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879B1 -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클린 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클린 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879B1
KR101641879B1 KR1020150071281A KR20150071281A KR101641879B1 KR 101641879 B1 KR101641879 B1 KR 101641879B1 KR 1020150071281 A KR1020150071281 A KR 1020150071281A KR 20150071281 A KR20150071281 A KR 20150071281A KR 101641879 B1 KR101641879 B1 KR 101641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ter
coffee
storage container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수
Original Assignee
(주)애니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토이 filed Critical (주)애니토이
Priority to KR1020150071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된 내부 공간을 가지며, 더치커피 기구의 각 저장용기가 상하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안착시키는 안착선반이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어느 한 둘레 벽면에는 상기 각 안착선반에 상기 더치커피 기구의 각 용기를 장착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개폐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 혹은, 둘레면 중 어느 한 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으로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 어셈블리; 상기 더치커피 기구의 물 저장용기로 설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물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설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가 제공되며, 이로써 더치커피의 추출이 클린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의 추출에 따른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더치커피의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공기 순환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추출용 물의 저장량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달리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클린 박스 장치{clean box apparatus for extraction of dutch coffee}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클린 박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더치커피의 추출이 클린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의 추출에 따른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더치커피의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공기 순환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추출용 물의 저장량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달리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는 분쇄된 상태의 커피분말에 매우 소량의 찬물이나 상온의 물을 장시간 공급하여 추출한 커피로써, 뜨거운 물로 단시간 내에 추출한 커피에 비해 쓴맛이 덜하면서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더치커피의 추출은 장시간(짧게는 3~4시간, 길게는 8~12시간 정도)에 걸쳐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구조의 기구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더치커피 추출 기구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466390호, 등록특허 제10-1382254호, 등록특허 제10-1496392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기술들은 커피 분말이 담겨지는 용기 혹은, 물이 저장되는 용기가 외부 환경에 노출된 상태로 더치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당 더치커피의 추출 도중 다양한 이물질이 상기 더치커피 내로 제공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1392192호, 등록특허 제10-149030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7031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케이스를 제공하여 더치커피의 추출시 이물질의 유입됨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더치커피의 추출이 진행되는 도중 케이스 내부에 대한 공기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케이스 내의 온도 변화나 습도 변화에 따른 더치커피의 풍미 변화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물의 공급을 위한 물저장탱크에 미리 설정된 양만큼의 수작업으로 물을 저장한 상태로 더치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동작되기 때문에 더치커피의 추출시마다 매번 새로운 물을 상기 물저장탱크 내에 저장하여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었을 뿐 아니라 상기 저장되는 물의 양에 따라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더치커피의 추출 농도가 달라짐으로써 균일한 품질 유지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더치커피의 추출이 클린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의 추출에 따른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더치커피의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공기 순환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에 따르면 커피 추출용 물이 보관되는 물 저장용기와, 커피분말이 보관되는 분말 저장용기와, 추출된 더치커피가 수용되는 커피 저장용기로 이루어진 더치커피 기구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된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체로 형성되며, 어느 한 둘레 벽면에는 상기 더치커피 기구의 각 저장용기를 장착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개폐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 혹은, 둘레면 중 어느 한 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으로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 어셈블리;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 상기 케이스의 어느 한 외면에 설치되면서 해당 케이스 내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차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어반의 동작 제어를 받아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케이스 내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리필터(pre filter)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파필터(HEPA filter;High Efficency Particulate fil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더치커피 기구의 물 저장용기로 설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사용자에 의한 추출 용량의 선택을 입력받는 조작용 인터페이스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조작용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물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안착선반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각 저장용기는 상기 각 안착선반에 각각 안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외면 중 상기 각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각 개폐도어와의 기밀 유지를 위한 실리콘패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는 케이스 내로 항상 신선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은 필터링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더치커피의 오염 및 풍미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추출 용량에 따라 적정량의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물 양을 수작업으로 조절하는 등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더치커피의 추출 농도가 항상 일정할 수 있게 되어 균일한 품질 유지를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의 후방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내부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 중 물공급부의 설치 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내부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는 더치커피 기구가 내장되는 박스로써, 크게 케이스(200)와, 송풍팬 어셈블리(300)와, 물공급부(400)와, 조작용 인터페이스(500) 및 제어반(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더치커피의 추출이 클린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의 추출에 따른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더치커피의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공기 순환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추출용 물의 저장량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달리 조절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더치커피 기구는 더치커피의 추출을 위한 기구물이다.
이와 같은 더치커피 기구는 물 저장용기(110)와, 분말 저장용기(120) 및 커피 저장용기(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물 저장용기(110)는 커피 추출용 물이 보관되는 용기로써, 저면에는 물배출호스(111)가 연결됨과 더불어 이 물배출호스(111)에는 해당 물배출호스(111)를 통해 유출되는 물량의 조절이 가능한 조절밸브(1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말 저장용기(120)는 커피분말이 보관되는 용기로써, 상기 물 저장용기(110)의 직하방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커피 저장용기(130)는 상기 분말 저장용기(120)를 통과하면서 추출된 액상의 더치커피가 수용되는 용기로써 상기 분말 저장용기(120)의 직하방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커피 저장용기(130)는 자유로운 운반이 가능한 용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후술될 케이스(200)에 고정되는 형태의 용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더치커피 기구의 설치를 위한 부위임과 더불어 상기 더치커피 기구에 의한 더치커피의 추출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된 공간 상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케이스(200)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된 내부 공간을 갖도록 전면(210)과 후면(220)과 양 측면(230)과 상면(240)으로 이루어진 통체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상기 더치커피 기구의 각 저장용기(110,120,130)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선반(260,270,280)이 각각 상하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각 안착선반(260,270,280)은 상기 물 저장용기(110)가 안착되는 제1안착선반(260)과, 상기 제1안착선반(260)의 직하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분말 저장용기(120)가 안착되는 제2안착선반(270)과, 상기 제2안착선반(270)의 직하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커피 저장용기(130)가 안착되는 제3안착선반(2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안착선반(280)의 경우 상기 케이스(200)의 저면으로 제공됨을 그 예로 한다.
또한, 상기 분말 저장용기(120)는 상기 제2안착선반(270)에 직접 안착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상기 분말 저장용기(120)를 통과하여 추출되는 커피 원액이 상기 커피 저장용기(130) 내로 원활히 흐르도록 안내하는 구조가 함께 구성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고, 이로써 제2안착선반(270)에 안착시키는 작업 도중 해당 분말 저장용기(120)가 그 상부의 물 저장용기(110)에 부딪히는 등의 간섭 발생에 의해 해당 분말 저장용기(120)를 제2안착선반(270)에 안착시키는 작업이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안착선반(270)에 상기 분말 저장용기(120)의 장착을 위한 장착용기(271)를 구비하고, 상기 분말 저장용기(120)는 상기 장착용기(271)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분말 저장용기(120)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손쉬운 커피분말의 공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장착용기(271)의 저면에는 추출되는 커피원액의 배출을 위한 커피배출호스(272)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00)의 각 둘레측 벽면(전면과 후면과 양측면)(210,220,230) 중 적어도 어느 한 벽면에는 상기 각 안착선반(260,270,280)에 상기 더치커피 기구의 각 저장용기(110,120,130)를 장착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개폐도어(291,29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도어(291,292)가 케이스(200)의 전면(210)에 설치됨을 제시하며, 상기 제2안착선반(270)에 분말 저장용기(120)의 안착을 위해 해당 부위를 개폐하는 제1개폐도어(291)와, 상기 제3안착선반(280)에 커피 저장용기(130)를 안착하거나 취출하기 위해 해당 부위를 개폐하는 제2개폐도어(2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특히, 상기 각 개폐도어(291,292)는 상기 케이스(200) 내의 공기 압력에 의해 원치않게 개방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잠금수단(293,294)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이때 상기 케이스(200)의 각 부위 중 상기 각 개폐도어(291,292)가 설치되는 개구 부위에는 실리콘패드(295,296)를 설치하여 상기 각 개폐도어(291,292)와의 틈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각 개폐도어(291,292)는 내부 투시가 가능한 재질(예컨대, 유리 혹은, 투명 플라스틱 재질 등)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케이스(200)의 각 둘레 벽면(210,220,230) 모두를 내부 투시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200)는 각 둘레 벽면(210,220,230) 중 적어도 어느 한 벽면(예컨대, 어느 한 측벽) 전체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해당 케이스(200) 내부에 설치되는 더치커피 기구의 유지 보수시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300)는 상기 케이스(200) 내의 공간으로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300)는 상기 케이스(200)의 상면(240) 혹은, 둘레 벽면(210,220,230) 중 어느 한 면에 설치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송풍팬 어셈블리(300)가 상기 케이스(200)의 상면(240)에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송풍팬 어셈블리(300)는 후술될 제어반(600)의 동작 제어를 받아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310)과, 상기 송풍팬(310)에 의해 케이스(200) 내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필터부(2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리필터(pre filter)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파필터(HEPA filter;High Efficency Particulate fil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로써 미세먼지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물공급부(400)는 상기 더치커피 기구의 물 저장용기(110)로 물을 공급하는 부위이고, 상기 제어반(600)은 전술된 송풍팬 어셈블리(300) 및 상기 물공급부(4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물공급부(400)는 정수기 혹은, 물통에 연결되면서 물을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정량토출용 워터펌프 혹은, 밸브로 구성되며,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 내에 위치될 수도 있지만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반(600)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200) 외부에 별도로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200)에 사용자에 의한 추출 용량의 선택을 입력받는 조작용 인터페이스(500)를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반(600)은 상기 조작용 인터페이스(500)로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물공급부(4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설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 저장용기(110)에 사용자가 직접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물공급부(400)에 의해 상기 물 저장용기(110)로 정확한 량의 물 공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200)에 해당 케이스(200)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차압부(70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케이스(200) 내부의 공간은 송풍팬 어셈블리(300)의 동작 제어에 의한 지속적인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비록 신선한 공기의 유입에 의한 안정적인 더치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는 있다 하나 케이스(200) 내의 공간에 대한 압력이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차압부(700)의 추가 제공을 통해 해당 케이스(200) 내부 공간이 설정 압력을 초과할 경우 해당 압력의 해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차압부(700)는 통상의 체크밸브로 구성됨을 그 예로 하지만, 상기 제어반(600)의 동작 제어를 받는 솔레노이드밸브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한 차압부(700)는 상기 케이스(200)의 각 외면 중 상면(240)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으로 배출되는 공기로 인한 주변 사람들의 불쾌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케이스(200)에 설치된 제1개폐도어(291)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2안착선반(270)의 장착용기(271)로부터 분말 저장용기(120)를 취출한다.
그리고, 상기 취출한 분말 저장용기(120) 내에 거름망(도시는 생략됨)을 장착함과 더불어 이 거름망 내에 추출하고자 하는 분쇄된 상태의 커피분말을 담은 다음 해당 분말 저장용기(120)를 상기 제2안착선반(270)의 장착용기(271)에 장착하며, 계속해서 제1개폐도어(291)를 닫고 잠금수단(293)으로 구속시킨다.
이와 함께, 케이스(200)에 설치된 제2개폐도어(292)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3안착선반(280)에 커피 저장용기(13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커피 저장용기(130)는 장착용기(271)의 저면으로 연장된 커피배출호스(272)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피배출호스(272)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원액이 정확히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2개폐도어(292)를 닫고 잠금수단으로 구속시킨다.
이와 같은 더치커피의 추출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조작용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추출 용량을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용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추출 용량이 입력되면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제어반(600)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어반(600)에서는 상기 입력된 추출 용량을 기준으로 물의 공급량을 결정함과 더불어 물공급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물 공급량만큼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한 제어반(600)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면 상기 물공급부(400)에서는 상기 결정된 물 공급량만큼 물 저장용기(110)로 물을 공급하며,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물 저장용기(110)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면 상기 공급된 물은 상기 물 저장용기(110)의 저면에 연결된 물배출호스(111)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물배출호스(11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은 해당 물배출호스(111)에 구비된 조절밸브(112)의 조작에 따라 달리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는 3~5 초당 1방울 정도가 낙하되도록 배출된다.
이후, 상기 물배출호스(111)를 통해 낙하된 물은 분말 저장용기(120) 내로 흐르면서 상기 분말 저장용기(120) 내에 담긴 커피분말로 제공되며, 이 과정을 통해 추출된 액상의 커피원액은 장착용기(271)의 커피배출호스(272)를 타고 흘러내리면서 그의 직하방에 위치된 커피 저장용기(130) 내에 저장된다.
한편, 전술된 더치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지는 도중 송풍팬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송풍팬(310)은 상기 제어반(600)의 동작 제어를 받아 구동되면서 외부 공기를 케이스(200) 내의 공간으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300)의 필터부(3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공급되며, 이로써 상기 케이스(200) 내부는 항상 이물질이 제거된 신선한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케이스(200) 내의 온도 변화나 습도 변화에 따른 더치커피의 풍미 변화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만일, 상기 케이스(200) 내의 공기 공급에 의한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될 경우에는 차압부(700)가 동작되면서 상기 케이스(200) 내의 공기 중 일부를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케이스(200) 내부는 원활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추출 용량에 따라 적정량의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물 양을 수작업으로 조절하는 등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더치커피의 추출 농도가 항상 일정할 수 있게 되어 균일한 품질 유지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는 케이스(200) 내로 항상 신선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은 필터링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더치커피의 오염 및 풍미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10. 물 저장용기 111. 물배출호스
112. 조절밸브 120. 분말 저장용기
130. 커피 저장용기 200. 케이스
210. 전면 220. 후면
230. 일측면 240. 상면
260. 제1안착선반 270. 제2안착선반
271. 장착용기 272. 커피배출호스
280. 제3안착선반 291. 제1개폐도어
292. 제2개폐도어 293,294. 잠금수단
295,296. 실리콘패드 300. 송풍팬 어셈블리
310. 송풍팬 320. 필터부
400. 물공급부 500. 조작용 인터페이스
600. 제어반 700. 차압부

Claims (5)

  1. 커피 추출용 물이 보관되는 물 저장용기(110)와, 커피분말이 보관되는 분말 저장용기(120)와, 추출된 더치커피가 수용되는 커피 저장용기(130)로 이루어진 더치커피 기구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된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체로 형성되며, 어느 한 둘레 벽면에는 상기 더치커피 기구의 각 저장용기(110,120,130)를 장착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개폐도어(291,29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케이스(200);
    상기 케이스(200)의 상면 혹은, 둘레면 중 어느 한 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케이스(200) 내의 공간으로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 어셈블리(300);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600);
    상기 케이스(200)의 어느 한 외면에 설치되면서 해당 케이스(200) 내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차압부(700);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어반(600)의 동작 제어를 받아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310)과,
    상기 송풍팬(310)에 의해 케이스(200) 내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리필터(pre filter)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파필터(HEPA filter;High Efficency Particulate fil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치커피 기구의 물 저장용기(110)로 설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4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00)에는 사용자에 의한 추출 용량의 선택을 입력받는 조작용 인터페이스(5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반(600)은 상기 조작용 인터페이스(500)로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물공급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0) 내에는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안착선반(260,270,28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각 저장용기(110,120,130)는 상기 각 안착선반(260,270,280)에 각각 안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0)의 외면 중 상기 각 개폐도어(291,292)가 설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각 개폐도어(291,292)와의 기밀 유지를 위한 실리콘패드(295,29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크린 박스 장치.
KR1020150071281A 2015-05-21 2015-05-21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클린 박스 장치 KR101641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281A KR101641879B1 (ko) 2015-05-21 2015-05-21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클린 박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281A KR101641879B1 (ko) 2015-05-21 2015-05-21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클린 박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879B1 true KR101641879B1 (ko) 2016-07-29

Family

ID=5661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281A KR101641879B1 (ko) 2015-05-21 2015-05-21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클린 박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8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318B1 (ko) * 2018-01-31 2018-10-19 이기룡 더치커피 제조장치
EP3491977A1 (en) 2017-11-29 2019-06-05 Witho Co., Ltd.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KR20190136167A (ko) 2018-05-30 2019-12-10 이용우 더치커피 추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945A (ja) * 1993-10-15 1995-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機能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392192B1 (ko) * 2013-01-21 2014-05-08 정삼규 온도조절 및 살균 시스템을 탑재한 더치커피 추출기
WO2014169248A1 (en) * 2013-04-11 2014-10-16 Oxx Products Llc Portable coffee brew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945A (ja) * 1993-10-15 1995-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機能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392192B1 (ko) * 2013-01-21 2014-05-08 정삼규 온도조절 및 살균 시스템을 탑재한 더치커피 추출기
WO2014169248A1 (en) * 2013-04-11 2014-10-16 Oxx Products Llc Portable coffee brew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1977A1 (en) 2017-11-29 2019-06-05 Witho Co., Ltd.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KR101910318B1 (ko) * 2018-01-31 2018-10-19 이기룡 더치커피 제조장치
KR20190136167A (ko) 2018-05-30 2019-12-10 이용우 더치커피 추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879B1 (ko)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클린 박스 장치
KR101225535B1 (ko)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US6383375B1 (en) Water container with filter cartridge
US7276169B2 (en) Method for filtering water in an aquarium, a water cultivation tank and similar water bonds, and corresponding filtering system
JPS58193650A (ja) 少量のコ−ヒ−生豆の焙煎方法及び装置
JP2016521170A (ja) ドリップコーヒー製造機
US9089115B2 (en) Aquarium system
CN113015468A (zh) 磁性驱动的饮料冲泡系统和方法
KR101349074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17256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20140061837A (ko) 더치식 커피 추출기
CN109619022A (zh) 一种鱼缸自动换水装置
CN109106213B (zh) 内置式咖啡机及其相关组件和调节方法
CA3057977C (en) Cold-brew coffee brewing system and cold-brewing method
KR101928480B1 (ko) 유해물질 제거장치
EP3784033A1 (en) Water filter for an aquarium
US103906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CN206909613U (zh) 用于茶叶去除农药残留的处理装置
KR200479705Y1 (ko) 정수기용 취출코크 연결프레임
KR200231620Y1 (ko)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KR100782320B1 (ko) 농수산물의 살균장치
KR20200106365A (ko) 청소가 용이한 수유식 튀김기
KR101764972B1 (ko) 사육장치
KR101384763B1 (ko) 기름온도 조절용 냉각파이프가 불필요한 튀김장치
JP3118251U (ja) 水槽の外付け濾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