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015B1 - 내화학성과 내충격성을 갖는 투명 아크릴 알로이 - Google Patents

내화학성과 내충격성을 갖는 투명 아크릴 알로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015B1
KR101648015B1 KR1020107018923A KR20107018923A KR101648015B1 KR 101648015 B1 KR101648015 B1 KR 101648015B1 KR 1020107018923 A KR1020107018923 A KR 1020107018923A KR 20107018923 A KR20107018923 A KR 20107018923A KR 101648015 B1 KR101648015 B1 KR 101648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rylic
alloy composition
transparent acrylic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765A (ko
Inventor
레슬리 에이. 코헨
플로렌스 멜만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끄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0012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하고, 우수한 내화학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아크릴 알로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 알로이는 이소프로필알콜, 지질 및 충격에 대한 내성이 그 조성물에 요구되는 생물약제학 및 의학적 응용분야에서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아크릴 알로이는 고분자량의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임의로 포함되는 충격 개질제 및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진 용융 블렌드를 함유한다.

Description

내화학성과 내충격성을 갖는 투명 아크릴 알로이{TRANSPARENT CHEMICAL RESISTANT IMPACT ACRYLIC ALLOY}
본 발명은 투명하고, 우수한 내화학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아크릴 알로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 알로이는 이소프로필알콜, 지질 및 충격에 대한 내성이 그 조성물에 요구되는 생물약제학 및 의학적 응용분야에서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아크릴 알로이는 고분자량의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임의로 포함되는 충격 개질제 및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진 용융 블렌드(melt blend)를 함유한다.
아크릴 조성물 및 이들로 만들어진 제품들은 투명도, 스파클링 칼라 및 표면 광택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아크릴 소재는 낮은 충격강도 또는 취성과, 의학적/생물약제학 작용제에 대한 제한적 내화학성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의학 및 생물약제학 응용분야에서는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되어 왔다. 이들 응용분야에는 투명성, 높은 수준의 내충격성뿐만 아니라 지질 및 용매(특히 이소프로필알콜)에 대한 내화학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인(strain) 조건하의 재료를 이용하여 내화학성을 시험한다.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서 플라스틱은 또한 정상 가공 온도에서 잘 유동하여야 한다. 플라스틱 제품은 재사용가능한(살균가능한) 제품이거나 또는 일회용 제품일 수 있다.
의학 및 생물약제학 응용분야에서는 스티렌을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가 이용되어 왔다. 스티렌은 가공시 재료가 수월하게 유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론 내화학성에도 기여한다.
미국특허 제5,219,931호에는 내용매성이며 열가소적으로 가공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바람직하게는 4~50 중량%) 및 코어-쉘 아크릴 공중합체(바람직하게는 50~96%)의 블렌드가 기재되어 있다. 이 참조 문헌에는 고도로 가교 결합된 아크릴 고분자 및 가교 결합되지 않은 메틸 메타크릴계 중합체(methyl methacrylic polymers)가 기재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6,689,827호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블렌드가 기재 고분자(matrix polymer)인 내충격성 열가소성 투명 성형소재가 기재되어 있다.
국제출원 제2007/064529호에는 낮은 수준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함유한 캡스톡(capstock)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 참조 문헌은 고분자량의 아크릴 조성물을 가공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유동 산(flow-acids)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를 10 내지 45 중량% 포함하는 미국특허 제4,868,036호, 그리고 플루오로 중합체를 30 내지 95 중량% 포함하는 미국출원 제2007/018527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크릴계 중합체를 개질 하는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미국특허 제5,599,863호에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감마선 조사 살균성능을 향상시키고자, 부틸화 하이드록실 톨루엔 외에도, 선택된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스티렌 및 다른 공단량체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현재의 의학 및 생물약제학 응용분야에서의 성능 표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전아크릴계 열가소성 소재(all-acrylic thermoplastic material)가 요구된다. 높은 내용매성(이소프로필알콜) 및 높은 내지질성(lipid resistance)이 주요 조건들이다. 내지질성은, 종종 가정용 응용분야(즉, 암 치료용 약물)에서 발견되는 좀 더 강력한 지질에 대한 저항성을 포함한다. 복잡한 부품들을 형성하도록, 조성물은 또한 양호한 가공 유동성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종양(암) 치료제의 최신 세대에서는 지질을 운반체로 이용하여 인체 내에 치료제를 도입한다. 가장 최근의 내지질성 폴리카보네이트를 업그레이드함으로써, 비-수용성 약제를 투여하기 위해 지질 에멀젼에 대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요구사항들이 충족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의료 장치 제조자들에 의하면 이들 PC 등급은 그 성능 면에 있어서 여전히 부족하다.
놀랍게도, 소량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및 기타 첨가제와 혼합된 비교적 고분자량의 전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가, 투명 플라스틱 소재에 대한 산업적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내화학성, 투명도 및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종래 기술은, 용융 가공 거동을 향상하면서 동시에 내충격성 아크릴계 제제의 내화학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언급하고 있지는 않다. 우리는 이례적일 정도로 우수한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한편 비-스티렌에 기초한 내충격 열가소성 아크릴계 소재의 바람직한 성질들을 보유한 내충격성 의료등급의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중합체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90 내지 99.5 중량%와 C1-4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0.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g/몰을 초과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 80 내지 96 중량%;
b) 저분자량의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가공조제(processing aid) 3 내지 15 중량%;
c) 폴리에틸렌 글리콜 0 내지 3 중량%; 및
d)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1 내지 5 중량%(전체 합계를 100%로 함)를 포함하는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는 내충격성-개질 아크릴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은 고분자량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 선택적으로는 내충격성-개질 아크릴계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 2 내지 5 중량% 및 유동 향상제와 혼합된다. 이러한 특정 조성물에 의해, 균형 잡힌 용융 가공 거동과 내화학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임의로 포함되는 충격 개질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는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의 80 내지 96 중량%를 구성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을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125,000을 초과하고 400,000(바람직하게는 250,000) 미만인 고분자량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 공중합체 또는 삼원중합체로서, 90 내지 99.5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9.5 중량%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및 0.5 내지 10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들로 형성된다. 단량체 혼합물에 유용한 기타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들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톡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톡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톡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틸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포함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틸 아크릴산과 같은 알킬(메트)아크릴산 및 아크릴산은 단량체 혼합물용으로 유용할 수 있다. 중합체의 가공 거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낮은 함량 수준의 다기능성 단량체를 가교결합제로 이용할 수도 있다. 적합한 가교결합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트리아크릴레트 및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N-하이드록시메틸 아크릴아미드, N,N-메틸렌 디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타크릴아미드, 트리알릴 시트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실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및 이와 유사한 것이 포함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공중합체는 임의 구조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는 95 내지 99.5 중량%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및 0.5 내지 5 중량%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중량%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를 함유한 랜덤 공중합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97 내지 99.5 중량%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한 랜덤 공중합체이다.
선택적으로, 충격 개질제 1종 이상이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내에 분산될 수 있다. 알로이 내에 존재하는 경우, 충격 개질제는 알로이의 10 내지 66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 중량%를 구성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임의로 내충격성-개질 공중합체일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내충격성-개질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의 30 내지 70 중량%를 구성한다. 내충격성-개질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는 30 내지 70 중량%의 충격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충격 개질제 중 비-가교결합된 부분은 전아크릴계(all-acrylic)이다. 충격 개질제는 코어-쉘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코어-쉘 다층구조의 공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경질(hard) 블록과 하나 이상의 연질(soft)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한 충격 개질제이다. 코어-쉘(다층구조) 충격 개질제는 연질(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코어 및 경질 쉘; 연질 엘라스토머층이 도포된 경질 코어, 및 경질 쉘;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코어-쉘 형태(morphology)를 가질 수 있다. 고무층은 낮은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그 예로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A),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부타디엔(BD), BD/스티렌,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및 기타 여러 조합물이 포함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충격 개질제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코어를 갖는 코어-쉘 개질제이다. 일 구현예에서, 이러한 코어-쉘 충격 개질제는 부틸 아크릴레이트에 기초한 4단계 충격 개질제이다.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충격 개질제는 전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이다. 블록 공중합체는 선형, 분지형, 성형(star), 빗살형이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중합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는 이블록(di-block), 삼블록(tri-block)이거나 또는 다수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는 제어 라디칼 중합(CRP)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의 장점은, 코어-쉘 충격 개질제와 비교하여 용융 유동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과, 투명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원에 참조로써 통합된 미국출원 제60/762655호(국제출원 제07/89452호)에서 유용한 블록 공중합체의 예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는, 내화학성, 용융 유동성, 및 광학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내충격성을 개선하기 위해, 알로이 조성물에 제어 라디칼 중합 공정에 의해 형성된 부틸 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 아크릴레이트 삼블록 공중합체를 첨가시킨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충격 개질제 외에, 본 발명의 아크릴계 알로이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를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 함유한다.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가 단일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80 중량% 이상의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단량체 단위와 0.5 내지 20 중량%의 다른 공중합 가능한 플루오로 단량체를 포함한 공중합체 또는 삼원 공중합체일 수도 있으며, 이때 공중합 가능한 플루오로 단량체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펜, 비닐 플루오라이드, 펜타플루오로프로펜, 퍼플루오로메틸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프로필 비닐 에테르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쉽게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다른 단량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를 활용하여 다단계 충격 개질제의 굴절율을 아크릴계 기재의 굴절율과 맞춤으로써, 비교적 낮은 헤이즈(haze)를 갖는 투명 제품을 제조한다. 이는 당해 기술분야의 MBS 충격 개질제를 함유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를 능가하는 개선 사항일 것이다. 또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는 저온 가공 조건이 가능하게 하며, 스트레인 하의 내화학성 향상을 위한 개선된 인성을 제공하고 용융 가공 조건 하에 전단박화 거동(sheer thinning behavior)을 개선한다. 어떤 특정의 이론에 의해 구속받고자 함은 아니지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불소화 화학구조가 내화학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는 또한 허용 가능한 용융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용융 가공조제 1종 이상을 함유한다. 내충격성-개질 아크릴로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들이 유용한 용융 가공조제이며, 이러한 가공조제로는 저분자량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알킬 글리콜이 포함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분자량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는 아크릴계 단량체 2종 이상을 가진 중합체(공중합체 및 삼원 중합체를 포함함)가 포함된다.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알로이 내에 3 내지 15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중량%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의하면,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이 공중합체는 내화학성과 광학적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용융 가공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알킬 글리콜을 추가적인 용융 가공조제로 임의 사용가능하다. 폴리알킬 글리콜은 본 발명의 알로이 내에 0 내지 3 중량%로 존재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3500)이 바람직한 폴리알킬글리콜이며, 이 또한 내화학성과 광학적 성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용융 가공성을 개선한다. 일 구현에에 의하면,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에는 어떠한 폴리알킬 글리콜도 함유되어 있지 않다.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본 조성물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함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에는 다른 보조제(adjuvants)가 2 중량% 미만의 수준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유용한 보조제로는, 윤활제, 감마선 조사 안정화제, 항산화제, 염료 및 착색제가 포함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유용한 윤활제로 스테아릴알콜이 있으며, 일 구현예에 의하면 이러한 윤활제는 0.5 중량%의 수준으로 사용된다.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감마선 조사 안정화제는, 황변 되는 알로이 조성물 및 황색도로부터 재생되는 알로이 조성물에 가해지는 살균 조사 효과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구현예에서 부틸 락테이트는 0.5 내지 1 중량%로 사용된다. 용융 가공 조건 하에서 조성물이 황변 되는 현상을 줄이도록 Irganox 126과 같은 항산화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알로이 조성물을 이루는 여러 성분을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혼합할 수 있다. 압출 블렌딩을 포함한 용융 블렌딩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성분을 어떠한 순서로든지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은 이례적일 정도로 우수한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한편, 낮은 헤이즈, 높은 광투과율, 낮은 복굴절, 양호한 기계적 성질, 및 당해 기술분야에 따른 아크릴/스티렌에 기초한 의학적 등급 아크릴을 능가하는 다른 이점들과 같은 바람직한 성질들을 보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로이의 광투과율은 ASTM E1331과 ASTM E1164를 이용하여 Hunterlab colorimeter(색차계) D25 모델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80%를 초과하였으며 바람직하게는 85%를 초과하였다. 헤이즈 수준은 ASTM D1003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10% 미만이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이었다. 이들 아크릴계 알로이 고분자는, 낮은 헤이즈 외에도, 감마선 조사 또는 산화에틸렌 가스 하에서의 살균능력에 더하여, 자외선 및 실내조명 하에서 우수한 내후성과 비황변 특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재료는 경쟁관계에 있는 P(MMA/S)/MBS 내충격 고분자에 비해 향상된 내화학성을 스트레인 하에서 보여주었다.
본 발명의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는 여러 응용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알로이의 투명성, 내용매성(이소프로필알콜) 및 내지질성(lipid resistance) 덕분에, 의학 및 생물약제학적 응용분야에서 특히 유용하다. 향상된 내화학성을 가진 내충격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은, 의학적 용도 외에도, 투명도와 내화학성이 중요시되는 기타 응용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분야의 예로는 전기 기구(appliances), 냉장고용 용기, 식기세척기 사용이 가능한 항목, 장난감, 수영장 및 스파 등이 포함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
표 1에 있는 성분들(아크릴계 기질, PVDF, 충격 개질제, 윤활제, 항산화제 및 임의의 다른 성분)을 American Leistritz사의 이축 압출기에서 다음과 같은 압출 조건 하에 압출 블렌딩 하였다: T = 220-235℃, 금형 내 평균 압력: 약 400 psi, 스크류 회전속도: 약 300 rpm. 실험실 압출기 생산수율은 시간당 약 5 파운드였다.
성분 중량% 범위
PLEXIGLAS Q-clean 35-45
KYNAR 710 2-5
4단계 BA(Arkema Inc.)에 기초한 충격 개질제 40-50
Paraloid B60(Rohm and Haas) 5-15
PEG 3350 0-2
스테아릴 알콜 0.5
부틸 락테이트 0.9

Claims (16)

  1. a) 전체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80 내지 96 중량%의 내충격성 개질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로서,
    상기 내충격성 개질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는, 당해 내충격성 개질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를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70 중량%의 아크릴계 공중합체(1) 및 30 내지 70 중량%의 하나 이상의 충격 개질제(2)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1)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90 내지 99.5 중량%와 C1-4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C1-4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0.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며 125,000 g/몰을 초과하는 고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내충격성 개질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
    b) 전체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3 내지 15 중량%의 저분자량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용융 유동 가공조제로서, 분자량이 100,000 g/몰 미만인 저분자량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용융 유동 가공조제;
    c) 전체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3 중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d) 전체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 중량%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포함하고,
    성분 a) 내지 성분 d)의 전체 합계를 100%로 하는,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내충격성 개질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를 기준으로 하여, 35 내지 45 중량%의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55 내지 65 중량%의 상기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는,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95 내지 99.5 중량%와 에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0.5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내충격성 개질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60 중량%의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40 내지 50 중량%의 상기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는,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개질제가 코어-쉘 충격 개질제인 것인,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개질제의 코어가 부틸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개질제가 제어 라디칼 중합 공정에 의해 형성된 블록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전체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80 내지 95 중량%의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기재 및 2 내지 5 중량%의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포함하는,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가 단일 중합체인 것인,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가 공중합체인 것인,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광투과율은 ASTM E1331과 ASTM E1164를 이용하여 Hunterlab colorimeter(색차계) D25 모델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80%를 초과하는 것인,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헤이즈 수준은 ASTM D1003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10% 미만인 것인,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지 않는 것인, 투명 아크릴계 알로이 조성물.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07018923A 2008-02-25 2009-02-04 내화학성과 내충격성을 갖는 투명 아크릴 알로이 KR101648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10208P 2008-02-25 2008-02-25
US61/031,102 2008-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765A KR20100127765A (ko) 2010-12-06
KR101648015B1 true KR101648015B1 (ko) 2016-08-12

Family

ID=4101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923A KR101648015B1 (ko) 2008-02-25 2009-02-04 내화학성과 내충격성을 갖는 투명 아크릴 알로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24826B2 (ko)
EP (1) EP2254752B1 (ko)
KR (1) KR101648015B1 (ko)
CN (1) CN101952117B (ko)
BR (1) BRPI0907893B1 (ko)
MX (1) MX2010009182A (ko)
WO (1) WO2009108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2451871T1 (sl) * 2009-07-07 2014-12-31 Evonik Roehm Gmbh Sestavki iz umetne mase za oblikovanje, oblikovanci in postopki proizvodnje
US8835544B2 (en) * 2009-11-17 2014-09-16 Arkema France Impact resistant acrylic alloy
US8502654B2 (en) 2010-03-17 2013-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nd method
TWI405664B (zh) 2010-12-22 2013-08-21 Ind Tech Res Inst 有機/無機混成薄膜及其製造方法
KR20180128033A (ko) * 2016-03-25 2018-11-30 아르끄마 프랑스 향상된 용융 강도의 아크릴 제형
FR3053348B1 (fr) * 2016-06-29 2020-03-27 Arkema France Composition comprenant un polymere a phases multiples et deux polymeres (meth)acryliques differents,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article la compenant
EP3632938B1 (en) * 2018-10-05 2023-05-03 Trinseo Europe GmbH Vinylidene substituted aromatic monomer and cyclic (meth)acrylate ester polymers
US11807699B2 (en) * 2018-12-19 2023-11-07 Röhm Gmbh Acrylic composition having an increased resistance to alcohols, oils and fats
WO2022218988A1 (en) * 2021-04-14 2022-10-20 Röhm Gmbh New method for sterilization of formed articles made of acrylic-based polymers
EP4370601A1 (en) 2021-07-16 2024-05-22 Röhm GmbH Transparent acrylic polymer composition having an increased resistance to alcohols and fa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7430A1 (en) 1999-08-25 2002-06-20 Daniel Zimmerman Electrostatic-dissipative multipolymer compositions
WO2007064529A2 (en) 2005-12-01 2007-06-07 Arkema France Fluoropolymer modified acrylic capstock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65780A (en) * 1965-02-15 1967-04-19 American Cyanamid Co Poly(vinylidene fluoride) compositions
FR2620127A1 (fr) * 1987-09-04 1989-03-10 Charbonnages Ste Chimique Composition polymere a base de fluorure de vinylidene et de methacrylate de methyle
DE3907019A1 (de) * 1989-03-04 1990-09-06 Roehm Gmbh Thermoplastisch verarbeitbare loesungsmittelbestaendige kunststoffmischungen
CA2050989A1 (en) * 1990-09-18 1992-03-19 Robert L. Post Resin compositions
US5599863A (en) * 1994-06-17 1997-02-04 Cyro Industries Gamma radiation sterilizable acrylic polymer
DE19713895A1 (de) 1997-04-03 1998-10-08 Basf Ag Transparente, schlagzähmodifizier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DE69918607T2 (de) * 1998-03-05 2005-07-21 Solvay Solexis, Inc., Wilmington Witterungsbeständig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aus Polyvinylidenfluorid,die Polymethylmethacrylat enthalten
KR100508906B1 (ko) * 2002-11-20 2005-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E102004024429A1 (de) * 2004-05-14 2005-12-08 Röhm GmbH & Co. KG Formkörper, enthaltend eine Polymermischung aus schlagzähmodifizierten Poly(meth)-acrylat und Fluorpolymer
US20060074161A1 (en) * 2004-09-28 2006-04-06 Shi-Jun Yang Stabilized UV transparent acrylic composition
US7811659B2 (en) * 2006-01-27 2010-10-12 Arkema France High optical purity copolymer fil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7430A1 (en) 1999-08-25 2002-06-20 Daniel Zimmerman Electrostatic-dissipative multipolymer compositions
WO2007064529A2 (en) 2005-12-01 2007-06-07 Arkema France Fluoropolymer modified acrylic capst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24218A1 (en) 2010-12-23
KR20100127765A (ko) 2010-12-06
MX2010009182A (es) 2010-10-25
BRPI0907893A2 (pt) 2015-07-28
EP2254752B1 (en) 2018-03-28
US8524826B2 (en) 2013-09-03
WO2009108469A1 (en) 2009-09-03
CN101952117A (zh) 2011-01-19
EP2254752A4 (en) 2012-03-21
BRPI0907893B1 (pt) 2019-01-15
EP2254752A1 (en) 2010-12-01
CN101952117B (zh)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015B1 (ko) 내화학성과 내충격성을 갖는 투명 아크릴 알로이
US20120142823A1 (en) Translucent and opaque impact modifiers for polylactic acid
EP0249865A2 (en) Blends of an ASA terpolymer, an acrylic polymer and an acrylate based impact modifier
KR102173664B1 (ko) 플루오르화된 필름
KR20190115092A (ko)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산-작용화된 공중합체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아크릴 수지 조성물
EP2530097A1 (en) Impact modifier for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transparenc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9617415B2 (en) Polycarbonate blen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A2868775C (en) Polycarbonate blend articl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230227643A1 (en) Polymeric composition, its method of preparation, its use and object comprising it
US11472953B2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CN106084715A (zh) 耐刮擦透明pc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618329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WO1994019406A1 (en) Improved high heat acrylics
KR101214647B1 (ko) 내충격성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KR101584447B1 (ko)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투명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
JP5385518B2 (ja) 流動性改質剤、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US10851234B2 (en) Acrylic composition
US9988527B2 (en) Impact resistant transpare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WO2023285593A1 (en) Transparent acrylic polymer composition having an increased resistance to alcohols and fats
JPS6090209A (ja) 後架橋性のない多層構造アクリル樹脂組成物
FR2823757A1 (fr) Materiau polymere methacrylique anticalcaire, composition methacrylique polymerisable pour l'obtenir et articles faconnes anticalcaires obtenus a partir de ce materiau
JP2010037386A (ja) 耐衝撃性メタクリル系樹脂キャスト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01353A (ja) 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
CA2521583A1 (en) Die-cuttable acrylic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