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620Y1 -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 Google Patents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620Y1
KR200231620Y1 KR2020010005407U KR20010005407U KR200231620Y1 KR 200231620 Y1 KR200231620 Y1 KR 200231620Y1 KR 2020010005407 U KR2020010005407 U KR 2020010005407U KR 20010005407 U KR20010005407 U KR 20010005407U KR 200231620 Y1 KR200231620 Y1 KR 200231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ain body
storage unit
parti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희
Original Assignee
전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동희 filed Critical 전동희
Priority to KR2020010005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620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쌀을 보관을 위해 사용하는 쌀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쌀 저장부내에 외부 공기를 소통시킬 수 있는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하여 쌀을 장기간 변질되지 않게 보관할 수 있는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은, 상부에 개폐 가능한 투입구(13)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쌀이 저장되는 저장부(100)를 형성하는 쌀통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쌀을 단계적으로 꺼낼 수 있게 설치되는 배출기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쌀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기 저장부(100)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그 내부에 쌀알보다 작은 눈을 가진 망이 설치되는 다수의 통기구(15)와; 그리고, 표면에 쌀알 보다 작은 지름의 통기공(12a)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저장부(10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끼워져 그 양단이 상기 본체(10)의 양측벽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저장부(100)의 공간을 칸막이 형태로 분할하는 중공(中空)의 칸막이형 통기함(12)(通氣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Rice Chest Having Draft Box Type Partition}
본 고안은 쌀을 보관을 위해 사용하는 쌀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쌀 저장부내에 외부 공기를 소통시킬 수 있는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하여 쌀을 장기간 변질되지 않게 보관할 수 있는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에 관한 것이다.
쌀통은 쌀을 일시적 또는 장기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용기인 바, 종래 전형적인 쌀통은 상부에 설치된 뚜껑을 개방한 다음 그 내부에 쌀을 투입하여 저장하면서 그 하부에 단계별로 개방할 수 있게 설치된 배출구를 단계적으로 개방하여 필요한 만큼의 쌀을 꺼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전형적인 쌀통은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통풍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쌀을 저장하기 때문에 그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쌀을 장기간 저장하는 경우 쌀의 변질을 초래하여 밥맛을 나쁘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으며, 또한, 바구미 등과 같은 쌀벌레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쌀의 위생 상태를 악화시키고 훼손율이 높이는 요인이 되어 왔다.
이에, 측판이나 바닥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쌀 저장공간에 소통하게 함으로써 쌀을 변질되지 않게 저장할 수 있는 쌀통들이 개발되었다.
예컨대, 국내실용공개 83-1340호의 '자연통풍식 쌀통', 국내실용공개 87-1747호의 '쌀통 직립식 통풍관', 국내실용공개 88-11573호의 '쌀통 통풍장치' 및국내실용공개 92-7558호의 '통풍 쌀통' 등은 그 내부에 측판이나 모서리 또는 바닥 등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하게 함으로써 쌀의 변질을 막고 쌀벌레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쌀통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쌀통들은 표면에 드러나거나 또는 측판과 바닥의 통기공에 인접하는 쌀에 대해서만 통기효과를 발휘하고 내부 깊숙이 묻혀 있는 쌀들에 대해서는 통기를 거의 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기능을 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쌀통에 저장된 쌀에 대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강제 송풍할 수 있는 송풍장치가 구비한 쌀통들이 제안되었다.
국내실용신안등록 97-1173호의 '쌀통의 통풍장치', 국내실용신안등록 92-4131호의 '통풍 쌀통', 국내실용신안등록 20-157777호의 다용도 쌀통의 통풍장치 등은 저장된 쌀에 대해서 외부 공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는 송풍장치를 구비한 쌀통의 예들이다.
이들 송풍장치를 구비한 쌀통들은 쌀이 저장되는 공간에 대한 통풍효과가 뛰어나 표피층의 쌀들에 대한 통기효과는 매우 뛰어나지만 이들 역시도 내부 깊숙이 묻혀 있는 쌀들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통기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구동모터와 송풍팬 등으로 인해 구성이 복잡해져 제조원가가 높고, 구동모터 구동용 전원을 필요로 하여 전기 배선이 있는 곳에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동모터의 전원으로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배선으로 인한 설치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건전지 수시로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한편, 국내실용신안등록 97-4742호의 '쌀 변질방지 장치를 구비한 쌀통'은 쌀 저장공간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이송스크류(공보상 부호 4)가 회전하면서 저장된 쌀을 일구어 저장된 모든 쌀들이 표피와 내부 사이를 순환하게 함으로써 저장된 모든 쌀에 대하여 고른 통기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쌀 변질방지 장치를 구비한 쌀통'의 경우에는 이송스크류(공보상 부호 4)와 이 이송스크류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공보상 부호 5)가 추가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더욱 복잡해져 제조원가가 앞서의 송풍장치를 구비한 쌀통들 보다도 오히려 더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 쌀통의 경우에도 전기배선이 있는 곳에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쌀을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쌀들을 부스러뜨리거나 또는 영양소인 쌀눈을 탈리시키는 등 쌀에 손상을 주어 그 질을 떨어뜨린다는 취약점이 있었으며, 쌀 순환시 발생하는 먼지로 인해 이송스크류나 구동모터 등이 쉽게 고장나며 쌀통 주변의 공기도 오염시킨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쌀통들이 가진 문제점들이 일소된 것으로서, 쌀 저장부에 외부 공기를 소통시킬 수 있는 칸막이형 통기함들을 구비하여 그 각 통기함을 통하여 내부 깊숙이 적재된 쌀들까지 외부공기가 원활하게 통기되게 함으로써 쌀을 장기간 변질되지 않게 저장할 수 있고, 쌀 투입시 쌀 투입구에 설치된 싸라기 거름망으로 싸라기도 걸러낼 수 있으며, 통기를 위한 별도의 전기적구성들이 배제됨으로써 제조원가가 낮고 고장날 우려가 거의 없어 내구수명도 반영구적인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0a : 상부 본체
10b : 하부 본체 11 : 바닥
11a : 배출구 12 : 통기함
12a : 통기공 13 : 투입구
14 : 도어 15 : 통기구
20 : 배출기구 21 : 제 1 노브
22 : 제 1 배출밸브 23 : 계량함
24 : 제 2 노브 25 : 제 2 배출밸브
26 : 인출함 27 : 차폐 도어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은, 상부에 개폐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쌀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형성하는 쌀통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쌀을 단계적으로 꺼낼 수 있게 설치되는 배출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쌀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저장부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그 내부에 쌀알보다 작은 눈의 망이 설치된 다수의 통기공과; 표면에 쌀알 보다 작은 지름의 통기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저장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끼워져 그 양단이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저장부의 공간을 칸막이 형태로 분할하는 중공(中空)의 칸막이형 통기함(通氣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은,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쌀 보다 작은 눈을 가지고 상기 투입구 밑에 비스듬히 설치되어 그 상부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어 그 경사진 표면을 따라 미끄러져 하부의 상기 저장부로 낙하하는 쌀로부터 싸래기를 걸러내는 싸래기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의 하부에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거름망에 의해 걸러져 낙하하는 싸래기를 수거하는 싸래기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부의 상단을 경계로 상하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배출기구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노브의 선단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노브의 회전각에 비례하여 전,후진하면서 상기 저장부의 배출구를 개도량을 조절하여 개폐하는 제 1 배출밸브와; 상기 제 1 배출밸브의 수직 하부에 설치되어 그 제 1 배출밸브의 개방으로 배출되는 쌀을 수납하여 그 전면의 표시부를 통해 수납량을 보여주는 계량함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노브의 선단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그 제 2 노브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하면서 상기 계량함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 2 배출밸브와; 상기 제 2 배출밸브의 수직 하부에 상기 본체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제 2 배출밸브의 개방으로 배출되는 쌀을 수납하는 인출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내부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내부의 쌀이 저장되는 저장부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은, 상하로 배열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부 본체(10a)와 하부 본체(10b)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밀폐된 쌀 저장부(100)를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쌀을 단계적으로 꺼낼 수 있게 상기 하부 본체(10b)의 하부에 내장되는 배출기구(20), 그리고, 상기 상부 본체(10a)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부(100)에 투입되는 쌀에서 싸라기를 수거할 수 있게 설치되는 싸라기 거름망(31)과 싸라기 수거함(32) 등으로 이루어진 싸라기 수거기구(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10)에 있어서, 하부 본체(10b)는 쌀통의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 그 내부에 쌀이 저장되는 저장부(100)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기구(20)가 내장된다. 상기 저장부(100) 내에는 판형의 통기함(12)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칸막이 형태로 끼워져 고정된다. 저장부(100)는 호퍼(Hopper) 형상 즉 역사각뿔 형상의 바닥(11)을 가지며, 그 바닥(11)의 최저부 꼭지부분에는 저장된 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a)가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100)의 내부공간을 다중으로 분할하는 통기함(12)들은 얇은 오각형 판 형태로 제작된 중공(中空)의 함으로서, 그 양단이 상기 하부 본체(10b)의 양쪽 내벽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되며, 각 통기함(12) 사이사이에 적재된 쌀이 저장부 바닥(11)의 배출구(11a)로 모아져 배출될 수 있게 저장부 바닥(11)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들떠 있게 고정된다. 사방의 각 표면에는 쌀알 보다 작은 직경의 통기공(12a)들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그들 사이 사이에 적재된 쌀에 외부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하부 본체(10b)의 저장부(100)에 저장된 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기구(20)는, 상기 저장부(100)의 배출구(11a)를 개폐하는 제 1 노브(21)와 제 1 배출밸브(22), 상기 배출구(11a)를 통해 배출되는 쌀을 일시 적재하여 쌀 배출량을 표시하는 계량함(23), 계량함(23) 하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 2 노브(24)와 제 2 배출밸브(25), 그리고, 상기 계량함(23)에서 배출된 쌀을 외부에 인출할 수있도록 수납하는 인출함(2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노브(21)는 그 손잡이를 하부 본체(10b) 전면으로 노출하면서 상기 하부 본체(10b)에 지지되는 회전축으로서 그 후단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배출밸브(22)에 나사 결합된다. 제 1 배출밸브(22)는 회전되는 상기 제 1 노브(21)에 의해 전후진하면서 상기 저장부(100)의 배출구(11a)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평판형 밸브로서, 상기 제 1 노브(21)의 회전각도에 비례하여 이동함으로써 저장부(100) 배출구(11a)의 개도량을 제어한다.
상기 계량함(23)은 상기 저장부(100)에서 배출된 쌀의 배출량을 계량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전면에 내부의 쌀을 외부에 노출하기 위한 투시창(23a)이 설치된다. 그리고 투시창(23a)에는 적재된 쌀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눈금이 표시된다. 이에, 저장부(100)에서 배출된 쌀을 수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투시창(23a)과 그 투시창(23a)에 표시된 눈금으로서 쌀 배출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계량함(23)은 하부 본체(16b)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나, 투시창(23a)의 눈금 식별이 용이하도록 전면쪽으로 편재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앞서의 제 1 노브(21)와 후술하는 제 2 노브(24)와 함께 하부 본체(10b)의 전면에 설치되는 여닫이식 차폐 도어(27)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제 2 노브(24)와 제 2 배출밸브(25)는 상기 계량함(23)에 수납된 쌀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 노브(21) 및 제 1 배출밸브(22)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에, 계량함(23)에 계량되어 수납된 쌀을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인출함(26)은 상기 계량함(23)에 수납된 쌀을 밖으로 꺼낼 수 있게 설치된서랍으로서, 하부 본체(10b)의 최하부 전면에 설치된다. 인출함(26)의 좌우에는 공간활용을 위한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서랍이 각각 설치된다.
상부 본체(10a)는 상기 하부 본체(10b) 위에 얹어진 후 결합구(16)에 의해 결합되어 하부 본체(10b)의 저장부(100) 위쪽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그 상면 앞부분에 쌀을 투입하기 위한 여닫이식 도어(14)를 가진 투입구(13)가 설치되며, 하부 둘레에는 쌀 저장부(100)의 각 통기함(12)에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기구(15)들이 설치된다. 상기 투입구(13) 밑에는 투입구(13)를 통해 투입되는 쌀로부터 싸라기를 거르는 싸라기 거름망(31)과 그 싸라기 거름망(31)에서 걸러진 싸라기를 수납하는 싸라기 수거함(32)이 상하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31) 밑면에는 거름망(31)에서 걸러진 싸라기를 모아 상기 싸라기 수거함(32)으로 유도하는 싸라기 호퍼가 설치된다. 상기 거름망(31)은 쌀의 입경보다 약간 작은 눈을 가지는 망으로서, 투입구(13)에 투입된 쌀이 그 표면을 따라 미끄러져 낙하되도록 후방을 향해 경사져 있으면서 그 후단이 상부 본체(10a)의 내벽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갖는다.
이러한 상부 본체(10a)의 구성에 따라 상기 투입구(13)를 통해 투입되는 쌀은 경사진 상기 싸라기 거름망(31) 표면을 따라 미끄러져 그 후단에서 낙하되어 하부 본체(10b)의 저장부(100)에 저장되며, 이 과정에서 쌀에 포함된 싸라기들은 거름망(31)을 통해 싸라기 호퍼로 낙하되어 싸라기 수거함(32)에 수납된다.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는 부호 17은 쌀통 내 쌀 저장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이고, 28은 사물을 수납할 수 있게 추가로 설치된 사물함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12)을 구비한 쌀통의 작용과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12)을 구비한 쌀통에 쌀을 투입하여 저장하는 경우 투입구(13)에 투입된 쌀은 경사진 거름망(31)을 따라 미끄러져 하부 본체(10b)의 저장부(100)에 낙하되어 저장된다. 이 때, 입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싸라기들이나 돌 등과 같은 쌀 이외이 이물질들은 거름망(31)에 의해 걸러져 싸라기 호퍼의 유도에 의해 싸라기 수거함(32)에 수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12)을 구비한 쌀통은 쌀을 저장할 때 싸라기를 걸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00)에 낙하된 쌀은 저장부(100)의 통기함(12) 사이 사이에 적재되는 바, 통기구(15)와 통기함(12)의 통기작용으로 저장부(100) 내부의 구석구석에 외부 공기가 소통하게 되므로 저장부(100)에 저장된 쌀의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쌀을 장기간 변질되지 않게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부(100) 내 쌀벌레의 번식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하부 본체(10b)의 저장부(100)에 저장된 쌀을 필요할 때마다 다음과 같이 적정 양 만큼만 인출하여 취사할 수 있다. 즉, 투시창(23a)을 통해 확인하면서 제 1 노브(21)의 손잡이 회전으로 제 1 배출밸브(22)를 개방하여 저장부(100)로부터 적정한 양 만큼 쌀을 계량함(23)으로 배출시킨 다음, 제 1 노브(21)의 역회전으로 제 1 배출밸브(22)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 2 노브(24) 회전으로 제 2 배출밸브(25)를 개방하여 계량함(23)에 수납된 쌀이 인출함(26)에 떨어지게 하면 다음 인출함(26)을 빼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원하는 만큼의 쌀을 계량하여 인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12)을 구비한 쌀통은 내부 청소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즉, 사용기간 경과에 따라 거름망(31)의 눈들이 막히거나 통기함(12)의 통기공(12a)들이 걸러지지 않는 싸라기나 이물질에 의해 막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부 본체(10a)를 들어내어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은 통기구와 그 내부의 쌀 저장부에 칸막이 형태로 설치된 통기함들의 통기공을 통해 외부 공기가 내부 깊숙이 적재된 쌀들에게까지 원활하게 소통하게 할 수 있으므로 쌀의 전반적인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쌀을 장기간 변질되지 않게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쌀을 투입구에 설치된 싸라기 거름망으로 싸라기와 돌 등을 걸러내어 저장하므로 쌀의 질 즉 밥맛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통기를 위한 별도의 전기적 구성들이 배제됨으로써 제조원가가 낮을 뿐만 아니라 고장날 우려가 없어 그 내구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Claims (4)

  1. 상부에 개폐 가능한 투입구(13)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쌀이 저장되는 저장부(100)를 형성하는 쌀통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쌀을 단계적으로 꺼낼 수 있게 설치되는 배출기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쌀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기 저장부(100)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그 내부에 쌀알보다 작은 눈을 가진 망이 설치되는 다수의 통기구(15)와;
    표면에 쌀알 보다 작은 지름의 통기공(12a)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저장부(10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끼워져 그 양단이 상기 본체(10)의 양측벽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저장부(100)의 공간을 칸막이 형태로 분할하는 중공(中空)의 칸막이형 통기함(12)(通氣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쌀 보다 작은 눈을 가지고 상기 투입구(13) 밑에 비스듬히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13)에 투입되어 그 경사진 표면을 따라 미끄러져 하부의 상기 저장부(100)로 낙하하는 쌀로부터 싸래기를 걸러내는 싸래기 거름망(31)과;
    상기 거름망(31)의 하부에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거름망(31)에 의해 걸러져 낙하하는 싸래기를 수거하는 싸래기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저장부(100)의 상단을 경계로 상하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본체(10a)와 하부 본체(1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구(20)는,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노브(21)의 선단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노브(21)의 회전각에 비례하여 전,후진하면서 상기 저장부(100)의 배출구를 개도량을 조절하여 개폐하는 제 1 배출밸브(22)와;
    상기 제 1 배출밸브(22)의 수직 하부에 설치되어 그 제 1 배출밸브(22)의 개방으로 배출되는 쌀을 수납하여 그 전면의 표시부를 통해 수납량을 보여주는 계량함(23)과;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노브(24)의 선단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그 제 2 노브(24)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하면서 상기 계량함(23)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 2 배출밸브(25)와;
    상기 제 2 배출밸브(25)의 수직 하부에 상기 본체(10)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제 2 배출밸브(25)의 개방으로 배출되는 쌀을 수납하는 인출함(26)을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KR2020010005407U 2001-02-28 2001-02-28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KR200231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407U KR200231620Y1 (ko) 2001-02-28 2001-02-28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407U KR200231620Y1 (ko) 2001-02-28 2001-02-28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620Y1 true KR200231620Y1 (ko) 2001-07-03

Family

ID=7306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407U KR200231620Y1 (ko) 2001-02-28 2001-02-28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6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2039A (zh) * 2018-06-11 2018-09-14 重庆华渝种子有限公司 种子储存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2039A (zh) * 2018-06-11 2018-09-14 重庆华渝种子有限公司 种子储存装置
CN108522039B (zh) * 2018-06-11 2024-02-09 徐州锡沂康成食品检验检测研究院有限公司 种子储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6777B1 (en) Method for operating a composter device and composter device
US101897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old growth in the reservoir of a food waste recycling appliance
CN107920700A (zh) 坐便器设备和使用方法
CN110553453A (zh) 一种用于粮食除尘保鲜冷储库装置
KR200231620Y1 (ko) 칸막이형 통기함을 구비한 쌀통
KR20160063587A (ko) 애벌레 사육 장치
US20070012796A1 (en) Humidifying device for a humidor
CN111247899B (zh) 一种农业用大米选种设备
US5205433A (en) Waste-collecting container
KR101036491B1 (ko) 가정용 도정기
JP2823404B2 (ja) 穀物貯蔵装置
CN109392480A (zh) 一种中药种子存储装置
CN110547680A (zh) 具有灭菌防虫功能的蜂蜜饮料机
CN104192430A (zh) 储米装置
CN217146792U (zh) 一种医用乳胶手套生产用多层存放装置
KR200235490Y1 (ko) 다기능 쌀통
KR102105004B1 (ko) 실험 동물용 케이지 톱밥 자동공급장치
KR200157775Y1 (ko) 쌀통
CN216880491U (zh) 一种胚芽米筛选装置
TWI410361B (zh) 廚餘處理裝置及其分解槽
CN217850256U (zh) 一种农业种子分类存放装置
CN217430495U (zh) 一种用于固体制剂生产的自动硬胶囊充填机
CN211048157U (zh) 一种鸟类喂食器及鸟笼
CN214458023U (zh) 一种用于基因检测的培育箱
CN219723700U (zh) 一种软胶囊加工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