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454B1 -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454B1
KR101644454B1 KR1020140149060A KR20140149060A KR101644454B1 KR 101644454 B1 KR101644454 B1 KR 101644454B1 KR 1020140149060 A KR1020140149060 A KR 1020140149060A KR 20140149060 A KR20140149060 A KR 20140149060A KR 101644454 B1 KR101644454 B1 KR 101644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ece
shoe sole
piece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581A (ko
Inventor
이영경
심재륜
Original Assignee
이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경 filed Critical 이영경
Priority to KR102014014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4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에 관한 것으로, 밑판과, 상기 밑판에 다수 개의 조각구가 돌출 형성된 신발밑창에 있어서, 상기 조각구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복수 개의 분할홈에 의해 구획된 단위조각구가 형성되어 지면과 맞닿아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조각구 각각 사이에는 연결구로 연결되어 상기 단위조각구의 충격하중을 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조각구 사이의 간격을 조각구 높이보다 동일 또는 그 이상으로 하여 이물질 낌 현상을 방지하여 조각구 간격을 좁혀 밀착력,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Outsole having the function of absorbing impact and protecting from foreign matter and nonslip}
본 발명은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에 관한 것으로, 충격흡수와 미끄럼방지를 할 수 있는 신발밑창 구조에서 변형방지와 이물질 끼임방지를 할 수 있는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에 관한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신발의 바닥구조는 인솔(insole), 미드솔(midsole) 및 아웃솔(outsole)로 이루어지고, 특히 아웃솔은 신발밑창으로 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미끄럼방지를 위한 다양한 재질과 모양을 연구 개발 중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충격흡수와 미끄럼방지가 있는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의 '하중분산형 신발겉창'에 개시되어 있고,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참조하면, 밑판(31)과, 미끄럼방지용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밑판(31)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다수개의 단위돌기(33);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돌기는 단위돌기를 일정 개수로 분할할 수 있도록 하면에서 상측으로 파인 홈(331)과, 상기 홈을 둘러 쌓도록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하부돌기(333)와, 상기 홈(331)은 상기 단위돌기(3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밑판과 상기 하부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밑판의 상면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지면과 접촉하는 상기 하부돌기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벌어져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하중이 가해져 내측에서 외측으로 벌어진 하부돌기는 인접하는 단위돌기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벌어진 하부돌기와 맞닿아 더 이상 변형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신발 겉창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단위돌기(본 발명에서는 '조각구')가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데 단위돌기 사이의 거리를 좁게 형성함으로써 노면과의 접지면적을 높이고,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에 대한 변형 방지를 통해 미끄럼 방지 성능을 향상 시켰으나 단위돌기 사이 이물질 낌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미끄럼방지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단위돌기 사이가 넓은 경우에는 접지면적이 줄어들고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에 대응하는 지지력을 상실함으로써 노면과의 접지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KR 10-104064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각구의 충격흡수와 미끄럼방지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에 대해 분산되도록 대응케 하고, 또한 이물질 끼임방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밑판(100)과, 상기 밑판에 다수 개의 조각구가 돌출 형성된 신발밑창에 있어서, 상기 조각구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복수 개의 분할홈에 의해 구획된 단위조각구가 형성되어 지면과 맞닿아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조각구 각각 사이에는 연결구로 연결되되, 상기 밑판에 돌출되어 양단이 상기 단위조각구의 외측면을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단위조각구의 충격하중을 분산하고, 상기 조각구에는 중앙홈이 형성되어 상기 분할홈과 연결되고, 상기 분할홈의 깊이는 상기 중앙홈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각구에는, 중앙홈이 형성되어 상기 분할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각구간 사이 길이는 상기 조각구의 높이와 동일 또는 상대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 상기 조각구 높이가 A일때, 상기 조각구간 사이 길이B는 A≤ B ≤3A이고, 상기 연결구 높이C는 0.1A≤ C ≤A 이며, 상기 연결구 너비D는 0.2A≤ D ≤3A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분할홈에는, 상기 단위조각구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단위조각연결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으로 제작된 신발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충격흡수와 미끄럼방지의 직접적 역할을 하는 조각구간 사이에 연결구로 연결되어 있어 조각구의 수직, 수평하중을 분산시켜 대응케 할 수 있다.
연결구에 의하여, 조각구간 사이의 간격을 조각구 깊이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 낌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연결구는 조각구의 변형 특히 단위조각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노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연결구에 의해 조각구간 사이 공간 높이 즉 '홈의 깊이'를 낮게 하므로 이물질 끼임을 최소화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신발겉창 구조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사시도. 도 2(b)는 평면도.
도 3(a)은 도 2에서 연결구가 일자로 형성된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의 사시도. 도 3(b)는 평면도.
도 4(a)는 도 2에서 조각구 형상이 다른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의 사시도. 도 4(b)는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의 사시도. 도 5(b)는 평면도.
도 6(a)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의 사시도. 도 6(b)는 평면도.
도 7은 제1,2,3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시편 사진.
도 8은 제1실시예에 대한 시험성적서.
도 9는 제2실시예에 대한 시험성적서.
도 10은 제3실시예에 대한 시험성적서.
도 11은 비교예에 대한 시험성적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밑판과, 상기 밑판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충격흡수와 미끄럼방지를 할 수 있는 단위돌기가 구성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사시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2(a),(b)를 참조하면, 밑판(100)과, 상기 밑판(100)에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각구(200)가 형성된 신발밑창에 있어서, 조각구(200)에서 하중을 흡수하는 단위조각구(200a)와, 이를 연결하여 하중을 분산하는 연결구(300) 부분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료는 탄성체로써,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사용하며, 일체가 되게 사출 또는 프레스로 제작가능하며, 실시예에서는 가교고무 탄성체 컴파운드를 프레스로 밑판(100), 조각구(200) 및 연결구(300)가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상기 밑판(100)은 넓은 평면을 가진 것으로 일면에 상기 조각구(200)와 연결구(300)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조각구(20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형태의 복수개의 분할홈(240)에 의해 단위조각구(200a)가 구획된 상태로 복수 개 형성되어 지면과 맞닿게 되고, 압착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면에 중앙홈(220)을 형성하여 내측인 중앙홈(220)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형태의 분할홈(240)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조각구(200)에는 중앙부에 파여진 중앙홈(220)과 분할홈(240)에 의해 상기 밑판(100)에 대하여 단턱진 받침부가 형성되게 되고, 이러한 받침부는 상기 단위조각구(200a)를 받치는 역할을 하여 하중을 분산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홈(240)의 깊이는 상기 중앙홈(220)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게 하여 상기 중앙홈(220)이 위치한 곳이 밑판(100)에 대하여 단턱지게 할 수 있고, 상기 단위조각구(200a)의 모양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조각구(200a)는 상기 중앙홈(220)에서 연결된 분할홈(240)에 의하여 단면이 부채꼴 형상으로 균등하게 복수 개로 형성되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육각형 모양이 되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각구(200) 각각 사이에는 연결구(300)로 연결되어 상기 단위조각구(200a)의 충격하중을 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300)는 상기 밑판(100)에 돌출되어 양단이 상기 단위조각구(200a)의 외측면을 각각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조각구(20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300)는 인접한 또는 이웃한 상기 조각구(200)를 연결하는 것이고, 상세하게는 단위조각구(200a)를 이어주는데 상호 대응되는 단위조각구(200a)를 이어주게 된다.
그래서, 지면과 맞닿아 하중에 의해 상기 단위조각구(200a)에 충격이 전해지면 상기 연결구(300)로 분산되므로 상기 단위조각구(200a)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300)가 상기 조각구(200)의 사이 밑판(100)에서 돌출되어 상기 조각구(200) 사이를 연결하므로 상기 밑판(100)에서 돌출된 높이에 의해 상기 조각구(200) 사이의 깊이를 낮게 해줌으로써 이물질이 그 공간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각구(200)와 조각구(200) 사이 즉 조각구간 사이 길이는 상기 조각구(200)의 높이와 동일 또는 상대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각구 사이 공간의 폭이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이물질 끼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각구 높이가 A일때, 상기 조각구간 사이 길이B는 A≤ B ≤3A이고, 상기 연결구 높이C는 0.1A≤ C ≤A 이며, 상기 연결구 너비(폭)D는 0.2A≤ D ≤3A 를 만족하도록 하여 조각구의 높이 증가에 따라 조각구 사이간격, 연결구 높이, 연결구 너비는 같은 비율로 증가되는 것이 이물질 끼임방지와 미끄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조각구 높이(밑판에서 단위조각구 최상단상의 길이)가 2mm 일때, 조각구 사이의 길이는 2 내지 6mm로 더 적절하게는 2.5 내지 3.5mm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2.5mm 미만 일 때에는 이물질 낌 현상이 발생 빈도가 높고, 3.5mm 초과할 때에는 단위면적당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적어 미끄럼 방지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연결구의 높이는 2mm이하, 적절하게는 0.3 내지 1.5mm로 실시하는데, 왜냐하면 0.3mm 미만일 때에는 지지력 및 연동효과가 떨어지고, 1.5mm 초과할때는 미끄럼 방지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연결구의 너비는 적절하게는 0.2 내지 6mm가 더 적절하게는 0.5 내지 3mm로 한다. 왜냐하면, 0.2mm 미만일 때는 지지력 및 연동효과가 떨어지고, 3mm 초과할 때에는 미끄럼 방지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분할홈(240)에는 상기 밑판(100)에 상향 돌출되어 상기 단위조각구 양단을 연결하는 단위조각연결구가 더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조각구 양단은 분할홈이 형성된 곳을 의미하는 것이고, 단위조각연결구는 분할된 단위조각구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렇게 하여 1개의 상기 단위조각구는 내측에 받침부로 하중을 분산하고, 양측에는 단위조각연결구로 하중을 고르게 분산하며, 외측에는 연결구로 인접한 조각구의 단위연결구로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2(a),(b)에서는 조각구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구가 상호 교차 되게 하였는데, 이와는 달리 도 3(a),(b)에서는 연결구를 교차되지 않게 일직선으로 실시하였으며, 도 4(a),(b)에서는 조각구 형상을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도시된 것은 대표적인 것으로 실시한 것이고, 이외의 연결구 형상이나 이음방법 및 조각구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평면도이다.
도 5(a),(b)를 참조하면, 앞서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밑판(100), 조각구(200) 및 연결구(300)로 일체 성형되고, 조각구(200)의 중앙홈(220)과 분할홈(240)에 의해 단위조각구(200a)가 형성된 것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300)는 상기 밑판(100)에 돌출되어 양단이 상기 분할홈(240) 사이로 연결되어 상기 단위조각구(200a) 양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연결구(300)는 상기 단위조각구(200a)에 가해진 충격하중을 인접한 조각구(200)에 분산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구(300)가 상기 분할홈(240)까지 이어지므로 상기 분할홈(240) 사이에 이물질 끼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300)는 중앙홈(220)에 의한 받침부까지 이어지게 되고, 돌출된 높이는 받침부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거나, 작게 하도록 하여 상기 단위조각구(200a)에서 일정한 가압에 대한 압착력을 제공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a),(b)에서는 상기 연결구(300)가 일자 형태가 되게 실시하였고, 제3실시예인 도 6 즉, 도 6(a),(b)에서는 상기 연결구(300)를 상호 교차되도록 하여 십자 모양이 되게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선보인 연결구가 있는 미끄럼 방지 성능 시험결과와, 비교예의 연결구가 없는 미끄럼 방지 성능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성능비교 시험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시예 1,2,3과 비교예의 단위조각구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였으며, 단위면적당 조각구의 개수도 동일한 조건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 제작에 관한 간단한 사진은 도 7에 도시하여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 시험 방법은 KS M ISO 11220:2009(시험면:강철면)과, KS M ISO 11220:2009(시험면:대리석면)으로 시험하였고, 시험조건은 하중 100N에 대한 마찰계수(μ) 결과를 아래 미끄럼 방지 성능 비교표에 나타내었다.
<미끄럼 방지 성능>
제1실시예(RS-07) 제2실시예(RS-06) 제3실시예(RS-08) 비교예(RS-05)
철판바닥 습식 1.00 0.98 0.90 1.00
철판바닥 글리세린 0.61 0.53 0.50 0.44
대리석바닥 습식 0.56 0.66 0.51 0.52
대리석바닥 글리세 0.53 0.50 0.48 0.37
위의 결과를 보면, 철판바닥 습식 조건에서는 제1,2,3실시예와 비교예와 분석해보면 마찰계수 성능이 비슷하거나 다소 낮은 0.1 이하의 결과가 나왔지만, 철판바닥 글리세린, 대리석바닥 습식 대리석바닥 글리세린에서는 비교예의 마찰계수보다 제1,2,3실시예에서의 마찰계수 성능이 전체적으로 상승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비교예와 제1,2,3실시예와 분석해보면, 전체적으로 연결구가 있는 제1,2,3실시예에서의 마찰계수 성능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연결구에 의해 미끄럼방지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위의 미끄럼 방지 성능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도 8,9,10,11에 첨부하였다.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RS-07)의 시험성적서이고,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RS-06)의 시험성적서이고, 도 10은 제3실시예에 따른(RS-08)의 시험성적서이고,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RS-05)의 시험성적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형태를 이용하여 접착 또는 일체형으로 신발을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밑판 200: 조각구
220: 중앙홈 240: 분할홈
200a: 단위조각구 300: 연결구

Claims (8)

  1. 밑판(100)과, 상기 밑판(100)에 다수 개의 조각구(200)가 돌출 형성된 신발밑창에 있어서,
    상기 조각구(20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복수 개의 분할홈(240)에 의해 구획된 단위조각구(200a)가 형성되어 지면과 맞닿아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조각구(200) 각각 사이에는 연결구(300)로 연결되되, 상기 밑판(100)에 돌출되어 양단이 상기 단위조각구(200a)의 외측면을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단위조각구의 충격하중을 분산하고,
    상기 조각구(200)에는 중앙홈(220)이 형성되어 상기 분할홈과 연결되고, 상기 분할홈(240)의 깊이는 상기 중앙홈(220)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구간 사이 길이는 상기 조각구의 높이와 동일 또는 상대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구 높이가 A일때,
    상기 조각구간 사이 길이B는 A≤ B ≤3A이고,
    상기 연결구 높이C는 0.1A≤ C ≤A 이며,
    상기 연결구 너비D는 0.2A≤ D ≤3A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홈(240)에는,
    상기 단위조각구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단위조각연결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8. 제1,3,4,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140149060A 2014-10-30 2014-10-30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KR10164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60A KR101644454B1 (ko) 2014-10-30 2014-10-30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60A KR101644454B1 (ko) 2014-10-30 2014-10-30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81A KR20160050581A (ko) 2016-05-11
KR101644454B1 true KR101644454B1 (ko) 2016-08-01

Family

ID=5602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060A KR101644454B1 (ko) 2014-10-30 2014-10-30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4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737A (ko) 2017-09-28 2019-04-05 삼덕통상 주식회사 경사형 배수구를 갖은 미드솔을 포함하는 아쿠아슈즈
KR102274633B1 (ko) * 2020-02-10 2021-07-07 주식회사 조우상사 미끄럼 방지용 밑창을 구비한 낚시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343B1 (ko) * 2017-05-29 2019-07-25 (주)보스산업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8642A (ja) 2004-08-30 2008-06-05 チョル ホン キム 多機能性衝撃吸収部材
KR101040648B1 (ko) 2010-09-06 2011-06-10 문구도 하중분산형 신발 겉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647B1 (ko) 2010-04-29 2011-06-10 문구도 하중분산형 신발 겉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8642A (ja) 2004-08-30 2008-06-05 チョル ホン キム 多機能性衝撃吸収部材
KR101040648B1 (ko) 2010-09-06 2011-06-10 문구도 하중분산형 신발 겉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737A (ko) 2017-09-28 2019-04-05 삼덕통상 주식회사 경사형 배수구를 갖은 미드솔을 포함하는 아쿠아슈즈
KR102274633B1 (ko) * 2020-02-10 2021-07-07 주식회사 조우상사 미끄럼 방지용 밑창을 구비한 낚시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81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454B1 (ko) 충격흡수, 이물질 낌 방지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밑창
CA2575262C (en) Footwear outsole including star shapes
US6878430B2 (en) Floor covering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US4777738A (en) Slip-resistant sole
US20160060880A1 (en) Flooring system having assembly clip and related method
US20110017373A1 (en) Anti-Slip Tread Pattern for Shoes
ES2325570T1 (es) Metodo para fabricar paneles para suelo con una capa decorativa en relieve.
CN104481114B (zh) 阶梯式锁扣木地板
US11377800B2 (en) Apparatus for laying a paver
KR101040647B1 (ko) 하중분산형 신발 겉창
JP2016088288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040648B1 (ko) 하중분산형 신발 겉창
WO2009154399A3 (ko) 다이어트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20210019549A (ko) 패널
US7147907B1 (en) Protective covering for landscape ties and timbers and other building materials
KR102057123B1 (ko) 2 방향의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목재 데크
KR101874266B1 (ko) 목재데크 시스템
TWM615918U (zh) 地板連接夾
CN219306147U (zh) 一种防滑的鞋底结构
KR101193254B1 (ko)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JP4823805B2 (ja) 床材の床下地への固定構造
KR20170051045A (ko) 미끄럼방지 구조 강도가 보강된 신발밑창 및 이를 적용한 미끄럼방지 신발
EP2532228A1 (en) Floor element for a stall floor provided with a slot grid for drainage
KR101756397B1 (ko) 공기입 타이어
CA3015771A1 (en) Fixture for laying a joint-covering/threshold-covering profiled element and kit comprising such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