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769B1 - 내열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열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769B1
KR101643769B1 KR1020160010552A KR20160010552A KR101643769B1 KR 101643769 B1 KR101643769 B1 KR 101643769B1 KR 1020160010552 A KR1020160010552 A KR 1020160010552A KR 20160010552 A KR20160010552 A KR 20160010552A KR 101643769 B1 KR101643769 B1 KR 101643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ilicone resin
pigment
solven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헌
김남기
Original Assignee
김태헌
김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헌, 김남기 filed Critical 김태헌
Priority to KR102016001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4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C09D7/001
    • C09D7/1216
    • C09D7/123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리콘 수지 및 유기 희석제를 포함하는 바인더 15~40중량부; 무기안료 35~50중량부; 이염기성 에스터(dibasic ester) 용제 8.5~15중량부; 및 자일렌 용제 10~30중량부;를 포함하는, 내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열 도료 조성물{HEAT-RESISTANT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내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고온이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열 수축 및 팽창 성능이 우수한 내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열 도료는 피도장물이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 변색, 균열, 연화, 박리 및 열변형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도료로, 고온의 환경으로부터 피도장물을 보호하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철, 철강, 석유화학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산업 설비는 각 공정에서 고온에 노출되어 노화나 열손실, 화재로 인한 산업 재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내열 도료를 피도장물에 도포하여 산업 설비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실내 건축에 사용되는 페인트는 고온의 환경에서 유독가스를 배출하여 화재 시, 이러한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내열 도료를 사용하여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건축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내열 도료 조성물에는 바인더 성분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한다. 다만, 이러한 실리콘 수지를 바인더 성분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내열 도료 조성물은 용제의 상용성이 우수하지 못해 실리콘 수지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900℃ 이상의 고온 내지 온도 변화가 급격한 환경에서는 도막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내열 도료 조성물은 백색안료나 흑색안료를 사용하여 도막에 심미성을 부여할 수 있었으나, 유색의 색상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실리콘 수지와 안료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제가 개발되지 않아 그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900℃ 이상의 고온이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도막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색의 색상을 부여할 수 있는 내열 도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내열성, 특히 열 수축 및 팽창 성능이 우수하여 고온이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내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리콘 수지 및 유기 희석제를 포함하는 바인더 15~40중량부; 무기안료 35~50중량부; 이염기성 에스터(dibasic ester) 용제 8.5~15중량부; 및 자일렌 용제 10~30중량부;를 포함하는, 내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 및 상기 유기 희석제의 함량이 상기 바인더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40~50중량% 및 50~60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가 디페닐실리콘 수지, 메틸실리콘 수지, 페닐실리콘 수지, 메틸페닐실리콘 수지,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희석제가 자일렌, 에틸벤젠, 스토다드 용제,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안료가 백색안료, 흑색안료, 청색안료, 녹색안료, 적색안료, 황색안료,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가 디메틸석시네이트(Dimethly succinate), 디메틸글루타레이트(Dimethly glutarate), 디메틸아디페이트(Dimethly adipate),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가 디메틸석시네이트, 디메틸글루타레이트, 및 디메틸아디페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메틸석시네이트, 디메틸글루타레이트, 및 디메틸아디페이트의 함량이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15~28중량%, 40~55중량%, 및 30~45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 및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와 자일렌 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도료 조성물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료 조성물의 내열성, 특히 열 수축 및 팽창 성능을 향상시켜 고온이나 온도 변화가 급격한 환경에서 피도장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 도료 조성물이 도포된 시편의 가열 및 급냉 후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 도료 조성물이 도포된 시편의 가열 및 급냉 후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내열 도료 조성물이 도포된 시편의 가열 및 급냉 후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내열 도료 조성물이 도포된 시편의 가열 및 급냉 후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내열 도료 조성물이 도포된 시편의 가열 및 급냉 후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열 도료 조성물이 실리콘 수지 및 유기 희석제를 포함하는 바인더 15~40중량부; 무기안료 35~50중량부; 이염기성 에스터(dibasic ester) 용제 8.5~15중량부; 및 자일렌 용제 10~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규소(Si)와 산소(O)가 결합된 실록산(Siloxane)이 단량체로 중합된 고분자 수지로, 이는 내열성, 내한성, 내수성 등이 우수하여 공업용 재료로서 다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규소 원자의 결합수에 기반하여 실록산을 형성한 부분 외에 하나의 작용기 및 하나의 유기기(Organic functional group)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기 및 유기기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수지의 물성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실리콘 수지가 디페닐실리콘 수지, 메틸실리콘 수지, 페닐실리콘 수지, 메틸페닐실리콘 수지,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기 중 메틸기의 비율이 증가하면 수지의 발수성이 증가하고 고무 탄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반면에, 페닐기의 비율이 증가하면 수지의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작용기는 통상적으로 하이드록실기, 메톡시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가열에 의해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바, 상기 작용기가 하이드록실기인 경우 탈수 축합 반응에 의해 경화하고, 메톡시기인 경우 탈알코올, 탈에테르 축합 반응에 의해 경화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산, 염기, 아민류, 금속염 등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코발트, 아연, 철의 옥틸산염 또는 나프텐산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연 옥토에이트(Zinc octoat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인더가 경화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촉매의 함량은 상기 바인더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3~1중량%일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이 0.3중량% 미만이면 경화 촉진 효과가 미약할 수 있고, 1중량% 초과이면 사용량 대비 경화 촉진성이 향상되지 않아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실록산 분자 구조 내 작용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수지의 강도가 증가하고 건조성이 향상되는 반면에, 작용기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수지의 유연성이 증가하고 건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리콘 수지의 작용기 및 유기기의 종류, 함량 등 수지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각 요소들을 적절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요구되는 물성 간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닐기와 상기 실록산 단량체의 몰(mol) 비율이 0.2~0.6 : 1이고, 상기 작용기와 상기 실록산 단량체의 몰(mol) 비율이 0.3~0.7 : 1인 실리콘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도료 조성물의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리콘 수지만을 바인더로 사용하는 경우, 실리콘 수지의 고점도 특성 때문에 도료 조성물의 도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리콘 수지의 점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희석제를 혼합하여 바인더로 사용함으로써 도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실리콘 수지와 상용성이 우수한 유기 희석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희석제가 자일렌(Xylene), 에틸벤젠(Ethylbenzene), 스토다드 용제(Stoddard solvent),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 수지 및 상기 유기 희석제의 함량이 상기 바인더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40~50중량% 및 50~6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바인더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실리콘 수지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이거나 상기 유기 희석제의 함량이 60중량% 초과이면 도료 조성물의 내열성 향상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실리콘 수지의 함량이 50중량% 초과이거나 상기 유기 희석제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이면 도료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도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유기 희석제와 실리콘 수지의 상용성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유기 희석제가 자일렌, 에틸벤젠, 및 스토다드 용제의 혼합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이들 각각의 함량이 상기 바인더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자일렌 30~40중량%, 에틸벤젠 10~20중량%, 및 스토다드 용제 0.1~1중량%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토다드 용제(Stoddard solvent)는 C8-C14의 분지형(branched), 선형(linear), 및 고리형(cyclic) 파라핀과 벤젠 등의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로 각 성분이 혼합된 희석제를 사용함으로써, 실리콘 수지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지의 점도를 조절하여 도료 조성물의 도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인더의 함량이 15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실리콘 수지에서 기인한 내열성, 내한성 등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40중량부 초과이면 용제나 안료의 상대적 함량이 감소하여 도료 조성물의 도장성이 저하되거나 선명한 색상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바인더의 함량은 15~40중량부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는 도료 조성물을 착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소결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결 무기안료는 분말형으로 용제 내에서 용해되지 않고 분산된 형태로 존재하며, 무기질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료 조성물의 내열성, 내광성,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기안료의 함량이 35~5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의 함량이 35중량부 미만이면 착색성이 미미하여 도료에 선명한 색상을 부여할 수 없고, 50중량부 초과이면 바인더나 용제의 상대적 함량이 감소하여 도료 조성물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및 후술할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와 자일렌 용제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유색 안료와의 혼화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종래 내열 도료 조성물에서 구현할 수 없던 유색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무기안료는, 예를 들어 백색안료, 흑색안료, 청색안료, 녹색안료, 적색안료, 황색안료,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백색안료로는 황산바륨, 탄산칼슘, 석고, 알루미나, 산화아연, 산화규소, 산화티타늄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흑색안료로는 카본블랙, 흑연, 이황화몰리브덴, 산화철, 실리카블랙, 크롬블랙, 미네랄블랙, 탄화규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청색안료로는 감청, 군청, 코발트블루, 텅스텐블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색안료로는 크롬그린, 코발트그린, 망간그린, 철그린, 인산구리, 청동분, 녹청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적색안료로는 적색산화철, 카드뮴레드, 몰리브덴레드, 페로시안구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황색 안료로는 황연, 황산화철, 황토, 바륨황, 카드뮴황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리콘 수지는 내열성, 내한성 등의 물성에서는 우수한 성질을 나타내나, 타 수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용제성이 미흡하여 혼합되는 용제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실리콘 수지와의 상용성 문제로 수지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리콘 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와 자일렌 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리콘 수지의 물성 저하를 방지하여 수지 고유의 우수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수지와 상기 무기안료의 부착성을 향상시켜 도료 조성물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는 실리콘 수지의 점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도료 조성물의 퍼짐성을 향상시켜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도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를 단독으로 적용하는 경우, 900℃ 이상의 고온이나 온도 변화가 급격한 환경에서 도료 조성물의 열 수축 및 팽창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와 자일렌 용제의 혼합물을 실리콘 수지의 용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는 8.5~15중량부의 범위에서, 상기 자일렌 용제는 10~30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양자 간 혼합에 따른 상승 효과가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가 디메틸석시네이트(Dimethly succinate), 디메틸글루타레이트(Dimethly glutarate), 디메틸아디페이트(Dimethly adipate),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가 디메틸석시네이트, 디메틸글루타레이트, 및 디메틸아디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가 디메틸석시네이트, 디메틸글루타레이트, 및 디메틸아디페이트를 전부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메틸석시네이트, 디메틸글루타레이트, 및 디메틸아디페이트의 함량이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15~28중량%, 40~55중량%, 및 30~4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의 각 성분이 상기 함량 범위 내로 사용되는 경우, 실리콘 수지 고유의 물성을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료 조성물에 내열성, 특히 열 수축 및 팽창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각 성분이 상기 범위 내로 조절된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를 사용함으로써, 도료 조성물이 도포된 모재가 900℃ 이상의 고온이나 온도 변화가 급격한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상기 모재의 열 수축 또는 팽창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료 조성물이 유연하게 수축 또는 팽창하여 도료 조성물이 박리되지 않고 모재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디메틸석시네이트, 디메틸글루타레이트, 및 디메틸아디페이트 각각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바인더와 무기안료의 부착력, 도료 조성물의 퍼짐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함량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디메틸석시네이트 22중량부, 디메틸글루타레이트 43중량부, 및 디메틸아디페이트 35중량부가 혼합된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 14g과 자일렌 용제 40g을 혼합하였다.
이후, 자일렌 37중량부, 에틸벤젠 17중량부, 스토다드 용제 0.6중량부, 아연 옥토에이트 0.4중량부, 및 메틸페닐실리콘 수지 45중량부가 혼합된 바인더 30g과 이산화티타늄 90중량부, 비정질 이산화규소 6중량부, 산화알루미늄 3중량부, 및 산화지르코늄 1중량부가 혼합된 백색안료 56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기를 사용하여 800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 14g, 자일렌 용제 15g, 바인더 34g, 및 백색안료 52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자일렌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 14g, 바인더 60g, 및 백색안료 26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자일렌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 14g, 바인더 50g, 및 백색안료 36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자일렌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 14g, 바인더 46g, 및 백색안료 4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각 성분의 함량에 따른 도료 조성물의 내열성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에 따른 도료 조성물을 각각 SUS 310S 시편(60㎝*70㎝*1.2㎝)에 25㎛ 두께로 도포한 후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테스트시편을 제작하였다.
각각의 테스트시편을 토치를 사용하여 945℃의 온도로 20분 동안 직접 가열한 후 5℃의 물에 노출시키면서 도막의 박리 현상 발생여부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1 내지 도 5, 및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도막의 박리여부
○ : 도막의 일부 또는 전부 박리 현상 발생함
X : 도막의 박리 현상 발생하지 않음
도 1 내지 도 5, 및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와 자일렌 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바인더, 안료, 및 용제가 일정 함량 범위 내로 조절된 도료 조성물(실시예 1~2)이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고 바인더 또는 안료의 함량이 일정 함량 범위를 벗어나도록 조절된 도료 조성물(비교예 1~3)에 비해 도막의 박리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막의 박리 현상이 발생한 도료 조성물(비교예 1~3)의 경우, 물에 노출시키기 이전, 즉 가열 시점부터 도막의 일부 또는 전부 박리 현상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각 성분의 함량을 일정 범위 내로 조절하고,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와 자일렌 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한 도료 조성물이 900℃ 이상의 고온이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내열성, 특히 열 수축 및 팽창 성능이 우수하여 피도장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실리콘 수지 및 유기 희석제를 포함하는 바인더 15~40중량부;
    무기안료 35~50중량부;
    이염기성 에스터(dibasic ester) 용제 8.5~15중량부; 및
    자일렌 용제 10~3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가 디메틸석시네이트(Dimethly succinate), 디메틸글루타레이트(Dimethly glutarate), 및 디메틸아디페이트(Dimethly adipate)를 포함하며,
    상기 디메틸석시네이트, 디메틸글루타레이트, 및 디메틸아디페이트의 함량이 상기 이염기성 에스터 용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15~28중량%, 40~55중량%, 및 30~4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 및 상기 유기 희석제의 함량이 상기 바인더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40~50중량% 및 50~6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도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가 디페닐실리콘 수지, 메틸실리콘 수지, 페닐실리콘 수지, 메틸페닐실리콘 수지,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도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희석제가 자일렌, 에틸벤젠, 스토다드 용제,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안료가 백색안료, 흑색안료, 청색안료, 녹색안료, 적색안료, 황색안료,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도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KR1020160010552A 2016-01-28 2016-01-28 내열 도료 조성물 KR101643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552A KR101643769B1 (ko) 2016-01-28 2016-01-28 내열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552A KR101643769B1 (ko) 2016-01-28 2016-01-28 내열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769B1 true KR101643769B1 (ko) 2016-07-29

Family

ID=56617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552A KR101643769B1 (ko) 2016-01-28 2016-01-28 내열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40509A (zh) * 2023-06-25 2023-08-25 佛山市南伽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有机硅涂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035B1 (ko) * 1996-06-25 1999-01-15 한영재 내열도료 조성물
KR101200568B1 (ko) * 2012-07-27 2012-11-16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수배전반 부스바 도포용 도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035B1 (ko) * 1996-06-25 1999-01-15 한영재 내열도료 조성물
KR101200568B1 (ko) * 2012-07-27 2012-11-16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수배전반 부스바 도포용 도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40509A (zh) * 2023-06-25 2023-08-25 佛山市南伽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有机硅涂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126B1 (ko) 에폭시관능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 및 에폭시 관능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코팅조성물
Iezzi et al. Acrylic-fluoropolymer mixtures and their use in coatings
US3980729A (en) Silicone resin compositions
KR102042801B1 (ko) 무용제형 에폭시 도료 조성물
US4385158A (en)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KR102444418B1 (ko) 내마모성, 부착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킨 절연코팅제
US3884873A (en) Arylene sulfide polymer cured with the aid of certain compounds
KR101643769B1 (ko) 내열 도료 조성물
US5422396A (en) Heat-resistant coating powder
US20040249044A1 (en) High temperature resistant coating composition
US3347816A (en) Pigmented polysiloxane surface coating compositions for glossy coatings of increased thermal stability
US3583939A (en) Crosslinking of aromatic polymers with organic polysulfonazides
GB2268501A (en) Terminally modified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KR20180079719A (ko) 무용제 에폭시 바닥재 도료 조성물
US12018149B2 (en) Aqueous polyorganosiloxane hybrid resin dispersion
JP2022191026A (ja) ポリシロキサン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シロキサンの利用
CA1040341A (en) Compositions suitable for molding
US3855184A (en) Crosslinking of aromatic polymers with organic polysulfonazides
KR102673364B1 (ko) 불소수지와 그래핀을 이용한 넌스틱 코팅제의 제조방법
KR101467324B1 (ko) 이소비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도료
US5198528A (en) Diallyl ether high solids alkyd
KR20060130959A (ko) 초고속 경화성 표면코팅제 및 칼라아스팔트
KR102314461B1 (ko) 세라믹 유기수지 복합체의 피씨엠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경도 컬러강판
KR102167528B1 (ko) 속경형 콘크리트 균열 보수용 아크릴 올리고머와 단량체 및 착색제를 이용한 균열 씰링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시공 방법
JPS63227657A (ja) アルキツド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