 116 : 이격공간, 117 : 관통공, 118 : 지지돌기,
200 : 컨넥터, 210 : 고정부, 211 : 삽입공, 212 : 지지편, 213 : 단자부, 220 : 탄성부, 221 : 결합공, 222 : 벤딩부, 230 : 연결부, 240 : 개구부,
300 : 렌즈홀더,
400 : 와이어스프링,
500 : 구동부, 510 : 코일, 520 : 마그네트,
600 : 스틸플레이트,

Claims (9)

  1. 렌즈를 이동시켜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이미지센서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부착되고, 타단이 휨 변형 가능한 자유단(自由端)으로 이루어지는 컨넥터;
    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홀더;
    일단이 상기 컨넥터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
    코일과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상기 렌즈홀더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마그네트와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는 스틸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지지부와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렌즈홀더가 이동하지 않은 초기위치에서 상기 렌즈홀더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컨넥터는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된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와이어스프링을 통해 상기 컨넥터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으며,
    상기 컨넥터의 타단에는 어느 일 방향으로 절곡된 벤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넥터와 렌즈홀더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벤딩부는 상기 렌즈홀더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컨넥터 사이에는 상기 컨넥터의 휨 변형을 위한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가 부착되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컨넥터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6. 렌즈를 이동시켜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이미지센서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부착되고, 타단이 휨 변형 가능한 자유단(自由端)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판재의 컨넥터;
    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홀더;
    일단이 상기 컨넥터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
    코일과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상기 렌즈홀더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렌즈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마그네트와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는 스틸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지지부와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렌즈홀더가 이동하지 않은 초기위치에서 상기 렌즈홀더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컨넥터는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된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와이어스프링을 통해 상기 컨넥터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으며,
    상기 컨넥터의 타단에는 어느 일 방향으로 절곡된 벤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넥터가 부착되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컨넥터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컨넥터는,
    두 개의 상기 삽입공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두 개의 결합공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부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와,
    상기 고정부와 탄성부를 연결하는 두 개의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연결부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컨넥터가 부착되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컨넥터는 두 개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일측을 감싸도록 지지편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42711A 2014-04-10 2014-04-10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KR101648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711A KR101648826B1 (ko) 2014-04-10 2014-04-10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711A KR101648826B1 (ko) 2014-04-10 2014-04-10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720A KR20150117720A (ko) 2015-10-21
KR101648826B1 true KR101648826B1 (ko) 2016-08-18

Family

ID=5440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711A KR101648826B1 (ko) 2014-04-10 2014-04-10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8174A (zh) * 2019-05-13 2019-08-16 辽宁中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平行四边形原理闭环马达
CN110138175A (zh) * 2019-06-05 2019-08-16 辽宁中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音圈电机用特殊互扣载体结构
KR102302461B1 (ko) 2020-06-11 2021-09-16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975B1 (ko) * 2012-10-15 2013-12-06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645B1 (ko) * 2006-02-15 2012-09-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 포커싱 기능을 가진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975B1 (ko) * 2012-10-15 2013-12-06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720A (ko)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7632B2 (en) Lens driving device with 3D elastic support structure
JP6080321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504024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59746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JP6703275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N112782906B (zh) 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和光学装置
JP5327478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337975B1 (ko) 소형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US9772506B2 (en) Configuration of flexible connections used in a lens driving module
US10018800B2 (en) Lens driving apparatus
KR2015004268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KR20160075154A (ko) 카메라 모듈
KR20110008714U (ko) 렌즈 초점 조절장치
US20080297650A1 (en) Image photographing device
KR20150104388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JP2015040917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648826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JP2016014703A (ja) レンズ駆動装置
JP4919268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2595265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657511B1 (ko)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90002852A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KR101664886B1 (ko) 자동 초점 조절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KR101017341B1 (ko) 소형 카메라 장치
KR20230019175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