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680B1 -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680B1
KR101646680B1 KR1020140173181A KR20140173181A KR101646680B1 KR 101646680 B1 KR101646680 B1 KR 101646680B1 KR 1020140173181 A KR1020140173181 A KR 1020140173181A KR 20140173181 A KR20140173181 A KR 20140173181A KR 101646680 B1 KR101646680 B1 KR 101646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op nozzle
molten steel
lad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093A (ko
Inventor
류재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73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68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7/0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ouring of molten metal from a casting melt-holding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7/0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ouring of molten metal from a casting melt-holding vessel
    • B22D37/005Shielding the molten metal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장치는 래들의 용강배출구에 설치되며, 필러가 충전되는 탑 노즐과, 탑 노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래들의 개공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온도감지부에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적어도 용강배출구의 개공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출력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MONITORING APPARATUS FOR OPENING LAD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래들의 개공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공정(continuous casting process)은 일정한 형상의 주형에 용강을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주형 내에서 반 응고된 주편을 주형의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인발하여 다양한 형상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주조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연속주조 중 정련공정에서 처리된 용강은 래들(ladle)에 받아 다음공정으로 운반되는 데 래들에 용강을 담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주조작업 시 개공을 위해 래들(1)의 용강배출구에 필러보관함(9)에 저장된 필러를 투입하고, 보열버너(3)에서 래들(1)을 보열한 다음 정련로(4) 출강시점이 되면 대차(2)가 정련로(4) 하부로 이동해 용강을 받는 방법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1) 내부에 용강이 투입되는 과정에서 용강의 낙하 충격 또는 래들(1)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용강에 의하여 용강배출구(5)에 충진된 필러(7)가 비산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래들(1)의 용강배출구(5) 내에서 용강이 응고됨에 따른 개공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개공불량이 발생되면, 작업자는 산소파이프를 이용한 산소세척을 실시하거나, 또는 개공불량이 심한 경우에는 다시 전 공정으로 보내어 재처리 작업을 실시하고, 래들(1)을 교체한 다음 다시 주조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래들(1)의 개공불량은 외부에서 작업자가 인지하지 못하므로 개공불량에 따른 전후 공정의 처리시간 조정, 산소 세척을 위한 준비작업 등을 할 수 없는 바, 래들(1)의 개공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후 처리를 위한 작업 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비용 증가가 문제된다.
일본공개특허 특개 2009-241139호(2009.10.22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정련로 출강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래들의 개공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종사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래들의 용강배출구에 설치되며, 필러가 충전되는 탑 노즐과, 상기 탑 노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래들의 개공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에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적어도 상기 용강배출구의 개공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공 상태 정보는 개공 가능, 개공 불가, 세척 필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탑 노즐의 바디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탑 노즐의 상측 부분에 배치되어 제1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와, 상기 탑 노즐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어 제2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와, 상기 탑 노즐의 하측 부분에 배치되어 제3온도를 감지하는 제3온도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 내지 제3온도 모두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각각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개공 불가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만이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높거나, 또는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만이 각각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세척 필요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개공 가능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래들의 개공 여부를 검사하는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래들의 용강배출구에 마련된 탑 노즐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탑 노즐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용강배출구의 개공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용강배출구의 개공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노즐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탑 노즐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부위치에서의 제1온도와, 상기 탑 노즐의 높이방향을 따라 중간위치에서의 제2온도와, 상기 탑 노즐의 높이방향을 따라 하부위치에서의 제3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강배출구의 개공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1온도 내지 제3온도 모두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각각 높을 때 개공 불가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강배출구의 개공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1온도만이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을 때, 또는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만이 각각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을 때 세척 필요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강배출구의 개공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1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낮을 때 개공 가능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출강작업이 완료된 후 래들의 개공여부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개공불량에 따른 재처리 작업 및 전후 공정의 작업계획 예측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연속 주조 공정시 래들에 용강을 담기 위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래들에 투입된 필러가 용강에 의해 손상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 노즐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서 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발명을 제한 및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 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10)는 온도감지부(20), 저장부(30), 표시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장치(10)는 연속주조공정에서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바퀴를 구비한 이동성을 가지는 본체, 또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한다.
온도감지부(20)는 래들(1)의 용강배출구(5)에 설치되는 탑 노즐(6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온도감지부(20)는 측정한 탑 노즐(60)의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온도감지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노즐(60)의 상중하 3부분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3개의 온도센서(21,23,25)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21,23,25)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로 구성될 수 있고, 서미스터의 저항값을 제어부(50)에서 판독하여 탑 노즐(60)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21,23,25)는 유리제온 온도계, 바이메탈식 온도계, 압력식 온도계 등과 같은 공지된 접촉 방식의 온도센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21,23,25)는 용강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탑 노즐(60)의 바디(61) 내부에 설치되되, 탑 노즐(60)의 상측 부분에 배치되는 제1온도센서(21)와, 탑 노즐(60)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제2온도센서(23)와, 탑 노즐(60)의 하측 부분에 배치되는 제3온도센서(25)를 포함한다.
제1온도센서(21)는 탑 노즐(60)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의 제1온도를 측정하고, 제3온도센서(25)는 탑 노즐(60)의 하단과 인접한 위치의 제3온도를 측정하며, 제2온도센서(23)는 탑 노즐(6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의 제3온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온도센서(21,23,25)는 각각 탑 노즐(60)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각 부분에서의 탑 노즐(60)의 온도를 측정하고, 각 측정된 감지신호를 케이블(27)을 통해 모니터링장치(10)에 전송한다. 여기서, 케이블(27)은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온도감지부(20)가 3개의 온도센서로 구비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온도감지부(20)는 하나의 온도 센서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30)는 모니터링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0)는 온도감지부(20)로부터 수신한 온도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래들(1)의 개공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0)는 제어부(50)가 온도감지부(20)로부터 수신한 온도 데이터 정보를 기초로 래들(1)의 정상 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준 온도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온도는 1250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온도는 래들(1)에 필러를 투입하기 전 래들(1)을 최대로 가열할 수 있는 온도와 정상적인 개공이 이루어진 경우 탑 노즐(60)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강종별 온도편차를 반영한 실험에 의하여 정하여진 최적의 온도이다.
이러한 저장부(3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50)는 저장부(30)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저장부(30)에 기억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제어부(50)는 온도감지부(20)를 통해 수신되어 저장부(30)에 기억된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필러의 손상 정도에 따른 래들(1)의 개공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표시부(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온도감지부(20)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저장부(30)에 저장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래들(1)의 정상 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40)를 통해 관련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온도감지부(20)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저장부(30)에 저장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래들(1)의 정상 개공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40)를 통해 관련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온도감지부(20)에서 감지된 제1 내지 제3온도 모두가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래들(1)의 개공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개공 불가 메시지를 표시부(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온도감지부(20)에서 감지된 제1,2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래들(1)의 산소 세척 후 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세척 필요 메시지를 표시부(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40)는 래들(1)의 개공 가능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40)는 제어부(50)를 통해 결정된 래들(1)의 개공 상태 정보, 예컨대 개공 가능, 개공 불가, 세척 필요 중 하나 이상을 문자 형태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래들(1)의 개공 여부가 정상적으로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표시부(40)는 자체 발광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또는 별도의 발원을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0)는 개공 상태 정보를 음성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제어부(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공 상태 정보에 대한 알림을 음향 형태로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래들의 개공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속주조작업을 위해 래들(1)에 구비된 슬라이드 게이트(80)를 닫은 상태로 래들(1)의 용강배출구(5)에 설치에 탑 노즐(60)에 필러를 충전한 후 일정한 온도까지 예열하고, 출강시점이 되면 대차(2)가 정련로(4) 하부로 이동해 용강을 받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게이트(80)는 구동부(81)에 의해 탑 노즐(60)이 결합된 상부플레이트(83)와 콜렉트 노즐(85)이 결합된 하부플레이트(84)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용강배출구(5)를 개폐하는 개폐 플레이트(82)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온도감지부(20)의 제1 내지 제3온도센서(21,23,25)에서 각각 측정된 탑 노즐(60)의 제1 내지 제3온도를 수신할 수 있다(S10).
다음, 제어부(50)는 수신한 제1 내지 제3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1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래들(1)의 정상 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40)를 통해 개공 가능 표시 메시지를 문자 형태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S20, S30).
다음, 제어부(50)는 제1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제2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한다(S40).
비교 결과, 제2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래들(1)은 산소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40)를 통해 산소 세척이 필요하다는 세척 필요 메시지를 문자 형태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S40, S50). 즉 제어부(50)는 제1온도와 제2온도 모두가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세척이 필요하다고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50)는 제1온도와 제2온도 모두가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제3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한다(S60).
비교 결과, 제3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래들(1)의 산소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40)를 통해 세척 필요 메시지를 문자 형태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할 수 있고(S60, S50), 제3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래들(1)의 개공이 불가하다는 개공 불가 메시지를 문자 형태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S60, S70)
그리고 출강 작업이 완료되면, 온도 측정이 완료된다(S80).
이에 따라, 작업자는 래들(1)의 정상적인 개공이 가능한지 여부를 미리 인지할 수 있어 개공 불능에 따른 출강 래들의 용강 재처리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후 공정이 예측 가능해지게 되므로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래들, 5: 용강배출구,
10: 모니터링장치, 20: 온도감지부,
21: 제1온도센서, 23: 제2온도센서,
25: 제3온도센서, 30: 저장부,
40: 표시부, 50: 제어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래들의 용강배출구에 설치되며, 필러가 충전되는 탑 노즐;
    상기 탑 노즐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탑 노즐의 상측 부분에 배치되어 제1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와, 상기 탑 노즐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어 제2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와, 상기 탑 노즐의 하측 부분에 배치되어 제3온도를 감지하는 제3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도감지부;
    상기 래들의 개공 가능, 개공 불가 및 세척 필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공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온도감지부에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적어도 상기 용강배출구의 개공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 내지 제3온도 모두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각각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개공 불가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만이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높거나, 또는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만이 각각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세척 필요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개공 가능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7. 삭제
  8. 삭제
  9. 래들의 개공 여부를 검사하는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래들의 용강배출구에 마련된 탑 노즐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탑 노즐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용강배출구의 개공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용강배출구의 개공 상태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탑 노즐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탑 노즐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부위치에서의 제1온도와, 상기 탑 노즐의 높이방향을 따라 중간위치에서의 제2온도와, 상기 탑 노즐의 높이방향을 따라 하부위치에서의 제3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용강배출구의 개공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1온도 내지 제3온도 모두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각각 높을 때 개공 불가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배출구의 개공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1온도만이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을 때, 또는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만이 각각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을 때 세척 필요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배출구의 개공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1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낮을 때 개공 가능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73181A 2014-12-04 2014-12-04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6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181A KR101646680B1 (ko) 2014-12-04 2014-12-04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181A KR101646680B1 (ko) 2014-12-04 2014-12-04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093A KR20160068093A (ko) 2016-06-15
KR101646680B1 true KR101646680B1 (ko) 2016-08-09

Family

ID=5613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181A KR101646680B1 (ko) 2014-12-04 2014-12-04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5658B (zh) * 2021-11-30 2023-02-28 河南通宇冶材集团有限公司 一种无碳引流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0453A (ja) 2004-11-26 2006-06-15 Heraeus Electro-Nite Internatl Nv 冶金学的容器の通過流量の調節方法及び冶金学的容器の底部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220B1 (ko) * 1993-12-29 1996-02-13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턴디쉬 슬라이딩 노즐 최적 제어방법
JP2009241139A (ja) 2008-03-31 2009-10-22 Kobe Steel Ltd タンディッシュ内の溶鋼温度の予測方法および管理方法
KR20110109108A (ko) * 2010-03-30 2011-10-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라우드 노즐의 용강 응고 판별 장치 및 그의 용강 유동 제어 방법
KR101193875B1 (ko) * 2010-05-28 2012-10-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라우드 노즐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0453A (ja) 2004-11-26 2006-06-15 Heraeus Electro-Nite Internatl Nv 冶金学的容器の通過流量の調節方法及び冶金学的容器の底部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093A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035B1 (ko)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JP2023145627A (ja) 特に溶融金属用の冶金容器の耐火物ライニングの状態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KR101654358B1 (ko) 래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617293B2 (ja) スラブの表層状態予測方法及びスラブの表層状態予測装置
KR101257472B1 (ko) 슬래그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646680B1 (ko)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086358A (ja) 射出成形機の成形監視装置
CN101920334A (zh) 一种采用红外线传感器检测铸模中熔体液位的方法
KR101777931B1 (ko) 보호관 열화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US20160214299A1 (en) Measurement apparatus
KR100809059B1 (ko) 성형해석을 이용한 센서 장착 금형제어시스템
JP2009298033A (ja) 成形品判別システム
JP2009260054A (ja) 樹脂封止装置および樹脂封止方法
JP2009053094A (ja) 金型温度解析方法
KR20150056127A (ko) 강편 블룸 두께 측정장치
CN105057607A (zh) 用于中间包渣子的快速检测机构
JP6287535B2 (ja) 連続鋳造設備の鋳型内温度管理装置、連続鋳造設備の鋳型内温度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00144940A (ko) 슬라브 표면의 면세로 크랙 예측 장치 및 방법
CN204934535U (zh) 用于中间包渣子的快速检测机构
JP2017177164A (ja) 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
JP2021172015A (ja) 成形システム、異常予測装置、異常予測方法、プログラム及び学習済みモデル
JP2009202178A (ja) プレス成形診断装置およびプレス成形診断方法
JP6337848B2 (ja) 拘束性ブレークアウトの予知方法及び予知装置
KR101523960B1 (ko) 몰드용 온도계 검사장치
KR102570273B1 (ko) 다이캐스팅 공정 시스템 및 그 다이캐스팅 공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