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837B1 - 개구부 및 덮개를 구비한 장루복대 - Google Patents

개구부 및 덮개를 구비한 장루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837B1
KR101646837B1 KR1020140115374A KR20140115374A KR101646837B1 KR 101646837 B1 KR101646837 B1 KR 101646837B1 KR 1020140115374 A KR1020140115374 A KR 1020140115374A KR 20140115374 A KR20140115374 A KR 20140115374A KR 101646837 B1 KR101646837 B1 KR 101646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abdomen
openings
cover
stom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447A (ko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40115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8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9Body securing means, e.g. belts,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 및 덮개를 구비한 복대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상에 연결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제 1 개구부 및 돌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인 장루복대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수술 후 환자의 복부 일부에 의료기구를 탈부착하기 용이한 동시에, 덮개로 인하여 개구부 상에도 적절한 압박을 제공하여 탈장증세와 같은 수술 후 합병증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개구부 및 덮개를 구비한 장루복대{Stoma abdominal binder comprising an opening and cover}
본 발명은 개구부 및 덮개를 구비한 복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수술 후 환자의 복부 일부에 의료기구를 탈부착하기 용이한 동시에, 덮개로 인하여 개구부 상에도 적절한 압박을 제공하여 탈장증세와 같은 수술 후 합병증의 예방에 효과적인 복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대나 벨트는 복부에 둘러져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의료계에서는 수술 후 환자들의 회복, 자세 교정, 편리한 의료기구의 탈부착과 위치고정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그 재질, 크기, 구성, 및 모양은 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제공된다.
특히 수술 후 환자의 편의 및 건강 유지를 위한 복대 종류 중에 일상생활에서도 착용되는 장루복대가 있다. 장루는 인공항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통 대, 소변의 배설에 문제가 생겨서 이를 체외로 배설시키기 위하여 수술을 통해 복벽에 구멍을 형성시킨 것이다.
이에 따라 인공항문으로부터 배설물 및 소화효소 등이 배출되기 때문에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주머니와, 이러한 주머니와 연결되어 사용되며 인공항문 주위 피부에 부착되어 피부보호 기능도 갖는 보호판 또는 기구(일명, '스토마캡')가 장루 환자들에게 사용된다.
하지만 장루 환자들은 이러한 기구들을 하루에도 몇 번 교체해야하며, 교체 과정에서 인공항문 주위 피부손상, 알레르기 현상, 복대 착용의 불편함,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복벽에 배설기관이 생성됨으로써 환자는 탈장, 출혈, 함몰 등의 다양한 합병증에 노출될 확률도 증가한다.
따라서, 장루복대 중에서도 특히 인공항문 주위 피부손상과 외출시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국내공개특허 제2006-0095686호는 텐덤이 부착된 장루복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장루복대는 직사각형에 가까우나, 중간부가 약간 넓으며, 양단쪽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피부 보호판 및 주머니를 인공항문 상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복대의 결착부로서는 브래지어의 고리결착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실질적인 장루복대의 착용이 번거롭고, 복대 상에서 고리의 위치에 따라 장루복대는 미리 정해진 둘레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복부 둘레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복대가 제작되어야 하며, 구매과정에서도 사이즈와 관련하여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복대를 착용한 경우에, 실질적으로 주머니와 인공항문이 연결되는 부위인 주머니 부착면 및 주머니플랜지 주입구 결합 테두리로 인하여 인공항문을 제외한 복부에만 복대에 의한 압박을 받음으로써, 탈장, 출혈, 함몰 등의 합병증에 대하여서는 이러한 복대만으로는 예방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국내공개특허 제2013-0018359호는 상술된 종래기술과는 달리 복대 덮개를 포함하여 수술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도록 구성되며, 환부가 복대와 맞닿는 소정의 부분이 외부와 통공될 수 있는 중공부의 둘레에 형상유지부를 포함하여 복부와의 밀착도, 압박, 및 지지 효과를 향상시켜 환부를 지지하며, 외형에 대한 변형을 방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여기서 복대 덮개는 단순히 중공부 상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탈장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인 압박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또한, 장루 환자 각각의 건강 상태에 따라 필요로 하는 복부상, 또는 인공항문 상에 압박 정도가 다르지만, 종래 복대로서는 환자에게 필요한 적합한 압박 정도로 복대를 조절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장루복대는 착용의 편리성뿐만 아니라 탈장과 같은 합병증 예방을 위한 디자인 및 기능을 갖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각각의 장루 환자에게 필요한 압박 정도가 복부 전체뿐만 아니라 복대의 중공부 상에서도 조절이 가능한 장루복대가 필요하다.
KR 2006-0095686 A KR 2013-0018359 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탈장 등의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인 장루복대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장루복대를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동시에 요구되는 압박감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장루복대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장루복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의 압박감뿐만 아니라 세로방향으로의 압박 및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장루복대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카테터와 같은 다른 의료장치도 함께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루복대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몸체부(110, 210, 310); 및 상기 몸체부(110, 210, 310) 상에 연결되는 덮개부(120, 220, 3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10, 210, 310)는 제 1 개구부(111, 211, 311) 및 돌출 지지부(115, 215, 315)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지지부(115, 215, 315)는 상기 몸체부(110, 210, 310)의 일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인 장루복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 지지부(115, 215, 315)는 상기 제 1 개구부(111, 211, 311)로부터 상기 몸체부(110, 210, 310) 일부가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 지지부(115, 215, 315)는 형상기억합금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 210, 310)는 몸체 단부(114, 214, 314)에 공간이 형성된 포켓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120, 220, 320)는 제 1 단부(124, 224, 324)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124, 224, 324)는 상기 몸체부(110, 210, 310) 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120, 220, 320)가 상기 제 1 개구부(111, 211, 311)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단부(124, 224, 324)는 상기 제 1 개구부(111, 211, 311)의 좌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110, 210, 31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220, 320)는 상기 돌출 지지부(215, 315) 상에 연결되는 제 2 단부(225, 32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단부(124, 224, 324) 및 상기 제 2 단부(225, 325)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포켓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 단부(114, 214, 314), 상기 제 1 단부(124, 224, 324) 및 상기 제 2 단부(225, 325)는 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착 수단은 벨크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 210, 310) 일부에 카테터(20)가 삽입되는 유입부(130, 230, 33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루복대가 착용된 상태에서 세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인공항문이 위치하는 환부 상의 가로 방향뿐만 아니라 세로방향으로의 압박 및 지지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탈장 등의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돌출 지지부 일부에는 배출 주머니를 지지할 수 있는 연결부 또는 탈착 수단이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배출 주머니의 무게로 인한 인공항문에 작용하는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출 주머니의 무게 하중이 장루복대에 더 고르게 분포되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몸체 단부에 포켓부가 형성되어 포켓부의 수용공간에 손가락, 또는 다른 기구를 삽입하여 양쪽의 몸체 단부를 당김으로써 필요한 압박감을 더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몸체부 일부에 유입부가 형성되어 카테터와 같은 의료 장치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루복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루복대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루복대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루복대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장루복대의 몸체 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장루복대의 유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장루 복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동일한 원리가 장루 복대 이외의 기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장루 복대 이외의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 다른 기구에도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루 복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루복대(100, 200, 300)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장루복대(100, 200, 30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복대(100, 200, 300)는 몸체부(110, 210, 310), 몸체부(110, 210, 310) 상에 부착될 수 있는 덮개부(120, 220, 320), 및 몸체부(110, 210, 310) 하측 일부에 형성될 수 있는 유입부(130, 230, 33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 210, 310)는 복부에 둘러져서 착용되는 부분으로서, 일부가 통공되어 형성된 제 1 개구부(111, 211, 311), 제 1 개구부(111, 211, 311) 근부에 형성된 돌출 지지부(115, 215, 315), 몸체부(110, 210, 310)의 양 끝을 형성하는 몸체 단부(114, 214, 314), 및 몸체 단부(114, 214, 314)에 위치하는 포켓부(112)와 탈착부(113)를 포함한다. 이때 몸체부(110, 210, 310)는 스판텍스와 같이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개구부(111, 211, 311)는 장루복대(100, 200, 300)가 착용된 상태에서도 배설물이 수용되는 배출 주머니(10)가 인공항문 상에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형성된 몸체부(110, 210, 310)의 개방된 일부이다. 제 1 개구부(111, 211, 311)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모양에 있어서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 지지부(115, 215, 315)는 제 1 개구부(111, 211, 311)의 상측 및/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 지지부(115, 215, 315)는 몸체부(110, 210, 310)의 다른 일부와 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돌출 지지부(115, 215, 315)의 일부에는 형상기억합금 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 지지부(115, 215, 315)의 단부 또는 테두리와 돌출 지지부(115, 215, 315)가 연결된 몸체부(110, 210, 310)의 테두리 일부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된 와이어 프레임이나 복구능력이 있는 판 등의 부재가 포함되면, 장루복대(100, 200, 300)를 착용함으로써 인공항문이 위치하는 환부 상의 가로 방향뿐만 아니라 세로방향으로의 압박 및 지지도 가능하다.
돌출 지지부(115, 215, 315)가 형성됨으로써 인공항문 근부에 있는 복부의 더 넓은 부위를 압박 및 지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돌출 지지부(115, 215, 315) 일부에는 배출 주머니(10)를 지지할 수 있는 연결부(미도시) 또는 탈착 수단이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주머니(10)의 무게로 인한 인공항문 상에서의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출 주머니(10)의 무게 하중이 장루복대(100, 200, 300)에 더 고르게 분포되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돌출 지지부(115, 215, 3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 및 3 실시예와 같이 상하부가 각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 2 실시예와 같이 상하부가 라운드진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다음으로는, 도 5를 참조하여 몸체 단부(114)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장루복대(100)를 착용하여 압박하는 데에 있어서, 몸체 단부(114)에 위치하는 포켓부(112) 및 탈착부(113)에 의하여 압박 정도가 더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몸체 단부(114)를 직접 파지하여 장루복대(100)를 복부에 둘러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이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압박감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포켓부(112)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손가락, 또는 다른 기구를 삽입하여 양쪽의 몸체 단부(114)를 당김으로써 필요한 압박감을 더 편리하게 얻을 수 있다.
탈착부(113)는 몸체 단부(114) 일측면에 위치하여 몸체부(110, 210, 310) 상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탈착부(113)는 벨크로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장루복대(100)의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장루복대(100)의 착용과정이 간단해진다.
덮개부(120, 220, 320) 단부 양측에 제 1 단부(124, 224, 324)가 위치하며, 제 1 단부(124, 224, 324)는 몸체부(110, 210, 310) 일부에 연결됨으로써 덮개부(120, 220, 320)가 제 1 개구부(111, 211, 31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장루복대(100)와 같은 경우에는, 제 1 단부(124)가 구비된 덮개부(120, 120') 두 개가 서로 겹쳐져서 몸체부(110) 상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압박 정도에 따라 덮개부(120)가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압박 정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및 3 실시예에 따르는 장루복대(200, 300)와 같은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덮개부(220, 320)의 상하부가 연장되어 제 2 단부(225, 325)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단부(224, 324)는 제 1 개구부(211, 311)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몸체부(210, 31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단부(225, 325)는 돌출 지지부(215, 315)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단부(124, 224, 324) 및 제 2 단부(225, 325) 모두는 몸체 단부(114, 214, 314)와 유사한 포켓부 및 탈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도 6을 참조하여 유입부(130, 230, 330)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유입부(130, 230, 330)는 입구 커버부(131), 제 2 개구부(132), 및 고정링(133)을 포함한다. 유입부(130, 230, 330)는 몸체부(110, 210, 310) 일부에 형성되어 카테터(20)와 같은 의료 장치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입구 커버부(131)로 제 2 개구부(132)를 폐쇄시킬 수 있다. 카테터(20)가 장루복대(100, 200, 300) 내부에 위치되기 위해서는 제 2 개구부(132) 및 고정링(133)을 통과한다. 여기서 고정링(133)에 의하여 삽입된 카테터(20)의 위치가 더 수월하게 고정될 수 있다.
10: 배출 주머니
20: 카테터
100, 200, 300: 장루복대
110, 210, 310: 몸체부
111, 211, 311: 제 1 개구부
112: 포켓부
113: 탈착부
114, 214, 314: 몸체 단부
115, 215, 315: 돌출 지지부
120, 220, 320: 덮개부
124, 224, 324: 제 1 단부
225, 325: 제 2 단부
130, 230, 330: 유입부
131: 입구 커버부
132: 제 2 개구부
133: 고정링

Claims (11)

  1. 복부 주위에 둘러지는 몸체부(110, 210, 310); 및
    상기 몸체부(110, 210, 310) 상에 연결되는 덮개부(120, 220, 3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10, 210, 310)는,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몸체부(110, 210, 310)가 복부에 둘러지면 복부의 인공항문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개구부(111, 211, 311);
    상기 제 1 개구부(111, 211, 311)가 위치하는 상기 몸체부(110, 210, 310) 일부가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 지지부(115, 215, 315); 및
    상기 몸체부의 양 단부(114, 214, 314)에 공간이 형성된 포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부를 견인하여 상기 몸체부(110, 210, 310)를 복부에 두름으로써 복부 주위에 상기 몸체부(110, 210, 310) 압력에 더하여 추가적인 압력이 가해지며, 상기 추가적인 압력이 상기 돌출 지지부(115, 215, 315)에 의하여 인공항문 주위로 분배되며 복부에 가해지는,
    장루복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지지부(115, 215, 315)는 형상기억합금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루복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20, 220, 320)는 제 1 단부(124, 224, 324)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124, 224, 324)는 상기 몸체부(110, 210, 310) 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120, 220, 320)가 상기 제 1 개구부(111, 211, 3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장루복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124, 224, 324)는 상기 제 1 개구부(111, 211, 311)의 좌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110, 210, 310)와 연결되는,
    장루복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20, 320)는 상기 돌출 지지부(215, 315) 상에 연결되는 제 2 단부(225, 325)를 더 포함하는,
    장루복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124, 224, 324) 및 상기 제 2 단부(225, 325)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포켓부를 포함하는,
    장루복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 210, 310)의 단부(114, 214, 314), 상기 제 1 단부(124, 224, 324) 및 상기 제 2 단부(225, 325)는 탈착 수단을 포함하는,
    장루복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벨크로인,
    장루복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 210, 310) 일부에 카테터(20)가 삽입되는 유입부(130, 230, 330)가 형성된,
    장루복대.
KR1020140115374A 2014-09-01 2014-09-01 개구부 및 덮개를 구비한 장루복대 KR101646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374A KR101646837B1 (ko) 2014-09-01 2014-09-01 개구부 및 덮개를 구비한 장루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374A KR101646837B1 (ko) 2014-09-01 2014-09-01 개구부 및 덮개를 구비한 장루복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47A KR20160026447A (ko) 2016-03-09
KR101646837B1 true KR101646837B1 (ko) 2016-08-08

Family

ID=5553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374A KR101646837B1 (ko) 2014-09-01 2014-09-01 개구부 및 덮개를 구비한 장루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98955A (zh) * 2021-03-31 2021-06-22 上海市东方医院(同济大学附属东方医院) 一种胃肠手术护理伤口造口腹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477A (ja) * 2005-01-27 2006-08-10 Sakagami Nobuyuki 蓄糞袋等の装着具
JP2013240565A (ja) * 2012-05-21 2013-12-05 Kimiko Fujita スト―マ袋用スマートケアカバー
KR200473368Y1 (ko) * 2013-12-06 2014-06-27 (주) 서원케미칼 장루복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275Y2 (ja) * 1989-04-20 1994-09-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冷却構造
KR100676711B1 (ko) 2005-02-28 2007-02-01 신대균 텐덤이 부착된 장루복대
KR20130018359A (ko) 2013-02-01 2013-02-20 주소희 장루복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477A (ja) * 2005-01-27 2006-08-10 Sakagami Nobuyuki 蓄糞袋等の装着具
JP2013240565A (ja) * 2012-05-21 2013-12-05 Kimiko Fujita スト―マ袋用スマートケアカバー
KR200473368Y1 (ko) * 2013-12-06 2014-06-27 (주) 서원케미칼 장루복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47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1329B2 (en) Ostomy device
US20120283679A1 (en) Belly binder with a reinforced opening
JP4917151B2 (ja) 骨盤臓器脱防止及び治療装置
US8672908B2 (en) Convex barrier ring
RU2566078C2 (ru) Уплотнение для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для стомическ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ES2349132T3 (es) Un aparato de ostomia.
JP2007105474A5 (ko)
US8734412B1 (en) Stoma protection apparatus
NZ550486A (en) Controlled evacuation ostomy appliance
US9907689B2 (en) Stoma protection guard for ostomy pouch
KR101646837B1 (ko) 개구부 및 덮개를 구비한 장루복대
US6328721B1 (en) Ostomy support belt
KR20170011318A (ko) 장루 부착장치 및 그의 부착방법
JP2015150434A (ja) ストーマに使用するシール
KR200473368Y1 (ko) 장루복대
AU2004210492B2 (en) An ostomy support garment
KR102385997B1 (ko) 인공 장루 장치
CN212973214U (zh) 一种用于造口患者的术后专用腹带
CN105025849B (zh) 会阴矫形型的人体工学保护壳装置
CN210330907U (zh) 一种腹外疝术后用丁字带
KR200358182Y1 (ko) 장루용 지지벨트
CN219614164U (zh) 一种造口腹带
JP6816242B2 (ja) 骨盤臓器脱の予防器具
JP2742981B2 (ja) ストマ用腹帯
RU2271179C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ту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