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592B1 -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592B1
KR101643592B1 KR1020150041309A KR20150041309A KR101643592B1 KR 101643592 B1 KR101643592 B1 KR 101643592B1 KR 1020150041309 A KR1020150041309 A KR 1020150041309A KR 20150041309 A KR20150041309 A KR 20150041309A KR 101643592 B1 KR101643592 B1 KR 10164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construction information
pip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석
서재순
김상진
김태산
Original Assignee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주)와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주)와콘 filed Critical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1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2Details of the space or ground control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관 시공 자료를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기반으로 수집함으로써 모든 구역의 매설관 정보를 매우 효율적으로 그리고 통합적으로 구축 및 관리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은 휴대 단말을 통해 배관의 시공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시공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시공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가 가공하는 시공 정보 가공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시공 정보 수집 단계는 GPS를 이용하여, 제1 구역에 시공되는 배관(이하, '제1 배관' 이라 함)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관의 시공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공 정보 가공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각 배관의 시공 정보 중 상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GIS 맵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GIS 맵에 표출된 좌표들을 선택하여 좌표별 순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OF BURIED PIPES USING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을 기반으로 하여 각 배관들의 시공 정보를 매우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매설관은 상수, 하수, 가스, 유류, 쓰레기, 전기선, 통신선 등을 각각 수송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된 코팅 강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 매설관들은 하천 또는 도로 등을 따라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이러한 매설관은 하나의 구역에서 끝나지 않고 제1 구역에서 제2 구역으로 그리고 제2 구역에서 제N 구역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하나의 큰 관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나의 큰 관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매설관 정보 중 특히 그 위치 정보를 매설관 매설 위치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 매설관 관리 체계를 살펴보면, 각 구역에 시공되어 있는 매설관 정보를 각 구역별로 따로 관리하는 점형 관리 체계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 개소 구역별로 관리하는 선형 관리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점형 또는 선형 관리에 의한 종래 매설관 관리 체계에 의하면, 전체 매설관에 대한 정보를 특히 그 매설 위치 순서로 통합하여 시스템을 구축함에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설관 시공 자료를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기반으로 수집함으로써 모든 구역의 매설관 정보를 매우 효율적으로 그리고 통합적으로 구축 및 관리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은 휴대 단말을 통해 배관의 시공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시공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시공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가 가공하는 시공 정보 가공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시공 정보 수집 단계는 GPS를 이용하여, 제1 구역에 시공되는 배관(이하, '제1 배관' 이라 함)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관의 시공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공 정보 가공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각 배관의 시공 정보 중 상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GIS 맵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GIS 맵에 표출된 좌표들을 선택하여 좌표별 순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모든 구역의 매설관 정보를 매우 효율적으로 그리고 통합적으로 수집, 가공, 구축, 정렬, 갱신, 검색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매설관의 위치 정보를 갖는 시공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시공 자료 관리 및 처리의 자동화, GIS 자료 표출 시각화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에 의해 처리되는 업무를 도시한 업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의 주요 업무 처리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 정보 수집 단계의 시공 정보 입력 화면의 일례.
도 5는 본 발명의 위치 정보 GIS 맵 매핑 단계를 통해 수행된 매핑 화면의 일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휴대 단말(20), 통신망(30) 및 관리 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20)은 작업자 휴대하여 배관이 시공되는 현장에서 해당 배관의 시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기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모듈,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전기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넷북, PDA 등을 들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배관'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관로를 구성하는 관체로서, 지표 아래 매설되는 매설관은 물론 지상에 설치되는 관체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에 의해 수집되는 시공 정보는 적어도 해당 구역에 설치된 배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배관정보(시공번호 내재 관리번호, 배관종류, 이름, 규격, 위치), 시공 사진, 시공 지역, 시공일, 시공 기간, 시공사, 작업자, 작업명, 작업 구분, 연락처 등과 같은 시공 관련 기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에 의해 수집되는 시공 정보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리 서버(10)로 전송된다. 여기서 통신망(30)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제3세대 이동통신(3G)망, 제4세대 이동통신(LTE,4G)망을 비롯하여 와이브로(WiBro)망, 와이파이(Wifi)망일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20)은 필요시 통신망(30)을 통해 관리 서버(10)에 접근하여 관리 서버(10)에 저장되어 있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맵 자료, 시공 정보 자료 등을 검색 및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20)은 특정 배관에 대한 시공 정보의 변경시 관리 서버(10)에 접근하여 특정 시공 정보 자료를 호출한 후 해당 시공 정보 자료에 입력되어 있는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는 통신망(30)을 통해 각 휴대 단말(20)로부터 전술한 시공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가공 및 저장하고, 휴대 단말(20)의 요청시 가공된 자료를 해당 휴대 단말(20)에 제공하며, 휴대 단말(20)에 의해 특정 시공 정보의 수정이 발생시 이를 반영하여 기존 시공 정보를 갱신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관리 서버(10)는 유무선 통신 모듈, 중앙처리장치(CPU) 및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 컴퓨터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에 의한 시공 정보의 가공은 각 배관의 시공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GIS 맵에 출력한 후 GIS 맵에 표출된 좌표값들을 선택하여 좌표별 순서로 시공 정보(특히, 위치 정보인 좌표값)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0)에 의한 시공 정보의 제공 및 수정은 GIS 맵을 기반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20)의 시공 정보 수집 방법과, 관리 서버(10)의 시공 정보 가공/처리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에 의해 처리되는 업무를 도시한 업무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의 주요 업무 처리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은 크게 시공 정보 수집 단계(S10), 시공 정보 가공 단계(S20), 및 시공 정보 관리 단계(S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공 정보 수집 단계(S10)는 휴대 단말 및 위치 정보 측량 기기를 통해 수행되며, 배관 위치 정보 획득 단계(S11)와 시공 정보 전송 단계(S12)를 포함한다.
먼저, 배관 위치 정보 획득 단계(S11)는 목적하는 구역에 시공된 배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배관 위치 정보 획득 단계(S11)는 휴대 단말(20)에 탑재된 위치 정보 측량 기기 또는 휴대 단말(20)과 연계된 별도의 위치 정보 측량 기기를 이용하여, 목적 지역(이하, '제1 구역'이라 함)에 시공된 배관(이하, '제1 배관' 이라 함)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위치 정보를 측량하기 위한 기기는 휴대 단말(20)에 자체적으로 탑재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거나, 또는 국토지리정보원 내지 통신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는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보다 정확히 획득 및 보정할 수 있는 VRS, RTK, DGPS 위치 측량 기기일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1'에서 획득하는 위치 정보는 제1 구역의 제1 배관이 제2 구역의 배관(이하, '제2 배관'이라 함)과 연결되는 접합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경도, 위도, 고도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배관 위치 정보 획득 단계(S11)는 전술한 위치 정보 외에 해당 구역에 설치된 배관의 시공 사진, 시공 지역, 시공일, 시공 기간, 시공사, 작업자, 작업명, 작업 구분, 연락처 등과 같은 시공 관련 기타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타 정보는 휴대 단말(20)에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각 정보를 입력 및 기재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휴대 단말(20)에 탑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면 휴대 단말(20)의 표시부에는 기능 선택란을 포함하는 앱 화면이 표시되고, 이때 작업자는 기능 선택란의 메뉴 중 시공 자료 등록을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공 정보 수집 단계(S10)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 정보 수집 단계의 시공 정보 입력 화면의 일례로서, 작업자가 시공 정보의 수집을 위해 휴대 단말(2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한 후 작업 등록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제공되는 화면이다.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작업자는 휴대 단말(20)에 제공되는 작업 등록 화면(21) 상에서 현장명, 시공사, 공사 기간, 작업명, 작업일, 작업자, 연락처, 작업 구분 등의 시공 관련 기타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해당 구역에 시공된 배관의 시공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배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기타 정보를 포함하는 시공 정보의 수집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통신망(30)과 연결된 휴대 단말(20)을 통해 제1 배관의 시공 정보를 관리 서버(10)로 전송(S12)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다수의 휴대 단말(20)들로부터 전송되는 시공 정보들은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 시공 순서별로 저장되어 시공 자료를 구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시공 정보 가공 단계(S20)는 관리 서버(10)를 통해 수행되며, 위치 정보의 GIS 맵 매핑 단계(S21)와 좌표별 순서로 시공 정보(특히, 위치 정보인 좌표값)를 저장하는 단계 (S21)를 포함한다.
먼저, 위치 정보의 GIS 맵 매핑 단계(S21)는 다수의 휴대 단말(20)로부터 제공되는 각 배관의 시공 정보 중 전술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GIS 맵에 매핑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의 GIS 맵 매핑 단계(S21)는 관리 서버(10)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GIS 맵 자료와 휴대 단말(20)로부터 제공받은 시공 자료를 읽어 온 후, 감시 구간별로 시공 자료를 판독한다.
상기 판독이 완료되면, 시공 자료의 시공 정보 속성 중 위치 정보(즉, 좌표값)가 나타내는 위치를 GIS 상에 출력하는 매핑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위치 정보 GIS 맵 매핑 단계(S21)를 통해 수행된 매핑 화면의 일례이다. GIS 맵(11) 상에 각 시공 정보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면 도 5과 같이 좌표점들(12)이 자동으로 배열된다.
이 때, GIS 맵(11) 상에 출력되는 좌표점(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구역의 배관이 상호 연결되는 지점의 좌표값인 바, GIS 맵(11) 상에 표출되는 좌표를 연결하면 전체 관로가 나타나게 된다.
다음으로, 좌표별 순서로 시공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2)는 단계 S21'를 통해 GIS 맵(11) 상에 표출된 좌표값들을 선택하여 좌표별 순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단계 'S22'가 완료되면, 좌표별 순서로 시공 정보(특히, 위치 정보인 좌표값)가 정렬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해당 좌표에 매칭되어 있는 전술한 기타 정보도 좌표별 순서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작업자가 휴대 단말(20)을 통해 관리 서버(10)에 접근하여 GIS 맵(11)을 호출하면, 도 5와 같이 각 배관의 연결 위치가 표현되어 있는 GIS 맵(11)을 제공받을 수 있고, 이와 같이 제공된 GIS 맵(11) 상에서 시공 정보의 조회 내지 수정을 희망하는 배관(예컨대, 제3 배관)이 있을 경우, 제3 배관에 해당하는 좌표점(12a)을 선택하면 도 5의 "13"과 같이 제3 배관에 대한 시공 정보 화면(13)이 제공되어 이를 열람 또는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시공 정보 관리 단계(S30)는 시공 정보 가공 단계(S20)에 의해 구축된 시공 자료를 관리하는 단계로서, 시공 정보 수정 발생 단계(S32)와 해당 시공 정보 편집/저장 단계(S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공 정보 관리 단계(S30)는 관리 서버(10) 자체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휴대 단말(20)을 통해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관리 서버(10) 자체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특정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의 시공 정보에 대해 조회를 희망하거나 수정 사항이 발생였다고 가정한다. 상기 경우, 작업자는 관리 서버(10)를 통해 각 배관의 시공 위치(즉, 좌표)가 표출되어 있는 GIS 맵 (11)을 웹 페이지(14) 상에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키워드 선택 내지 좌표점 선택을 통해, 조회 또는 수정을 희망하는 배관의 시공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수정 사항이 있을 경우, 수정 사항이 발생된 배관의 시공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수정 내용을 새롭게 반영하는 시공 정보 갱신 과정을 행한 후 저장함으로써 시공 정보 관리 단계(S3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20)을 통해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수행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경우, 특정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에 대한 시공 정보의 조회 희망 내지 수정 사항이 발생하면, 작업자는 본인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 단말(2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자료 검색 메뉴를 선택한 후, 키워드 선택 내지 좌표점 선택을 통해 조회 또는 수정을 희망하는 배관의 시공 정보를 검색한다.
이때, 수정 사항이 있을 경우, 수정 사항이 발생된 배관의 시공 정보를 선택한 후 해당 배관에 대해 기저장되어 있는 시공 정보에 수정 사항을 반영하는 시공 정보 갱신 과정을 행하여 관리 서버(10)로 전송 및 저장함으로써 시공 정보 관리 단계(S30)가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모든 구역의 매설관 정보를 매우 효율적으로 그리고 통합적으로 수집, 가공, 구축, 정렬, 갱신,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매설관의 위치 정보를 갖는 시공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시공 자료 관리 및 처리의 자동화, GIS 자료 표출 시각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관리 서버
11: GIS 맵
12: 좌표점
14: 웹 페이지
20: 휴대 단말
21: 작업 등록 화면
30: 통신망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휴대 단말을 통해 배관의 시공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시공 정보 수집 단계;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시공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가 가공하는 시공 정보 가공 단계; 및 상기 시공 정보 가공 단계에 의해 가공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시공 정보 관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공 정보 수집 단계는,
    GPS를 이용하여, 제1 구역에 시공되는 배관(이하, '제1 배관' 이라 함)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관의 시공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공 정보 가공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각 배관의 시공 정보 중 상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GIS 맵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GIS 맵에 표출된 좌표들을 선택하여 좌표별 순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공 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각 배관의 시공 위치가 표출되는 GIS 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GIS 맵 상에 표출되는 각 배관 중 적어도 하나의 배관의 시공 정보에 수정 사항이 있을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어 있는 해당 배관의 시공 정보에 상기 수정 사항을 반영하는 갱신을 수행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 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에 접근하여 목적하는 배관(이하, '목적 배관'이라 함)의 시공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배관의 시공 정보에 수정 사항이 있을 시, 상기 목적 배관에 대해 기저장되어 있는 시공 정보에 상기 수정 사항을 반영하는 갱신을 수행한 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의 시공 정보는 배관의 관리번호, 규격, 종류를 포함한 배관정보, 시공 사진, 시공 지역, 시공 기간 및 시공사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배관이 제2 구역에 시공된 제2 배관과 연결되는 접합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KR1020150041309A 2015-03-25 2015-03-25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4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309A KR101643592B1 (ko) 2015-03-25 2015-03-25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309A KR101643592B1 (ko) 2015-03-25 2015-03-25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592B1 true KR101643592B1 (ko) 2016-07-28

Family

ID=5668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309A KR101643592B1 (ko) 2015-03-25 2015-03-25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5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4762A (zh) * 2018-07-25 2018-11-06 中山市爱科应用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式城市排水管网健康管理系统
CN109002038A (zh) * 2018-06-28 2018-12-14 成都工业学院 一种垃圾桶自动寻位方法、环卫小车及环卫系统
KR101986350B1 (ko) * 2018-04-05 2019-09-03 주식회사 무브먼츠 파이프 연결부 정보를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전자지도 구축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6404A (ja) * 2002-04-05 2003-10-17 Hitachi Ltd 工事に伴う地図更新のシステムとその更新方法並びに地図更新サービス提供方法
KR20100116815A (ko) * 2009-04-23 2010-11-02 (주) 충청에스엔지 지리정보시스템 및 알 에프 아이디 태그 라디오 주파수 인식기술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100135115A (ko) * 2009-06-16 2010-12-24 (주) 이우티이씨 광섬유 센서와 자기마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지 및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6404A (ja) * 2002-04-05 2003-10-17 Hitachi Ltd 工事に伴う地図更新のシステムとその更新方法並びに地図更新サービス提供方法
KR20100116815A (ko) * 2009-04-23 2010-11-02 (주) 충청에스엔지 지리정보시스템 및 알 에프 아이디 태그 라디오 주파수 인식기술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100135115A (ko) * 2009-06-16 2010-12-24 (주) 이우티이씨 광섬유 센서와 자기마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지 및 관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350B1 (ko) * 2018-04-05 2019-09-03 주식회사 무브먼츠 파이프 연결부 정보를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전자지도 구축 시스템
CN109002038A (zh) * 2018-06-28 2018-12-14 成都工业学院 一种垃圾桶自动寻位方法、环卫小车及环卫系统
CN108764762A (zh) * 2018-07-25 2018-11-06 中山市爱科应用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式城市排水管网健康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3222B2 (en) Mapping and asset lifecycle tracking system
CN103069349B (zh) 具备改进的定位意识功能的手持现场维护工具
KR100706300B1 (ko) 수자원 관리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US7359931B2 (en) System to facilitate pipeline management, software, and related methods
JP2013222335A (ja) 対象物特定システム、対象物特定サーバ及び対象物特定端末
CN103884345A (zh) 兴趣点信息采集方法、显示方法、装置及系统
KR101643592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00949B1 (ko) 웹 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142768B1 (ko)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
JP4684043B2 (ja) 電力設備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80001385A (ko)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26731B1 (ko) 지피에스 확인을 통한 변경된 지형지물의 수치지도 갱신방법
Hammad et al. Potential of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infrastructure field tasks
Kinlyside SCIMS3: The next generation Survey Contro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N111460623B (zh) 一种测绘作业数据实时采集处理方法及系统
Bârliba et al. The advantages of using mobile GIS technology.
KR20190023471A (ko) 매설관 통합정보구축 및 관리감시를 위한 자료동기화 운영 시스템
KR101454191B1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하상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9759833B2 (en) Buried asset detection including portable transmitter hookup logging
KR100438003B1 (ko) 실시간 측량 시스템을 이용한 측량 방법
CN114742384A (zh) 一种基于bim三维重建的可视化电力排管智能管控方法
JP2014026647A (ja) 標示器または情報杭を管理する管理サーバおよ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WO2024084770A1 (ja) 管路工事事業支援システム、管路工事事業支援サーバ、管路工事事業支援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管路工事事業支援システム制御用プログラム
JP2012234231A (ja) 現場調査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3296404A (ja) 工事に伴う地図更新のシステムとその更新方法並びに地図更新サービス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