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358B1 - 금속의 열환원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의 열환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358B1
KR101648358B1 KR1020140117736A KR20140117736A KR101648358B1 KR 101648358 B1 KR101648358 B1 KR 101648358B1 KR 1020140117736 A KR1020140117736 A KR 1020140117736A KR 20140117736 A KR20140117736 A KR 20140117736A KR 101648358 B1 KR101648358 B1 KR 101648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ace
reducing
preheating
gat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203A (ko
Inventor
추동균
김영일
조길원
주웅용
박종민
박재신
한길수
최국선
이규창
박대규
김문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1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358B1/ko
Priority to CN201510398337.7A priority patent/CN106191444B/zh
Priority to US14/794,015 priority patent/US10287651B2/en
Publication of KR2016002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358B1/ko
Priority to US16/367,436 priority patent/US1113664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adapted for treating the charge in vacuum or special atmosphere
    • F27B9/042Vacuum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of multiple-track type; of multiple-chamber type; Combinations of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adapted for treating the charge in vacuum or special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005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열환원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의한 열환원 장치는, 피환원물(1)이 예열되며, 상기 피환원물을 환원부로 장입하는 예열부(10);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며, 상기 피환원물의 열환원반응이 일어나는 환원부(20);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피환원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부(30); 상기 예열부와 상기 환원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 밸브(40); 상기 환원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 밸브(40); 및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며, 금속기체가 응축되는 응축기(60); 를 포함하되, 상기 환원부의 내부에 설치된 제 1 차단막(51), 및 상기 환원부의 내부에 제 1 차단막과 이격되어 설치된 제 2 차단막(52)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의 열환원 장치{THERMAL REDUCTION APPRATUS FOR METAL PRODUCTION}
금속의 열환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의 제련방법은 건식제련, 습식제련, 전해제련, 염소제련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철 및 대부분의 비철금속은 건식 제련을 통해 순수 금속을 얻는다.
일반적인 비철금속의 건식제련 공정은 단광(briquette) 형태로 소결한 금속을 상압 또는 진공 분위기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순수금속을 열환원하게 된다.
마그네슘 금속을 열환원법으로 제련하기 위해서는 금속제의 원통형 리토르트 내에 소성된 돌로마이트와 페로실리콘 등의 환원제가 혼합된 단광을 장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한다.
가열과 동시에 리토르트 내의 압력을 진공으로 유지하면, 산화마그네슘은 실리콘에 의하여 환원되어 마그네슘 증기가 발생된다.
마그네슘 증기는 진공펌프에 의해 리토르트의 일측부에 장입되어 있는 응축관으로 이동하고 열영동(온도)에 의해 응축관의 내부 벽면부터 마그네슘 증기가 응축하기 시작하여 중심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마그네슘이 축적된다.
마그네슘 증기의 발생과 응축이 완료된 후 마그네슘이 응축된 응축관은 리토르트로 부터 분리하여 마그네슘을 회수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batch)식 제조 장치는 일정 시간대의 환원으로 일일 생산성 제한, 불연속적 장입 및 배출로 리토르트 내 열손실 발생, 일관 공정의 자동화 어려움 등 한계를 가지므로 연속적으로 마그네슘을 열환원 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일 실시예는 금속을 열환원 시키기 위한 열환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환원 장치는, 피환원물(1)이 예열되며, 상기 피환원물을 환원부로 장입하는 예열부(10);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며, 상기 피환원물의 열환원반응이 일어나는 환원부(20);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피환원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부(30); 상기 예열부와 상기 환원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 밸브(40); 상기 환원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 밸브(40); 및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며, 금속기체가 응축되는 응축기(70); 를 포함하되, 상기 환원부의 내부에 설치된 제 1 차단막(51), 및 상기 환원부의 내부에 제 1 차단막과 이격되어 설치된 제 2 차단막(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밸브는, 게이트 밸브 몸체; 및 게이트 밸브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 1 분리막 및 제 2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밸브는, 상기 게이트 밸브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불활성가스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밸브는, 진공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부 및 상기 환원부는 하나 이상의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부, 상기 환원부 및 상기 냉각부는 하나 이상의 진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원부는, 제 3 개구부와 상기 제 3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4 개구부를 포함하는 환원부 몸체; 및 환원부 몸체 내에 설치되는 제 1 차단막 및 제 2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단막은 상기 제 1 게이트 밸브와 상기 제 2 차단막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게이트 밸브와 상기 제 1 차단막 사이의 제 1 공간; 상기 제 1 차단막과 상기 제 2 차단막 사이의 제 2 공간; 및 상기 제 2 차단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밸브 사이의 제 3 공간을 가지되,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 2 공간에 연결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3 공간은 환원부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불활성 가스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공간 및 제 3 공간은 환원부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는 진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는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3 공간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은 1100℃ 내지 1300℃로 유지되며,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3 공간은 800℃ 내지 1000℃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차단막 및 상기 제 2 차단막은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예열부는, 제 1 개구부 및 제 1 개구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2 개구부를 구비하는 예열부 몸체; 상기 제 1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도어; 상기 예열부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진공장치; 및 예열부 몸체에 설치되어 피환원물을 예열하는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제 3 개구부 및 제 3 개구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4 개구부를 구비하는 냉각부 몸체; 상기 제 4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도어; 및 상기 냉각부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원부와 예열부를 연결하는 도관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환원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환원물은 마그네슘 단광이 환원제와 함께 소성된 소성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열환원 장치는 피환원물을 연속적으로 환원부에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금속을 열환원 시킬 수 있다.
또한, 리토르트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가열하는 경우에는 리토르트가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일 실시예에 의한 열환원 장치는 내부에서 피환원물을 가열하므로 열환원 장치의 수명이 증가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열환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일실시예에 의한 열환원장치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환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환원 장치는, 피환원물(1)이 예열되며, 상기 피환원물을 환원부로 장입하는 예열부(10);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며, 상기 피환원물의 열환원반응이 일어나는 환원부(20);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피환원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부(30); 상기 예열부와 상기 환원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 밸브(40); 상기 환원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 밸브(40); 및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며, 금속기체가 응축되는 응축기(60); 를 포함하되, 상기 환원부의 내부에 설치된 제 1 차단막(51), 및 상기 환원부의 내부에 제 1 차단막과 이격되어 설치된 제 2 차단막(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열부(10)는, 제 1 개구부 및 제 1 개구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2 개구부를 구비하는 예열부 몸체(11); 상기 제 1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도어(12); 상기 예열부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진공장치(70); 및 예열부 몸체에 설치되어 피환원물을 예열하는 온도 조절 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개구부는 제 1 게이트 밸브(4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부(10)는 피환원물(1)이 예열부로 유입되기 전에 피환원물을 예열하기 위하여 온도 조절장치(80)를 예열부 몸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 장치는 히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부(10)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예열부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진공장치를 설치 할 수 있다. 상기 진공장치는 진공펌프일 수 있다.
피환원물의 예열이 완료되면, 상기 예열부와 상기 환원부 사이의 게이트 밸브(40)를 열고 피환원물을 환원부(20)로 장입한다.
상기 게이트 밸브(40)는, 게이트 밸브 몸체(41), 및, 게이트 밸브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 1 분리막(42) 및 제 2 분리막(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밸브(40)는, 상기 게이트 밸브 몸체(41)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불활성 가스 주입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는 아르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밸브(40)는, 상기 게이트 밸브 몸체(41)의 일면을 관통하여 진공장치를 설치되는 진공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장치는 진공펌프일 수 있다.
상기 환원부(20)는, 제 3 개구부와 상기 제 3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4 개구부를 포함하는 환원부 몸체(21), 및 환원부 몸체 내에 설치되는 제 1 차단막(51) 및 제 2 차단막(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원부는 피환원물(1) 가열하기 위하여 온도 조절장치(80)를 환원부 몸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장치(80)는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제 1 차단막은 상기 제 1 게이트 밸브와 상기 제 2 차단막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게이트 밸브와 상기 제 1 차단막 사이의 제 1 공간(201), 상기 제 1 차단막과 상기 제 2 차단막 사이의 제 2 공간(202), 및 상기 제 2 차단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밸브 사이의 제 3 공간(20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차단막 및 상기 제 2 차단막은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차단막 및 상기 제 2 차단막은 공압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 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60)는 상기 제 2 공간에 환원부 몸체(21)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어 진공장치(7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진공장치는 진공펌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공간 및 상기 제 3 공간은 환원부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불활성 가스 주입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는 아르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공간 및 제 3 공간에 환원부 몸체(21)를 관통하여 응축기(6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는 진공장치(7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제 5 개구부 및 제 5 개구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6 개구부를 구비하는 냉각부 몸체, 상기 제 6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도어(32), 및 상기 냉각부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환원부와 예열부를 연결하는 도관을 설치하여 상기 환원부의 배가스를 포집하여 예열부에 재공급함으로써 환원부에서 발생된 폐열을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환원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또는 푸셔(pusher)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열환원장치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일실시예에 의한 열환원장치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들이다.
피환원물이 장입되면 제 1 도어(12)가 닫히고 피환원물이 예열된다.(도 2a)
이 때, 예열부(10)는, 예열부 몸체에 설치된 온도 조절장치(80)에 의하여 일정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의 예열부의 온도는 환원부의 온도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의 온도범위는 700℃ 내지 10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부(10)는 진공장치(70)에 의하여 진공 상태를 유지한다.
피환원물의 예열이 완료되면, 상기 예열부와 상기 환원부 사이의 게이트 밸브(40)를 열고 피환원물을 환원부(20)로 장입한다.
게이트 밸브 몸체(41) 내부는 불활성 가스 주입부(90)를 통하여 불활성가스가 주입되어 불활성가스 분위기가 유지된다. 또한, 진공 장치에 의하여 진공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예열된 피환원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반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환원물(1)은 예열부에서 제 1 공간(201)으로 먼저 장입된다. 이때, 제 1 공간은 제 2 공간으로부터 제 1 공간내로 금속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2 공간으로부터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 1 차단막(51)이 닫힌 상태이다.(도 2b)
또한, 제 1 공간(201)은 예열부(10)의 온도보다 높고 제 2 공간(202)의 온도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의 온도범위는 800℃ 내지 1000℃ 일 수 있다. 또한, 제 1 공간은 진공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제 1 공간으로 피환원물의 장입이 완료되면, 상기 예열부와 상기 환원부 사이의 게이트 밸브(40)가 닫히고, 제 1 차단막(51)이 열리면서 피환원물이 제 2 공간으로 장입된다.
이때, 제 1 공간에 불활성 가스 주입부(90)를 통하여 불활성 가스가 주입되고, 제 1 공간에 설치된 진공 장치를 가동하게 되면, 제 2 공간에서 유출된 금속기체는 제 1 공간에 설치된 응축기로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2 공간에서 유출된 금속 증기를 제 1 공간에 설치된 응축기에서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제 2 차단막은 금속증기의 유출 및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닫힌 상태이다. (도 2c)
제 2 공간은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 2 공간의 온도범위는 1100℃ 내지 1300℃ 일 수 있다.
제 2 공간에서는, 피환원물이 금속기체 형태로 환원되며, 환원된 금속기체는 응축기(60)에서 응축된다.
피환원물의 환원이 완료되면, 제 2 차단막이 열리면서 제 3 공간(203)으로 피환원물이 장입된다. 이때 환원부와 냉각부 사이에 설치된 게이트 밸브는 닫힌 상태이다.(도2d)
이때, 제 3 공간에 불활성 가스 주입부를 통하여 불활성 가스가 주입되고, 제 3 공간에 설치된 진공 장치를 가동하게 되면, 제 2 공간에서 유출된 금속기체는 제 3 공간에 설치된 응축기로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2 공간에서 유출된 금속 증기를 제 3 공간에 설치된 응축기에서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제 3 공간(203)은 냉각부(30)의 온도보다 높고 제 2 공간(202)의 온도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의 온도범위는 800℃ 내지 1000℃ 일 수 있다. 또한, 제 3 공간은 진공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제 3 공간(203)으로 피환원물의 장입이 완료되면, 환원부와 냉각부 사이에 설치된 게이트 밸브가 열리고, 피환원물은 진공상태의 냉각부(30)로 장입된다. 이 때, 제 2 도어는 닫힌 상태이다.(도2e)
이때, 게이트 밸브 몸체(41) 내부는 불활성 가스 주입부(90)를 통하여 불활성가스가 주입되어 불활성가스 분위기가 유지될 수 있다.
피환원물의 냉각이 완료되면, 냉각부를 상압으로 변환한 후 제 2 도어를 열고 피환원물을 배출한다. (도2f)
이 경우, 냉각방법은 공랭에 의할 수 있다.
상기 피환원물은 마그네슘 단광이 환원제와 함께 소성된 소성체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f 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쉽게하기 위하여 피환원물이 하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1 과 같이 하나 이상의 피환원물이 연속적으로 장입되고 배출되면서 피환원물을 열환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예열부
11: 예열부 몸체
12: 제 1 도어
20: 환원부
21: 환원부 몸체
201: 제 1 공간
202: 제 2 공간
203: 제 3 공간
30: 냉각부
31: 냉각부 몸체
32: 제 2 도어
40: 게이트 밸브
41: 게이트 밸브 몸체
42: 제 1 분리막
43: 제 2 분리막
51: 제 1 차단막
52: 제 2 차단막
60: 응축기
70: 진공장치
80: 온도조절장치
90: 불활성가스 주입부
100: 이송 장치

Claims (20)

  1. 피환원물이 예열되며, 상기 피환원물을 환원부로 장입하는 예열부;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며, 상기 피환원물의 열환원반응이 일어나는 환원부;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피환원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부;
    상기 예열부와 상기 환원부 사이 및 상기 환원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 밸브; 및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며, 금속기체가 응축되는 하나 이상의 응축기; 를 포함하되,
    상기 환원부는, 제 3 개구부와 상기 제 3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4 개구부를 포함하는 환원부 몸체; 및 환원부 몸체 내에 설치되는 제 1 차단막 및 상기 제 1 차단막과 이격되어 설치된 제 2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단막은 상기 게이트 밸브 중 상기 예열부와 상기 환원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게이트 밸브와 상기 제 2 차단막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게이트 밸브와 상기 제 1 차단막 사이의 제 1 공간; 상기 제 1 차단막과 상기 제 2 차단막 사이의 제 2 공간; 및 상기 게이트 밸브 중 상기 환원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게이트 밸브와 상기 제 2 차단막 사이의 제 3 공간을 가지되,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 2 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공간 및 제 3 공간의 환원부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밸브는, 게이트 밸브 몸체; 및 게이트 밸브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 1 분리막 및 제 2 분리막, 상기 게이트 밸브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불활성가스 주입부, 및 상기 게이트 밸브 몸체에 연결되어 게이트 밸브 몸체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기 위한 진공장치를 포함하는 열환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 및 상기 환원부는 하나 이상의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열환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 상기 환원부 및 상기 냉각부는 하나 이상의 진공 장치를 포함하는 열환원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단막 및 상기 제 2 차단막은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지는 열환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3 공간은 환원부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불활성 가스 주입부를 포함하는 열환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는 진공장치를 포함하는 열환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는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3 공간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되는 열환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은 1100℃ 내지 1300℃로 유지되며,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3 공간은 800℃ 내지 1000℃로 유지되는 열환원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는,
    제 1 개구부 및 제 1 개구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2 개구부를 구비하는 예열부 몸체;
    상기 제 1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도어;
    상기 예열부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진공장치; 및
    예열부 몸체에 설치되어 피환원물을 예열하는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열환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는 700℃ 내지 1000℃로 유지되는 열환원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제 3 개구부 및 제 3 개구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4 개구부를 구비하는 냉각부 몸체;
    상기 제 4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도어; 및
    상기 냉각부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장치를 포함하는 열환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공랭에 의하여 냉각되는 열환원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부와 예열부를 연결하는 도관이 설치된 열환원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환원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열환원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환원물은 마그네슘 단광이 환원제와 함께 소성된 소성체인 열환원 장치.
KR1020140117736A 2014-09-04 2014-09-04 금속의 열환원 장치 KR101648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736A KR101648358B1 (ko) 2014-09-04 2014-09-04 금속의 열환원 장치
CN201510398337.7A CN106191444B (zh) 2014-09-04 2015-07-08 热还原设备、该设备的闸门装置和冷凝系统及其控制方法
US14/794,015 US10287651B2 (en) 2014-09-04 2015-07-08 Thermal reduction apparatus for metal production, gate device, conden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367,436 US11136646B2 (en) 2014-09-04 2019-03-28 Thermal reduction apparatus for metal production, gate device, conden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736A KR101648358B1 (ko) 2014-09-04 2014-09-04 금속의 열환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203A KR20160029203A (ko) 2016-03-15
KR101648358B1 true KR101648358B1 (ko) 2016-08-17

Family

ID=5554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736A KR101648358B1 (ko) 2014-09-04 2014-09-04 금속의 열환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3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48B2 (ja) * 1991-11-29 1996-02-21 株式会社オギハラ 真空蒸発回収方法
KR100830194B1 (ko) * 2005-08-05 2008-05-16 히로히사 타니구치 연속식 금속 열처리 장치
KR20120074972A (ko) *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형 열환원 마그네슘 제조장치
KR101460286B1 (ko) * 2012-12-26 2014-11-21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203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738B1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
US11136646B2 (en) Thermal reduction apparatus for metal production, gate device, conden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8358B1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
CN203605704U (zh) 一种软磁烧结窑排胶区炉体结构
KR20120074972A (ko) 수직형 열환원 마그네슘 제조장치
KR20170088918A (ko) 실리콘 산화물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265281B1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
CN202347065U (zh) 一种二硫化钼微波脱硫装置
JP5114759B2 (ja) 石炭乾留ガス熱間処理設備及びコークス炉ガス熱間処理設備
MX2022003493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producir metal carburizado de reduccion directa.
MX2021011899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producir un metal reducido directo.
WO2018180155A1 (ja) 真空脱脂焼結炉
KR101501653B1 (ko) 연속식 마그네슘 제조장치
KR20160077528A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환원부 차단장치
KR101618737B1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단열벽
CN104357666A (zh) 一种由氮化镓中回收镓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装置
KR101618740B1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게이트 장치
JP6696959B2 (ja) 熱処理装置
KR101628655B1 (ko) 열환원장치
KR101618744B1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KR101998602B1 (ko) 염증류장치 및 방법
KR101538779B1 (ko)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CN204933150U (zh) 从尾气中回收显热能量和碳黑的装置
CN205517692U (zh) 一种熔炼钛铁矿的微波加热反应装置
CN110218880A (zh) 一种火法真空冶金还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