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254B1 -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 Google Patents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254B1
KR101193254B1 KR1020110029990A KR20110029990A KR101193254B1 KR 101193254 B1 KR101193254 B1 KR 101193254B1 KR 1020110029990 A KR1020110029990 A KR 1020110029990A KR 20110029990 A KR20110029990 A KR 20110029990A KR 101193254 B1 KR101193254 B1 KR 10119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ile
body portion
p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488A (ko
Inventor
조창환
Original Assignee
대림씨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씨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씨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25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tacks of articles; for special arrangements of groups of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파일 야적을 위한 받침에 있어서, 사각단면 형상으로 일정길이를 가지고 있되 윗면과 아랫면의 일면 또는 양면에 길이방향으로 파일 형상에 맞게 홈이 생성되어 있는 곡면홈과 곡면홈 사이에 있는 중간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몸체부, 몸체부의 일측단면에 일측단면이 결합되어 있는 제1몸체와 제1몸체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재와 돌출재를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연결돌출부, 몸체부의 타측단면에 일측단면이 결합되어 있는 제2몸체와 제2몸체 타측 단면에 제1몸체의 형상에 맞게 홈이 파져있는 결합홈과 결합홈의 일측면에 돌출재가 끼움결합되도록 홈이 생성되어 있는 정착홈으로 구성되는 연결홈부로 이루어지되, 몸체부, 제1몸체와 제2몸체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A plastic support for the Pile storage }
본 발명은 파일을 야적하기 위한 플라스틱 받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받침이 파일 형상에 맞게 성형되어 있어 적재된 파일이 움직이지 않게 됨으로써 파일을 야적시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짐에 따라 이동이 편하고 자재비 점감에 효과가 있는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에 대한 것이다.
육상 및 해상 등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의 기초는 파일의 관입에 의하여 상부 하중을 지중에 전달하는데, 이러한 파일은 대부분 강관 파일과 콘크리트 파일이 주종을 이루고, 이들의 형상은 대부분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장이나 파일이 사용되는 공사 현장에서는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이러한 파일은 통상 여러 층으로 높게 쌓아 두게 된다.
이렇게 쌓아둔 파일은 장비를 사용하여 한 본 씩 필요한 장소로 옮기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파일의 원형 형상으로 인하여 뒤쪽 또는 앞쪽으로 굴러 내릴 수 있기 때문에 파일 적재시 받침목 등의 각종 각재를 깔거나, 구르지 않도록 쐐기 형태의 목재를 받쳐둔다. 이러한 적재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받침목이나 쐐기가 부러지거나 빠져 파일이 굴러 떨어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작업 중인 장비가 손상되거나, 인근 구조물이 부서지는 등의 예기치 못한 피해를 가져온다. 또한 굴러 내린 파일은 그 충격으로 변형되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파일 손상을 가져와 그 피해가 가중된다.
또한 받침이 목재로 되어 있는 경우 목재에서 발생되는 수액으로 인하여 파일 표면의 얼룩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써, 파일의 형상에 맞게 단면을 가공하여 적재시 안전성을 확보하고, 받침목의 재료를 플라스틱으로 하여 파일표면의 얼룩현상을 방지하고, 받침 양측 단면에 연결부를 두어 손 쉽게 받침들을 연결할 수 있는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세하게는 파일 야적을 위한 받침에 있어서, 사각단면 형상으로 일정길이를 가지고 있되 윗면과 아랫면의 일면 또는 양면에 길이방향으로 파일 형상에 맞게 홈이 생성되어 있는 곡면홈과 곡면홈 사이에 있는 중간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몸체부, 몸체부의 일측단면에 일측단면이 결합되어 있는 제1몸체와 제1몸체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재와 돌출재를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연결돌출부, 몸체부의 타측단면에 일측단면이 결합되어 있는 제2몸체와 제2몸체 타측 단면에 제1몸체의 형상에 맞게 홈이 파져있는 결합홈과 결합홈의 일측면에 돌출재가 끼움결합되도록 홈이 생성되어 있는 정착홈으로 구성되는 연결홈부로 이루어지되, 몸체부, 제1몸체와 제2몸체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을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파일 형상에 맞게 홈이 생성되어 있어 공장, 공사현장 등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파일을 여러 층으로 쌓을 수 있어 안정적이다.
둘째, 본 발명은 나무가 아니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파일에 오염물질이 묻지 않아서 파일의 미관이 미려하다.
셋째,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받침들을 연결하여 쓸 수 있으므로 파일의 야적이 편리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받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받침들의 연결시 연결부분의 상세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받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받침들의 연결 및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받침을 사용하여 파일을 야적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받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받침들의 연결시 연결부분의 상세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받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받침들의 연결 및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받침을 사용하여 파일을 야적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 발명은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파일 야적을 위한 받침에 있어서, 사각단면 형상으로 일정길이를 가지고 있되 윗면과 아랫면의 일면 또는 양면에 길이방향으로 파일 형상에 맞게 홈이 생성되어 있는 곡면홈과 곡면홈 사이에 있는 중간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몸체부, 몸체부의 일측단면에 일측단면이 결합되어 있는 제1몸체와 제1몸체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재와 돌출재를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연결돌출부, 몸체부의 타측단면에 일측단면이 결합되어 있는 제2몸체와 제2몸체 타측 단면에 제1몸체의 형상에 맞게 홈이 파져있는 결합홈과 결합홈의 일측면에 돌출재가 끼움결합되도록 홈이 생성되어 있는 정착홈으로 구성되는 연결홈부로 이루어지되, 몸체부, 제1몸체와 제2몸체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110)는 곡면홈(111)과 중간부재(112)로 이루어져 있다. 곡면홈(111)은 파일(10) 형상에 맞게 몸체부(110)의 윗면과 아랫면의 일면 또는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이 생성되어 있다. 파일(10) 형상에 맞는 곡면홈(111)은 파일(10)이 정확하게 받침(100)에 앉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파일(10)과 곡면홈(111)과의 밀착에 의하여 파일(10)이 불의의 충격을 받아도 받침(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이며, 많은 파일(10)이 받침(100)에 적재되어 있어도 안정적이다.
몸체부(110)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곡면홈(111)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10)는 윗면과 아랫면뿐만 아니라 양측면에 곡면홈(111)이 있어 파일받침(100)의 방향과 상관없이 파일(10)을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10)이 야적될 시 파일받침(100)의 방향을 상관없이 파일(10)이 야적될 수 있으므로 파일(10)의 야적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가 파일(10) 형상에 맞게 곡면홈(111)이 생성되어 있으므로 그만큼 몸체부(110)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현장에서의 이동이 쉽다.
중간부재(112)는 몸체부(110)의 길이방향과 수직 또는 사선 방향으로 홈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간부재(112)는 길이방향과 수직 또는 사선으로 홈이 나 있어 바닥면 또는 받침과의 마찰이 증대되어서 잘 미끄러지지 않아서 파일(10)을 안전하게 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간부재(112)의 홈에 의하여 그만큼 몸체부(110)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현장에서의 이동이 쉽다.
몸체부(11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됨으로 인해 무게가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오래 쓸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몸체부(110)는 주변환경 또는 오랜 사용으로 인한 오염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야적시 파일(10)에 오염물질이 묻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돌출부(120)는 제1몸체(121), 돌출재(122)와 탄성체(123)로 구성되어 있다. 제1몸체(121)는 몸체부(110)의 일측단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형상은 육면체 또는 원형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몸체(121)는 나중에 설명하는 연결홈부(130)에 끼움 결합 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의 받침(100)에 있는 제1몸체(121)가 다른 하나의 받침(100)에 있는 연결홈부(130)에 연결되는 것이다.제1몸체(12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됨에 따라 무게가 가볍다.
돌출재(122)는 제1몸체(121)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연결돌출부(120)와 연결홈부(130)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돌출재(122)는 연결돌출부(120)와 연결홈부(130)의 결합시 걸림 역할을 할 수 있는 어떤 형태라도 괜찮으나 보통 볼 형태로 이루어진다. 탄성체(123)는 제1몸체(121)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재(122)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탄성이 있으면 어떠한 재료라도 상관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 사용된다.
연결홈부(130)는 제2몸체(131), 결합홈(132)과 정착홈(1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몸체(131)는 몸체부(110)의 타측단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형상은 육면체 또는 원형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홈부(130)는 제1몸체(121)가 끼움 결합 되는 곳으로 상세하게는 하나의 받침(100)에 있는 제2몸체(131)가 다른 하나의 받침(100)에 있는 연결돌출부(120)에 연결되는 것이다. 제2몸체(13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됨에 따라 무게가 가볍다. 결합홈(132)은 제2몸체(131) 일측면에 제1몸체(121)와 결합을 위하여 생성되어 있는 홈이다. 정착홈(133)은 돌출재(122)가 끼움 결합되는 곳으로 형태는 돌출재(122)의 형상에 따라 변화한다.
본원 발명은 걸림턱(141)이 달린 일단이 정착홈(133)의 윗부분에 돌출되고 걸림턱(141)이 달린 타단이 제2몸체(131)의 일측면에 돌출되는 분리재(140)가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리재(140)는 양단 끝에 걸림턱(141)이 결합되어 있다. 분리재(140)는 일단이 분리공(142)을 통해서 제2몸체(131) 내의 정착홈(133)으로 돌출되면 걸림턱(141)이 있어 제2몸체(131) 밖으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분리재(140)는 연결돌출부(120)와 연결홈부(130)가 결합되어 있을때 쉽게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분리재(140)의 일단을 누를 경우 타단이 돌출재(122)를 눌러서 연결돌출부(120)와 연결홈부(130)가 쉽게 분리되도록 한다. 분리재(140)는 돌출재(122)를 누를 수 있는 재료면 어떠한 재료도 상관이 없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 사용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파일 100 : 받침
110 : 몸체부 111 : 곡면홈
112 : 중간부재 113 : 홈
120 : 연결돌출부 121 : 제1몸체
122 : 돌출재 123 : 탄성체
130 : 연결홈부 131 : 제2몸체
132 : 결합홈 133 : 정착홈
140 : 분리재 141 : 걸림턱

Claims (6)

  1. 파일 야적을 위한 받침에 있어서,
    사각단면 형상으로 일정길이를 가지고 있되 윗면과 아랫면의 일면 또는 양면에 길이방향으로 파일 형상에 맞게 홈이 생성되어 있는 곡면홈과 상기 곡면홈 사이에 있는 중간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면에 일측단면이 결합되어 있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재와 상기 돌출재를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연결돌출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단면에 일측단면이 결합되어 있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 타측단면에 상기 제1몸체의 형상에 맞게 홈이 파져있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일측면에 상기 돌출재가 끼움결합되도록 홈이 생성되어 있는 정착홈으로 구성되는 연결홈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2. 제1항에서,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곡면홈이 더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3. 제1항에서,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 또는 사선 방향으로 홈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4. 제1항에서,
    상기 제1몸체는 육면체 또는 원형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5. 제1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6. 제1항에서,
    걸림턱이 달린 일단이 상기 정착홈에서 돌출되고 상기 걸림턱이 달린 타단이 상기 제2몸체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는 분리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KR1020110029990A 2011-04-01 2011-04-01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KR101193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990A KR101193254B1 (ko) 2011-04-01 2011-04-01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990A KR101193254B1 (ko) 2011-04-01 2011-04-01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488A KR20120111488A (ko) 2012-10-10
KR101193254B1 true KR101193254B1 (ko) 2012-10-19

Family

ID=4728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990A KR101193254B1 (ko) 2011-04-01 2011-04-01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736A (ko)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자연바이오 폐합성수지제 받침
KR20210001221U (ko) 2019-11-25 2021-06-02 성병준 콘크리트 기둥 적재용 받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6515A (ja) 1996-12-24 1998-09-08 Adokemuko Kk パイプ類の結束用保定具
US20050173597A1 (en) 2004-02-11 2005-08-11 Patterson Ventilation Co., Inc. Pipe and cable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6515A (ja) 1996-12-24 1998-09-08 Adokemuko Kk パイプ類の結束用保定具
US20050173597A1 (en) 2004-02-11 2005-08-11 Patterson Ventilation Co., Inc. Pipe and cable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736A (ko)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자연바이오 폐합성수지제 받침
KR20210001221U (ko) 2019-11-25 2021-06-02 성병준 콘크리트 기둥 적재용 받침대
KR20210001790U (ko) 2019-11-25 2021-08-03 성병준 콘크리트 기둥 적재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488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368B1 (ko) 무장애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US11015316B1 (en) Top plate for cribbing stacks and associated methods
US9670639B2 (en) Pad for support of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1193254B1 (ko)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US20070193827A1 (en) Ladder Support Device
JP6781454B2 (ja) 足場板連結具及び足場板の連結構造
KR101236921B1 (ko) 울타리 지주용 조립식 콘크리트 기초블럭
US20140331592A1 (en) Rebar securing device
KR101166141B1 (ko) 구조물 설치용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
KR101707824B1 (ko) 철도 레일 체결 클립용 절연기 및 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철도 레일 체결 클립
US2592057A (en) Scaffold jack
KR20110091049A (ko) 파일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거치대
JP5902560B2 (ja) 緊急避難台用床版
KR20110071569A (ko) 구조물 설치용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
JP6775210B2 (ja) ラック倉庫用パレット
KR200440440Y1 (ko) 파일 안전받침장치
KR101062234B1 (ko) 상하면 동시 방진 장선
CN215291585U (zh) 一种异型钢结构保护装置
JP5924785B2 (ja) バラスト止め付きケーブルトラフ
KR20050120606A (ko) 건축용 안전발판
KR20150058855A (ko) 기둥-기초 접합을 위한 목구조용 접합철물
CN210459748U (zh) 一种楼板设吊钩的安装结构
KR102523027B1 (ko) 무용접 폼 지지장치
JP6920176B2 (ja) 駅ホームの補強構造及び駅ホームの補強方法
JP6091200B2 (ja) 浮き架台用型枠材及び浮き架台構造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