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887B1 -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 - Google Patents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887B1
KR101647887B1 KR1020140140432A KR20140140432A KR101647887B1 KR 101647887 B1 KR101647887 B1 KR 101647887B1 KR 1020140140432 A KR1020140140432 A KR 1020140140432A KR 20140140432 A KR20140140432 A KR 20140140432A KR 101647887 B1 KR101647887 B1 KR 10164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mposite material
glass
glass spheres
sphe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950A (ko
Inventor
이영철
심중원
이주동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8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Abstract

본발명은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유리구가 금속부재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유리구가 금속부재 내부에 포함됨으로써, 가볍고, 부력이 크며, 강도가 크며, 단열성이 우수하고 첨가되는 유리구나 금속구의 분량에 따라 부력제의 밀도조절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floating thing of composite material with glass beads}
본발명은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재질 내부에 중공의 유리구를 혼합시킴으로써, 내충격성 및 단열성이 우수해짐과 동시에 밀도 조절이 가능한,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위에 물체를 띄우기 위해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제가 개발되어왔고, 일례로서, 공개특허공보 10-2008-0066524호에는 금속재 부구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1) 편평한 금속판재를 딥 드로잉(deep drawing) 가공으로 성형하여, 일 개방면과 상기 개방면의 주연부에는 돌출된 테두리가 마련되는 원통, 각통 또는 반구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구편을 한 쌍으로 제작하는 부구편 성형단계; 2) 얇은 강판의 중간부에 서로 이격된 두 개의 관통홀을 펀칭 가공한 후 상기 중간부를 절곡시켜 상기 두 개의 관통홀이 서로 마주보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양 측에는 날개편을 절곡 형성시켜 그 단면이 형상과 같은 연결고리를 제작하는 단계; 3) 상기 부구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구편 바닥 외면에 상기 연결고리를 접합하되, 상기 접합은 상기 선택된 부구편 바닥 외면에 상기 연결고리의 날개편을 맞댄 후 함몰된 홀이 형성된 하부금형 상에 위치시킨 다음 펀치 형의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의 홀에 상기 접합부(부구편 바닥면과 날개편이 겹쳐진 부분)를 밀어 넣어 상기 접합부의 자체 신률과 그 두께 차이에 의해 접혀 접합되도록 하는 일 부구편과 연결고리의 접합단계; 4) 상기 한 쌍의 부구편 각각을 서로의 테두리가 접하도록 맞대어 접합된 밀폐된 부구를 제작하되, 상기 접합은 심 용접법(seam welding)으로 이루어지는 부구의 접합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재 부구의 제작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11-0011222호에는 타포린시트제로 된 중공체튜브와 중공체튜브 양단에 접합되며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물로 된 반구형의 외벽체로 구성되어 주벽 양측에 부착돌기가 형성되어 연결끈 체결용 구멍이 형성되고 일측 외벽체는 중앙부에 공기주입밸브가 장치되는 부구에 있어서, 반구형체로 된 부구 외벽체의 외주에 직경이 확대되는 환상돌출테를 환상으로 형성하여 외벽체와 돌출테 사이에 환상요입홈이 형성되게 한 어구용 부구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중량이 무거운 반면, 부력이 적으며,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유리구가 금속부재 내부에 포함됨으로써, 가볍고, 부력이 크며, 강도가 크며, 단열성이 우수하며, 첨가되는 유리구 및 금속구의 분량에 따라 밀도조절이 가능한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유리구가 금속부재 내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유리구가 금속부재 내부에 포함됨으로써, 가볍고, 부력이 크며, 강도가 크며, 단열성이 우수하고 첨가되는 유리구나 금속구의 분량에 따라 부력제의 밀도조절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2는 본발명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의 전자현미경 확대사진
본발명은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유리구가 금속부재 내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철 등 철계 및 비철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제에는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금속구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2는 본발명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의 전자현미경 확대사진이다.
본발명 유리구가 혼합된 부력제는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유리구와, 금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봉 또는 판재 형상의 금속부재 내부에 다수 개의 유리구들이 혼재하는 것이다.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철 등 철계 및 비철계이다.
제조방법은 용융된 금속을 형틀 내부에 주입하되, 미리 성형된 내부가 비어있는 구형의 유리구를같이 혼합한 후 냉각된 후 꺼집어 내면 된다. 밀도가 가벼운 유리구 및 금속구를 용융금속 내 균일하게 분포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활용한 관용적 진동방식을 활용한다
상기 내부가 비어있는 구형의 유리구는 관용의 널리 알려진 방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부력제에는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금속볼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금속구는 용융금속보다 융점이 높은 티타늄, 스텐레스 재질 등으로 만든다.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가 비어있는 구형의 금속구는 관용의 널리 알려진 방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유리구가 금속부재 내부에 포함됨으로써, 가볍고, 부력이 크며, 강도가 크며, 단열성이 우수하고 첨가되는 유리구나 금속구의 분량에 따라 부력제의 밀도조절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유리구 20 : 금속부재

Claims (3)

  1.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유리구(10)가 금속부재(20) 내부에 포함되는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봉 또는 판재 형상이며, 철계 또는 비철계인 것이며,
    상기 복합소재 부력제에는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금속구(3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유리구와 금속구는 제조시 초음파 진동방식으로 용융금속내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금속구는 금속부재보다 융점이 높은 재질이며, 첨가되는 유리구나 금속구의 분량에 따라 복합소재 부력제의 밀도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
  2. 삭제
  3. 삭제
KR1020140140432A 2014-10-17 2014-10-17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 KR10164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32A KR101647887B1 (ko) 2014-10-17 2014-10-17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32A KR101647887B1 (ko) 2014-10-17 2014-10-17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950A KR20160045950A (ko) 2016-04-28
KR101647887B1 true KR101647887B1 (ko) 2016-08-12

Family

ID=5591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432A KR101647887B1 (ko) 2014-10-17 2014-10-17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8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5668A1 (de) * 2003-11-28 2005-06-23 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einnützige GmbH Isolationsmaterial
KR20070000153U (ko) * 2007-01-12 2007-02-01 이종관 금속재 둥근머리 이중접합 제조 방법
KR20100003920A (ko) * 2008-07-02 2010-01-12 주식회사 테크팩홈솔루션 고강도 발포유리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영철, 심중원, 진선미, 진종성, "해양플랜트용 차세대 첨단 부력소재 개발", 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p44.(2014.09.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950A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887B1 (ko) 유리구가 혼합된 복합소재 부력제
JP2017105497A5 (ko)
US20130078034A1 (en) Building block
CN102877441B (zh) 一种拦截水面高速艇的水域安全防护阻拦装置
WO2011016128A1 (ja) ルアー
CN202809568U (zh) 一种拦截水面高速艇的水域安全防护阻拦装置
CN109210010A (zh) 一种泵壳及其制造方法
KR102107221B1 (ko) Epp소재 친환경 대형 부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대형 부표
KR101854800B1 (ko) 구형탱크 및 구형탱크 제작방법
RU2017103997A (ru) Запорный элемент
CN105033589A (zh) 爆炸成型球罐体的方法
KR200399467Y1 (ko) 조립이 용이한 금속볼
KR101857880B1 (ko) 유리질 미소 중공체가 함유된 경량 구조체
KR20070019513A (ko) 조립이 용이한 금속볼
TWM547409U (zh) 鏤空塑膠球
CN206475378U (zh) 一种金属嵌件结构
CN204278964U (zh) 汽车底盘前摆臂
CN207179544U (zh) 大灯双色配光镜
KR20230112823A (ko) 하니컴을 합침한 부표
KR20080066524A (ko) 금속재 부구와 이의 제조방법 및 금속재 부구를 이용한수위밸브장치
JP2006089122A (ja) 液面被覆用浮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523184A (zh) 一种用于减摇鳍的非金属鳍翼及其制造方法
JP2016150568A (ja) 非極性および/または低極性熱可塑性ポリマーの接合方法
KR200469495Y1 (ko) 중통찌의 웨이트 캡술
KR102370188B1 (ko) 항로 표지용 등부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