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427B1 -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427B1
KR102155427B1 KR1020180147178A KR20180147178A KR102155427B1 KR 102155427 B1 KR102155427 B1 KR 102155427B1 KR 1020180147178 A KR1020180147178 A KR 1020180147178A KR 20180147178 A KR20180147178 A KR 20180147178A KR 102155427 B1 KR102155427 B1 KR 102155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etected
mold
point
molte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640A (ko
Inventor
채희철
박관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4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8Accessories for starting the casting procedure
    • B22D11/088Means for sealing the starter bar head in the moulds

Abstract

본 발명은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몰드 설비의 둘레에 높이에 따라 지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검출부; 상기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한 온도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실링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링 이상이 검출될 경우 해당 위치와 지정된 방식으로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OF MOLD SEAL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몰드 실란트 노출로 인한 용강 유입 직후 실링 이상을 감지하고, 또한 주조 시작 후 몰드에서 이탈 시점 실링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기는 제강로에서 생산되어 래들(Ladle)로 이송된 용강을 턴디쉬(Tundish)에 받았다가 연속주조기용 몰드로 공급하여 일정한 크기의 주편을 생산하는 설비이다.
상기 연속주조기는 용강을 저장하는 래들과, 턴디쉬 및 상기 턴디쉬에서 출강되는 용강을 최초 냉각시켜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연주주편으로 형성하는 연주용 몰드와, 상기 몰드에 연결되어 몰드에서 형성된 연주주편을 이동시키는 다수의 핀치롤을 포함한다.
이때 연속주조 공정에서 주조 준비 작업 중 몰드 내에 더미바(Dummy Bar)를 삽입 후 몰드와 더미바 사이의 틈새를 실링(Sealing)하기 위한 칩(chip, 냉각칩)을 투입한다. 즉, 연속주조 준비 작업시 몰드 내에 더미바를 삽입하고 몰드와 더미바 사이에 발생된 틈새(Gap)를 통하여 용강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기 틈새에 칩(냉각칩)을 투입하는 칩 공급 작업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칩은 더미바 헤드(head) 상부에 일정량의 두께로 스틸칩(Steel Chip)을 투입하여 줌으로써, 주조 초기 작업시 용강이 몰드와 더미바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강의 냉각 효과 및 더미바 헤드부에 용강이 융착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5782호(2008.03.14. 등록, 몰드 실링용 칩 공급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몰드 실란트 노출로 인한 용강 유입 직후 실링 이상을 감지하고, 또한 주조 시작 후 몰드에서 이탈 시점에 실링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는, 몰드 설비의 둘레에 높이에 따라 지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검출부; 상기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한 온도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실링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링 이상이 검출될 경우 해당 위치와 지정된 방식으로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링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지정된 형태의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강 유입이 시작된 직후에 발생한 실링 이상인지, 또는 용강 유입이 완료된 후 발생한 실링 이상인지 구분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몰드 설비에 높이별로 설치된 모든 온도 검출부의 동일 지점에서 용강이 유입되는 속도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동일 지점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면, 용강 유입이 시작된 직후에 해당 지점에서 실링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몰드 설비에 높이별로 설치된 모든 온도 검출부의 동일 지점에서 동일 시점에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면, 용강 유입이 완료된 후 해당 지점에서 실링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일 지점이란, 몰드 설비 둘레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몰드 실링 이상 감지 방법은, 몰드 설비에 용강 유입이 개시될 경우, 몰드 설비 둘레에 높이별로 복수의 온도 센서가 설치된 온도 검출부를 통해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될 경우, 모든 온도 검출부의 동일 지점에서 용강이 유입되는 속도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동일 지점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용강이 유입되는 속도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동일 지점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지점에서 실링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몰드 실링 이상 감지 방법은, 몰드 설비에 용강 유입이 완료될 경우, 몰드 설비 둘레에 높이별로 복수의 온도 센서가 설치된 온도 검출부를 통해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될 경우, 모든 온도 검출부의 동일 지점에서 동일 시점에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일 시점에서 동일 시점에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지점에서 실링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몰드 실란트 노출로 인한 용강 유입 직후 실링 이상을 감지하고, 또한 주조 시작 후 몰드에서 이탈 시점에 실링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용강 유입 직후부터 용강이 증가함에 따라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가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 데이터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용강의 유입이 완료된 후 주조를 시작할 때에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가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 데이터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몰드 실링 이상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몰드 실링 이상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는, 온도 검출부(110), 제어부(120), 및 경고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검출부(110)는 몰드 설비의 높이에 따라 지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온도 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형태의 온도 데이터(예 :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 도 2 및 도 3 참조)로 변환하고, 상기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칩(냉각칩) 와싱 현상(즉, 실링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용강 유입 직후(또는 주소 시작 후) 칩 와싱 현상(즉, 실링 이상)이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또한 용강의 과다 유입으로 냉각칩이 홈통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즉, 실링 이상)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칩 와싱 현상(즉, 실링 이상)에 의해 실란트가 노출될 경우, 용강과 실란트가 직접 접촉되어 해당 실란트에 홀이 발생하여, 이 홀을 통해 용강이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경고 출력부(130)는 상기 제어부(120)를 통해 칩 와싱 현상(즉, 실링 이상)의 발생이 검출될 경우 해당 위치와 지정된 방식으로 경고(예 : 청각적 정보를 이용한 경고, 시각적 정보를 이용한 경고)를 출력한다.
이하 상기 제어부(120)의 동작(즉, 실링 이상 판단)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용강 유입 직후부터 용강이 증가함에 따라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가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 데이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용강의 유입이 완료된 후 주조를 시작할 때에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가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 데이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몰드 설비의 외측 ①,②,③번 구간의 높이에 따라 지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예 : 열전대)로부터 온도 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온도 정보를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①,②,③번 구간에 있는 복수의 온도 센서(예 : 열전대)는 동일한 높이에서 몰드 설비 둘레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도 2는 용강 유입 직후부터 하부에서 상부로 용강이 증가함(차오름)에 따라, 상기 온도 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120)가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용강이 증가하는(차오르는) 속도에 대응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됨을 알 수 있다(예 : 빨간색 라인). 물론 용강이 증가함(차오름)에 따라 상부에서는 복수의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지만 최 하부 지점에서 검출된 라인 형태와 중복되는 지점이 포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③번 지점까지 용강이 차오르면, 주조를 시작할 수 있게 되고, 만약 칩 와싱(즉, 실링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주조가 시작되면 소정의 시간(예 : 3초) 후 스플래쉬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용강의 유입이 완료된 후 상기 온도 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120)가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시점에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됨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③번 지점까지 용강이 차오른 상태에서 주조가 시작(주조 start)된 후, 이 상태에서 만약 칩 와싱(즉, 실링 이상)이 발생한 경우, 소정의 시간(예 : 3초) 후 스플래쉬가 발생하게 되며, 높이별 동일한 위치(몰드 설비의 외측 ①,②,③번 구간의 동일한 위치)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된다(예 : 빨간색 라인).
상기와 같이 실링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주조가 시작되면 스플래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기존에는 상기 스플래쉬에 의해 실링 이상이 발생된 것은 알 수 있지만, 실링 이상이 발생한 정확한 지점은 알 수 없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20)가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링 이상이 발생한 지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몰드 실링 이상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용강 유입이 개시될 경우(S101), 몰드 설비 둘레에 높이별로 복수의 온도 센서가 설치된 온도 검출부(110)를 통해 온도를 검출한다(S102).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온도 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다(S103)(도 2 참조).
상기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는지 체크한다(S104).
상기 S104 단계의 체크 결과,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될 경우(S104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몰드 설비에 높이별로 설치된 모든 온도 검출부(110)의 동일 지점(즉, 몰드 설비 둘레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의 위치)에서 용강이 유입되는 속도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동일 지점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는지 체크한다(S105).
상기 S105 단계의 체크 결과, 몰드 설비에 높이별로 설치된 모든 온도 검출부(110)의 동일 지점(즉, 몰드 설비 둘레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의 위치)에서 용강이 유입되는 속도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동일 지점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면(S105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해당 지점에서 실링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한다(S106).
이때 상기 S104 단계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지 않거나(S104의 아니오), 또는 상기 S105 단계에서 몰드 설비에 높이별로 설치된 모든 온도 검출부(110)의 동일 지점(즉, 몰드 설비 둘레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의 위치)에서 용강이 유입되는 속도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동일 지점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S105의 아니오)에는 실링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몰드 실링 이상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용강 유입이 완료될 경우(S201), 몰드 설비 둘레에 높이별로 복수의 온도 센서가 설치된 온도 검출부(110)를 통해 온도를 검출한다(S202).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온도 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다(S203)(도 3 참조).
상기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는지 체크한다(S204).
상기 S204 단계의 체크 결과,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될 경우(S204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몰드 설비에 높이별로 설치된 모든 온도 검출부(110)의 동일 지점(즉, 몰드 설비 둘레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의 위치)에서 동일 시점에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는지 체크한다(S205).
상기 S205 단계의 체크 결과, 몰드 설비에 높이별로 설치된 모든 온도 검출부(110)의 동일 지점(즉, 몰드 설비 둘레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의 위치)에서 동일 시점에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면(S205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해당 지점에서 실링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한다(S206).
이때 상기 S204 단계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지 않거나(S204의 아니오), 또는 상기 S205 단계에서 몰드 설비에 높이별로 설치된 모든 온도 검출부(110)의 동일 지점(즉, 몰드 설비 둘레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의 위치)에서 동일 시점에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S205의 아니오)에는 실링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몰드 실란트 노출로 인한 용강 유입 직후 실링 이상을 감지하고, 또한 주조 시작 후 몰드에서 이탈 시점에 실링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온도 검출부
120 : 제어부
130 : 경고 출력부

Claims (8)

  1. 몰드 설비의 둘레에 높이에 따라 지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검출부;
    상기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한 온도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실링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링 이상이 검출될 경우 해당 위치와 지정된 방식으로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지정된 형태의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강 유입이 시작된 직후에 발생한 실링 이상인지, 또는 용강 유입이 완료된 후 발생한 실링 이상인지 구분하여 판단하며,
    몰드 설비에 높이별로 설치된 모든 온도 검출부의 동일 지점에서 용강이 유입되는 속도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동일 지점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면, 용강 유입이 시작된 직후에 해당 지점에서 실링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링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몰드 설비에 높이별로 설치된 모든 온도 검출부의 동일 지점에서 동일 시점에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면, 용강 유입이 완료된 후 해당 지점에서 실링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지점이란,
    몰드 설비 둘레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7. 몰드 설비에 용강 유입이 개시될 경우, 몰드 설비 둘레에 높이별로 복수의 온도 센서가 설치된 온도 검출부를 통해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될 경우, 모든 온도 검출부의 동일 지점에서 용강이 유입되는 속도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동일 지점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용강이 유입되는 속도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동일 지점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지점에서 실링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실링 이상 감지 방법.
  8. 몰드 설비에 용강 유입이 완료될 경우, 몰드 설비 둘레에 높이별로 복수의 온도 센서가 설치된 온도 검출부를 통해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열화상 형태의 온도 데이터에서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될 경우, 모든 온도 검출부의 동일 지점에서 동일 시점에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일 시점에서 동일 시점에 라인 형태의 고온 지점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지점에서 실링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실링 이상 감지 방법.
KR1020180147178A 2018-11-26 2018-11-26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155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78A KR102155427B1 (ko) 2018-11-26 2018-11-26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78A KR102155427B1 (ko) 2018-11-26 2018-11-26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40A KR20200061640A (ko) 2020-06-03
KR102155427B1 true KR102155427B1 (ko) 2020-09-11

Family

ID=7108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178A KR102155427B1 (ko) 2018-11-26 2018-11-26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4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325B1 (ko) 2002-12-14 2005-10-04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공정 주형직하에서의 용강누출 감시방법
KR100611082B1 (ko) * 1998-09-09 2006-08-10 카엠 오이로파 메탈 악티엔 게젤샤프트 수평형 연속 스트립 주조 장치의 작동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수평형 연속 스트립 주조 장치
KR101204943B1 (ko) * 2011-04-28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몰드 코팅층의 결함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101224979B1 (ko) 2010-09-29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101257254B1 (ko) 2010-10-28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5707844B2 (ja) 2010-10-20 2015-04-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検出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082B1 (ko) * 1998-09-09 2006-08-10 카엠 오이로파 메탈 악티엔 게젤샤프트 수평형 연속 스트립 주조 장치의 작동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수평형 연속 스트립 주조 장치
KR100518325B1 (ko) 2002-12-14 2005-10-04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공정 주형직하에서의 용강누출 감시방법
KR101224979B1 (ko) 2010-09-29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5707844B2 (ja) 2010-10-20 2015-04-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検出方法及び装置
KR101257254B1 (ko) 2010-10-28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101204943B1 (ko) * 2011-04-28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몰드 코팅층의 결함 진단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40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9986B2 (en) Process for predicting the emergence of longitudinal cracks during continuous casting
BR112021003767A2 (pt) controle de equipamento para processo de moldagem contínuo de fabricação de aço e análise de estado utilizando medição de vibração a laser, e sistema para seu uso
BR112014011750B1 (pt) aparelho configurado, sistema, e método para monitorar a integridade de um recipiente
KR100229291B1 (ko) 다이 캐스트 머신에 있어 제품 품질의 판정 방법
KR102155427B1 (ko) 몰드 실링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
JPS58148061A (ja) 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防止方法
CN111518975A (zh) 高炉风口小套破损监测方法及系统
RU2630111C2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вакуумного плавильного агрегата и эксплуатируемый этим способом вакуумный плавильный агрегат
JP2009241139A (ja) タンディッシュ内の溶鋼温度の予測方法および管理方法
KR102213972B1 (ko) 슬라브 표면의 면세로 크랙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225432B1 (ko) 연속 주조 슬라브의 크랙 진단 장치 및 방법
CN107617724A (zh) 一种钢包内衬耐火材料蚀损情况在线检测方法及装置
JP2019072749A (ja) 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
JPH11300455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型内液面レベルの検出方法及び装置
JP6337848B2 (ja) 拘束性ブレークアウトの予知方法及び予知装置
JP3617423B2 (ja) 拘束性ブレークアウトの推定方法
JPH02165856A (ja) 連続鋳造装置における測温素子異常判定方法
KR102574487B1 (ko) 용해로에 구비된 내화물의 마모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저장 매체
JPH03155445A (ja) 型閉じ異常検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60068093A (ko) 래들 개공용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1087964A (ja) 冷却水漏れ検出装置
JP6347236B2 (ja) 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ブレークアウト予知装置および連続鋳造方法
JPH09206906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非定常バルジング検知方法
JP2005296979A (ja) 溶融金属の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
JP6555761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更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更新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