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718B1 -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718B1
KR101642718B1 KR1020140159228A KR20140159228A KR101642718B1 KR 101642718 B1 KR101642718 B1 KR 101642718B1 KR 1020140159228 A KR1020140159228 A KR 1020140159228A KR 20140159228 A KR20140159228 A KR 20140159228A KR 101642718 B1 KR101642718 B1 KR 101642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bnormal
banknote
unit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371A (ko
Inventor
염명섭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7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입되는 지폐의 성분을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성분에 기초하여 투입되는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 지폐 판별부로부터 판별된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할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정상 지폐로 판별되는 지폐에 대해서 의심되는 영역이나 의심되는 성분에 대한 지폐의 구체적인 이미지를 출력하는,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폐처리장치는 지폐의 매수를 자동으로 세는 지폐계수기, 지폐의 분류 및 식별 기능을 수행하는 지폐정사기, 지폐리싸이클러, 위폐감별기, 수표처리기, 입출금기,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등을 포함하며 지폐를 계수할 수 있는 장치를 폭넓게 포함한다.
요즘의 지폐처리장치는 다양한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개발되어 지폐를 계수할 뿐만 아니라 신권 및 구권 인식, 위조지폐 및 훼손지폐 검지 등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지폐처리장치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종이 형태의 금전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소정 매수의 지폐를 투입부에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지폐의 수량을 계수한 후, 이를 적재부로 배출하면서 계수된 지폐수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107331 호(2007.11.07.공개, 발명의 명칭 : 지폐 감별기)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지폐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는 제한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는 계수한 지폐의 전체 매수 또는 금액을 표시하거나, 위조 지폐를 감별한 경우에 위조 지폐가 몇 장이나 포함되어 있는지 등을 표시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를 통해서 위조 지폐와 같은 비정상 지폐를 감별한 경우에 사용자는 분류되어 적재된 위조 지폐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해당 지폐가 위조 지폐가 맞는지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비정상 지폐로 판별되는 지폐에 대해서 의심되는 영역이나 의심되는 성분에 대한 지폐의 구체적인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정상 지폐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는 투입되는 지폐의 성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성분에 기초하여 투입되는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 상기 지폐 판별부로부터 판별된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할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는 비정상 지폐의 비정상 영역에 관한 정보 또는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성분에 관한 정보는 비정상 지폐의 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자기 신호, 자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전도율 성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비정상 지폐가 적재되는 적재부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이미지 획득부; 및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이미지 획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획득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비정상 지폐의 출력할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획득부를 통해 상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센서부가 투입되는 지폐의 성분을 감지하는 단계; 지폐 판별부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성분에 기초하여 투입되는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지폐 판별부로부터 판별된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획득부를 통해, 출력할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부를 통해 상기 획득된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폐의 성분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서부는 지폐의 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자기 신호, 자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전도율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지폐의 비정상 영역에 관한 정보 또는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판별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지폐가 적재되는 적재부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이미지 획득부 또는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이미지 획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전에, 입력부를 통해 비정상 지폐의 출력할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정상 지폐로 판별되는 지폐에 대해서 의심되는 영역이나 의심되는 성분에 대한 지폐의 구체적인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정상 지폐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정상 지폐로 판별된 지폐에 대해서만 보다 구체적인 이미지를 획득하여 출력함으로써, 비정상 지폐를 판별하는 과정을 지연시키지 않고 빠른 시간에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폐처리장치는 센서부(10), 지폐 판별부(20), 제어부(30), 이미지 획득부(40), 출력부(50) 및 입력부(60)를 포함한다.
센서부(10)는 투입되는 지폐의 성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지폐 판별부(20)로 전달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10)는 VIS(가시광) 센서(미도시), IR(적외선) 센서(미도시), MG(마그네틱) 센서(미도시) 및 UV(자외선)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지폐의 성분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VIS 센서는 투입되는 지폐로 가시광을 방출하고 지폐로부터 반사되는 성분 또는 지폐를 투과한 성분을 통해서 형성되는 지폐의 가시광 감지 신호를 지폐 판별부로 전달하고, IR 센서는 투입되는 지폐로 적외선을 방출하고 지폐로부터 반사되는 성분 또는 지폐를 투과한 성분을 통해서 형성되는 지폐의 적외선 감지 신호를 지폐 판별부(20)로 전달한다.
MG 센서는 지폐에 포함된 자기 성분을 감지하여 지폐의 자기 감지 신호를 지폐 판별부(20)로 전달하고, UV 센서는 투입되는 지폐로 자외선을 방출하고 지폐로부터 반사되는 성분 또는 지폐를 투과한 성분을 통해서 형성되는 지폐의 자외선 감지신호를 지폐 판별부(2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VIS 센서는 400nm~700nm 대역의 파장에 해당하는 가시광을 지폐로 방출하여 지폐의 가시광 감지 신호를 지폐 판별부(20)로 전달하고, IR 센서는 850nm~950nm 대역의 파장에 해당하는 적외선을 지폐로 방출하여 지폐의 적외선 감지 신호를 지폐 판별부(20)로 전달하며, UV 센서는 370nm~400nm 대역의 파장에 해당하는 자외선을 지폐로 방출하여 지폐의 자외선 감지 신호를 지폐 판별부(20)로 전달한다.
지폐 판별부(20)는 센서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지폐의 성분에 기초하여 투입되는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한다.
즉, 지폐 판별부(20)는 상기 VIS 센서, IR 센서, MG 센서 또는 UV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지폐의 감지 신호와 정상 지폐의 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비교 기준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지폐 판별부(20)는 US(초음파) 센서 또는 정전방식 TS 센서 등을 통해 감지한 지폐의 기타 다양한 성분 또는 지폐의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는 초음파의 투과, 반사, 회절 특성을 이용하여 지폐에 부착된 이물질(테잎 등)을 측정하는 US 센서 또는 전극판을 이용하여 전극판 사이를 통과하는 유전물질의 전도율로 이물질을 측정하는 TS 센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폐의 정상 여부 판별은 위조 지폐와 진폐를 구별하거나, 이물질 등이 부착된 지폐와 깨끗한 지폐를 구별하는 등의 다양한 판별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정상 지폐는 위조 지폐나 오염 정도가 심한 지폐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지폐 판별부(20)는 비정상인 것으로 판별된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를 제어부(30)로 전달한다.
이 때,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는 비정상인 것으로 판별된 비정상 지폐의 비정상 영역에 관한 정보 또는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비정상 영역에 관한 정보란, 위조 지폐의 경우 위조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고 오염 정도가 심한 지폐의 경우 이물질 등이 부착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성분에 관한 정보란, 위조 지폐 또는 오염 정도가 심한 지폐의 성분과 관련하여 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자기 신호, 자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전도율 중 어떠한 신호 성분으로 판단한 결과 비정상으로 판별하게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지폐 판별부(20)는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정상 지폐와 비정상 지폐를 서로 다른 적재부(미도시)로 분류하여 배출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별된 비정상 지폐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제어부(30)는 지폐 판별부(20)로부터 판별된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할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결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 판별부(20)의 판단에 의해 정상 지폐와 비정상 지폐를 분류할 뿐만 아니라, 비정상 지폐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인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지폐가 실제 비정상 지폐인지 또는 지폐처리장치의 판단이 잘못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폐 판별부(20)로부터 비정상 지폐의 비정상 영역에 관한 정보 또는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판별 정보를 전달받는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상기 판별 정보를 통해, 비정상 지폐의 어느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출력할 것인지 결정하거나, 비정상 지폐의 어느 신호(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자기 신호, 자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전도율) 성분에 의한 이미지를 출력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지폐 전체가 아닌, 오염된 영역이나 이물질 등이 부착된 영역만을 보다 더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비정상인 것으로 판별된 지폐가 실제 비정상인지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비정상인 것으로 판별된 지폐에서 위조된 성분이나 오염된 성분은 지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제어부(30)는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지폐의 성분에 의한 이미지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문제가 되는 지폐의 성분을 이미지로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4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기초하여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특히, 이미지 획득부(40)는 지폐의 다양한 신호 성분에 따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시광 신호 성분에 따른 지폐의 가시광 이미지, 적외선 신호 성분에 따른 지폐의 적외선 이미지, 자기 신호 성분에 따른 지폐의 자기 이미지, 자외선 신호 성분에 따른 지폐의 자외선 이미지, 지폐의 초음파 이미지 또는 지폐의 전도율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획득부(40)는 획득되는 이미지를 10배까지 확대(화소: 2,592×1,456)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어부(30)는 비정상 지폐의 비정상 영역을 10배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정상 지폐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획득부(40)는 내부에 메모리(2GB)를 포함함으로써, 획득되는 이미지를 임시로 저장해 두고 사용자 편의에 따라 즉시 또는 추후에 해당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획득부(40)는 전술한 지폐의 가시광 이미지, 적외선 이미지, 자기 이미지, 자외선 이미지 등을 획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 및 다양한 파장의 광원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획득부(40)는 백색 직접광, 백색 측면광, 백색 경사광, 백색 투과광, 850nm 또는 980nm 파장의 적외선, 365nm 파장의 UV-A, 254nm 파장의 UV-C, 470nm 파장의 청색광 등의 광원을 통해 비정상 지폐의 다양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획득부(40)는,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역과 다른 대역에 속하는 파장을 통해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즉, 지폐에 대한 모든 보안요소의 광적 특성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지폐의 정상 여부 판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지만, 실제 지폐처리장치에서 짧은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취득량과 처리량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상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일정 대역에 속하는 파장만을 이용한다.
그리고 비정상 지폐로 판별된 지폐에 대해서 이미지 취득부(40)는 전술한 특정 파장 대역의 광원을 이용하여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지폐처리장치의 판별율을 보완할 수 있다.
지폐의 신호 성분에 따른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획득부(40)는 비정상 지폐가 적재되는 적재부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이미지 획득부(42) 및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이미지 획득부(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획득부(40)는 지폐처리장치 자체에 설치되어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이동하면서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지폐처리장치의 외부에서 연결되어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이미지 획득부(44)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싶은 비정상 지폐의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실제 비정상 지폐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이미지 획득부(44)는 제어부(30)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획득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제어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제2이미지 획득부(44)는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유선 방식을 통해 제어부(30)와 연결되거나, 근거리 통신망이나 원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방식을 통해 제어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2이미지 획득부(44)가 USB를 통해 제어부(30)와 연결되었을 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획득되는 이미지를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제어부(30)로 즉시 전달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제2이미지 획득부(44)의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백색광, 적외선, 자외선과 같은 광원의 종류를 직접 입력하고, 촬영할 이미지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를 입력하고, 투과광 또는 반사광과 같은 촬영 종류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출력부(5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기초하여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출력한다.
즉, 출력부(50)는 이미지 획득부(40)를 통해 획득된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해당 지폐가 실제 비정상 지폐에 해당하는지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불필요한 이미지없이 비정상 지폐의 비정상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만을 출력할 수 있고, 비정상 지폐의 가시광 이미지, 적외선 이미지, 자기 이미지, 자외선 이미지, 초음파 이미지 또는 전도율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출력부(50)는 비정상 지폐의 전체 이미지와 비정상 지폐의 비정상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는 표시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표시와 함께 비정상 지폐의 전체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어느 영역이 비정상 영역인지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표시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통신하는 통신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30)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통신부(70)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지폐처리장치에서만이 아니라 외부 장치를 통해서도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는 PC, 휴대폰, 스마트폰, PDA와 같이 표시 장치를 가지며 지폐처리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장치는 무엇이든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 판별부(20)를 통해 비정상인 것으로 판별되는 비정상 지폐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한 정보가 담긴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지폐가 실제 비정상 지폐인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비정상 지폐의 출력할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30)는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부(60)를 통해 입력되는 비정상 지폐의 출력할 정보는, 출력할 지폐의 영역 또는 출력할 지폐의 신호 성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인하고 싶은 비정상 지폐의 영역을 직접 입력하거나, 확인하고 싶은 지폐의 신호(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자기 신호, 자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전도율) 성분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해당 지폐의 정상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는 출력부(50)를 통해 출력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출력된 비정상 지폐의 영역 중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싶은 영역을 입력부(60)에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구현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센서부(10)는 투입되는 지폐의 성분을 감지하고, 지폐 판별부(20)는 감지되는 성분에 기초하여 투입되는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한다(S10).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지폐 판별부(20)는 센서부(10)를 통해 감지된 지폐의 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자기 신호, 자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전도율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성분을 정상 지폐의 신호 성분과 비교하여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한다.
전술한 판단(S10) 결과, 비정상 지폐가 감지되면(S20), 지폐 판별부(20)는 정상 지폐와 비정상 지폐를 서로 다른 적재부로 분류하여 적재하고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를 제어부(30)로 전달한다(S30).
이 때,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는 비정상인 것으로 판별된 비정상 지폐의 비정상 영역에 관한 정보 또는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비정상 영역에 관한 정보란, 위조 지폐의 경우 위조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고 오염 정도가 심한 지폐의 경우 이물질 등이 부착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성분에 관한 정보란, 위조 지폐 또는 오염 정도가 심한 지폐의 성분과 관련하여 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자기 신호, 자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전도율 중 어떠한 신호 성분으로 판단한 결과 비정상으로 판별하게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어서 제어부(30)는 입력부(60)를 통해 비정상 지폐의 출력할 정보를 입력받는다(S40).
즉,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비정상 지폐의 출력할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후술하는 과정(S50)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하고 싶은 비정상 지폐의 영역이나 지폐의 신호(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자기 신호, 자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전도율) 성분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 또는 입력부(6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할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출력한다(S50).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과정(S30)을 통해 정상 지폐와 비정상 지폐를 분류할 뿐만 아니라, 비정상 지폐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인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지폐가 실제 비정상 지폐인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폐 판별부(20)로부터 비정상 지폐의 비정상 영역에 관한 정보 또는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판별 정보를 전달받는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상기 판별 정보를 통해, 비정상 지폐의 어느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출력할 것인지 결정하거나, 비정상 지폐의 어느 신호(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자기 신호, 자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전도율) 성분에 의한 이미지를 출력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지폐 전체가 아닌, 오염된 영역이나 이물질 등이 부착된 영역만을 보다 더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비정상인 것으로 판별된 지폐가 실제 비정상인지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비정상인 것으로 판별된 지폐에서 위조된 성분이나 오염된 성분은 지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제어부(30)는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지폐의 성분에 의한 이미지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문제가 되는 지폐의 성분을 이미지로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상 지폐로 판별되는 지폐에 대해서 의심되는 영역이나 의심되는 성분에 대한 지폐의 구체적인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정상 지폐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비정상 지폐로 판별된 지폐에 대해서만 보다 구체적인 이미지를 획득하여 출력함으로써, 비정상 지폐를 판별하는 과정을 지연시키지 않고 빠른 시간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센서부
20: 지폐 판별부
30: 제어부
40: 이미지 획득부
42: 제1이미지 획득부
44: 제2이미지 획득부
50: 출력부
60: 입력부
70: 통신부

Claims (12)

  1. 투입되는 지폐의 성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성분에 기초하여 투입되는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
    상기 지폐 판별부로부터 판별된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할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지폐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는 비정상 지폐의 비정상 영역에 관한 정보 또는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성분에 관한 정보는 비정상 지폐의 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자기 신호, 자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전도율 성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비정상 지폐가 적재되는 적재부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이미지 획득부; 및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이미지 획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획득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지폐의 출력할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획득부를 통해 상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8. 센서부가 투입되는 지폐의 성분을 감지하는 단계;
    지폐 판별부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성분에 기초하여 투입되는 지폐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지폐 판별부로부터 판별된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획득부를 통해, 출력할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부를 통해 상기 획득된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의 성분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서부는 지폐의 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자기 신호, 자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전도율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지폐의 판별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지폐의 비정상 영역에 관한 정보 또는 비정상 판별의 원인이 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판별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지폐가 적재되는 적재부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이미지 획득부 또는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이미지 획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전에, 입력부를 통해 비정상 지폐의 출력할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비정상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159228A 2014-11-14 2014-11-14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2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228A KR101642718B1 (ko) 2014-11-14 2014-11-14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228A KR101642718B1 (ko) 2014-11-14 2014-11-14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371A KR20160058371A (ko) 2016-05-25
KR101642718B1 true KR101642718B1 (ko) 2016-07-28

Family

ID=5611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228A KR101642718B1 (ko) 2014-11-14 2014-11-14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7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4132A (ja) 2011-02-23 2012-09-10 Glory Ltd 紙葉類管理方法及び紙葉類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5738A (ko) * 2006-01-16 2007-07-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자기 센서를 이용한 지폐 인식 방법
KR101056668B1 (ko) * 2006-12-08 2011-08-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입출금장치의 수표문자인식방법
KR101479850B1 (ko) * 2012-07-09 2015-01-09 기산전자 주식회사 시트류 판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4132A (ja) 2011-02-23 2012-09-10 Glory Ltd 紙葉類管理方法及び紙葉類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371A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6175A (en) Currency discriminator and authenticator having the capability of having its sensing characteristics remotely altered
WO2014064775A1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仕分け装置及び紙葉類仕分けシステム
KR101647432B1 (ko)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711185B1 (en) Sheet reinspection apparatus, sheet inspection system, and sheet inspection method
WO2011036748A1 (ja) 紙葉類識別装置および紙葉類識別方法
US20140244529A1 (en)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cting, Reporting, and Integrally Managing Counterfeit Banknot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723054B1 (en) Banknote recognition unit, banknote handling device, and banknote recognition method
KR20070068293A (ko) 시트 처리 방법 및 시트 처리 장치
CN110506300B (zh) 纸页类鉴别系统
EP3352148B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and paper sheet processing method
KR101397722B1 (ko) 매체 진위 판별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자동화기기
KR101642718B1 (ko)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7268A (ko) 지폐 식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폐 식별 방법
US9336638B2 (en) Media item validation
JP2017016203A (ja) 貨幣処理装置
KR101385358B1 (ko) 매체 인식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의 자동화기기
RU2736700C2 (ru) Аппарат и способ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RU25965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щения с банкнотами
KR102490654B1 (ko) 레퍼런스 지폐 정보 현지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92407B1 (ko)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7794A (ko) 매체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금융기기
KR101537809B1 (ko) 지폐의 정사 판단 방법
EP3651125B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banknote processing method
JP7256037B2 (ja) 硬貨処理装置及び硬貨処理方法
CN108806060B (zh) 参考纸币信息本地化系统及纸币清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