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371B1 -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371B1
KR101648371B1 KR1020150002761A KR20150002761A KR101648371B1 KR 101648371 B1 KR101648371 B1 KR 101648371B1 KR 1020150002761 A KR1020150002761 A KR 1020150002761A KR 20150002761 A KR20150002761 A KR 20150002761A KR 101648371 B1 KR101648371 B1 KR 101648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s
straight line
group
calculat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977A (ko
Inventor
최세휴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371B1/ko
Priority to PCT/KR2016/000202 priority patent/WO2016111587A1/ko
Publication of KR20160085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Image Analysi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는, 다수의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분류부; 및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평면도형의 폭을 대표하는 대표폭을 산출하는 대표폭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EQUIVALENT WIDTH OF PLANE FIGUR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EQUIVALENT WIDTH OF STRUCTURE}
본 발명은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설계 시 건축물의 대표폭을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건축물이 정사각형의 평면을 갖는 경우 그 대표폭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임이 분명하나, 그 외 다른 모양의 평면을 갖는 건축물은 그 대표폭이 불분명하다. 건축물의 설계기준을 제시하는 건축구조기준(KBC)은 풍하중 산출 시 건축물의 대표폭을 이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각기 다른 평면 형상을 갖는 건축물에 대하여 그 대표폭을 결정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그 결과, 건축물 설계 시 건축물의 대표폭은 설계자가 임의로 결정하여 그를 기초로 풍하중을 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건축물의 대표폭은 풍진동의 영향을 고려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팩터이며, 풍방향 가스트 영향계수 산정 시 필수적으로 반영되는 파라미터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대표폭이 적정치보다 너무 크거나 작게 설정되면, 건축물의 안전성을 위협하거나 불필요한 설계를 통해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평면도형의 대표폭을 산출하기 위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물의 대표폭을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는, 다수의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분류부; 및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평면도형의 폭을 대표하는 대표폭을 산출하는 대표폭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평면도형의 선을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점들의 순서대로 각 점의 좌표 정보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그룹 분류부는: 상기 평면도형의 도심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직선은 상기 평면도형이 최대 또는 최소의 단면 2차 모멘트를 갖도록 하는 주축과 평행하거나 직각일 수 있다.
상기 대표폭 산출부는: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을 합산하여 상기 대표폭을 산출하거나, 상기 평면도형의 면적을 상기 합산하여 얻은 값으로 나누어 상기 대표폭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는: 다수의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상기 초기 점들 중에서 상기 점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더글러스-퍼커(Douglas-Peuker) 알고리즘 또는 랑(Lang)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상기 단순화 또는 상기 평활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방법은, 다수의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평면도형의 폭을 대표하는 대표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방법은 상기 평면도형의 선을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점들의 순서대로 각 점의 좌표 정보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평면도형의 도심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선은 상기 평면도형이 최대 또는 최소의 단면 2차 모멘트를 갖도록 하는 주축과 평행하거나 직각일 수 있다.
상기 대표폭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을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을 합산하는 단계; 상기 평면도형의 면적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도형의 면적을 상기 합산하여 얻은 값으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다수의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상기 초기 점들 중에서 상기 점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순화 또는 상기 평활화를 수행하여 점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더글러스-퍼커 알고리즘 또는 랑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상기 단순화 또는 상기 평활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는, 구조물에 위치한 다수의 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분류부; 및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폭을 대표하는 대표폭을 산출하는 대표폭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도 또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구조물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대표폭 산출 방법은, 구조물에 위치한 다수의 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폭을 대표하는 대표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도 또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구조물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방법 또는 구조물 대표폭 산출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방법 또는 구조물 대표폭 산출 방법은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도형의 대표폭을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 설계 시 구조물의 대표폭을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산출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전성 및 설계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표폭 산출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설정하고, 그 직선을 기준으로 점들을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점과 직선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기 점들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기 점들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얻은 점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표폭 산출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기 점들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조물"은 건축물, 공작물, 구축물, 창호, 옥외광고물, 교량, 방음벽 등을 포괄하는 용어로서, 공간 상에 배치되어 설계하중을 받는 모든 물건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평면도형의 대표폭을 산출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대표폭을 산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표폭 산출 장치(1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상기 대표폭 산출 장치(100)는 평면도형의 대표폭을 산출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획득부(111), 그룹 분류부(112) 및 대표폭 산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다수의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그룹 분류부(112)는 상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대표폭 산출부(113)는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평면도형의 대표폭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대표폭"은 평면도형의 폭을 대표하는 것으로, 폭이 명확하게 정의되는 직사각형뿐만 아니라 일정한 폭을 정의하기 어려운 다각형, 타원 등 임의의 평면도형에 있어서 폭으로 대표할 수 있는 개념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2차원 직교좌표계 상 상기 점들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점들이 x-y 직교좌표계 상에 지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점들의 x-y 직교좌표계 상 2차원 좌표 (x, y)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그룹 분류부(112)는 상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설정하고, 상기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평면도형(20)을 관통하는 직선(L)을 설정하고, 그 직선(L)을 기준으로 점들을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먼저,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평면도형의 선을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점들의 순서대로 각 점의 좌표 정보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점 P1을 시작으로 하여 6 개의 점들(P1 내지 P6)로 구성되는 육각형(20)의 선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각 점의 좌표 정보 (x, y)에 식별자를 부여하여 (x1, y1) 내지 (x6, y6)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평면도형의 선을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평면도형을 구성하는 각 점의 좌표 정보에 순서를 매길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그룹 분류부(112)는 상기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룹 분류부(112)는 상기 평면도형의 도심을 지나되, 상기 평면도형이 최대 또는 최소의 단면 2차 모멘트를 갖도록 하는 주축과 평행하거나 직각인 직선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룹 분류부(112)는 육각형(20)의 도심(C)을 지나면서 상기 육각형(20)이 최대 또는 최소의 단면 2차 모멘트를 갖도록 하는 주축(A)과 평행한 직선(L), 즉 상기 주축(A)과 기울기가 동일한 직선(L)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심(C)의 좌표가 (cx, cy)이고 상기 직선(L)의 기울기가 m인 경우, 상기 직선(L)의 방정식은 mx - y + (cy - mcx) = 0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룹 분류부(112)는 육각형(20)의 도심(C)을 지나면서 상기 육각형(20)이 최대 또는 최소의 단면 2차 모멘트를 갖도록 하는 주축(A)과 직각인 직선(L')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도형은 n 개의 꼭지점들을 갖는 다각형이며, 상기 점들은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3 이상의 자연수이다.
그리고, 각 꼭지점의 좌표가 (xi, yi)인 경우(i = 1, ..., n), 상기 다각형의 도심(C)의 좌표값 cx, cy은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5001925108-pat00001
Figure 112015001925108-pat00002
여기서, x1 = xn +1이고, y1 = yn +1이며, A는 다각형의 면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선(L)의 기울기 m은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5001925108-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15001925108-pat00004
Figure 112015001925108-pat00005
Figure 112015001925108-pat00006
Figure 112015001925108-pat00007
Figure 112015001925108-pat00008
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평면도형의 도심(C)을 지나되 상기 평면도형이 최대 또는 최소의 단면 2차 모멘트를 갖도록 하는 주축(A)과 평행한 직선(L)은 기울기 m이 위 수학식 2와 같다. 상기 그룹 분류부(112)는 상기 평면도형의 도심(C) 좌표를 구한 뒤, 위 수학식 2에 따라 기울기 m을 계산하여 직선(L)의 방정식을 완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그룹 분류부(112)는 상기 직선(L)과 각 점 간의 거리 di를 계산하고, 상기 점들(P1 내지 P6) 중 상기 거리 di가 음수인 점을 제 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거리 di가 양수인 점을 제 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선(L)과 각 점 간의 거리 di는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5001925108-pat00009
위 수학식 3에 따르면, 평면도형을 구성하는 점들(P1 내지 P6) 중 상기 직선(L)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점은 상기 거리 di의 부호가 -이고, 타측에 위치하는 점은 상기 거리 di의 부호가 +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점과 직선(L) 간의 거리 di를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그룹 분류부(112)는 상기 직선(L)과 각 점 간의 거리 di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 결과, 상기 직선(L)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3 개의 점들(P2, P3, P4)은 상기 거리 di가 양수이며, 하측에 위치하는 3 개의 점들(P1, P5, P6)은 상기 거리 di가 음수이다. 따라서, 상기 그룹 분류부(112)는 육각형(20)을 구성하는 6 개의 점들(P1 내지 P6) 중 상기 거리 di가 음수인 3 개의 점들(P1, P5, P6)을 제 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거리 di가 양수인 3 개의 점들(P2, P3, P4)을 제 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대표폭 산출부(113)는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평면도형의 대표폭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표폭 산출부(113)는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을 합산하여 상기 대표폭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대표폭 산출부(113)는 제 1 그룹으로 분류된 3 개의 점들(P1, P5, P6) 각각에 대하여 상기 거리 di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제 2 그룹으로 분류된 3 개의 점들(P2, P3, P4)에 대하여 상기 거리 di의 평균값을 계산한 뒤, 상기 제 1 그룹의 점들(P1, P5, P6)로부터 얻은 평균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점들(P2, P3, P4)로부터 얻은 평균값을 합산하여 상기 육각형(20)의 대표폭을 계산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도형의 대표폭 B는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5001925108-pat00010
여기서, p는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점의 개수이고, q는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점의 개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표폭 산출부(113)는 상기 합산하여 얻은 값으로 상기 평면도형의 면적을 나누어 대표폭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평면도형의 대표폭 B는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5001925108-pat00011
여기서, p는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점의 개수이고, q는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점의 개수이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대표폭 산출 장치(100)는 직사각형과 같이 일정한 폭을 갖지 않은 불규칙한 모양의 평면도형에 대해서도 그 폭으로 대표할 수 있는 대표폭을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이하에서는 전술한 대표폭 산출에 사용되는 평면도형의 점들(예컨대, 도 2의 육각형(20)에서 6 개의 점들(P1 내지 P6))을 결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다수의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상기 초기 점들 중에서 대표폭 산출에 사용될 점들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 점들은 대표폭이 산출될 대상인 초기 평면도형의 선 상에 위치하는 점들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초기 점들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실시하여 대표폭 산출에 사용될 점들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초기 점들로 구성된 초기 평면도형을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통해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기 점들(IP1 내지 IP16)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상기 초기 점들 중에서 대표폭 산출에 사용될 점들을 선택하기 위해, 먼저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초기 점들 중에서 초기 평면도형의 도심과 가장 먼 제 1 초기 점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 평면도형은 상기 초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으로서, 추후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통해 단순화된 평면도형보다 그 형상이 복잡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제 1 초기 점과 상기 초기 평면도형의 도심을 지나는 제 1 직선을 설정하고, 상기 초기 평면도형의 도심을 지나되 상기 제 1 직선에 수직한 제 2 직선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제 2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초기 점이 속하는 영역과 마주보는 영역에 속하는 초기 점들 중에서 상기 제 1 직선과 가장 가까운 제 2 초기 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16 개의 초기 점들(IP1 내지 IP16) 중에서, 상기 초기 점들(IP1 내지 IP16)로 구성되는 초기 평면도형(30)의 도심(C)과 가장 먼 제 1 초기 점(IP6)을 선택할 수 있다.
그 뒤,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제 1 초기 점(IP6)과 상기 초기 평면도형(30)의 도심(C)을 지나는 제 1 직선(L1)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초기 평면도형(30)의 도심(C)을 지나되 상기 제 1 직선(L1)에 수직한 제 2 직선(L2)을 설정할 수 있다.
그 뒤,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제 2 직선(L2)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초기 점(IP6)이 속하는 영역(도 5에서 제 2 직선(L2)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과 마주보는 영역(도 5에서 제 2 직선(L2)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속하는 초기 점들(IP1, IP10, IP11, IP12, IP13, IP14, IP15, IP16) 중에서, 상기 제 1 직선(L1)과 가장 가까운 제 2 초기 점(IP13)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제 1 초기 점(IP6)과 상기 제 2 초기 점(IP13)을 지나는 제 3 직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초기 점들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고, 상기 제 3 직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초기 점들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상기 초기 점들(IP1 내지 IP16) 중에서 대표폭 산출에 사용될 점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제 1 초기 점(IP6)과 상기 제 2 초기 점(IP13)을 지나는 제 3 직선(L3)을 기준으로 일측(예컨대, 도 6에서 제 3 직선(L3)을 기준으로 하측 영역)에 위치하는 초기 점들(IP6 내지 IP13)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제 3 직선(L3)을 기준으로 타측(예컨대, 도 6에서 제 3 직선(L3)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에 위치하는 초기 점들(IP13 내지 IP16 및 IP1 내지 IP6)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순화 또는 평활화는 더글러스-퍼커(Douglas-Peuker) 알고리즘 또는 랑(La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상기 단순화 또는 평활화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기 점들(IP1 내지 IP16)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얻은 점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방식으로 상기 초기 점들(IP1 내지 IP16)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한 결과, 총 16 개의 초기 점들(IP1 내지 IP16) 중에서 8 개의 점들(IP1, IP4, IP6, IP7, IP9, IP11, IP13, IP15)이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대표폭 산출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8 개의 점들(IP1, IP4, IP6, IP7, IP9, IP11, IP13, IP15)을 기초로 평면도형(30')의 대표폭을 산출할 수 있다.
대표폭 산출 시 전술한 단순화 또는 평활화 과정을 도입함으로써, 대표폭 산출에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통해 최초 16 개의 초기 점들(IP1 내지 IP16) 중에서 대표폭 산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점들을 배제시키고 의미 있는 8 개의 점들(IP1, IP4, IP6, IP7, IP9, IP11, IP13, IP15)만을 선택하여 이 점들을 기반으로 대표폭을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표폭 산출에 요구되는 연산량을 감소시켜 적은 리소스로 보다 빠르게 대표폭을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대표폭 산출 장치(100)는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의 설계기준에서 요구하는 대표폭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구조기준(KBC)에 따르면, 설계 시 풍진동의 영향을 고려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건축물의 기준높이 H와 건축물의 깊이 D 외에 건축물의 대표폭 B가 요구된다. 또한, 풍방향 가스트 영향계수 Gf를 산정하기 위해서도 건축물의 대표폭 B가 필요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표폭 산출 장치(100)는 상기 정보 획득부(111)가 구조물에 위치한 다수의 점들(P1 내지 P6)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그룹 분류부(112)가 상기 점들(P1 내지 P6)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L)을 설정하고, 상기 직선(L)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P1 내지 P6)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대표폭 산출부(113)가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 di,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대표폭 B를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대표폭 산출을 위해 사용되는 점들(P1 내지 P6)을 대표폭을 산출할 구조물로부터 추출하여 그 좌표를 획득한 뒤, 이를 기초로 앞서 설명한 대표폭 산출 과정을 통해 상기 구조물의 대표폭 B를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초기 점들(IP1 내지 IP16) 역시 상기 대표폭을 산출할 구조물로부터 추출하여 그 좌표를 획득한 뒤, 전술한 단순화 또는 평활화 과정을 통해 초기 평면도형(30)을 단순화시켜 대표폭 산출에 사용될 점들(IP1, IP4, IP6, IP7, IP9, IP11, IP13, IP15)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도 또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구조물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점들(P1 내지 P6) 또는 상기 초기 점들(IP1 내지 IP16)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구조물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는 상기 대표폭 산출 장치(100)에 포함된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저장부(12)로부터 상기 구조물에 관한 정보나 측량 데이터를 불러와 그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표폭 산출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부(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통신부(10)를 통해 상기 대표폭을 산출할 구조물에 관한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표폭 산출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입력부(1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표폭을 산출할 구조물에 관한 정보나, 상기 점들(P1 내지 P6) 또는 상기 초기 점들(IP1 내지 IP16)의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전술한 정보 획득부(111), 그룹 분류부(112) 및 대표폭 산출부(113)는 대표폭을 산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대표폭 산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예컨대 CPU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대표폭 산출 장치(100)는 상기 저장부(12)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불러와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대표폭 산출 장치(100)는 출력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값, 예컨대 대표폭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14)는 소정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예컨대 LCD, PD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표폭 산출 방법(300)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대표폭 산출 방법(30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표폭 산출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표폭 산출 방법(300)은, 다수의 점들(P1 내지 P6)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10), 상기 점들(P1 내지 P6)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20)을 관통하는 직선(L)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P1 내지 P6)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S320), 및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 di,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 di를 이용하여 상기 평면도형(20)의 대표폭을 산출하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들(P1 내지 P6)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10)는, 2차원 직교좌표계 상 상기 점들(P1 내지 P6)의 2차원 좌표 (x, y)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표폭 산출 방법(300)은 상기 평면도형(20)의 선을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점들(P1 내지 P6)의 순서대로 각 점의 좌표 정보 (x, y)에 식별자를 부여하여 (xi, yi)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선(L)을 설정하는 단계(S320)는, 상기 평면도형(20)의 도심(C)을 지나되, 상기 평면도형(20)이 최대 또는 최소의 단면 2차 모멘트를 갖도록 하는 주축(A)과 평행하거나 직각인 직선(L, L')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심(C)의 좌표가 (cx, cy)이고 상기 직선(L)의 기울기가 m인 경우, 상기 직선(L)의 방정식은 mx - y + (cy - mcx) = 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도형(20)은 n 개의 꼭지점들을 갖는 다각형일 수 있으며, 상기 점들(P1 내지 P6)은 상기 꼭지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3 이상의 자연수이다.
그리고, 각 꼭지점의 좌표가 (xi, yi)인 경우(i = 1, ..., n), 도심(C)의 좌표값은 전술한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선(L)의 기울기 m은 전술한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들(P1 내지 P6)을 분류하는 단계(S320)는, 상기 직선(L)과 각 점 간의 거리 di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점들(P1 내지 P6) 중 상기 거리 di가 음수인 점을 상기 제 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거리 di가 양수인 점을 상기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 di는 전술한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표폭을 산출하는 단계(S330)는,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 di의 평균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 di의 평균값을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표폭 B는 전술한 수학식 4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표폭을 산출하는 단계(S330)는,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 di의 평균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 di의 평균값을 합산하는 단계, 상기 평면도형(20)의 면적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도형(20)의 면적을 상기 합산하여 얻은 값으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표폭 B는 전술한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10)는, 다수의 초기 점들(IP1 내지 IP16)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점들(IP1 내지 IP16)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상기 초기 점들(IP1 내지 IP16) 중에서 상기 대표폭 산출에 사용될 점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기 점들(IP1 내지 IP16)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점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 점들(IP1 내지 IP16) 중에서 상기 초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초기 평면도형(30)의 도심(C)과 가장 먼 제 1 초기 점(IP6)을 선택하는 단계(S311), 상기 제 1 초기 점(IP6)과 상기 초기 평면도형(30)의 도심(C)을 지나는 제 1 직선(L1)을 설정하는 단계(S312), 상기 초기 평면도형(30)의 도심(C)을 지나되 상기 제 1 직선(L1)에 수직한 제 2 직선(L2)을 설정하는 단계(S313), 상기 제 2 직선(L2)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초기 점(IP6)이 속하는 영역과 마주보는 영역에 속하는 초기 점들(IP1, IP10, IP11, IP12, IP13, IP14, IP15, IP16) 중에서, 상기 제 1 직선(L1)과 가장 가까운 제 2 초기 점(IP13)을 선택하는 단계(S314), 및 상기 제 1 초기 점(IP6)과 상기 제 2 초기 점(IP13)을 지나는 제 3 직선(L3)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초기 점들(IP6 내지 IP13)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고, 상기 제 3 직선(L3)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초기 점들(IP13 내지 IP16 및 IP1 내지 IP6)에 대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상기 초기 점들(IP1 내지 IP16) 중에서 대표폭 산출에 사용될 점들을 선택하는 단계(S3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점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 점들(IP1 내지 IP16)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더글러스-퍼커 알고리즘 또는 랑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단순화 또는 평활화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표폭 산출 방법(30)은 구조물의 대표폭 B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조물의 대표폭 B을 산출하는 방법은, 구조물에 위치한 다수의 점들(P1 내지 P6)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점들(P1 내지 P6)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20)을 관통하는 직선(L)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직선(L)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P1 내지 P6)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 di,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L) 간의 거리 di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대표폭 B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들(P1 내지 P6)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도 또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구조물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표폭 산출 방법(300)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표폭 산출 방법(300)은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00: 대표폭 산출 장치
10: 통신부
11: 처리부
12: 저장부
13: 입력부
14: 출력부
111: 정보 획득부
112: 그룹 분류부
113: 대표폭 산출부

Claims (20)

  1. 다수의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분류부; 및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평면도형의 폭을 대표하는 대표폭을 산출하되,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을 합산하여 상기 대표폭을 산출하거나, 상기 평면도형의 면적을 상기 합산하여 얻은 값으로 나누어 상기 대표폭을 산출하는 대표폭 산출부;
    를 포함하는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평면도형의 선을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점들의 순서대로 각 점의 좌표 정보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분류부는:
    상기 평면도형의 도심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은 상기 평면도형이 최대 또는 최소의 단면 2차 모멘트를 갖도록 하는 주축과 평행하거나 직각인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다수의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상기 초기 점들 중에서 상기 점들을 선택하는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더글러스-퍼커(Douglas-Peuker) 알고리즘 또는 랑(Lang)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상기 단순화 또는 상기 평활화를 수행하는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8. 다수의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평면도형의 폭을 대표하는 대표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표폭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을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을 합산하는 단계;
    상기 평면도형의 면적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도형의 면적을 상기 합산하여 얻은 값으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하는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도형의 선을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점들의 순서대로 각 점의 좌표 정보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평면도형의 도심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은 상기 평면도형이 최대 또는 최소의 단면 2차 모멘트를 갖도록 하는 주축과 평행하거나 직각인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방법.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다수의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상기 초기 점들 중에서 상기 점들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화 또는 평활화를 수행하여 점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 점들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더글러스-퍼커 알고리즘 또는 랑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상기 단순화 또는 상기 평활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방법.
  15. 구조물에 위치한 다수의 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분류부; 및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폭을 대표하는 대표폭을 산출하되,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을 합산하여 상기 대표폭을 산출하거나, 상기 평면도형의 면적을 상기 합산하여 얻은 값으로 나누어 상기 대표폭을 산출하는 대표폭 산출부;
    를 포함하는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도 또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구조물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17. 구조물에 위치한 다수의 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점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도형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점들을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폭을 대표하는 대표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표폭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을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과, 상기 제 2 그룹의 각 점과 상기 직선 간의 거리를 평균한 값을 합산하는 단계;
    상기 평면도형의 면적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도형의 면적을 상기 합산하여 얻은 값으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대표폭 산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도 또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구조물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대표폭 산출 방법.
  19.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제 13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방법, 또는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따른 구조물 대표폭 산출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20.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제 13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방법, 또는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따른 구조물 대표폭 산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02761A 2015-01-08 2015-01-08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648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761A KR101648371B1 (ko) 2015-01-08 2015-01-08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PCT/KR2016/000202 WO2016111587A1 (ko) 2015-01-08 2016-01-08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761A KR101648371B1 (ko) 2015-01-08 2015-01-08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977A KR20160085977A (ko) 2016-07-19
KR101648371B1 true KR101648371B1 (ko) 2016-08-17

Family

ID=5635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761A KR101648371B1 (ko) 2015-01-08 2015-01-08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8371B1 (ko)
WO (1) WO2016111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772B1 (ko) * 2017-11-01 2019-08-28 주식회사 위즈엑스퍼트 도형 생성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6019A (ja) * 2001-07-31 2006-10-19 Cad Center:Kk 三次元構造物形状の自動生成装置、自動生成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663A (ko) * 2006-06-23 2007-10-24 엠텍비젼 주식회사 시각인식센서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및 위치 인식시스템
JP5397811B2 (ja) * 2009-11-16 2014-01-22 独立行政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風圧力係数推定プログラム、風圧力係数推定装置および構造体の動作制御方法
KR20140031129A (ko) * 2012-08-30 2014-03-12 (주)지에스엠솔루션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반한 전방위 영상의 가상면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6019A (ja) * 2001-07-31 2006-10-19 Cad Center:Kk 三次元構造物形状の自動生成装置、自動生成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1587A1 (ko) 2016-07-14
KR20160085977A (ko) 201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06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 point cloud
US11495026B2 (en) Aerial line extraction system and method
JP6179913B2 (ja) 柱状物体抽出方法、柱状物体抽出プログラム、及び柱状物体抽出装置
US20140125657A1 (en) Three Dimensional Modeling And Drawing Extraction Tool
KR101572618B1 (ko) 라이더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Gunkel et al. Micro crack detection with Dijkstra’s shortest path algorithm
JP6201059B2 (ja) 地盤形状推定プログラム、地盤形状推定装置および地盤形状推定方法
CN107918953B (zh) 基于三维空间的激光扫描电力线点云的提取方法及装置
KR101648371B1 (ko) 평면도형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구조물 대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CN114897965B (zh) 一种三维场景开敞度分析的方法及系统
KR20140095420A (ko)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621858B1 (ko) 정점과 구조물이 위치하는 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산출하는 장치 및 방법
JP6958993B2 (ja) 土木工事の出来形評価システム、出来形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13641B1 (ko)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749834B1 (ko) 설계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079359B1 (ko) 항공 사진과 항공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구축 시스템
KR101115489B1 (ko) 항공 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격자 기반의 고해상도 수치모델링 입력자료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648367B1 (ko)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626498B1 (ko)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749837B1 (ko) 설계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CN107845136B (zh) 一种三维场景的地形压平方法
KR101648369B1 (ko)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CN113706712B (zh) 基于ar技术快速搭建变电站场景的方法及系统
KR101613632B1 (ko)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613642B1 (ko) 설계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