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397B1 - 역방향 조향 자전거 - Google Patents

역방향 조향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397B1
KR101648397B1 KR1020140140532A KR20140140532A KR101648397B1 KR 101648397 B1 KR101648397 B1 KR 101648397B1 KR 1020140140532 A KR1020140140532 A KR 1020140140532A KR 20140140532 A KR20140140532 A KR 20140140532A KR 101648397 B1 KR101648397 B1 KR 101648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tary shaft
bicycle
tube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273A (ko
Inventor
이봉운
Original Assignee
이봉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운 filed Critical 이봉운
Priority to KR102014014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3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5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방향 조향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 전방에 있는 포크를 상기 자전거의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 기어 및 제3 기어와, 상기 제1 기어 및 제3 기어와 각각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 및 제4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및 제4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핸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방향 조향 자전거{REVERSE STEERING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 방향과 자전거의 주행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는 레저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자전거의 핸들부재와 포크의 설치구조는 핸들부재의 중앙 하부로 형성된 축과, 전륜에 설치되는 포크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축의 상부에 고정볼트를 끼워 핸들부재와 전륜에 설치된 포크를 상호 체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전거는 자전거로서의 역할 수행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자전거를 이용하여 다른 기능 즉 두뇌 활동을 발달시키는 훈련이나 기타 새로운 오락기구로 발전시키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진행 방향과 핸들 방향이 반대인 자전거에 있어서도 일반 자전거와 상호 호환되는 데 있어 불편함이 있고, 기어가 두 개만 있어 편심 하중이나 내구성, 안전성 등에 문제가 있고, 핸들과 연결되는 회전축의 지지부가 한정되어 다양한 자전거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284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과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 중 어느 하나가 없어도 적용 가능하고, 핸들 부재와 연결된 회전축을 지지하는 방법을 다양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핸들의 회전 동력을 전륜에 확실히 전달하여 회전력을 높이고 편심 하중을 해소하여 좌굴이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어와 회전축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는 자전거 전방에 있는 포크를 상기 자전거의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 기어 및 제3 기어와, 상기 제1 기어 및 제3 기어와 각각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 및 제4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및 제4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핸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는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5 기어 및 제7 기어와, 상기 제5 기어 및 제7 기어와 각각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6 기어 및 제8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2 회전축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축 지지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는 상기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는 상기 제2 회전축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자전거의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 또는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는 상기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는 제2 회전축 관통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상기 기어들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이나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역방향 조향 자전거는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과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 중 어느 하나가 없는 자전거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핸들과 연결되는 회전축이 다양한 방법으로 지지될 수 있어 여러가지 유형의 자전거에 적용될 수 있다.
기어가 4개 또는 8개 장착되어 동력 전달이 확실하고 회전축에 대한 편심 하중이 해소되어 좌굴과 마모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고 전륜의 회전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기어를 둘러싼 하우징을 설치할 경우, 외부환경으로부터 기어와 회전축을 보호하여 제품의 내구성, 안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2 회전축을 지지하는 연결부재 등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발명은 관광지나 유원지 등에 설치되어 좀더 안전하게 레저용으로 사용될 수 있어 상품성 및 상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의 제2 실시예의 기어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의 제3 실시예의 기어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의 하우징이 있는 제4 실시예의 기어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탑튜브, 다운튜브, 시트튜브, 헤드튜브, 포크 등이 있다.
자전거는 중앙부에 대략 역삼각형 형상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게 일반적인데, 이 역삼각형 형상은 탑튜브, 다운튜브, 시트튜브로 이루어진다. 탑튜브와 다운튜브가 만나는 점에는 헤드튜브가 형성되어 핸들 및 전륜 포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자전거의 용도나 설계목적의 차이, 또는 외관 향상 등의 목적에 따라 이들 중 일부는 그 형태가 바뀌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것과 통합되기도 하며, 프레임의 각 구성을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예컨대 여성용 자전거 중 일부는 탑튜브가 없이 다운튜브만 있는 형태로 설계되는 경우가 많고, 인체공학적 또는 공기역학적 목적에 따라 다운튜브와 탑튜브가 통합되기도 한다. 나아가서 리컴번트 바이크(Recumbent Bike)와 같이 특수한 형태의 자전거에서는 이러한 프레임 구별이 완전히 달라진다. 실내 운동용으로 개발된 자전거를 본뜬 운동기구들 역시 기본적으로 이러한 형태적 특징은 공유하고 있다. 본 발명 또한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자전거의 프레임을 기본적으로 공유하되, 발명의 목적에 맞게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1 회전축(22)은 전륜 포크(21)와 연결되고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어 전륜(2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은 베어링과 결합하여 제1 회전축(22)과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 사이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은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이나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2)과 결합되어 있다. 제1 기어(10)는 제1 회전축(22)에 결합되어 제1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제2 회전축(32)은 핸들(30) 바의 가운데 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축으로 제1 회전축(22)과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기어(11)는 제2 회전축(32)에 결합되어 제2 회전축(32)과 함께 회전한다. 사용자가 핸들(30)을 회전함에 따라 제2 회전축(32)은 이에 결합된 제2 기어(11)를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제2 회전축(32)에 결합된 제2 기어(11)는 제1 기어(10)와 맞물리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핸들(30)을 회전하면 제2 회전축(32)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결합하고 있는 제2 기어(11)도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기어(11)와 맞물려 있는 제1 기어(10)는 제2 기어(11)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기어(10)와 결합하고 있는 제1 회전축(22)은 제1 기어(1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1 회전축(22)과 결합하고 있는 전륜 포크(21)는 제1 회전축(22)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30)을 회전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전륜(20)이 회전하게 된다.
제1 기어(10)가 결합된 제1 회전축(22)에 제3 기어(12)가 결합되고, 제3 기어(12)는 제1 기어(10)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어(11)가 결합되어 있는 제2 회전축(32)에 제4 기어(13)가 결합되고, 제4 기어(13)는 제3 기어(12)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4 기어(13)도 제3 기어(12)와 맞물리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핸들(30)을 회전시키면 전술한 제1 기어(10)와 제2 기어(11)가 작동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작동하여, 전륜(20)의 회전방향이 사용자의 핸들(30)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의 제2 실시예의 기어부분의 단면도이다.
제1 회전축(22)에 제5 기어(14)와 제7 기어(16)가 결합되는 경우, 제5 기어(14)와 제7 기어(16)는 각각 제1 기어(10)나 제3 기어(12)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축(32)에 제6 기어(15)와 제8 기어(17)가 결합되는 경우, 제6 기어(15)와 제8 기어(17)는 각각 제2 기어(11)나 제4 기어(13)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5 기어(14), 제7 기어(16)도 제6 기어(15), 제8 기어(17)와 각각 맞물리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핸들(30)을 회전시키면 전술한 제1 기어(10)와 제2 기어(11)가 작동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작동하여, 전륜(20)의 회전방향이 사용자의 핸들(30)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회전축(22)에 제1 기어(10), 제3 기어(12), 제5 기어(14)와 제7 기어(16)가 결합되고, 제2 회전축(32)에 제2 기어(11), 제4 기어(13), 제6 기어(15)와 제8 기어(17)가 결합되는 경우, 제1 기어(10)와 제2 기어(11)가 맞물리고 제3 기어(12)와 제4 기어(13)가 맞물리고 제5 기어(14)와 제6 기어(15)가 맞물리고 제7 기어(16)와 제8 기어(17)가 각각 맞물리게 배치되어야 한다. 각각 맞물리게 배치된 기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3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륜(20)이 회전되도록 한다.
하나의 회전축에 하나의 기어가 결합되는 경우와 비교해 볼 때, 위와 같이 하나의 회전축에 기어가 2개씩 결합되는 경우 핸들(30)의 회전동력이 전륜(20)에 보다 확실하게 전달되고 회전축(22,32)에 대한 편심 하중이 해소되어 좌굴 현상이 나 마모 등이 방지되고 회전력 전달이 확실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회전축에 기어가 4개씩 결합되는 경우 상기 작용이 더욱 강화되고 회전력 전달 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는 도 2,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이나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2) 중 어느 하나가 없어도 무방하다.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이 없는 자전거의 경우는 어린이용이나 청소년용, 여성용 등에서 볼 수 있다.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이 없는 경우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은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2)과 결합되어 제1 회전축(22)을 지지하고,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2)이 없는 경우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이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과 결합되어 제1 회전축(22)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회전축(32)은 제1 회전축(22)보다 안장(70)과 먼 쪽에 위치할 수 있는 제2 회전축 지지부(33)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회전축 지지부(33)는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과 연결프레임(50)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2 회전축(32)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 역할을 한다.
연결프레임(50)은 제1 회전축(22)을 지지하는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과 제2 회전축(32)을 지지하는 제2 회전축 지지부(33)를 결합하는 프레임으로, 제2 회전축 지지부(33)에 결합되어 있는 제2 회전축(32)이 핸들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하고 핸들 회전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축(22,32)에 결합하는 복수의 기어는 각각 밀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회전축(22,32)에 기어가 2개씩 결합하는 경우, 제1 기어(10)와 제3 기어(12)는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뉘어 설치될 수 있고, 제2 기어(11)와 제4 기어(13)도 제2 회전축 지지부(33)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각각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회전축(22,32)에 기어가 4개씩 결합하는 경우에도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10), 제5 기어(14)와 제3 기어(12), 제7 기어(16)는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뉘어 설치될 수 있고, 제2 기어(11), 제 6 기어(15)와 제4 기어(13), 제8 기어(17)도 제2 회전축 지지부(33)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각각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기어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기어 사이에 제1 회전축(22)의 경우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이 설치될 수 있고, 제2 회전축(32)의 경우 제2 회전축 지지부(33)가 설치될 수 있어, 사용자가 자전거 핸들(30)을 사용함에 있어 편심 회전이 최소화되며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에 대해서는 편심 하중이 억제되고 베어링이 설치된 경우 베어링의 마모가 줄어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의 제3 실시예의 기어부분의 단면도이다.
제2 회전축(32)은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과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2)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회전축(22)에 결합되어 있는 제1 기어(10)와 제2 회전축(32)에 결합되어 있는 제2 기어(11)가 맞물리도록 위치하여, 제1 회전축(22) 보다 안장(70) 쪽에 가까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이나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2)이 없는 경우, 제2 회전축(32)은 설치되어 있는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이나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2)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회전축(22)에 결합되어 있는 제1 기어(10)와 제2 회전축(32)에 결합되어 있는 제2 기어(11)가 맞물리도록 위치하여, 제1 회전축(22) 보다 안장(70) 쪽에 가까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회전축(32)이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이나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2)에 결합되는 경우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연결프레임(50)이 없어도 핸들(30)과 제2 회전축(32)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회전축 관통지지부(34)는 제2 회전축(32)이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이나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2)을 관통하는 부분과 결합하는 부분으로,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이나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2)이 제2 회전축(32)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회전축(32)이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이나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2)에 결합되고 각 회전축(22,32)에 기어가 2개씩 결합되는 경우 제1 기어(10)와 제3 기어(12)는 제2 회전축 관통지지부(34)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기어(11)와 제4 기어(13)도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 회전축(22,32)에 기어가 4개씩 결합하는 경우에도 각각 2개씩 제2 회전축 관통지지부(34)나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23)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경우 편심 하중이나 편심 회전, 마모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조향 자전거의 하우징(40)이 있는 제4 실시예의 기어부분의 단면도이다.
하우징(40)은 기어를 포함하여 회전축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가벼운 철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기둥이나 삼각기둥, 사각기둥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1)이나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62)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40)이 설치되는 경우, 제1 회전축(22)과 제2 회전축(32)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연결프레임(50)과 제2 회전축(3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2 회전축 지지부(33)는 설치될 수도 있으나, 하우징(40)이 제2 회전축(3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제1 기어 11; 제2 기어
12; 제3 기어 13; 제4 기어
14; 제5 기어 15; 제6 기어
16; 제7 기어 17; 제8 기어
21; 전륜 포크 22; 제1 회전축
23;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 32; 제2 회전축
33; 제2 회전축 지지부 34; 제2 회전축 관통지지부
40; 하우징 50; 연결프레임
60; 본체프레임 61;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
62;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

Claims (8)

  1. 자전거 전방에 있는 포크를 상기 자전거의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 기어 및 제3 기어;
    상기 제1 기어 및 제3 기어와 각각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 및 제4 기어;
    상기 제2 기어 및 제4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핸들부재; 및
    상기 제1 기어, 제2 기어, 제3 기어, 및 제4 기어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자전거의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 및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거나, 상기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제1 기어 및 제3 기어는, 상기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제2 기어 및 제4 기어는, 상기 탑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 및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에 결합되거나, 상기 다운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에 결합된 제2 회전축 관통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뉘어 배치되는 역방향 조향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5 기어 및 제7 기어; 및
    상기 제5 기어 및 제7 기어와 각각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6 기어 및 제8 기어를 더 포함하는 역방향 조향 자전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는 상기 헤드튜브에 상당하는 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는 상기 제2 회전축 관통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뉘어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역방향 조향 자전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40532A 2014-10-17 2014-10-17 역방향 조향 자전거 KR10164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532A KR101648397B1 (ko) 2014-10-17 2014-10-17 역방향 조향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532A KR101648397B1 (ko) 2014-10-17 2014-10-17 역방향 조향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273A KR20160045273A (ko) 2016-04-27
KR101648397B1 true KR101648397B1 (ko) 2016-08-16

Family

ID=5591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532A KR101648397B1 (ko) 2014-10-17 2014-10-17 역방향 조향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3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12Y1 (ko) * 2002-11-08 2003-01-29 이은열 자전거
KR200428483Y1 (ko) * 2006-07-21 2006-10-13 진두영 역방향 핸들 자전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12Y1 (ko) * 2002-11-08 2003-01-29 이은열 자전거
KR200428483Y1 (ko) * 2006-07-21 2006-10-13 진두영 역방향 핸들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273A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584B2 (en) Clutch-type electrical driving device for bicycle and clutch-type drive thereof
WO2007127554A3 (en) One piece flexible skateboard
US20160096588A1 (en) Bicycle Pedal Crank with Split Shaft
CN104417640A (zh) 自行车脚架
US20150274237A1 (en) Steering device of scooter and a scooter
US20140159331A1 (en) Toddler walker
EP3266691B1 (en) Front wheel hub inner steering structure of portable two-wheel vehicle
KR101648397B1 (ko) 역방향 조향 자전거
US10363989B2 (en) Dual purpose cycle
CN204870372U (zh) 轮子转动结构
CN204587155U (zh) 三轮滑板车
KR102353740B1 (ko) 리컴번트 자전거의 조향장치
JP3188905U (ja) ダブル駆動のハブ装置
KR200428483Y1 (ko) 역방향 핸들 자전거
KR101712711B1 (ko) 싱글기어 자전거의 고정기어 및 프리휠 기어 자유전환 크랭크 세트
CN109955998B (zh) 空心轮装置及代步工具
CN201971099U (zh) 可变形单车
CN204452743U (zh) 一种儿童自行车前叉结构
CN201784755U (zh) 童车折叠踏板
CN105599840A (zh) 休闲车
CN203727564U (zh) 休闲车
CN213649807U (zh) 一种儿童车轮的多功能转换结构
KR100994394B1 (ko) 삼륜 자전거
KR20100033321A (ko) 외발자전거
CN108128383B (zh) 一种儿童变形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