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744B1 -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 Google Patents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744B1
KR101618744B1 KR1020140161153A KR20140161153A KR101618744B1 KR 101618744 B1 KR101618744 B1 KR 101618744B1 KR 1020140161153 A KR1020140161153 A KR 1020140161153A KR 20140161153 A KR20140161153 A KR 20140161153A KR 101618744 B1 KR101618744 B1 KR 101618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ory
metal
space
graphit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동균
김영일
박재신
한길수
최국선
이규창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61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03Linings or walls
    • F27D1/0006Linings or walls formed from bricks or layer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pecific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환원되는 증기가 표면 기공을 통해 침투되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피환원물이 예열되는 예열부,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고 피환원물의 열환원반응이 일어나는 환원부,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며 피환원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부, 상기 예열부와 환원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게이트밸브, 상기 환원부와 냉각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게이트밸브,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고 금속증기가 응축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환원부의 환원부 몸체를 이루는 내화벽은, 내면을 이루며 금속증기와의 반응을 차단하기 위한 그라파이트재질의 내화물과,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열재, 외면을 이루는 스틸 재질의 외피, 상기 내화물과 외피 사이에 적층되어 금속증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THERMAL REDUCTION APPRATUS AND REFRACTORY WALL FOR THE SAME}
금속의 열환원 장치 및 금속의 열환원 장치를 위한 내화벽을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금속의 제련방법은 건식제련, 습식제련, 전해제련, 염소제련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철 및 대부분의 비철금속은 건식 제련을 통해 순수 금속을 얻는다.
일반적인 비철금속의 건식제련 공정은 단광(briquette) 형태로 소결한 금속을 상압 또는 진공 분위기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순수금속을 열환원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마그네슘 금속을 열환원법으로 제련하기 위해서는 금속제의 원통형 리토르트 내에 소성된 돌로마이트와 페로실리콘 등의 환원제가 혼합된 단광을 장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한다. 가열과 동시에 리토르트 내의 압력을 진공으로 유지하면, 산화마그네슘은 실리콘에 의하여 환원되어 마그네슘 증기가 발생된다.
마그네슘 증기는 진공펌프에 의해 리토르트의 일측부에 장입되어 있는 응축관으로 이동하고 열영동(온도)에 의해 응축관의 내부 벽면부터 마그네슘 증기가 응축하기 시작하여 중심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마그네슘이 축적된다.
마그네슘 증기의 발생과 응축이 완료된 후 마그네슘이 응축된 응축관은 리토르트로 부터 분리하여 마그네슘을 회수한다.
환원되는 증기가 표면 기공을 통해 침투되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단열성을 보장하면서 환원되는 증기와의 반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를 제공한다.
본 열환원 장치는, 피환원물이 예열되는 예열부,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고 피환원물의 열환원반응이 일어나는 환원부,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며 피환원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부, 상기 예열부와 환원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게이트밸브, 상기 환원부와 냉각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게이트밸브,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고 금속증기가 응축되는 응축기를 포함하여, 피환원물을 연속적으로 열환원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열환원 장치는 상기 피환원물을 예열부에서 배출부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원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환원부 몸체와, 상기 환원부 몸체 내부에 설치된 제1 차단막, 및 상기 환원부의 내부에 제1 차단막과 이격되어 설치된 제2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열부와 상기 환원부는 하나 이상의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열부, 상기 환원부 및 상기 냉각부는 하나 이상의 진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원부는 환원부 몸체 내부에서 제1 게이트밸브와 제1 차단막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과, 제1 차단막과 제2 차단막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 및 제2 차단막과 제2 게이트밸브 사이에 형성되는 제3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응축기는 제2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환원부의 환원부 몸체를 이루는 내화벽은, 내면을 이루며 금속증기와의 반응을 차단하기 위한 그라파이트재질의 내화물과,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열재, 외면을 이루는 스틸 재질의 외피, 상기 내화물과 외피 사이에 적층되어 금속증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금속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판은 스테인레스, 내열강, 인코넬(inconel), 인바(inva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화물은 기공이 상대적으로 치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파이트 보드와, 상기 그라파이트보드의 외측에 적층되며 기공이 상대적으로 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파이트 펠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적층되는 복수개의 세라믹 파이버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판은 내화물과 단열재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금속판은 내화물과 외피 사이에서 금속증기의 응축온도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피환원물은 마그네슘 단광이 환원제와 함께 소성된 소성체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단열성을 확보하면서 열환원된 금속 증기와의 반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화벽으로 금속증기가 침투되어 저온 영역에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금속 증기의 침투와 응축을 방지하여, 피환원물을 연속적으로 열환원 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환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환원장치의 내화벽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환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환원 장치는, 피환원물(1)이 예열되는 예열부(10),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고 피환원물의 열환원반응이 일어나는 환원부(20),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며 피환원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부(30), 상기 예열부와 환원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게이트밸브(40), 상기 환원부와 냉각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게이트밸브(41),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고 금속기체가 응축되는 응축기(60)를 포함한다.
상기 예열부(10)는 피환원물이 들어오는 제1 개구부 및 제1 개구부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1차 예열된 피환원물이 나가는 제2 개구부를 구비하는 예열부 몸체(13)와, 상기 제1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도어(14), 상기 예열부 몸체(13)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진공장치(7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개구부는 제1 게이트 밸브(4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예열부(10)는 예열부 몸체(13)에 설치되어 피환원물을 예열하는 온도 조절 장치(80)를 포함한다. 상기 예열부에서 피환원물을 예열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는 예를 들어, 히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부(10)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예열부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진공장치(7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진공장치는 예를 들어, 진공펌프일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밸브(40)는 게이트 밸브 몸체(43)와, 게이트 밸브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 분리막(44), 및 제2 분리막(4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밸브(40)는 상기 게이트 밸브 몸체(43)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불활성 가스 주입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는 아르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게이트 밸브(40)는 상기 게이트 밸브 몸체(43)의 일면을 관통하여 진공장치를 설치되는 진공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장치는 진공펌프일 수 있다. 제2 게이트 밸브(41)는 상기 제1 게이트 밸브(40)의 구조와 동일하다.
피환원물의 예열이 완료되면, 상기 예열부와 상기 환원부(20) 사이의 제1 게이트 밸브(40)를 열고 피환원물을 환원부(20)로 장입한다.
상기 환원부(2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열환원 공정을 통해 금속증기가 생성되는 환원부 몸체(21), 및 환원부 몸체 내에 설치되는 제1 차단막(51), 및 상기 제1 차단막(51)과 이격되어 설치된 제2 차단막(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원부는 피환원물(1)을 가열하기 위하여 온도 조절장치(80)를 환원부 몸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장치(80)는 히터일 수 있다.
상기 환원부 몸체는 제1 차단막과 제2 차단막에 의해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된다. 상기 환원부 몸체는 내부에 제1 게이트밸브와 제1 차단막 사이의 제1 공간(201)과, 제1 차단막과 제2 차단막 사이의 제2 공간(202), 및 제2 차단막과 제2 게이트밸브 사이의 제3 공간(203)을 구비한다.
상기 제2 공간의 온도는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3 공간의 온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2 차단막은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2 차단막은 공압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기(60)는 상기 제2 공간에 환원부 몸체(21)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어 진공장치(7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진공장치는 진공펌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3 공간은 환원부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불활성 가스 주입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는 아르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간 및 제3 공간에 환원부 몸체(21)를 관통하여 응축기(6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는 진공장치(7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30)는, 환원부를 거친 피환원물이 유입되는 냉각부 몸체(31), 상기 냉각부 몸체(31)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도어(32), 및 상기 냉각부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치는 상기 피환원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예를 들어, 컨베이어 또는 푸셔(pusher)일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100)는 피환원물을 예열부에서부터 냉각부까지 연속적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본 장치는 복수개의 피환원물을 연속적으로 열환원 처리하여 금속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환원부 몸체(21)는 내화벽(22)으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화벽(22)은 환원부 몸체(21) 내부에서 생성된 금속증기가 내화벽(22)과 반응하거나 내부로 침투하여 응축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화벽(22)은 환원부 몸체(21) 내면을 이루며 금속증기와의 반응을 차단하기 위한 그라파이트재질의 내화물과,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열재, 환원부 몸체(21) 외면을 이루는 스틸 재질의 외피(29), 상기 내화물과 외피(29) 사이에 적층되어 금속증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금속판(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환원부에서 생성된 금속증기는 환원부 몸체(21)를 이루는 내화벽(22)과 반응하거나 내화벽(22)에 침투하여 응축되지 않고, 응축기로 이송되어 응축되므로 금속증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금속판(26)은 금속증기와 반응하지 않는 재질이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금속판은 고온에서 산화가 잘 되지 않으며 열팽창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환원 장치가 마그네슘을 열환원하는 경우, 상기 금속판(26)은 마그네슘 증기와 반응하지 않는 스테인레스, 내열강, 인코넬(inconel) 또는 인바(invar)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화벽(22)은 환원부 몸체(21)의 내면쪽 즉, 도 2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좌측에 내화물이 배치되고, x축 방향을 따라 우측 방향 즉 환원부 몸체(21)의 외측면을 향해 금속판(26)과 단열재 및 외피(29)가 차례로 적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화물은 기공이 상대적으로 치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파이트 보드(23)와, 상기 그라파이트 보드(23)의 외측에 적층되며 기공이 상대적으로 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파이트 펠트(2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 보드(23)는 그라파이트 펠트(24,25)와 비교하여 기공이 치밀하여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상기 그라파이트 보드(23)는 기공이 치밀하여 금속증기의 반응 및 침투를 방지한다.
상기 그라파이트 펠트(24,25)는 그라파이트 보드(23)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기공이 커 치밀하지 못하고 밀도가 큰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라파이트 펠트(24,25)는 서로 두께 및 기공에 따른 밀도가 상이한 두 개가 적층된 구조를 이루며, 금속 증기와의 반응을 방지하면서 단열성을 부여하게 된다. 두 개의 그라파이트 펠트 중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그라파이트 펠트(24) 내측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그라파이트 펠트(25)가 외피쪽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는 적층되는 복수개의 세라믹 파이버 보드(27,2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재는 서로 두께가 상이한 두 개의 세라믹 파이버 보드(27,28)가 적층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세라믹 파이버 보드(27,28)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며 환원부 몸체(21)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단열성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판(26)은 내화물과 단열재 사이에 적층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26)은 그라파이트 펠트(24)와 세라믹 파이버 보드(28)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금속판(26)은 내화물과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어 내화물을 통해 침투한 금속 증기가 저온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금속판(26)에 의해 금속증기가 더 이상 외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금속증기가 내화벽(22)의 저온 영역에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판(26)의 설치 위치는 금속증기의 응축 온도와 관계가 있다. 환원부 몸체(21) 내부의 열은 내화벽(22)에 의해 단열되어, 외피(29)의 온도는 매우 낮다. 즉, 도 2에서 x축 방향을 따라 내화벽(22)의 내면에서 외면인 외피(29)로 갈수록 내화벽(22)의 내부 온도는 점차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금속판(26)의 설치 위치가 내화벽(22) 내에서 금속증기 응축 온도보다 낮은 온도 분포를 이루는 영역(A)에 위치하게 되면, 금속증기는 금속판(26)에 의해 차단되기 전에 내화벽(22) 내에서 응축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판(26)은 내화벽(22) 내면에서 외면을 향해 금속증기의 응축온도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영역(A) 내에 위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영역(A)은 금속 증기의 응축온도나 환원부의 내부 온도 및 내화벽(22)의 단열 성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슘 증기의 경우 응축이 시작되는 온도는 600℃ 이하이므로, 금속판(26)은 내화벽(22)의 내부 온도가 600℃보다 높은 영역에 위치하도록 내화벽(22)의 내화물과 외피(29) 사이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금속판(26)이 내화벽(22) 내에서 금속증기의 응축온도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영역 내에 설치됨으로써, 금속증기가 저온 영역으로 이동되기 전에 미리 차단하여 금속증기의 응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열환원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은 상기 피환원물로, 마그네슘 단광이 환원제와 함께 소성된 소성체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금속의 환원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예열부에 피환원물이 장입되면 제1 도어(14)가 닫히고 피환원물이 예열된다. 예열이 완료되면 상기 예열부와 상기 환원부 사이의 제1 게이트 밸브(40)를 열고 피환원물을 환원부(20)로 장입한다.
피환원물(1)은 예열부에서 환원부의 제1 공간(201)으로 장입된다. 이때, 제1 차단막은 닫힌 상태이다. 제1 차단막에 의해 환원부 몸체(21) 내부에서 제2 공간으로부터 제1 공간 내로 금속증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2 공간으로부터 제1 공간으로의 열전달이 차단된다. 또한, 제1 공간(201)은 예열부(10)의 온도보다 높고 제2 공간(202)의 온도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의 온도범위는 800℃ ~ 1000℃ 일 수 있다. 또한, 제1 공간은 진공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제1 공간으로 피환원물의 장입이 완료되면, 상기 예열부와 상기 환원부 사이의 제1 게이트 밸브(40)가 닫히고, 제1 차단막(51)이 열리면서 피환원물이 제2 공간(202)으로 장입된다. 이때, 제2 차단막은 금속증기의 유출 및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닫힌 상태이다.
피환원물이 제2 공간을 완전히 진입되면, 제1 차단막은 닫힌다. 그리고, 제1 공간에 불활성 가스 주입부(90)를 통하여 불활성 가스가 주입되고, 제1 공간에 설치된 진공 장치를 가동하게 되면, 제2 공간에서 제1 공간으로 유출된 금속증기는 제1 공간에 설치된 응축기로 이동한다. 이에 제2 공간에서 유출된 금속 증기를 제1 공간에 설치된 응축기를 통해 포집 처리할 수 있다. 제2 공간에서는 피환원물이 금속증기 형태로 환원되며, 환원된 금속증기는 응축기(60)에서 응축된다. 제2 공간은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2 공간의 온도범위는 1100℃ ~ 1300℃ 로 유지될 수 있다.
피환원물의 환원이 완료되면, 제2 차단막이 열리면서 제3 공간(203)으로 피환원물이 장입된다. 이때 환원부와 냉각부 사이에 설치된 게이트 밸브는 닫힌 상태이다. 피환원물이 제3 공간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제2 차단막이 닫힌다. 이때, 제3 공간에 불활성 가스 주입부를 통하여 불활성 가스가 주입되고, 제3 공간에 설치된 진공 장치를 가동하게 되면, 제2 공간에서 유출된 금속기체는 제3 공간에 설치된 응축기로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2 공간에서 유출된 금속 증기를 제3 공간에 설치된 응축기에서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제3 공간(203)은 냉각부(30)의 온도보다 높고 제2 공간(202)의 온도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의 온도범위는 800℃ ~ 1000℃ 일 수 있다. 또한, 제3 공간은 진공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환원부에서의 환원 과정에서 금속증기의 대부분은 환원부 몸체(21)를 구성하는 내화벽(22)에 침투되지 못하고 모두 응축기로 이송되나, 일부는 내화벽(22)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내화벽(22)으로 침투한 마그네슘 증기는 내화벽(22) 내에 설치된 금속판(26)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어 더 이상 외측으로 침투되지 못한다.
내화벽(22)은 내면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단열에 의해 점차적으로 내부 온도가 떨어진다. 환원부 내부에 위치한 내화벽(22)의 내면 온도는 약 1200℃에 이르며, 내화벽(22)의 외측면을 이루는 외피(29)의 온도는 약 200℃에 이른다.
내화벽(22) 내에서 금속판(26)은 대략 내화벽(22)의 내면으로부터 온도가 800℃ 정도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내화벽(22)으로 침투한 마그네슘 증기는 응축온도 이하의 온도 분포를 보이는 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금속판(26)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다.
마그네슘 증기의 응축 온도는 600℃ 이하이므로, 마그네슘 증기는 금속판(26)에 의해 차단되어 응축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보이는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내화벽(22) 내에서 응축되지 않는다.
제3 공간(203)으로 피환원물의 장입이 완료되면, 환원부와 냉각부 사이에 설치된 제2 게이트 밸브(41)가 열리고, 피환원물은 진공상태의 냉각부(30)로 장입된다. 이때, 제2 도어는 닫힌 상태이다. 피환원물의 냉각이 완료되면, 냉각부를 상압으로 변환한 후 제2 도어를 열고 피환원물을 배출한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피환원물이 연속적으로 장입되고 배출되면서 피환원물을 열환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예열부 13 : 예열부 몸체
14 : 제1 도어 20 : 환원부
21 : 환원부 몸체 22 : 내화벽
23 : 그라파이트 보드 24,25 : 그라파이트 펠트
26 : 금속판 27,28 : 세라믹 파이버 보드
29 : 외피 201: 제1 공간
202: 제2 공간 203: 제3 공간
30 : 냉각부 31 : 냉각부 몸체
32 : 제2 도어 40 : 제1 게이트 밸브
41 : 제2 게이트 밸브 43 : 게이트 밸브 몸체
44 : 제1 분리막 45 : 제2 분리막
51 : 제1 차단막 52 : 제2 차단막
60 : 응축기 70 : 진공장치
80 : 온도조절장치 90 : 불활성가스 주입부
100: 이송 장치

Claims (15)

  1. 피환원물이 예열되는 예열부,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고 피환원물의 열환원반응이 일어나는 환원부,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며 피환원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부, 상기 예열부와 환원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게이트밸브, 상기 환원부와 냉각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게이트밸브, 및 상기 환원부에 연결되고 금속기체가 응축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환원부의 환원부 몸체를 이루는 내화벽은, 내면을 이루며 금속증기와의 반응을 차단하기 위한 그라파이트재질의 내화물,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열재, 외면을 이루는 스틸 재질의 외피, 및 상기 내화물과 외피 사이에 적층되어 금속증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부는 내부에 설치된 제1 차단막, 및 상기 환원부의 내부에 제1 차단막과 이격되어 설치된 제2 차단막을 포함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부는 내부에 제1 게이트밸브와 제1 차단막 사이의 제1 공간과, 제1 차단막과 제2 차단막 사이의 제2 공간, 및 제2 차단막과 제2 게이트밸브 사이의 제3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응축기는 제2 공간에 연결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내화물과 외피 사이에서 금속증기의 응축온도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파이트 보드와, 상기 그라파이트보드의 외측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파이트 펠트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보드는 그라파이트 펠트와 비교하여 기공이 상대적으로 치밀한 구조이고, 상기 그라파이트 펠트는 그라파이트 보드와 비교하여 기공이 상대적으로 큰 구조의 금속의 열환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적층되는 복수개의 세라믹 파이버 보드를 포함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내화물과 단열재 사이에 적층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스테인레스, 내열강, 인코넬(inconel) 또는 인바(invar)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의 열환원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환원물은 마그네슘 단광이 환원제와 함께 소성된 소성체인 금속의 열환원 장치.
  10.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에 있어서,
    상기 내화벽은 내면을 이루며 금속증기와의 반응을 차단하기 위한 그라파이트재질의 내화물,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열재, 외면을 이루는 스틸 재질의 외피, 및 상기 내화물과 외피 사이에 적층되어 금속증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파이트 보드와, 상기 그라파이트보드의 외측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파이트 펠트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보드는 그라파이트 펠트와 비교하여 기공이 상대적으로 치밀한 구조이고, 상기 그라파이트 펠트는 그라파이트 보드와 비교하여 기공이 상대적으로 큰 구조의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적층되는 복수개의 세라믹 파이버 보드를 포함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내화물과 외피 사이에서 금속증기의 응축온도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내화물과 단열재 사이에 적층되는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KR1020140161153A 2014-11-18 2014-11-18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KR101618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153A KR101618744B1 (ko) 2014-11-18 2014-11-18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153A KR101618744B1 (ko) 2014-11-18 2014-11-18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744B1 true KR101618744B1 (ko) 2016-05-10

Family

ID=5602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153A KR101618744B1 (ko) 2014-11-18 2014-11-18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7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813B1 (ko) 1995-01-20 2003-02-05 도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스침탄방법및그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813B1 (ko) 1995-01-20 2003-02-05 도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스침탄방법및그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738B1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
RU2716571C2 (ru) Печь для плавки и выдерживания сплава
US7052643B2 (en) Method and an installation for subjecting carbon fabrics to high temperature heat treatment and to densification by chemical vapor infiltration
US4850576A (en) Heat treatment of materials
KR101618744B1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내화벽
BR112020015947B1 (pt)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coque metalúrgico a partir de carvão não coqueificável
JP2020049459A (ja) 廃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KR101618737B1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단열벽
JPS60213787A (ja) 熱処理用焼成炉
JP4740715B2 (ja) 炭素材料焼成炉および炭素材料の焼成方法
GB2106142A (en) Sintering refractory articles using direct-heated gases
JP2018016850A (ja) 加熱室に回収部を有するマイクロ波製錬装置
KR101648358B1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
CN112689689A (zh)
KR20160033875A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 및 열환원 방법
JP2016180043A (ja) フェロコークス製造用竪型乾留炉
KR20160077528A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환원부 차단장치
RU21057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еления кадмия из никель-кадмиевого скрапа
WO2021187964A1 (ko) 금속 소결체의 형성 방법
RU2534784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углеродсодержащих волокнист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1538779B1 (ko)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KR101618740B1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와 금속의 열환원 장치의 게이트 장치
KR101628655B1 (ko) 열환원장치
JPH0648316Y2 (ja) 熱処理炉
CN106744917A (zh) 一种超高温石墨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