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488B1 -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488B1
KR101644488B1 KR1020140089662A KR20140089662A KR101644488B1 KR 101644488 B1 KR101644488 B1 KR 101644488B1 KR 1020140089662 A KR1020140089662 A KR 1020140089662A KR 20140089662 A KR20140089662 A KR 20140089662A KR 101644488 B1 KR101644488 B1 KR 101644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tilever
tank
load
floating structur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316A (ko
Inventor
박지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9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48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부유식 구조물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부유식 구조물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캔틸레버, 상기 캔틸레버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캔틸레버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스키드장치, 상기 캔틸레버에 제공되는 제 1 탱크, 상기 캔틸레버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탱크로부터 상기 캔틸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중심 쪽으로 이격되는 제 2 탱크,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를 연결하는 배관 및 액체를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제 1 탱크에서 상기 제 2 탱크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 2 탱크에서 상기 제 1 탱크로 이동시키는 액체이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FLOATING STRUCTURE}
이하의 설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구조물, 예를 들어 시추 기능을 갖는 잭업 플랫폼(Jack-up Platform)은 항해 모드(Transit Mode)와 잭업 모드(Jackup Mode)로 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잭업 플랫폼은 시추를 위한 데릭을 포함하며, 항해 모드로 시추 위치까지 이동한 후, 잭업 모드로 전환하여 레그를 내려 해저에 박은 후, 본체를 레그를 따라 들어올린다. 잭업 플랫폼은 본체가 해수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시추 작업을 수행하며, 시추 작업이 완료되면 위의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다음 시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잭업 플랫폼(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잭업 플랫폼(10)은 본체(11), 본체(11)를 관통하는 복수의 레그(12)를 포함한다. 상술하였다시피, 항해 모드 상태에서 레그(12)는 해저로부터 이격되어 잭업 플랫폼(10)이 시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잭업 모드에서 레그(12)는 해저에 박히고 본체(11)가 레그(12)를 따라 상승한다. 본체(11)와 레그(12) 각각에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가 각각 제공되어 본체(11)와 레그(12)의 상대적인 운동을 지지할 수 있다. 본체(11) 상에는 선박 거주구(13)와 같은 구조물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잭업 플랫폼(10)은 캔틸레버(14)를 포함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캔틸레버(14)는 잭업 플랫폼(10)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데, 이를 통해 잭업 플랫폼(10) 전체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도 드릴링 위치(well center)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캔틸레버(14)의 일측에는 시추 데릭(15)이 제공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캔틸레버(14)의 이동을 구현하는 것은 스키드장치(skid apparatus)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스키드 장치(16)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각각이 서로 이격된 채 캔틸레버(1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키드장치(16)는 본체(11)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캔틸레버(14)를 아래에서 지지하면서 캔틸레버(14)에 수평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캔틸레버(14)가 잭업 플랫폼(10)의 외측으로 이동할 경우, 캔틸레버(14)가 정위치하고 있을 때 대비 스키드장치(16)에 가해지는 하중의 편중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두 개의 스키드장치(16)가 제공되는 경우, 캔틸레버(14)가 잭업 플랫폼(10)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바깥쪽(왼쪽)의 스키드장치(16)에 캔틸레버(14)의 하중이 편중될 수 있는 것이다. 보통, 스키드장치(16)는 지지할 수 있는 최대 하중이 정해진 채 설계 및 제작되는데, 위와 같은 편중 현상이 일어날 경우 스키드장치(16)는 고장을 일으킬 수 있고, 더 나아가 파손이 발생될 수도 있다. 결국, 스키드장치(16)의 설계, 운전 및 성능발휘 면에서 있어서 캔틸레버(14)의 무게중심은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캔틸레버(14)의 이동 시 캔틸레버(14)의 무게중심을 조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86-0001274호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캔틸레버의 이동 시 캔틸레버의 무게중심을 조정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부유식 구조물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캔틸레버, 상기 캔틸레버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캔틸레버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키드장치, 상기 캔틸레버에 제공되는 제 1 탱크, 상기 캔틸레버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탱크로부터 상기 캔틸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중심 쪽으로 이격되는 제 2 탱크,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를 연결하는 배관 및 액체를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제 1 탱크에서 상기 제 2 탱크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 2 탱크에서 상기 제 1 탱크로 이동시키는 액체이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가 정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액체가 상기 제 1 탱크에 저장되고, 상기 캔틸레버가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액체가 상기 제 1 탱크로부터 상기 제 2 탱크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탱크는 상기 캔틸레버의 상기 부유식 구조물 바깥쪽 일단과 상기 캔틸레버의 중심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탱크는 상기 캔틸레버의 상기 부유식 구조물 중심 쪽 일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키드장치 각각에 가해지는 상기 캔틸레버의 하중을 측정하는 복수의 하중측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키드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이 기설정된 수준 이상일 때 또는 상기 복수의 하중측정장치 각각에 의해 측정된 하중 간의 편차를 계산한 후 상기 편차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일 때, 상기 액체이동장치가 상기 액체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캔틸레버의 이동 시 캔틸레버의 무게중심을 조정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잭업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부유식 구조물에서 캔틸레버가 부유식 구조물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부유식 구조물(100)에서 캔틸레버(130)가 부유식 구조물(100)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본체(110), 레그(120), 캔틸레버(130), 스키드장치(140), 제 1 탱크(150), 제 2 탱크(160) 및 배관(170)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120)는 본체(110)를 관통할 수 있고, 본체(110)와 레그(120)는 서로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대 운동을 하여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유식 구조물(100)은 항해모드와 잭업모드로 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 사상은 이러한 잭업 플랫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캔틸레버가 사용되는 부유식 구조물이라면 부유식 구조물의 구체적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캔틸레버(130)는 부유식 구조물(100)의 외측, 즉 도 2 및 3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캔틸레버(130)는 평시 본체(110) 상에 정위치되어 있다가 필요한 경우 왼쪽으로 이동하여 본체(110)보다 더 왼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캔틸레버(130)가 정위치되어 있다고 함은 캔틸레버(130)가 본체(110) 상에 파킹(parking)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스키드장치(140)는 복수로 마련되어 본체(110)와 캔틸레버(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스키드장치(140)가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예를 들어, 부유식 구조물(100)의 가장자리 부분의 스키드장치(왼쪽)와 이보다 부유식 구조물(100)의 중심 쪽으로 치우친 지점의 스키드장치(오른쪽)가 제공될 수 있다.
스키드장치(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캔틸레버(13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캔틸레버(13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캔틸레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캔틸레버(130)가 부유식 구조물(100)의 외측(도면 기준 왼쪽)으로 이동할 경우, 캔틸레버(130)의 무게중심이 변하기 때문에 어느 스키드장치(140)에 가해지는 하중 역시 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캔틸레버(130)가 정위치했을 때 대비 하중이 감소하는 스키드장치(140)도 있을 수 있고, 하중이 증가하는 스키드장치(140)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하중의 편중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스키드장치(140)에 고장이 나거나 파손이 있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스키드장치(140)의 성능에 열화를 가져올 수 있다.
위와 같은 하중의 편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제 1 탱크(150), 제 2 탱크(160), 배관(170) 및 액체이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탱크(150)와 제 2 탱크(160)는 배관(17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배관(170)을 통해 액체(1)를 교환함으로써 캔틸레버(130)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탱크(150)는 캔틸레버(130)의 내부 또는 외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탱크(150)는 캔틸레버(13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부유식 구조물(100)의 외측 방향으로 치우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탱크(150)는 캔틸레버(130)의 부유식 구조물(100) 바깥쪽 일단(도면 기준 좌측면)과 캔틸레버(130)의 중심 사이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탱크(160)는 캔틸레버(130)의 부유식 구조물(100) 중심 쪽 일단부(도면 기준 우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고, 제 1 탱크(150)와 마찬가지로 캔틸레버(130)의 내부 또는 외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 1 및 2 탱크(150, 160)는 배관(17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이동장치는 액체(1)가 배관(170)을 통해 제 1 탱크(150)와 제 2 탱크(160) 간을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액체이동장치는 펌프, 밸브, 센서 등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탱크(150)와 제 2 탱크(160) 각각에는 펌프가 제공될 수 있고, 배관(170)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배관(17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배관(170)이 개방되었을 때, 액체(1)를 제 1 탱크(150)로부터 제 2 탱크(160)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 1 탱크(150) 측에 제공되는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고, 반대로 액체(1)를 제 2 탱크(160)로부터 제 1 탱크(150)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 2 탱크(160) 측에 제공되는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펌프는 제 1 탱크(150) 및 제 2 탱크(160)에 직접적으로 제공되지 않고 배관(170)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 1 탱크(150), 제 2 탱크(160) 및 배관(170)에는 각종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탱크(150, 160)의 경우 상기 센서는 액체(1)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배관(170)의 경우 상기 센서는 배관(170) 내부에 액체(1)가 흐르는지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캔틸레버(130)에도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센서는 캔틸레버(130)가 현재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가를 판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정보들을 기초로 하여 자동으로 액체이동장치가 탱크(150, 160) 간 액체(1) 교환을 개시하도록 하는 제어기가 마련될 수도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이 때의 캔틸레버(130)는 정위치에 있거나 부유식 구조물(100)의 외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되 그 이동 정도가 크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액체(1)는 제 1 탱크(1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제 1 탱크(150)로부터 부유식 구조물(100)의 중심 쪽으로 이격 배치된 제 2 탱크(160)에는 액체(1)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캔틸레버(130)는 부유식 구조물(100)의 외측(도면 기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캔틸레버(130)의 무게중심을 부유식 구조물(100)의 중심 쪽(도면 기준 오른쪽)으로 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 때 액체이동장치는 제 1 탱크(150)에 저장되어 있던 액체(1)가 배관(170)을 통해 제 2 탱크(160)로 이동하도록 하여 캔틸레버(130)의 무게중심이 부유식 구조물(100)의 중심 쪽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되는 액체(1)의 양 및 유속 등도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에 의하면, 캔틸레버(130)가 부유식 구조물(100)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액체(1)의 제 1 탱크(150)로부터 제 2 탱크(160)로의 이동을 통해 캔틸레버(130)의 무게중심을 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키드장치(140)에 편중된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액체(1)는 청수, 해수 또는 그 밖의 가용한 액체일 수 있으나, 비교적 수급 및 교체가 용이하며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해수를 이용하는 편이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배관(170)은 제 1 탱크(150)와 제 2 탱크(160) 각각의 하부 간을 연결할 수 있다. 배관(170)이 탱크(150, 160)의 중앙부 또는 상부 간을 연결한다면, 예를 들어 제 1 탱크(150)의 액체(1)를 모두 제 2 탱크(160)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제 1 탱크(150)의 하부에 남아있는 액체(1)를 끌어올려 배관(170)을 통해 제 2 탱크(160)로 이동시켜야 하는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배관(170)이 탱크(150, 160)의 하부 간을 연결한다면 액체(1)의 마지막 물량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스키드장치(140)에는 하중측정장치(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하중측정장치는 캔틸레버(130)가 스키드장치(140)에 가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하중측정장치는 예를 들어 로드셀(load cell)일 수 있다. 로드셀은 힘이나 하중 등의 물리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힘이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센서의 일종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구조적으로 변형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변형 여부 및 변형량을 감지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측정장치가 로드셀인 경우, 상기 로드셀의 탄성체는 캔틸레버(130)와 스키드장치(14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캔틸레버(130)의 하중에 의해 압축 변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중측정장치는 복수의 스키드장치(140) 각각에 제공되어 각 스키드장치(140)에 작용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있어서, 부유식 구조물(100)의 가장자리 부분의 스키드장치(140, 왼쪽)와 이보다 부유식 구조물(100)의 중심 쪽으로 치우친 스키드장치(140, 오른쪽) 각각에 하중측정장치가 제공되어 각 스키드장치(140)에 가해지는 캔틸레버(130)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도 3과 같이 캔틸레버(130)가 부유식 구조물(10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왼쪽의 스키드장치(140)에 가해지는 하중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오른쪽의 스키드장치(140)에 가해지는 하중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하중측정장치는 이처럼 변화된 하중 역시 측정할 수 있고, 작업자는 하중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면서 왼쪽의 스키드장치(140)에 가해지는 하중이 스키드장치(140)의 성능을 열화시킬 수 있는 수준이라든가 스키드장치(140)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수준인지 등을 판단하여 액체이동장치를 작동시켜 액체(1)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하중측정장치가 로드셀인 경우, 캔틸레버(130)가 부유식 구조물(100)의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왼쪽의 스키드장치(140)에 제공되는 로드셀의 탄성체는 도 2의 상태 대비 더 압축될 수 있고, 오른쪽의 스키드장치(140)에 제공되는 로드셀의 탄성체는 도 2의 상태 대비 신장될 수 있다.
나아가, 별도의 제어기가 더 마련되어 작업자의 개입이 없이도 자동으로 액체이동장치의 작동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에는 각 스키드장치(140)에 무리를 주지 않는 수준의 하중 및 각 스키드장치(140)에 무리를 주지 않는 수준의 각 스키드장치(140) 간의 하중 편차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제어기는 각 하중측정장치와 연결되어 각 하중측정장치에서 측정된 하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는, 어떠한 스키드장치(140)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저장된 하중 정보 이상이거나 각 스키드장치(140) 간의 하중 편차가 상기 하중 편차 정보 이상일 때에는 액체이동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가 액체이동장치를 작동시켜 액체(1)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어기는 각종 펌프와 밸브를 작동시켜 액체(1)가 제 1 및 2 탱크(150, 16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부유식 구조물 110: 본체
120: 레그 130: 캔틸레버
140: 스키드장치 150: 제 1 탱크
160: 제 2 탱크 170: 배관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캔틸레버;
    상기 캔틸레버와 상기 본체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캔틸레버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스키드장치;
    상기 캔틸레버에 제공되는 제 1 탱크;
    상기 캔틸레버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탱크로부터 상기 캔틸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중심 쪽으로 이격되는 제 2 탱크;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를 연결하는 배관; 및
    액체를,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제 1 탱크에서 상기 제 2 탱크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 2 탱크에서 상기 제 1 탱크로 이동시키는 액체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장치는 상기 캔틸레버의 일측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본체와 상기 캔틸레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캔틸레버를 지지하는 부유식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가 정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액체가 상기 제 1 탱크에 저장되고, 상기 캔틸레버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액체가 상기 제 1 탱크로부터 상기 제 2 탱크로 이동되는 부유식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탱크는 상기 캔틸레버의 상기 본체 바깥쪽 일단과 상기 캔틸레버의 중심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탱크는 상기 캔틸레버의 상기 본체 중심 쪽 일단부에 제공되는 부유식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키드장치 각각에 가해지는 상기 캔틸레버의 하중을 측정하는 복수의 하중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이 기설정된 수준 이상일 때 또는 상기 복수의 하중측정장치 각각에 의해 측정된 하중 간의 편차를 계산한 후 상기 편차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일 때, 상기 액체이동장치가 상기 액체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140089662A 2014-07-16 2014-07-16 부유식 구조물 KR101644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662A KR101644488B1 (ko) 2014-07-16 2014-07-16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662A KR101644488B1 (ko) 2014-07-16 2014-07-16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316A KR20160009316A (ko) 2016-01-26
KR101644488B1 true KR101644488B1 (ko) 2016-08-10

Family

ID=5530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662A KR101644488B1 (ko) 2014-07-16 2014-07-16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85912B (zh) * 2016-12-21 2020-03-06 温州曼昔维服饰有限公司 可控制平衡的浮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1523A (en) 1984-07-09 1986-01-15 Ronald Stanley Sorokan Cantilever drilling structure
DE102011050857B4 (de) * 2011-06-06 2024-06-20 Hoppe Bordmesstechnik Gmbh Verfahren zum Ausgleichen eines Lastmoments
KR20130039928A (ko) * 2011-10-13 2013-04-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문풀이 없는 드릴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316A (ko)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934B1 (ko) 부유식 구조물
US9656800B2 (en) Subsea fluid storage system
KR101644549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70025837A (ko) 수위검출장치
KR101644488B1 (ko) 부유식 구조물
CN103196750A (zh) 一种简易材料力学试验机
CN202195861U (zh) 一种储液罐顶装多界面液位测量装置
ES2210141T3 (es) Sistema de transferencia de carga.
KR101378958B1 (ko) 수위 측정 장치
KR101145607B1 (ko) 고압용기의 액체레벨 검출장치
KR200424356Y1 (ko) 레벨 계측용 변위센서.
JP5329374B2 (ja) 起伏ゲート式防波堤
KR101644553B1 (ko) 부유식 구조물
CN203160209U (zh) 起伏闸门式防波堤的门体系留装置
CN104326064A (zh) 一种水上码头
CN103171997A (zh) 一种浮动梁式称重叉车
CN102279071B (zh) 一种深水顶张式立管的顶张力及有效张力试验装置
KR20120004664U (ko) 유체 이송 시스템
CN203941459U (zh) 污水池水位监测自控系统
CN202442756U (zh) 耐高压磁浮子液位计
JP4117569B2 (ja) 地下タンクの漏洩検知装置
JP5404326B2 (ja) 地下タンクの液漏れ検出装置
CN102506818B (zh) 一种微量位移导向装置
JP2002339317A (ja) ポンツーン
CN207376444U (zh) 一种多功能的桥梁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