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397B1 -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397B1
KR101646397B1 KR1020140172515A KR20140172515A KR101646397B1 KR 101646397 B1 KR101646397 B1 KR 101646397B1 KR 1020140172515 A KR1020140172515 A KR 1020140172515A KR 20140172515 A KR20140172515 A KR 20140172515A KR 101646397 B1 KR101646397 B1 KR 10164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heat
lithium air
carbon
ai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993A (ko
Inventor
김태영
김원근
류경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3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인 탄소 파이버를 열처리하여 비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탄소 파이버와 탄소재의 결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많은 양의 탄소재를 로딩할 수 있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을 제공할 수 있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ANODE OF A LITHIUM-AIR BATTERY}
본 발명은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인 탄소 파이버를 열처리하여 비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탄소 파이버와 탄소재의 결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많은 양의 탄소재를 로딩할 수 있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을 제공할 수 있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인 경제성장 속에 화석연료의 고갈, 고유가, 환경오염으로 인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대책 마련을 위해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에너지 저장기술에 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현재 97%에 달하는 에너지 해외의존도를 갖고 있는 한국은 교토의정서 2차 공약기간(2013∼2017년)에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담이 심각할 것으로 보이며 이와 함께 의무 불이행 시 나타나는 환경 부담금 지불과 같은 경제적 불이익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에너지 저장기술 개발은 앞으로 한국 경제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 해외의존도를 축소하여 에너지 안보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세대 산업으로 급성장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선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는 전지 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금속-공기전지 개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리튬공기전지는 공기 중의 산소를 무제한으로 공급 받기 때문에 비표면적이 넣은 공기극을 통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에너지 밀도가 큰 장점이 있다. 리튬 금속의 에너지 밀도는 11140 Wh/kg으로 가솔린 및 디젤 연료의 에너지 밀도에 근접하며 가벼운 산소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전지가 작동하므로 이론적으로 매우 높은 에너지 밀도를 얻을 수 있다. 리튬공기전지의 이론 에너지 밀도를 계산해 보면 현재의 차세대 이차전지 후보군 중 가장 큰 이론 에너지 밀도인 3500 Wh/kg를 나타내어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약 10배 정도 높은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고 있다.
리튬공기전지는 음극으로 리튬을 사용하고, 양극(공기극) 활물질로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는 전지 시스템으로써, 음극에서는 리튬의 산화 및 환원 반응 양극에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의 환원 및 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구체적으로, 이하 화학식 1 및 2를 참조하면, 리튬공기전지는 방전 반응시 음극의 리튬금속이 산화되어 리튬이온과 전자가 생성되고 리튬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전자는 외부 도선 또는 집전체를 통해 양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외부 공기에 포함된 산소는 양극으로 유입되어 상기 전자에 의해 환원되어 Li2O2가 형성된다. 충전 반응은 이와 반대의 반응으로 진행된다.
[화학식 1]
(음극) : Li → Li+ + e-
[화학식 2]
(양극) : O2 + 2Li+ + 2e- → Li2O2
통상적으로 리튬공기전지의 양극은 카본파이버, 니켈 메쉬(mesh), 니켈 폼(foam) 등의 기재에 탄소재를 코팅하여 로딩함으써 제조되는데, 상기 양극은 화학식 2의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 또는 화학식 2의 생성물인 과산화리튬(Li2O2)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므로 탄소재의 로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방전용량이 향상된 리튬공기전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리튬공기전지의 양극은 탄소재의 로딩량을 증가시킬수록 기재와 탄소재의 결착력이 떨어지므로 양극의 표면에 크랙이 생기거나, 기재와 탄소재가 분리되어 전극으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품질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탄소파이버에 탄소재의 로딩량을 증가시켜 코팅하게 되면, 도 1과 같이 탄소재와 카본파이버(기재) 간 결착력이 떨어져 탄소재간 응집현상에 의해 크랙(A)이 발생하고, 도 2와 같이 탄소재(B)와 카본파이버(C)의 분리로 카본파이버(C)의 표면이 드러나게 되는 등 전극으로 사용할 수 없을 정도의 상태가 되는 문제가 존재하여 탄소재의 로딩량을 증가시키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기재의 두께를 나노사이즈로 얇게 하거나 파이버 간의 간격을 좁히는 방법으로 양극의 구조를 변형하여 반응면적을 증가시키는 기술, 기재로 탄소계 물질이 아닌 새로운 물질을 이용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었으나, 양극의 전도성, 방전용량, 수명특성 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전극 품질이 양호한 고로딩 양극(탄소재의 로딩량이 높은 양극)을 제조하여 리튬공기전지의 최대방전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68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재에 탄소재를 높은 양으로 로딩시킬 수 있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은 폴리머 파이버를 무산소 환경에서 탄화시켜 탄소 파이버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탄소 파이버를 열처리하여 기재를 준비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재에 탄소재를 로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은 폴리머 파이버를 산소 환경에서 열처리하여 기재를 준비하는 제1단계 및 상기 기재에 탄소재를 로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기재와 탄소재의 결착력이 향상되어 많은 양의 탄소재를 로딩할 수 있으므로 방전용량이 향상된 리튬공기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지의 반응면적이 증가 된 양극을 제조함으로써 방전용량이 향상된 리튬공기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탄소재와 기재 간 결착력이 떨어져 크랙이 발생한 종래의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사진이다.
도 2는 탄소재와 기재가 분리되어 기재의 표면이 드러나는 것을 찍은 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탄소 파이버의 표면을 5000배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탄소 파이버의 표면을 5000배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은 폴리머 파이버를 무산소 환경에서 탄화시켜 탄소 파이버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탄소 파이버를 열처리하여 기재를 준비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재에 탄소재를 로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머 파이버는 무산소 환경에서 탄화되면 탄소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들이 분해되어서 제거되고 탄소만이 남기 때문에 탄소 파이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파이버는 피치계, 레이온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파이버는 무산소 환경으로써 질소 분위기 또는 진공 분위기의 열처리로와 같은 노(furnace)에서 열을 가하여 탄화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파이버는 300 내지 1000℃의 온도에서 탄화될 수 있다. 300℃ 미만의 온도이면 상기 폴리머 파이버가 불완전하게 탄화되는 문제가 있어 300℃ 이상의 온도에서 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탄소 파이버는 일정온도에서 열처리되면 비표면적이 증가하고, 표면이 활성화되므로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기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 파이버는 5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열처리될 수 있다. 500℃ 미만의 온도이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탄소 파이버의 손상이 문제될 수 있으므로 50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탄소 파이버는 주울(joule)열을 이용하는 방법,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방법, 화염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플라스마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열처리될 수 있다.
주울열(joule)을 이용하는 방법은 전원의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를 상기 탄소 파이버의 양단에 연결하여 상기 탄소 파이버에 전류를 흐르게 하였을 때, 상기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주울열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단시간에 고온으로 상기 탄소 파이버를 열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방법은 상기 탄소 파이버와 같은 도전체에 전자기파를 가할 때 도전 손실(conductive loss) 효과에 의해 도전체가 에너지를 흡수하여 빠르게 온도가 상승하는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전자기파를 이용하면 수 초 이내에 상기 탄소 파이버를 가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화염을 이용하는 방법은 프로판 가스, 아세틸렌 가스, 천연 가스 등 가연성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탄소 파이버를 직접 화염으로 열처리하는 방법이고, 플라스마를 이용하는 방법은 고온의 플라스마를 이용하여 상기 탄소 파이버를 열처리하는 방법이다.
상기 탄소 파이버를 열처리하면 상기 탄소 파이버가 산화되어 탄소의 일부가 제거되면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소 파이버의 비표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탄소 파이버와 탄소재의 결착력이 향상되므로 탄소재의 로딩량이 증가하여도 종래와 같이 탄소재의 뭉침에 의한 크랙현상, 기재와 탄소재의 분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탄소재의 로딩량 증가에 따라 전지의 방전용량이 증가하고, 탄소 파이버와 탄소재가 분리되지 않아 전지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처리에 의한 상기 탄소 파이버의 비표면적 증가는 전술한 화학식 2의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반응면적의 증가로 이어지므로, 전지의 방전용량이 더욱 증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탄소재는 상기 기재와의 결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바인더와 함께 혼합되어 슬러리로 제조된 뒤, 상기 기재에 로딩될 수 있다.
상기 탄소재는 상기 바인더와 8 : 2 ~ 5 : 5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슬러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탄소재를 너무 많이 포함하면 슬러리 점도가 높아 혼합이 어렵고 전극 코팅 시 크랙이 생기는 문제가 있고, 너무 적게 포함하면 바인더에 ㅇ의한 전극의 내부 저항이 증가하여 전극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비율 범위로 상기 탄소재와 바인더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탄소재 및 바인더의 슬러리는 상기 기재에 코팅되는 방법으로 로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 코팅법, 다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스프레이 증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재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탄소섬유, 탄소나노튜브, 다공성 탄소(Ordered Mesoporous Carbon)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은 폴리머 파이버를 산소 환경에서 열처리하여 기재를 준비하는 제1단계 및 상기 기재에 탄소재를 로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일실시예와 비교해 상기 폴리머 파이버를 바로 열처리함으로써 기재를 준비한다는 차이가 있다. 상기 폴리머 파이버를 산소 환경에서 열처리하면 산소공급이 원활하여 빠른 속도로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차이점 이외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폴리머 파이버는 900 내지 1200℃의 온도에서 열처리될 수 있다. 900℃ 미만의 온도이면 상기 폴리머 파이버가 불완전하게 탄화되고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표면 등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90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파이버는 화염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플라스마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열처리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파이버는 부도체이므로 전술한 주울열(joule)을 이용하는 방법 및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방법은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처리단계는 탄소 파이버 또는 폴리머 파이버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소 파이버 또는 폴리머 파이버를 컨베이어 벨트 등과 같은 이송 수단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특정한 구간에서 전술한 열처리 방법을 통해 이송되고 있는 탄소 파이버 또는 폴리머 파이버를 열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은 제조된 양극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화학처리나 산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극은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용액에 저장되거나, 폴리머 필름으로 밀봉되는 방법으로 보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
1)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를 300 ℃에서 탄화시켜 탄소 파이버를 준비하였다.
2) 상기 탄소 파이버를 500℃에서 5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비표면적으로 증가시키고, 표면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3) 탄소재로 케첸블랙(Ketjen black), 바인더로 폴리플루오린화비닐라덴(PvdF)를 사용하였고, 케첸블랙과 PvdF를 6 : 4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4) 상기 슬러리를 상기 탄소 파이버에 블레이드 코팅법을 이용해 코팅하고, 오븐에서 8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을 제조하였다.
(2) 리튬공기전지의 제조
상기 양극(지름 14φ)과, 폴리에틸렌(PE) 분리막(지름 18φ)과, 500㎛ 두께의 리튬 호일(지름 16φ)를 차례로 적층하고, 전해질로 1M LiTFSI in TEGDME 40㎖를 주입하여 코인셀의 형태로 리튬공기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전해질은 TEGDME(Tetra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용매에 LiTFSI 리튬염을 1M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을 열처리되지 않은 탄소 파이버를 기재로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그 이외의 단계들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리튬공기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을 열처리되지 않은 니켈 메쉬(mesh)를 기재로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그 이외의 단계들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리튬공기전지를 제조하였다.
측정예 1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탄소 파이버의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5000배 확대하여 관찰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열처리되지 않은 탄소 파이버(90)는 표면이 매끄러워 비표면적이 작고, 그 표면에 탄소재의 코팅이 어려워 탄소재를 많은 양으로 로딩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탄소 파이버(10)는 열처리 과정을 거치며 산화가 일어나 표면 및 내부의 탄소의 일부가 제거되면서 요철이 형성되므로 비표면적 및 전술한 화학식 2가 일어날 수 있는 반응면적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예 2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 및 2에 의해 제조된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에 대하여, 기재의 탄소재 로딩 전·후 무게를 측정하여 탄소재 로딩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의 표 1과 같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 및 2에 의해 제조된 리튬공기전지에 대하여, 충방전 실험을 행하여 방전용량을 확인하였다. 충방전 실험은 전류밀도 385 mA/cm2의 정전류-정전압 충전(4.3V cut-off) 및 정전류 방전(2.0V cut-off) 구간에서 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이하의 표 2와 같다.
구분 탄소 로딩량(mg/cm2)
실시예(열처리된 탄소파이버) 3.1
비교예1(열처리되지 않은 탄소파이버) 1.9
비교예2(열처리되지 않은 니켈메쉬) 2.0
구분 양극의 기재 방전용량(mAh/cm2)
실시예 열처리된 탄소파이버 11.7
비교예1 열처리되지 않은 탄소파이버 4.7
비교예2 열처리되지 않은 니켈메쉬 4.2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양극은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탄소재의 로딩량이 1.5배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처리에 의해 기재인 탄소 파이버의 비표면적이 증가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리튬공기전지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방전용량이 약 3배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탄소재의 로딩량이 증가하고, 전지 내 반응면적이 커진 것에 대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 파이버를 열처리하여 비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탄소 파이버와 탄소재의 결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많은 양의 탄소재를 로딩할 수 있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을 제공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방전용량이 향상된 리튬공기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소 파이버와 탄소재의 높은 결착력에 의해 탄소 파이버와 탄소재가 분리되지 않아 수명이 늘어난 리튬공기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 파이버를 열처리하여 양극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반응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방전용량이 향상된 리튬공기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무산소 환경에서 탄화시켜 탄소 파이버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탄소 파이버를 500 내지 1500℃에서 열처리하여 비표면적이 증가된 기재를 준비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재에 케첸블랙을 로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는 노(furnace)에서 질소 분위기 또는 진공 분위기로 탄화되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파이버는 주울열을 이용하는 방법,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방법, 화염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플라스마를 이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열처리되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파이버는 이송 수단을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열처리되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첸블랙은 바인더와 8 : 2 ~ 5 : 5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상기 기재에 로딩되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8.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산소 환경에서 900 내지 1200℃로 열처리하여 비표면적이 증가된 기재를 준비하는 제1단계; 및
    상기 기재에 케첸블랙을 로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는 화염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플라스마를 이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열처리되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는 이송 수단을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열처리되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첸블랙은 바인더와 8 : 2 ~ 5 : 5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상기 기재에 로딩되는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14.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내지 제 8 항, 제 10 항, 제 12 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리튬공기전지용 양극.
  15. 제 14 항의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
KR1020140172515A 2014-12-03 2014-12-03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KR10164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515A KR101646397B1 (ko) 2014-12-03 2014-12-03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515A KR101646397B1 (ko) 2014-12-03 2014-12-03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993A KR20160066993A (ko) 2016-06-13
KR101646397B1 true KR101646397B1 (ko) 2016-08-05

Family

ID=5619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515A KR101646397B1 (ko) 2014-12-03 2014-12-03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007A (ko) 2019-04-09 2020-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공기전지용 캐소드 전극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946B1 (ko) 2017-07-26 2022-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공기 전지용 기체 확산층, 이를 포함하는 금속 공기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302056B1 (ko) * 2020-02-13 2021-09-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공기전지용 공기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
KR102249853B1 (ko) * 2020-02-13 2021-05-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공기전지용 공기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
WO2022191340A1 (ko) * 2021-03-08 2022-09-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공기전지용 공기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10B1 (ko) * 2012-04-09 2013-07-17 한국과학기술원 타원형 기공을 갖는 나노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128B1 (ko) 2013-04-22 2015-04-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리튬-공기 전지용 양극,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공기 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10B1 (ko) * 2012-04-09 2013-07-17 한국과학기술원 타원형 기공을 갖는 나노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007A (ko) 2019-04-09 2020-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공기전지용 캐소드 전극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993A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 et al. Low resistance–integrated all‐solid‐state battery achieved by Li7La3Zr2O12 nanowire upgrading polyethylene oxide (PEO) composite electrolyte and PEO cathode binder
Fu et al. Iron Fluoride–Carbon Nanocomposite Nanofibers as Free‐Standing Cathodes for High‐Energy Lithium Batteries
Huang et al. Dextran sulfate lithium as versatile binder to stabilize high‐voltage LiCoO2 to 4.6 V
Zhang et al. A conductive molecular framework derived Li2S/N, P‐codoped carbon cathode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Pan et al. Correlating electrode–electrolyte interface and battery performance in hybrid solid polymer electrolyte‐based lithium metal batteries
Balach et al. Functional mesoporous carbon‐coated separator for long‐life, high‐energy lithium–sulfur batteries
Young et al. Electronic conductivity in the Li4/3Ti5/3O4–Li7/3Ti5/3O4 system and variation with state‐of‐charge as a Li battery anode
Wang et al. Encapsulating micro-nano Si/SiO x into conjugated nitrogen-doped carbon as binder-free monolithic anodes for advanced lithium ion batteries
KR101987608B1 (ko) 전고체 리튬 유황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6397B1 (ko)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Chen et al. Self-supporting lithiophilic N-doped carbon rod array for dendrite-free lithium metal anode
Peng et al. Fluorinated graphene/sulfur hybrid cathode for high energy and high power density lithium primary batteries
CN105098185A (zh) 复合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锂离子二次电池负极极片和锂离子二次电池
Guo et al. Nano‐sized niobium tungsten oxide anode for advanced fast‐charge lithium‐ion batteries
Palanisamy et al. In situ replenishment of formation cycle lithium‐ion loss for enhancing battery life
KR101882975B1 (ko) 리튬 일차전지의 양극 제조방법
JP5246538B2 (ja) 全固体電池、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子伝導性付与方法
WO2017033480A1 (ja) 全固体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該二次電池を備えた二次電池システム
Akkinepally et al. Temperature effect and kinetics, LiZr2 (PO4) 3 and Li1. 2Al0. 2Zr1. 8 (PO4) 3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for rechargeable ion batteries
KR20190060719A (ko) 이중층 구조의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03996823B (zh) 一种动力锂离子电池用三元聚阴离子磷酸盐/碳正极材料的快速微波反应制备方法
JP2014086256A (ja) リチウム空気電池正極用炭素材料及びリチウム空気電池
Cheng et al. Lithium Azides Induced SnS Quantum Dots for Ultra‐Fast and Long‐Term Sodium Storage
Zhou et al. Carbon‐coated Vanadium Oxide Nanoflowers with K+ Ions Pre‐embedment as a High‐rate Cathode for Zinc‐Ion Batteries
CN113948676A (zh) 一种硼氧基界面膜保护的碱金属负极、制备方法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