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85A -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85A
KR20180001385A KR1020160080454A KR20160080454A KR20180001385A KR 20180001385 A KR20180001385 A KR 20180001385A KR 1020160080454 A KR1020160080454 A KR 1020160080454A KR 20160080454 A KR20160080454 A KR 20160080454A KR 20180001385 A KR20180001385 A KR 20180001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ipe
network information
even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석
서재순
김상진
김태산
Original Assignee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주)와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주)와콘 filed Critical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0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385A/ko
Publication of KR2018000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지하 매설관의 시공 정보를 효율적으로 축적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광범위한 지하 매설관 정보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는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은 휴대 단말을 통해 배관의 시공 관련 정보(이하,' 관망 정보' 라 함)를 수집하는 관망 정보 수집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관망 정보를 관리 서버가 가공하는 관망 정보 가공 단계와; 상기 관망 정보 가공 단계에 의해 가공 저장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관망 정보 관리 단계; 및 상기 관망 정보 내 포함된 배관의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가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이벤트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BURIED PIPES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하 매설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지하 매설관의 시공 정보를 효율적으로 축적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광범위한 지하 매설관의 유지 관리를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설관은 상수, 하수, 가스, 유류, 쓰레기, 전기선, 통신선 등을 각각 수송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된 코팅 강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 매설관들은 하천 또는 도로 등을 따라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이러한 매설관은 하나의 구역에서 끝나지 않고 제1 구역에서 제2 구역으로 그리고 제2 구역에서 제N 구역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하나의 큰 관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나의 큰 관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매설관 정보 중 특히 그 위치 정보를 매설관 매설 위치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 매설관 관리 체계를 살펴보면, 각 구역에 시공되어 있는 매설관 정보를 각 구역별로 따로 관리하는 점형 관리 체계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 개소 구역별로 관리하는 선형 관리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점형 또는 선형 관리에 의한 종래 매설관 관리 체계에 의하면, 전체 매설관에 대한 정보를 특히 그 매설 위치 순서로 통합하여 시스템을 구축함에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매설관 관리 체계를 살펴보면, 관망을 유지 관리하는 주체가 지역별 또는 업체별로 분산되어 있어, 모든 지역의 관로를 아우르는 하나의 큰 관망을 어느 하나의 최종 관리자가 통합 유지 관리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결국, 종래 매설관 관리 체계에 따르면 대한민국 전체 관망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유지 관리함에 물리적, 비용적, 시간적 제한이 존재하는 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매설관 정보 통합 유지 관리 및 모니터링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설관 시공 자료를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기반으로 수집함으로써 목적 구역의 매설관 정보를 매우 효율적으로 그리고 통합적으로 구축 및 관리할 수 있는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역별 내지 관로별로 분산 관리되는 각각의 관망 정보를 타 시스템과 연동시킴으로써, 어느 하나의 최종 관리자가 모든 관망을 일괄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는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은 휴대 단말을 통해 배관의 시공 관련 정보(이하,' 관망 정보' 라 함)를 수집하는 관망 정보 수집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관망 정보를 관리 서버가 가공하는 관망 정보 가공 단계와; 상기 관망 정보 가공 단계에 의해 가공 저장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관망 정보 관리 단계; 및 상기 관망 정보 내 포함된 배관의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가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이벤트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관망 정보 수집 단계는 GPS를 이용하여 제1 구역에 시공되는 배관(이하, '제1 배관' 이라 함)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관의 관망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관망 정보 가공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각 배관의 관망 정보 중 상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GIS 맵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GIS 맵에 표출된 좌표들을 선택하여 좌표별 순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관망 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각 배관의 시공 위치가 표출되는 GIS 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GIS 맵 상에 표출되는 각 배관 중 적어도 하나의 배관의 관망 정보에 수정 사항이 있을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어 있는 해당 배관의 관망 정보에 상기 수정 사항을 반영하는 갱신을 수행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관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배관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와 상기 이벤트의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통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 다수의 관로별, 지역별 또는 관리자별로 분산되어 있는 매설관 관리 시스템을 상위의 최종 관리 시스템과 연동시키고 이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바, 하나의 최종 관리자가 모든 관망을 일괄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매설관의 유지/관리/누수/파손에 따른 대응과 시스템 운용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매설관의 위치 정보를 갖는 시공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시공 자료 관리 및 처리의 자동화, GIS 자료 표출 시각화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와 통합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의 주요 업무 흐름도.
도 4는 도 3의 단계 S10 내지 S30의 세부 업무 처리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정보 송수신 단계의 세부 업무 처리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관망 정보 수집 단계의 관망 정보 입력 화면의 일례.
도 7은 본 발명의 위치 정보 GIS 맵 매핑 단계(S21)를 통해 수행된 매핑 화면의 일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휴대 단말(20), 통신망(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 서버(10) 및 통합 서버 (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20)은 작업자 휴대하여 배관이 시공되는 현장에서 해당 배관의 관망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기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모듈,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전기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넷북, PDA 등을 들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배관'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관망을 구성하는 관체로서, 특히 지표 아래 매설되는 매설관을 지칭하나 이외에 지상에 설치되는 관체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에 의해 수집되는 관망 정보는 적어도 해당 구역에 설치된 배관의 위치 정보와 시공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는 GPS 좌표 정보일 수 있고, 시공 정보는 배관정보(시공번호 내재 관리번호, 배관종류, 이름, 규격, 위치), 시공사진, 시공지역, 시공일, 시공기간, 시공사, 작업자, 작업명, 작업 구분, 연락처 등과 같은 시공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에 의해 수집되는 관망 정보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리 서버(10)로 전송된다. 여기서 통신망(30)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제3세대 이동통신(3G)망, 제4세대 이동통신(LTE,4G)망을 비롯하여 와이브로(WiBro)망, 와이파이(Wifi)망일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20)은 필요시 통신망(30)을 통해 관리 서버(10)에 접근하여 관리 서버(10)에 저장되어 있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맵 자료, 관망 정보 자료 등을 검색 및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20)은 특정 배관에 대한 관망 정보의 변경시 관리 서버(10)에 접근하여 특정 관망 정보 자료를 호출한 후 해당 관망 정보 자료에 입력되어 있는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는 통신망(30)을 통해 각 휴대 단말(20)로부터 전술한 관망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가공 및 저장하고, 휴대 단말(20)의 요청시 가공된 자료를 해당 휴대 단말(20)에 제공하며, 휴대 단말(20)에 의해 특정 관망 정보의 수정이 발생시 이를 반영하여 기존 관망 정보를 갱신하는 구성이다.
또한, 관리 서버(10)는 휴대 단말(20)을 통해 축적된 관망 정보와 GIS 데이터 그리고 이벤트 검출 기기(60)에 의해 수신되는 이벤트 정보를 통합 서버(4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관리 서버(10)는 유무선 통신 모듈, 중앙처리장치(CPU) 및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 컴퓨터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에 의한 관망 정보의 가공은 각 배관의 관망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GIS 맵에 출력한 후 GIS 맵에 표출된 좌표값들을 선택하여 좌표별 순서로 관망 정보(특히, 위치 정보인 좌표값)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0)에 의한 관망 정보의 제공 및 수정은 GIS 맵을 기반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관리 서버(10)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컨대 지역별, 시공업체별, 관리업체별 관리 서버(10a,10b,10c)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지역의 시공 매설되는 배관은 A업체가 관리하고, B지역에 시공 매설되는 배관은 C업체가 관리며, C지역에 시공 매설되는 배관은 C업체가 관리한다고 가정하자.
상기 경우, A업체는 휴대단말 '20a'를 통해 수집한 A지역 관망 정보를 기반으로 A지역에 대한 관망 데이터베이스와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관리 서버 '10a'가 관리하게 된다. 그리고 B업체는 휴대단말 '20b'를 통해 수집한 B지역 관망 정보를 기반으로 B지역에 대한 관망 데이터베이스와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관리 서버 '10b'가 관리하게 된다. 그리고 C업체는 휴대단말 '20c'를 통해 수집한 C지역 관망 정보를 기반으로 C지역에 대한 관망 데이터베이스와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관리 서버 '10c'가 관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통합 서버(40)는 다수의 각 지역별, 관리업체별 또는 시공업체별 관리 서버(도 1의 10a,10b,10c)로부터 각각 관망 정보를 제공받아 관망 통합 정보를 구축하고, 관망 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매설관 중 특정 매설관에서 누수, 파손 등의 발생시 해당 매설관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제공받아 관망 통합 데이터베이스(도 2의 41)를 갱신하고, 해당 이벤트를 최종 관리자 등에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와 통합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는 다수 개로 구비되어 각 관리 서버(10a, 10b,10c)는 통합 서버(40)와 연계되도록 구성된다. 즉, 관리 서버(10)는 통합 서버 대비 하위 운영 시스템에 해당하고, 통합 서버(40)는 각 관리 서버 (10a,10b,10c)와 연계되는 상위 운영 시스템에 해당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는 관망 데이터베이스(15)와 GIS 데이터베이스(17)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10)의 관망 데이터베이스(15)는 휴대 단말(20)에 의해 수집되는 관망 정보와, 이벤트 검출기(60)에 의해 검출 및 제공되는 이벤트 정보와, 이러한 관망 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관망에 대한 일정 시점 또는 일정 기간의 통계치를 산출한 통계 정보를 포함한다.
참고로, 이벤트 검출기(60)는 관망의 각 배관에 설치되어 해당 배관의 파손 내지 누수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탐지 센서를 포함하고, 탐지 센서(60)에 의해 누수/파손 등의 검출시 해당 검출 신호는 관리 서버(10)로 전송된다. 이러한 탐지 센서(60)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감지 센서를 채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전기/전자식 센서, 광섬유 센서, 자이로 센서, 온도 센서, 압력 센서 등 공지된 감지 센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의 GIS 데이터베이스(17)는 GIS 맵과 관련된 도형 데이터베이스와, 이러한 GIS 맵과 관련된 속성이 저장되는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GIS 맵과 관련된 속성'이란 대표적으로 GIS 맵에 매핑되어 있는 각 배관의 위치 정보(예컨대, 좌표값)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 서버(40)는 관망 통합 데이터베이스(41)와 GIS 통합 데이터베이스(43)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통합 서버(40)의 관망 통합 데이터베이스(41)는 각각의 관리 서버(예컨대, 도 1의 10a,10b,10c)에 저장되어 있는 각 관망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통합하여 구축되는 관망 통합 정보와, 특정 배관의 누수/파손 발생시 해당 배관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되는 이벤트 정보와, 관망 통합 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관망에 대한 일정 시점 또는 일정 기간의 통계치를 산출한 통계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체 관망'이란 각 지역별, 업체별, 관리자별로 관리 대상이 구분되어 있는 각 관망들을 전부 합친 통합 관망을 지칭한다.
통합 서버(40)의 GIS 통합 데이터베이스(43)는 각각의 관리 서버(예컨대, 도 1의 10a,10b,10c)에 저장되어 있는 각 GIS 데이터베이스(17)를 제공받아 이를 통합하여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GIS 통합 데이터베이스(43)는 각 관리 서버(10)의 GIS 데이터베이스 (17)에 포함된 도형 데이터베이스들이 통합된 도형 데이터베이스와, 각 관리 서버 (10)의 GIS 데이터베이스(17)에 포함된 속성 데이터베이스들이 통합된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한편, 관리 서버(10)의 관망 데이터베이스(15)에 포함되는 정보(예컨대, 관망정보, 이벤트 정보, 통계정보 등)는 클라이언트(50)가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전자파일을 구성한 후 통합 서버(40)에 접근하여 이를 통합 서버(4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50)는 HTTP, FTP, Soket 등과 같은 공지된 프로토콜(Protocol)을 이용하여 통합 서버(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서버(40)는 누수/파손이 발생된 배관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1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시, 그 이벤트 정보를 외부(예컨대, 최종 관리자)에 알려주는 경보 발생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보 발생부(70)는 소정의 경보음 또는 알림 화면을 출력하여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외부에 환기시키고, 이에 연계하여 전체 관망 중 누수/파손이 발생된 위치를 나타내는 GIS 맵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통합 서버는 관리 서버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GIS 맵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배관의 위치가 표출되는 GIS 맵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20)의 관망 정보 수집 방법과, 관리 서버(10)의 관망 정보 가공/관리 방법, 그리고 관리 서버(10)와 통합 서버(40) 간의 연계를 통해 매설관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의 주요 업무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계 S10 내지 S30의 세부 업무 처리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은 크게 관망 정보 수집 단계(S10), 관망 정보 가공 단계(S20), 관망 정보 관리 단계(S30), 관망 정보 전송 단계(S40), 및 이벤트 정보 송수신 단계(S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관망 정보 수집 단계(S10)는 휴대 단말 및 위치 정보 측량 기기를 통해 수행되며, 세부적으로 배관 위치 정보 획득 단계(S11)와 관망 정보 전송 단계(S12)를 포함한다.
먼저, 배관 위치 정보 획득 단계(S11)는 목적하는 구역에 시공된 배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배관 위치 정보 획득 단계(S11)는 휴대 단말(20)에 탑재된 위치 정보 측량 기기 또는 휴대 단말(20)과 연계된 별도의 위치 정보 측량 기기를 이용하여, 목적 지역(이하, '제1 구역'이라 함)에 시공된 배관(이하, '제1 배관' 이라 함)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위치 정보를 측량하기 위한 기기는 휴대 단말(20)에 자체적으로 탑재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거나, 또는 국토지리정보원 내지 통신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는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보다 정확히 획득 및 보정할 수 있는 VRS, RTK, DGPS 위치 측량 기기일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1'에서 획득하는 위치 정보는 제1 구역의 제1 배관이 제2 구역의 배관(이하, '제2 배관'이라 함)과 연결되는 접합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경도, 위도, 고도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배관 위치 정보 획득 단계(S11)는 전술한 위치 정보 외에 해당 구역에 설치된 배관의 시공사진, 시공지역, 시공일, 시공기간, 시공사, 작업자, 작업명, 작업 구분, 연락처 등과 같은 시공 관련 기타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타 정보는 휴대 단말(20)에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각 정보를 입력 및 기재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휴대 단말(20)에 탑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면 휴대 단말(20)의 표시부에는 기능 선택란을 포함하는 앱 화면이 표시되고, 이때 작업자는 기능 선택란의 메뉴 중 시공 자료 등록을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관망 정보 수집 단계(S10)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관망 정보 수집 단계의 관망 정보 입력 화면의 일례로서, 작업자가 관망 정보의 수집을 위해 휴대 단말(2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한 후 작업 등록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제공되는 화면이다.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작업자는 휴대 단말(20)에 제공되는 작업 등록 화면(21) 상에서 현장명, 시공사, 공사 기간, 작업명, 작업일, 작업자, 연락처, 작업 구분 등의 시공 관련 기타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해당 구역에 시공된 배관의 관망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배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기타 정보를 포함하는 관망 정보의 수집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통신망(30)과 연결된 휴대 단말(20)을 통해 제1 배관의 관망 정보를 관리 서버(10)로 전송(S12)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다수의 휴대 단말(20)들로부터 전송되는 관망 정보들은 관리 서버(10)의 관망 데이터베이스(도 2의 '15')에 시공 순서별로 저장되어 시공 자료를 구축하게 된다.
본 발명의 관망 정보 가공 단계(S20)는 관리 서버(10)를 통해 수행되며, 위치 정보의 GIS 맵 매핑 단계(S21)와 좌표별 순서로 관망 정보(특히, 위치 정보인 좌표값)를 저장하는 단계(S21)를 포함한다.
먼저, 위치 정보의 GIS 맵 매핑 단계(S21)는 다수의 휴대 단말(20)로부터 제공되는 각 배관의 관망 정보 중 전술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GIS 맵에 매핑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의 GIS 맵 매핑 단계(S21)는 관리 서버(10)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GIS 맵 자료와 휴대 단말(20)로부터 제공받은 시공 자료를 읽어 온 후, 감시 구간별로 시공 자료를 판독한다.
상기 판독이 완료되면, 시공 자료의 관망 정보 속성 중 위치 정보(즉, 좌표값)가 나타내는 위치를 GIS 상에 출력하는 매핑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위치 정보 GIS 맵 매핑 단계를 통해 수행된 매핑 화면의 일례이다. GIS 맵(11) 상에 각 관망 정보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면 도 7과 같이 좌표점들(12)이 자동으로 배열된다.
이 때, GIS 맵(11) 상에 출력되는 좌표점(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구역의 배관이 상호 연결되는 지점의 좌표값인 바, GIS 맵(11) 상에 표출되는 좌표를 연결하면 전체 관로가 나타나게 된다.
다음으로, 좌표별 순서로 관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2)는 단계 S21'를 통해 GIS 맵(11) 상에 표출된 좌표값들을 선택하여 좌표별 순서로 관리 서버어(1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단계 'S22'가 완료되면, 좌표별 순서로 관망 정보(특히, 위치 정보인 좌표값)가 정렬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해당 좌표에 매칭되어 있는 전술한 기타 정보도 좌표별 순서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작업자가 휴대 단말(20)을 통해 관리 서버(10)에 접근하여 GIS 맵(11)을 호출하면, 도 7과 같이 각 배관의 연결 위치가 표현되어 있는 GIS 맵(11)을 제공받을 수 있고, 이와 같이 제공된 GIS 맵(11) 상에서 관망 정보의 조회 내지 수정을 희망하는 배관(예컨대, 제3 배관)이 있을 경우, 제3 배관에 해당하는 좌표점(12a)을 선택하면 도 7의 "13"과 같이 제3 배관에 대한 관망 정보 화면(13)이 제공되어 이를 열람 또는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관망 정보 관리 단계(S30)는 관망 정보 가공 단계(S20)에 의해 구축된 시공 자료를 관리하는 단계로서, 관망 정보 수정 발생 단계(S32)와 해당 관망 정보 편집/저장 단계(S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망 정보 관리 단계(S30)는 관리 서버(10) 자체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휴대 단말(20)을 통해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관리 서버(10) 자체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특정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의 관망 정보에 대해 조회를 희망하거나 수정 사항이 발생였다고 가정한다. 상기 경우, 작업자는 관리 서버(10)를 통해 각 배관의 시공 위치(즉, 좌표)가 표출되어 있는 GIS 맵 (11)을 웹 페이지(14) 상에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키워드 선택 내지 좌표점 선택을 통해, 조회 또는 수정을 희망하는 배관의 관망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수정 사항이 있을 경우, 수정 사항이 발생된 배관의 관망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수정 내용을 새롭게 반영하는 관망 정보 갱신 과정을 행한 후 저장함으로써 관망 정보 관리 단계(S3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20)을 통해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수행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경우, 특정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에 대한 관망 정보의 조회 희망 내지 수정 사항이 발생하면, 작업자는 본인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 단말(2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자료 검색 메뉴를 선택한 후, 키워드 선택 내지 좌표점 선택을 통해 조회 또는 수정을 희망하는 배관의 관망 정보를 검색한다.
이때, 수정 사항이 있을 경우, 수정 사항이 발생된 배관의 관망 정보를 선택한 후 해당 배관에 대해 기저장되어 있는 관망 정보에 수정 사항을 반영하는 관망 정보 갱신 과정을 행하여 관리 서버(10)로 전송 및 저장함으로써 관망 정보 관리 단계(S30)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관망 정보 전송 단계(S40)는 전술한 단계 'S10' 내지'S30'에 의해 축적, 갱신 또는 수정된 관망 정보를 통합 서버(40)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통합 서버(40)에 전송되는 관망 정보는 적어도 해당 구역에 설치된 배관의 위치 정보와 시공 정보를 포함하고, 위치 정보는 GPS 좌표 정보일 수 있으며, 시공 정보는 배관정보(시공번호 내재 관리번호, 배관종류, 이름, 규격, 위치), 시공사진, 시공지역, 시공일, 시공기간, 시공사, 작업자, 작업명, 작업 구분, 연락처 등과 같은 시공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망 정보 전송 단계(S40)는 전술한 단계 'S10' 내지'S30'에 의한 관망 데이터베이스 구축 완료시 관리 서버(10)가 이를 통합 서버(4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후술할 이벤트 발생시 그 이벤트 정보와 함께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관망 정보를 통합 서버(4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관망 정보 전송 단계(S40)는 단계 'S10'에 의해 구축된 관망 데이터베이스와, 단계 'S20'에 의해 구축된 GIS 데이터베이스를 관리 서버(10)가 통합 서버(4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단계 'S30'에 따라 관망 데이터베이스에 수정 사항이 발생시, 관망 정보 전송 단계(S40)는 상기 수정 사항이 반영된 갱신 정보를 관리 서버(10)가 통합 서버(4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정보 송수신 단계의 세부 업무 처리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벤트 정보 송수신 단계(S50)는 세부적으로 이벤트 발생 검색 단계(S51), 이벤트 관련 정보 검색 단계(S53), 위치 정보 추출 단계(S54), 메시지 구성 단계(S55) 및 통합 서버 전송 단계(S56)를 포함한다.
이벤트 발생 검색 단계(S51)는 관리 서버(10)가 그 담당 관망에 설치된 매설관 중 누수/파손 등의 검출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검출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을 따라 설치되는 탐지 센서(60)에 의해 발생된다.
이벤트 관련 정보 검색 단계(S53)는 단계 'S51' 검색 결과 누수/파손 등의 검출 신호가 존재(S52)될 시, 그 검출 신호를 일으킨 배관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관련 정보 검색 단계(S53)에 의해 검색되는 이벤트 관련 정보는 이벤트가 발생된 배관의 위치 정보 및 이벤트 발생 날짜를 비롯하여, 그 배관에 대한 정보(예컨대, 시공번호 내지 관리번호, 배관종류, 이름, 규격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필요에 따라 상기 이벤트 정보는 해당 배관의 시공사진, 시공지역, 시공일, 시공기간, 시공사, 작업자, 작업명, 작업 구분, 연락처 등과 같은 시공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위치 정보 추출 단계(S54)는 단계 'S53'에 의해 검색된 이벤트 관련 정보 중 적어도 이벤트가 발생된 배관의 위치 정보(바람직하게는 GPS 좌표값)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위치 정보 추출 단계(S54)는 필요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 외에 이벤트가 발생된 배관에 대한 정보(예컨대, 시공번호 내지 관리번호, 배관종류, 이름, 규격 등) 등을 더 추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메시지 구성 단계(S55)는 관리 서버(10)의 클라이언트(50)가 단계 'S54'에 의해 추출된 위치 정보와 해당 이벤트의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여 통합 서버(40)에 전송(S56)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단계 'S55'의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벤트 내용은 이벤트 상황을 알리는 값일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이벤트 내용은 특정 배관의 이벤트 발생을 검출한 기기(즉, 탐지 센서)의 고유 아이디(ID),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날짜 및 시간, 해당 이벤트의 종류 그리고 이벤트 발생 GPS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의 종류'란 검출기에 의해 탐지된 배관이 파손 상태인지 또는 누수 상태인지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50)는 HTTP, FTP, Soket 등과 같은 공지된 프로토콜(Protocol)을 이용하여 통합 서버(50)에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관리 서버 11: GIS 맵
12: 좌표점 14: 웹 페이지
20: 휴대 단말 21: 작업 등록 화면
30: 통신망 40: 통합 서버
60: 탐지 센서 70: 경보 발생부

Claims (6)

  1. 휴대 단말을 통해 배관의 시공 관련 정보(이하,' 관망 정보' 라 함)를 수집하는 관망 정보 수집 단계;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관망 정보를 관리 서버가 가공하는 관망 정보 가공 단계; 상기 관망 정보 가공 단계에 의해 가공 저장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관망 정보 관리 단계; 및 상기 관망 정보 내 포함된 배관의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가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이벤트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망 정보 수집 단계는,
    GPS를 이용하여, 제1 구역에 시공되는 배관(이하, '제1 배관' 이라 함)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관의 관망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망 정보 가공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각 배관의 관망 정보 중 상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GIS 맵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GIS 맵에 표출된 좌표들을 선택하여 좌표별 순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망 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각 배관의 시공 위치가 표출되는 GIS 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GIS 맵 상에 표출되는 각 배관 중 적어도 하나의 배관의 관망 정보에 수정 사항이 있을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어 있는 해당 배관의 관망 정보에 상기 수정 사항을 반영하는 갱신을 수행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관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배관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와 상기 이벤트의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통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다수 개의 관리 서버가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수집된 상기 관망 정보를 상기 통합 서버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망 정보 관리 단계에 의한 상기 수정 사항의 발생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수정 사항이 반영된 관망 정보를 상기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다수 개의 관리 서버가 상기 관망 정보 가공 단계에 의한 상기 GIS 맵핑 정보를 상기 통합 서버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버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이벤트 정보를 수신시 상기 GIS 맵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배관의 위치가 표출되는 GIS 맵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 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에 접근하여 목적하는 배관(이하, '목적 배관'이라 함)의 관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배관의 관망 정보에 수정 사항이 있을 시, 상기 목적 배관에 대해 기저장되어 있는 관망 정보에 상기 수정 사항을 반영하는 갱신을 수행한 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이벤트의 내용은,
    상기 배관의 이벤트 발생을 검출한 기기의 고유 아이디(ID),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날짜, 상기 이벤트의 종류 및 상기 이벤트 발생 GPS 좌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KR1020160080454A 2016-06-27 2016-06-27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01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454A KR20180001385A (ko) 2016-06-27 2016-06-27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454A KR20180001385A (ko) 2016-06-27 2016-06-27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85A true KR20180001385A (ko) 2018-01-04

Family

ID=6099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454A KR20180001385A (ko) 2016-06-27 2016-06-27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3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610B1 (ko) * 2019-06-24 2019-10-25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 지하매설배관 위치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인식방법
KR102386756B1 (ko) 2020-12-29 2022-04-15 주식회사 새한지앤아이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생성 방법과 통합지도 운용 시스템
KR102386754B1 (ko) 2020-12-29 2022-04-15 주식회사 새한지앤아이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서비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610B1 (ko) * 2019-06-24 2019-10-25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 지하매설배관 위치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인식방법
KR102386756B1 (ko) 2020-12-29 2022-04-15 주식회사 새한지앤아이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생성 방법과 통합지도 운용 시스템
KR102386754B1 (ko) 2020-12-29 2022-04-15 주식회사 새한지앤아이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300B1 (ko) 수자원 관리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RU2698422C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е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л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и оценки информации об оборудовании, распределенном по большой территории, например по большому промышленному предприятию или нефтяному месторождению
CN108952685B (zh) 水平定向钻井区域网络和方法
CN101501452B (zh) 地图更新数据提供装置、版本表、地图数据更新系统和地图更新数据提供方法
KR100955592B1 (ko) Rfid와 gis를 활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992619B1 (ko)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상에서 모바일단말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지하시설물 정보제공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
US20020165933A1 (en) System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US2012025778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underground assets
JP2013222335A (ja) 対象物特定システム、対象物特定サーバ及び対象物特定端末
EP2718842A2 (en) Creating and monitoring alerts for a geographical area
US201401561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alyzing, Recording, and Transmitting Fluid Hydrocarbon Production Monitoring and Control Data
JP2008217612A (ja) センサデ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センサデータ制御方法
KR101000949B1 (ko) 웹 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1563402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상수도 검침 관리 방법
CN112565427B (zh) 一种可透视智能管线巡检方法及系统
KR20180001385A (ko)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2026848A (ja) 被災情報収集システム
KR101643592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매설관 시공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26731B1 (ko) 지피에스 확인을 통한 변경된 지형지물의 수치지도 갱신방법
KR20100096940A (ko) 상하수도 시설물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N114186825A (zh) 一种天然气巡检规划方法
KR20190023471A (ko) 매설관 통합정보구축 및 관리감시를 위한 자료동기화 운영 시스템
KR20020014011A (ko) 디지털 수치 지도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및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54191B1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하상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EP2889582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