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359A - 장루복대 - Google Patents

장루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359A
KR20130018359A KR1020130011855A KR20130011855A KR20130018359A KR 20130018359 A KR20130018359 A KR 20130018359A KR 1020130011855 A KR1020130011855 A KR 1020130011855A KR 20130011855 A KR20130011855 A KR 20130011855A KR 20130018359 A KR20130018359 A KR 20130018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ollow portion
hollow
cov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소희
Original Assignee
주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희 filed Critical 주소희
Priority to KR102013001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8359A/ko
Publication of KR2013001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9Body securing means, e.g. belts,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루복대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신축성이 뛰어난 탄성섬유의 스판텍스 재질로 구성된 몸체(1)로 상기 몸체(1)와 환부가 맞닿는 소정에 위치하여 외부와 통공 될 수 있는 중공부(2) 및 상기 중공부(2)의 둘레를 따라 위치한 형상 유지부(3)가 상기 몸체(1)와 상응하는 폭으로 구성되며 몸체(1)의 중공부(2)가 형성된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결합고리(9)가 장착된 주머니(8) 및, 복대덮개(10)의 보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밴드 고리(5)는 탄력적으로 늘어나 중공부(2)와 통공된 환부의 분비물 주머니(b)의 벨트고리 연결부(c)와 결합부를 구성하여 주머니(b)의 무게로 인한 판(a)의 분리와 무게를 지지해 줄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대몸체(1)부 양측 끝단과 중간지점에 복대덮개 결합부(6)를 구성, 복대덮개(10)의 탈부착 및 복대몸체(1) 내에서 이동 및 장착 가능하도록 보조부를 구성하여, 상기 구성된 복대덮개(10)는 수술로 인한 합병증 예방 및 복원 후 계속적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되었다.

Description

장루복대{Stoma belt}
본 발명은 장루복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항문을 보유한 환자의 효과적 분비물 배출과 관리를 돕고, 장루의 복원 후 일반적 복대로서의 기능적 요소를 갖추어 구성하여 계속적 사용이 가능하게 제작하여 경제적이며, 장루로 인한 합병증과 불안함을 감소시켜 편안한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게하는 보조기구이다.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 변화로 암환자의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는 경향이며,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인해 직장암, 대장암 같은 서구형 암 발생률도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대장암, 직장암 등은 대부분 외과적 수술방법을 통해 암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치료하는데, 대부분의 환자가 치료과정에서 장루(인공항문)을 만드는 시술을 함께 실시하게 된다. 장루란 수술을 통해 장의 일부분을 복벽에 고정시켜 대변을 내보내기 위한 우회로를 형성한 것이며 위치에 따라 소장(회장루), 대장(결장루), 요루 등 각기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어 장루가 가진 형태의 특성에 따라 다른 관리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장루를 관리하기 위해 환부 외 불필요한 부분의 노출을 피하고 복부를 지지해주는 장루복대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장루형태가 결장루의 형태로 영구적으로 장루를 보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기존 장루용 복대로 관리를 함에 어려움을 유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급격히 발전된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일시적 장루 형성(회장루)후 대부분 복원하는 경향으로의 장루 조성술에 추세변화가 일어나면서 기존의 벨트 또는 복대는 여러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었다. 대장과 달리 소장의 경우에는 소화 효소가 많아 피부에 매우 자극적이고 관리가 힘들어 장루로 인한 많은 합병증(탈장, 판이 새거나 분리, 함몰 등)의 장루관리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새로운 구성을 가진 장루복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의료기술발전 및 장루형성술의 추세 변화에 따라 기존 장루복대로 해결 할 수 없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루복대의 제작방법은 허리 감싸 착용 할 수 있도록 양측에 결합부를 형성하고, 신축성이 뛰어난 탄성섬유의 스판텍스 재질로 구성 복대의 본체부로서 몸체를 구성, 상기 복대몸체와 상응하는 폭으로 피부보호판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 주머니 및, 결합구가 장착된 복대덮개를 보조부로 구성한다.
상기 복대 몸체의 환부가 복대와 맞닿는 소정의 부분에 외부와 통공될 수 있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둘레를 따라 형상 유지부를 구성하여 외형상의 구조적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환부에 부착된 판과 분비물 주머니와의 밀착력과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 양측으로 탄성밴드 고리를 구성하고, 상기 탄성밴드 고리는 탄력적으로 늘어나 중공부와 환부의 분비물 주머니의 벨트고리 연결부에 장착하여 고정되어 복대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결합으로 복대에 분비물 주머니가 고정되고 그 결과 주머니 무게로 인한 판의 분리와 무게를 지지하며 판이 새거나 분리로 인해 유발되는 피부질환 및 장루관련 합병증을 예방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장루복대를 사용함으로써 복부에 대한 판의 밀착력을 높이고, 피부질환 유발 가능성을 줄이며, 분비물로 인한 주머니의 무게를 분산,감소, 지지해, 탈장,함몰 예방 등의 합병증 유발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된 복대덮개를 탈부착 및 몸체 내에서의 이동부착과 중공부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동부착하여 분실의 위험이 없으며, 수술로 인한 합병증 예방 및 복원 후 일반적 복대로의 계속적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경제적이다.
도1은 장루복대의 전체 평면도 및 보조부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밴드 고리와 환자의 분비물 주머니 벨트고리와 고정 결합도
도3은 탈부착주머니와 복대덮개 결합도
본 고안은 장루복대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신축성이 뛰어난 탄성의 섬유인 스판텍스 재질로 구성된 몸체(1); 상기 몸체(1)의 소정에 위치하여 외부와 통공될 수 있는 중공부(2) 및; 상기 중공부(2)의 둘레를 따라 위치한 형상 유지부(3) ;상기 몸체(1)와 상응하는 폭으로 구성되어 몸체(1)의 중공부(2)가 형성된 부분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결합기구(9)가 장착된 주머니(8) 및, 복대덮개(10)의 보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복대 몸체(1)와 환부가 복대와 맞닿는 소정의 부분에 외부와 통공 될 수 있는 중공부(2)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2)의 정면은 환부의 부착판(a)과 접촉되어 지며, 상기 부착판(a)은 분비물 배출 주머니(b)와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2)의 통공을 통과해 분비물 배출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대 몸체(1)의 중공부(2)는 둘레는 형상유지부(3)로 복부의 밀착력과 압박, 지지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형상기억소재를 사용하여 환부를 지지함에 있어 외형에 대한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소재 내부에 고밀도의 압착형 모노심지가 2중으로 구성, 복부와의 밀착도를 향상 가능하게 구성 및 상기 중공부(2) 양측으로 탄성밴드 고리(5)를 구성하고; 상기 탄성밴드 고리(5)는 탄력적으로 늘어나 환자의 분비물 주머니(b)의 벨트고리 연결부(c)와 결합부를 구성하여 주머니(b)의 무게로 인한 판(a)의 분리와 무게를 지지해 줄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대 몸체(1)부 양측 끝단과 중간지점에 복대덮개 결합부(6)를 형성, 상기 복대덮개(10)가 탈부착 가능하게 분리되어 보조부를 구성하여, 상기 구성된 복대덮개(10)는 수술로 인한 합병증 예방 및 복원 후 계속적 사용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 (1)복대몸체 (2)중공부 (3)형상유지부 (5)탄성밴드 고리
(6)복대덮개 결합부 (7)탈부착 주머니 결합부
보조부- (8) 탈부착 주머니 (9)주머니연결 (10)복대덮개
환자용장루백- (a)판 (b)분비물주머니 (c)주머니 벨트고리 연결부

Claims (2)

  1. 양측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신축성의 탄성섬유인 스판텍스 재질의 몸체;
    상기 몸체의 환부와 맞닿는 소정의 위치에 외부와 통공될 수 있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둘레를 따라 형상 유지부가 구성되는것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와 상응하는 폭으로 피부보호판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한 주머니;
    결합구가 장착된 복대덮개;를 보조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복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형상유지부는 형상기억소재 사용하고, 상기 몸체 중공부 양 끝단 위로 탈부착형 주머니 결합부와, 상기 중공부 양측에 구성된 탄성밴드 고리와, 상기 중공부 양측과 이에 상응하는 폭으로 상기 몸체 소정부에 복대덮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복대
KR1020130011855A 2013-02-01 2013-02-01 장루복대 KR20130018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855A KR20130018359A (ko) 2013-02-01 2013-02-01 장루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855A KR20130018359A (ko) 2013-02-01 2013-02-01 장루복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359A true KR20130018359A (ko) 2013-02-20

Family

ID=4789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855A KR20130018359A (ko) 2013-02-01 2013-02-01 장루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83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2617A (zh) * 2015-02-03 2015-05-20 谭米多 带多功能气孔装置的造瘘口袋及其操作方法
KR20160026447A (ko) 2014-09-01 2016-03-09 (의료)길의료재단 개구부 및 덮개를 구비한 장루복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447A (ko) 2014-09-01 2016-03-09 (의료)길의료재단 개구부 및 덮개를 구비한 장루복대
CN104622617A (zh) * 2015-02-03 2015-05-20 谭米多 带多功能气孔装置的造瘘口袋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83679A1 (en) Belly binder with a reinforced opening
KR20130018359A (ko) 장루복대
CN106693150B (zh) 可冲洗三腔引流管
KR200473368Y1 (ko) 장루복대
CN217245085U (zh) 一种柔性连接式的造口底板和造口收集器件
CN207384384U (zh) 一种新型引流管腹带
CN109363823A (zh) 一种造口专用腹带
CN203815694U (zh) 造口短裤
CN209048405U (zh) 一种造口患者专用腹带
CN204697946U (zh) 一种导尿管外固定的病人内裤
CN210043244U (zh) 肠道造口病人防旁疝专用内裤
CN208808800U (zh) 一种柔性造口袋
CN207969700U (zh) 一种妇科手术专用裤
CN219579190U (zh) 一种造口术后用腹带
CN201987665U (zh) 手术裤
CN219614164U (zh) 一种造口腹带
CN207269914U (zh) 一种腹股沟疝术后护理裤
CN217510701U (zh) 一种肛肠科手术伤口敷料固定装置
CN204909792U (zh) 丁字形造口底盘固定带
CN206151660U (zh) 新型肠造口专用护理袋
CN204890360U (zh) 阴道成型术后专用内裤
CN207767590U (zh) 痔疮患者用护理裤
CN208770638U (zh) 多功能导管固定带
CN211458936U (zh) 一种妇科患者专用特制裙裤
CN221083935U (zh) 一种新型造口腹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