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768B1 -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768B1
KR102142768B1 KR1020180113217A KR20180113217A KR102142768B1 KR 102142768 B1 KR102142768 B1 KR 102142768B1 KR 1020180113217 A KR1020180113217 A KR 1020180113217A KR 20180113217 A KR20180113217 A KR 20180113217A KR 102142768 B1 KR102142768 B1 KR 10214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inspection
underground facility
undergroun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653A (ko
Inventor
박기석
구대성
이슬기
Original Assignee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7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업로드 받는 단계,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의 검수를 위한 옵션 파일을 받는 단계,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 내 지하시설물들의 정위치 또는 구조화에 대한 기본 검수와 응용 검수를 수행하는 단계, 검수를 수행한 결과에 따른 오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오류 레이어를 포함한 오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오류 파일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오류 파일에 기초하여 오류를 편집한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위치 데이터와 구조화 데이터 검수 방법에 사용할 다양한 검수 항목을 신설 확장하고 이를 온라인을 통한 프로그램 및 웹 환경에서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류 내용을 직관적으로 검수하고 필요에 따라 편집툴을 사용하여 수정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ERROR OF UNDERGROUND FACILITIES MAPS}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시설물 작성 단위도면의 정위치 데이터와 구조화 데이터를 검수 플로우에 따라 검수하여 온라인에서 사용자가 오류 내용을 직관적으로 수정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 및 도시의 발달로 인하여 생성되는 지하시설물은 도시의 생명을 유지시키는 상ㆍ하수도 시설, 전력 시설, 통신 시설 등을 포함하는 기간시설이며, 각종 도시계획시설의 입지 결정과 지역지구의 계획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신도시나 신시가지의 계획, 도심재개발 및 도시재정비 등 각종 도시계획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따라서 정부를 비롯한 각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단체 등은 상ㆍ하수도를 중심으로 가스ㆍ통신ㆍ전력ㆍ송유관ㆍ지역난방 등의 지하시설물의 전산화 및 지하시설물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이미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되어 왔던 지하시설물의 도면 구축에 있어서 지하시설물의 재질에 따른 정확도와 이에 대한 오차의 문제, 조사 탐사 및 지하시설물의 입력 시 일어나는 오류 등의 문제로 인하여 지하시설물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있어 신뢰성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도로대장 및 도로기반 지하시설물 작성은 완료된 전자도면과 각 시설물의 조서정보를 매칭하여 작성된 도면이 정확히 작성되었는가를 검수하는 단편적인 방법을 사용하므로 지하매설물 도면에서의 오류를 검수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지하시설물의 도면 오류로 인하여 추가 비용의 발생과 인적자원의 낭비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관된 성과를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도출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검수 방법은 실내에서 도면과 조서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장의 상황과의 비교 평가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정위치 오류 및 구조화 오류와 같은 오류 유형별 검수를 통하여 오류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의 특성 및 작업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일관된 성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성된 지하시설물 도면 파일이 여러 지침서의 규칙이 잘 적용되었는지를 자동으로 검수하고, 발생한 오류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정 가능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4745(2016.01.0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수치지도를 검수하는 절차에 더하여 정위치 데이터와 구조화 데이터 검수 방법의 다양한 검수 항목을 신설 확장하고 이를 온라인을 통한 프로그램 및 웹(Server-Client) 환경에서 구동하도록 함으로서 오류 검수에서 수정 및 관리까지 원스톱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측 장치에서 수행되는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업로드 받는 단계; 상기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의 검수를 위한 옵션 파일을 받는 단계; 상기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 내 지하시설물들의 정위치 또는 구조화에 대한 기본 검수와 응용 검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검수를 수행한 결과에 따른 오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오류 레이어를 포함한 오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류 파일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오류 파일에 기초하여 오류를 편집한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와 옵션 파일을 업로드받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관리하는 웹UI 관리 모듈; 상기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 내 지하시설물의 정위치 또는 구조화에 대한 오류 검수를 수행하는 검수툴을 관리하는 검수툴 관리 모듈; 및 상기 검수툴의 검수 결과에 따라 오류 레이어 및 오류 파일을 생성하는 오류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웹UI 관리 모듈은 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오류 파일이나, 상기 오류 파일에 기초하여 오류가 편집된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은, 서버로부터 지하시설물 정위치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하시설물 정위치 데이터 검수를 위한 정위치 검수 설정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서버로 상기 정위치 검수 설정을 전송하고 이에 기초한 상기 지하시설물 정위치 데이터에 대한 정위치 기본 검수와 정위치 응용 검수를 포함하는 정위치 검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정위치 검수를 수행하고 정위치 오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위치 오류 레이어를 생성한 후 형상파일(shapefile) 형식의 정위치 오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정위치 오류파일에 대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편집툴을 사용하여 정위치 오류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정위치 기본 검수는 기하학(Geometry) 타입 오류 검수, 객체 중복 오류 검수, 객체 겹침 오류 검수, 객체 꺾임 오류 검수, 객체 끊김 오류 검수 및 기준점 초과 오류 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정위치 응용 검수는 지시선 교차 오류 검수 및 평균 심도 오류 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은, 서버로부터 지하시설물 구조화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하시설물 구조화 데이터 검수를 위한 구조화 검수 설정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서버로 상기 구조화 검수 설정을 전송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지하시설물 구조화 데이터에 대한 구조화 기본 검수와 구조화 응용 검수를 포함하는 구조화 검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구조화 검수를 수행하고 구조화 오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화 오류 레이어를 생성한 후 형상파일(shapefile) 형식의 구조화 오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화 오류파일에 대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편집툴을 사용하여 구조화 오류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조화 기본 검수는 기하학(Geometry) 타입 오류 검수, 객체 중복 오류 검수, 객체 겹침 오류 검수, 객체 꺾임 오류 검수, 객체 끊김 오류 검수, 기준점 초과 오류 검수 및 속성 오류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조화 응용 검수는 심볼 단독 존재 오류 검수, 선형 내 심볼 미존재 오류 검수, 심볼 간격 오류 검수, 관로 상하월 오류 검수, 심볼 선형 노드 오류 검수 및 평균 심도 오류 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장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전술한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의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수치지도를 검수하는 절차에 더하여 정위치 데이터와 구조화 데이터 검수 방법의 다양한 검수 항목을 신설 확장하고 이를 온라인을 통한 프로그램 및 웹(Server-Client) 환경에서 구동하도록 함으로서 오류 검수에서 수정 및 관리까지 원스톱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의 작업의 편의성과 검수 오류 검출의 극대화함은 물론 작업자의 기술 및 숙련도와 관계없이 일괄된 작업방법을 적용하여 표준화된 데이터 구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검수 항목을 다양하게 신설 확장하고 이를 온라인을 통한 프로그램 및 웹(Server-Client) 환경에서 구동하도록 함으로서 오류 검수에서 수정 및 관리까지 원스톱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시스템(이하 간략히 '도면 오류 검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면 오류 검수 시스템 내 도면 오류 검수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도면 오류 검수 시스템의 주요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의 도면 오류 검수 시스템에서의 지하시설물 도면의 정위치 검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2의 도면 오류 검수 시스템에서의 지하시설물 도면의 구조화 검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의 검수 과정 중 심볼 간격 오류 검수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 또는 도 6의 검수 과정 중 관로 상하월 오류 검수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 또는 도 6의 검수 과정 중 평균 심도 오류 검수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시스템(이하 간략히 '도면 오류 검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면 오류 검수 시스템 내 도면 오류 검수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도면 오류 검수 시스템의 주요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는, 오류 검수 툴(100)에 측량 데이터가 입력될 때, 오류 검수 툴(100)이 (X,Y) 좌표 값을 포함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측량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하게 된다. 따라서, 비교예의 오류 검수에는 검수하고자 하는 주요 지하시설물들 간의 연관성을 고려할 수 없고, 검수 결과에 일관성이 크게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한편, 주요 지하시설물들은 상수관, 하수관, 가스관, 송유관, 전기배선, 광섬유 통신선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주요 지하시설물들은 시설물 측량에 따라 지도 작성 시 얼마만큼의 깊이로 땅 속에 매설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심도값(깊이정도)을 표시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이후에는, 특히 지하 1미터 이상으로 매설된 지하시설물은 통상적으로 측량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지하시설물을 매설하거나 지하시설물을 유지관리할 때 지하시설물의 위치 정보와 함께 심도값을 갖춘 지도 데이터가 작성되어야 하고, 작성된 지도 데이터를 적절하게 검수하여 도면 오류를 실시간 찾아 정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현장의 사용자 단말(300)과 원격지의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를 연결하여 지하시설물 도면 등의 도면 오류를 실시간 검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10), 저장부(220) 및 통신부(230)를 구비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받은 데이터와 옵션에 따라 지하시설물의 도량과 속성을 검수하거나 정위치와 구조화를 검수하고, 검수 결과에 따른 오류 레이어를 생성하고, 오류 레이어를 포함한 오류 파일을 생성하고, 지하시설물 도면 원본의 오류를 편집하고, 오류가 편집된 지하시설물 도면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는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모듈(222), 검수툴 관리 모듈(224) 및 오류 처리 모듈(226)을 포함할 수 있다.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모듈(222)은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 업로드, 옵션 파일 업로드를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수 요청 신호를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검수툴 관리 모듈(224)는 사용자 단말의 검수 요청에 따라 도면 오류를 검수한 후 검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검수툴 관리 모듈(224)는 정위치 검수툴을 관리하는 제1 검수툴 관리 모듈과 구조화 검수툴을 관리하는 검수툴 관리 제2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검수툴 관리 모듈과 제1 검수툴 관리 모듈은 각각 기본검수 모듈과 응용 검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검수툴 관리 모듈은 기하학(gometry) 타입 오류, 객체 중복 오류, 객체 겹침 오류, 객체 꺽임 오류, 객체 끊김 오류, 기준점 초과 오류 등의 기본 검수를 수행하는 복수의 기본 검수툴들을 관리하고, 또한 지시선 교차 오류, 평균 심도 오류(text) 등의 응용 검수를 수행하는 복수의 응용 검수툴들을 관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검수툴 관리 모듈은 기하학(gometry) 타입 오류, 객체 중복 오류, 객체 겹침 오류, 객체 꺽임 오류, 객체 끊김 오류, 기준점 초과 오류 등의 기본 검수를 수행하는 복수의 기본 검수툴들을 관리하고, 또한 심볼 단독 존재 오류, 선형 내 심볼 미존재 오류, 심볼 간격 오류, 관로 상하월 오류, 심볼 선형 노드 오류, 평균 심도 오류 등의 응용 검수를 수행하는 복수의 응용 검수툴들을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각 검수툴 관리 모듈은 업로드된 지하시설물 도면과 관련된 관심 영역에 대한 기존 지하시설물 도면을 데이터 저장소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기존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 상에 현재 업로드된 지하시설물 도면의 데이터와 옵션을 입력하거나 중첩시키고 지하시설물들 간의 관계나 미리 설정된 규정에 따라 도면 오류를 검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오류 처리 모듈(226)은 검수툴 관리 모듈(224)의 검수 결과에 따른 오류 레이어를 생성하고, 오류 파일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모듈(222)에서 제공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류 파일을 받고 오류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서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모듈(222)은 오류 파일에 기초하여 오류를 편집하고, 오류가 편집된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모듈(222), 검수툴 관리 모듈(224) 및 오류 처리 모듈(226)은 저장부(220)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210)에 탑재되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의 일부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에 탑재되는 기능 블록 또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 또는 도 6의 검수 절차를 구현하는 장치로서, 저장부(22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여 일련의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기록매체)에 저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실시예의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절차들을 구현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서브통신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소위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으로 불리는 휴대 단말이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고, 랩탑 컴퓨터, 노트북 등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지하시설물 도면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와 옵션 파일을 도면 오류 검수 장치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에는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이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 또는 코어는 처리할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register)와, 비교, 판단, 연산을 담당하는 산술논리연산장치(arithmetic logical unit, ALU)와, 명령어의 해석과 실행을 위해 CPU를 내부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control unit)과, 이들을 연결하는 내부 버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 혹은 코어는 MCU(micro control unit)와 주변 장치(외부 확장 장치를 위한 집적회로)가 함께 배치되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와 입출력 시스템 또는 다른 주변 장치를 연결하고,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연결할 수 있다.
메모리는 사용자 단말이 도면 오류 검수 장치와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 대표적 휘발성 메모리인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반도체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광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사용자 단말이 도면 오류 검수 장치와 함께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외에 운영체제, 프로그램, 명령어 집합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와 메모리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나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제어부(210)와 저장부(220)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나 구성에 대응될 수 있다.
전술한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300)의 협업에 의한 지하시설물 도면 오류 검수 과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 단말(300)과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접속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 또는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를 인증할 수 있다(S0).
다음, 사용자 단말(300)은 지하시설물을 설치하는 현장 등에서 획득하거나 생성한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와 관련 옵션 파일을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에 업로드하고 도면 오류 검수를 요청할 수 있다(S1).
다음,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는 도면 오류 검수 요청과 함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받은 신호 및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하시설물 도면의 도량이나 속성 오류를 검수할 수 있다. 도량이나 속성은 정위치나 구조화에 대응될 수 있다.
다음,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는 도면 검수 결과를 웹 접속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할 수 있다(S2). 도면 검수 결과는 오류 레이어를 구비한 오류 파일이나 오류 파일에 따라 오류가 편집된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는 웹 접속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면 오류 검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300)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과 동기화하여 사용자 단말(300)와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를 위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앱 기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도 5는 도 2의 도면 오류 검수 시스템에서의 지하시설물 도면의 정위치 검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은 서버로부터 지하시설물 정위치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단계(S10),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하시설물 정위치 데이터 검수를 위한 정위치 검수 설정을 입력 받는 단계(S12), 상기 서버로 상기 정위치 검수 설정을 전송하고 이에 기초한 상기 지하시설물 정위치 데이터에 대한 정위치 검수를 수행하는 단계(S13), 상기 정위치 검수를 수행하고 정위치 오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S14), 상기 정위치 오류 레이어를 생성한 후 shapefile 형식의 정위치 오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15), 상기 정위치 오류파일에 대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편집툴을 사용하여 정위치 오류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S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수 설정을 입력 받는 단계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검수 영역 설정 및 검수할 영역에 대한 정보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어의 중요도, 검수항목과 검수 항목에 대한 기준 값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하시설물 정위치 데이터는 벡터 형식의 지도 데이터이다. 이에 상기 지하시설물 정위치 데이터는 사용 및 변환이 용이하고 3차원 공간형상 표현이 가능한 캐드 소프트웨어들 간의 파일 교환 포맷인 DXF 파일 포맷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로부터 지하시설물 정위치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단계에서 레이어를 포함하는 옵션 파일을 추가로 업로드할 수 있다(S11).
상기 레이어란 객체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하나의 파일 단위로 입력한 후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레이어만 선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여러 종류의 객체에 대하여 도형 정보를 각각 따로 입력한 후 필요하면 보이게 하고 필요하지 않는 레이어는 숨겨 둠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 정위지 검수를 수행하는 단계는 정위치 기본 검수를 수행한 이후 정위치 응용 검수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정위치 검수란 일반적으로 획득한 도형 자료가 정해진 기준에 따라 디지털 파일로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서, 획득한 현장 자료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국가 지침 및 기준, 표준의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위치 기본 검수는 기하학(Geometry) 타입 오류 검수, 객체 중복 오류 검수, 객체 겹침 오류 검수, 객체 꺾임 오류 검수, 객체 끊김 오류 검수 및 기준점 초과 오류 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하학 타입 오류 검수는 공간정보인 기하학 타입에 대한 서버에 내장된 좌표 관련 함수들의 오류를 검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객체 중복 오류 검수는 관로 및 시설물에 대한 도면의 중복 또는 관리번호의 중복을 체크하는 것일 수 있다. 객체들 간의 겹침 오류 검수와 객체들의 꺾임 오류 검수, 객체의 끊김 오류 검수 및 기준점 초과 오류 검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위치 응용 검수는 지시선 교차 오류 검수 및 평균 심도 오류 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시선 교차 오류 검수는 지서선과 관로 이력이 타 레이어하고 겹침 시 발생하는 오류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심도 오류 검수는 단일 관로에 속해 있는 심도값을 평균하여 지시선 및 관로 평균심도값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도면 오류 검수 시스템에서의 지하시설물 도면의 구조화 검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구조화 검수 방법은 서버로부터 지하시설물 구조화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단계(S20),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하시설물 구조화 데이터 검수를 위한 구조화 검수 설정을 입력 받는 단계(S22), 상기 서버로 상기 구조화 검수 설정을 전송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지하시설물 구조화 데이터에 대한 구조화 검수를 수행하는 단계(S23), 상기 구조화 검수를 수행하고 구조화 오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S24), 상기 구조화 오류 레이어를 생성한 후 shapefile 형식의 구조화 오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25), 상기 구조화 오류파일에 대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편집툴을 사용하여 구조화 오류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S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하시설물 구조화 데이터는 실제 지도상에는 나타나지 않는 속성 데이터로서, 형상파일(shapefile) 형식이거나 공간데이터와 속성데이터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NGI(national geographic institute) 파일 형식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속성 데이터는 예를 들어 하수관의 두께, 재질 등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다른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로부터 지하시설물 구조화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단계에서 레이어를 포함하는 옵션 파일을 추가로 업로드할 수 있다(S21).
본 발명의 상기 구조화 검수를 수행하는 단계는 구조화 기본 검수를 수행한 이후 구조화 응용 검수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구조화 검수란 일반적으로 입력된 도형/속성 데이터를 지리정보로 적정하게 변환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며, 점,선,면의 형태로 적절하게 편집되었는지의 오류 확인 및 관련 도형/속성 데이터의 연결 여부의 오류를 확인하는 검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화 기본 검수는 기하학 타입 오류 검수, 객체 중복 오류 검수, 객체 겹침 오류 검수, 객체 꺾임 오류 검수, 객체 끊김 오류 검수, 기준점 초과 오류 검수 및 속성 오류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화 응용 검수는 심볼 단독 존재 오류 검수, 선형 내 심볼 미존재 오류 검수, 심볼 간격 오류 검수, 관로 상하월 오류 검수, 심볼 선형 노드 오류 검수 및 평균 심도 오류 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의 검수 과정 중 심볼 간격 오류 검수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심볼 간격 오류 검수에 대하여 심볼 간격 20m 이상 간격 시 오류 검수와 올바른 도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심볼 간격 오류 검수에 있어서, 측량 타점이 20m 이상일 경우 관로 선형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즉 심볼(심도, 시설물)과의 위치는 20m 안에서 형성되어야 됨을 의미한다.
전술한 지하시설물 도면의 구성은 선(line), 심볼(point), 텍스트(text), 지시선(기본속성), 및 면(poligo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지하시설물 도면의 구성에서의 오류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효과적으로 검수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5 또는 도 6의 검수 과정 중 관로 상하월 오류 검수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로 상하월 오류 검수에 대하여 교차되는 관로의 상하월 관계의 오류 검수와 올바른 도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관로 상하월 오류 검수에 있어서, 관망이 교차하는 경우에는 상하월 표기의 오류(상하월 미 존재 오류, 높은 심도가 상월 처리된 오류)에 대하여 교차되는 관로는 평균 심도에 따라 상하월 관로 수정(직경이 작은 관로가 상월 신설관로 상월표현)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4.2 평균심도가 하월이거나 2.3 평균심도가 상월이어야지 올바른 도시가 된다.
도 9는 도 5 또는 도 6의 검수 과정 중 평균 심도 오류 검수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균 심도 오류 검수와 올바른 도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균 심도 오류 검수에 있어서, 단일 관로에 속해 있는 심도값을 평균하여 지시선 및 관로 평균심도값 검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은, 전술한 검수 기능 목록 외에 관로 방향에 따른 지하매설물 심볼을 검수하여 해당 지하시설물의 심볼이 수치지형도와 같은 심볼 각도 즉, 0도를 갖는지를 확인하고, 0도인 경우 오류로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검수 과정은, 관로 기준 버텍스 사이에 심볼이 있을 경우, 첫번째 버텍스와 다음 버텍스 방향으로 심볼을 회전하여 오류를 정정하도록 오류 정보 또는 오류 정정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은 심도 심벌을 제외한 시설물 심벌에서 관로 노드 상의 관로의 선형이 끊겨진 단일 선형이 아닌 경우, 즉 해당 버텍스가 연결된 선형인 경우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은 지시선이나 관로 이력이 타 레이어와 겹치는 경우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추후 관로 이력은 구조화시 속성 정보로 입력하도록 검수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치지도, 임상도 등의 다른 시설물 도면의 오류를 검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과 도면 오류 검수 장치가 동기화되어 수행되는 지하시설물 도면 오류 검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지하시설물을 설치하는 현장에서 획득하거나 생성한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와 옵션 파일을 상기 도면 오류 검수 장치에 업로드하여 도면 오류 검수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면 오류 검수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면 오류 검수 요청과 함께 상기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의 검수를 위한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와 옵션 파일을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 내 지하시설물들의 정위치 또는 구조화에 대한 기본 검수와 응용 검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검수를 수행한 결과에 따른 오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오류 레이어를 포함한 오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류 파일 또는 상기 오류 파일에 기초하여 오류를 편집한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정위치에 대한 응용 검수는, 지시선과 관로 이력이 타 레이어하고 겹침 시 발생하는 오류를 확인하는 지시선 교차 오류 검수, 및 단일 관로에 속해 있는 심도값을 평균하여 지시선 및 관로 평균심도값으로 수행하는 평균 심도 오류 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화에 대한 응용 검수는, 심볼 간격 20m 이상 간격 시의 관로 선형 오차를 판단하는 심볼 간격 오류 검수, 관망이 교차하는 경우의 상하월 표기의 오류를 판단하는 관로 상하월 오류 검수, 및 단일 관로에 속해 있는 심도값을 평균하여 지시선 및 관로 평균심도값 검수를 수행하는 평균 심도 오류 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는 벡터 형식의 지도 데이터인,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 또는 상기 구조화에 대한 기본 검수는 기하학 타입 오류 검수, 객체 중복 오류 검수, 객체 겹침 오류 검수, 객체 꺾임 오류 검수, 객체 끊김 오류 검수 및 기준점 초과 오류 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에 대한 응용 검수는 심볼 단독 존재 오류 검수, 선형 내 심볼 미존재 오류 검수 및 심볼 선형 노드 오류 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6.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과 동기화되어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를 검수하는 지하시설물 도면 오류 검수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하시설물을 설치하는 현장에서 획득하거나 생성한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와 옵션 파일을 업로드받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관리하는 웹UI 관리 모듈;
    업로드된 지하시설물 도면과 관련된 관심 영역에 대한 기존 지하시설물 도면을 데이터 저장소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기존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 상에 현재 업로드된 지하시설물 도면의 데이터와 옵션을 입력하거나 중첩시키고 지하시설물들 간의 관계나 미리 설정된 규정에 의하여 상기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 내 지하시설물의 정위치 또는 구조화에 대한 오류 검수를 수행하는 검수툴 관리 모듈; 및
    상기 검수툴 관리 모듈의 검수 결과에 따라 오류 레이어 및 오류 파일을 생성하는 오류 처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웹UI 관리 모듈은 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오류 파일이나, 상기 오류 파일에 기초하여 오류가 편집된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검수툴 관리 모듈은 정위치 검수툴을 관리하는 제1 검수툴 관리 모듈과 구조화 검수툴을 관리하는 검수툴 관리 제2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정위치 검수툴은, 지시선과 관로 이력이 타 레이어하고 겹침 시 발생하는 오류를 확인하는 지시선 교차 오류 검수 및 단일 관로에 속해 있는 심도값을 평균하여 지시선 및 관로 평균심도값으로 수행하는 평균 심도 오류 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고,
    상기 구조화 검수툴은, 심볼 간격 20m 이상 간격 시의 관로 선형 오차를 판단하는 심볼 간격 오류 검수, 관망이 교차하는 경우의 상하월 표기의 오류를 판단하는 관로 상하월 오류 검수, 및 단일 관로에 속해 있는 심도값을 평균하여 지시선 및 관로 평균심도값 검수를 수행하는 평균 심도 오류 검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하시설물 도면 데이터는 실제 지도상에는 나타나지 않는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형상파일 형식이거나 공간데이터와 속성데이터를 서로 연결하는 NGI(national geographic institute) 파일 형식을 가지는,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장치.
KR1020180113217A 2018-09-20 2018-09-20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 KR10214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217A KR102142768B1 (ko) 2018-09-20 2018-09-20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217A KR102142768B1 (ko) 2018-09-20 2018-09-20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653A KR20200033653A (ko) 2020-03-30
KR102142768B1 true KR102142768B1 (ko) 2020-08-07

Family

ID=7000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217A KR102142768B1 (ko) 2018-09-20 2018-09-20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212B1 (ko) * 2020-10-30 2021-04-23 김화경 모바일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gps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37121B1 (ko) * 2020-12-29 2022-08-29 지티에스(주) 지하공간통합지도 기반의 지하탐사 현장지원을 위한 지하정보 제공 시스템
KR102647846B1 (ko) * 2021-05-14 2024-03-14 대진기술정보 (주) 매설관로 시설정보 표시 방법
KR102420648B1 (ko) * 2022-01-27 2022-07-13 주식회사 베스트정보기술 수치지형도 성과검사 및 보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289B1 (ko) 2003-09-09 2004-08-09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류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774878B1 (ko) * 2016-11-17 2017-09-0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류 검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745B1 (ko) 2015-04-27 2016-01-13 (주)일신이앤씨 도로기반 지하시설물 작성 및 도로대장 작성이 완료된 전자도면 검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289B1 (ko) 2003-09-09 2004-08-09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류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774878B1 (ko) * 2016-11-17 2017-09-0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류 검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자동 오류검출 방법을 적용한 수치지도 Ver2.0 정위치 및 구조화 편집 공정개선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3권 제3호(pp. 331-340), 2005년 9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653A (ko) 202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768B1 (ko)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
Hamledari et al. IFC-based development of as-built and as-is BIMs using construction and facility inspection data: Site-to-BIM data transfer automation
Sharafat et al. BIM-based tunnel information modeling framework for visualization, management, and simulation of drill-and-blast tunneling projects
Borrmann et al. Multi‐scale geometric‐semantic modeling of shield tunnels for GIS and BIM applications
Liu et al. 3D visualization of sub-surface pipelines in connection with the building utilities: Integrating GIS and BIM for facility management
Son et al. As-built data acquisition and its use in production monitoring and automated layout of civil infrastructure: A survey
EP3798993A1 (en) Design engineering tools for visualizing existing utility lines within a land area and validating placement of new utility lines
Alam et al. Towards automatic validation and healing of CityGML models for geometric and semantic consistency
Noardo et al. GeoBIM benchmark 2019: design and initial results
Yan et al. From underground utility survey to land administration: An underground utility 3D data model
US2013008483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underground structures
KR102269474B1 (ko) 3d 설계 데이터 생성을 위한 2d 관로 도면 데이터 추출 방법
Soria et al.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for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Cheng et al. An integrated BIM-GIS framework for utility information management and analyses
Floros et al. Investigating interoperability capabilities between IFC and CityGML LOD 4–retaining semantic information
Tang et al. Developing a BIM GIS–integrated method for urban underground piping management in China: a case study
CN109387193B (zh) 一种室内地图的更新方法及装置
Muller et al. Methodological approach for the compilation of a water distribution network model using QGIS and EPANET
van Manen et al. Empirically validating five propositions regarding 3D visualizations for subsurface utility projects
US8195682B2 (en) Topographical analysis system
CN114742384A (zh) 一种基于bim三维重建的可视化电力排管智能管控方法
JP2003186928A (ja) 管網モデルのデータ入力方法
CN110390725B (zh) 一种管道竣工图生成方法、装置和系统
JP6568989B1 (ja) 固定資産管理システム
Fernández García et al. Modelling as-built MEP facilities in a BIM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