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876B1 - 비상부주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부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876B1
KR101641876B1 KR1020150093871A KR20150093871A KR101641876B1 KR 101641876 B1 KR101641876 B1 KR 101641876B1 KR 1020150093871 A KR1020150093871 A KR 1020150093871A KR 20150093871 A KR20150093871 A KR 20150093871A KR 101641876 B1 KR101641876 B1 KR 101641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emergency
cover
receiv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재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5/00Emergency apparatus 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25/08Ejecting or escaping means
    • B64D25/18Flotatio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4Floats
    • B64C25/56Floats inflatable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부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행체의 비상시에 따른 수면착수 상황에 작동하여 탑승자의 안전한 탈출시간을 확보하는 비상부주에 있어서, 비행체의 동체에 장/탈착이 용이하여, 비행체의 운행 목적 및 운행 장소에 따라 수월하게 장/탈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비상부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부주 장치{EMERGENCY FLOTATION DEVICE}
본 발명은 비상부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행체의 비상시에 따른 수면착수 상황에 작동하여 탑승자의 안전한 탈출시간을 확보하는 비상부주에 있어서, 비행체의 동체에 장/탈착이 용이하여, 비행체의 운행 목적 및 운행 장소에 따라 수월하게 장/탈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비상부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행체, 특히 헬리콥터는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비상시에 따른 육지에서의 착륙이 아닌 수면착수 상황 시, 탑승자의 안전한 탈출시간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헬리콥터를 포함하는 비행체에는 비상부주를 상기와 같은 비상 상황에 작동시킴으로써, 일정시간 비행체를 부유시킬 수 있어 탑승자의 탈출시간을 보장할 수 있다.
비행체에 비상부주를 구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비행체 내부에 비상부주를 구비할 공간을 따로 구성하여 비상부주를 비행체 동체 내부에 배치하거나, 비행체 동체 외부에 비상부주를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비행체 동체 내부에 비상부주를 배치하는 방법은 비상부주가 동체 내부에 구비되어 비행체의 운항에 방해를 주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비상부주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으로 인해 국부적인 하중 집중 현상으로 인한 구조 보강이 필요하여 비행체의 전체적인 무게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에 따른 비상부주의 팽창 시, 불완전한 팽창의 가능성이 있다.
비행체 동체 외부에 비상부주를 장착하는 방법은 별도의 공간을 따로 필요로 하지 않아, 비행체 내부의 공간을 널리 이용할 수 있으며, 비상부주의 배치를 위한 별도의 설계를 필요로 하지 않아 효율적이므로 비행체 동체 내부에 비상부주를 배치하는 방법에 비해 널리 이용된다.
이 때, 비행체 동체 외부에 비상부주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비상부주를 비행체 동체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9294호("Emergency Flotation Apparatus", 2011.03.03.)에 제시되었다.
그러나 비상부주는 해수면 비행을 위해서는 상기 비상부주의 장착이 필요하지만, 비상부주의 장착이 필요하지 않는 운항 목적을 가지는 비행체의 경우에는 비상부주 자체 무게에 따른 탑승자의 추가 탑승 및 적재물의 추가 적재가 불가할 뿐만 아니라, 항속거리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비행체 동체 외부에 장착되는 비상부주는 공기 유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므로, 비행체의 효율적인 운항에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9294호("Emergency Flotation Apparatus", 2011.03.03.) 비특허문헌 1 : 한국국방연구원 주간국방논단 제1409호("주요국 해상용 헬기의 비상부주장비 및 시사점" 발행일자 2012.05.0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행체의 비상시에 따른 수면착수 상황에 작동하여 탑승자의 안전한 탈출시간을 확보하는 비상부주에 있어서, 비행체의 동체에 장/탈착이 용이하여, 비행체의 운행 목적 및 운행 장소에 따라 수월하게 장/탈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비상부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유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비상부주 커버가 항력의 영향이 최소화되는 형상을 가지는 비상부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는 비행체의 동체에 일면이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용부몸체와, 상기 수용부몸체 타면 높이방향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고정봉을 포함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몸체 타면에 상기 고정봉과 고정되어 수용되며, 공압을 공급받아 팽창 가능한 플로트백(float bag); 및 상기 플로트백을 감싸도록 상기 수용부몸체 타면과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몸체를 포함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봉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비행체의 동체에 형성되는 동체고정부와 퀵 릴리즈 핀(quick release pin)을 이용하여 장/탈착되는 핀고정부와, 상기 수용부몸체 일면 높이방향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기 비행체의 동체와 장/탈착되는 브라켓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동체고정부는 높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동체고정부몸체와, 상기 동체고정부몸체에 높이방향으로 중공되어 형성되는 동체고정중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고정부는 상기 동체고정부몸체와 높이방향 교차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핀고정부몸체와, 상기 핀고정부몸체 높이방향으로 중공되어 형성되는 핀고정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퀵 릴리즈 핀이 상기 동체고정중공부와 핀고정중공부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용부몸체는 상기 핀고정부와 동체고정부가 장/탈착 가능하도록 연통되어 형성되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몸체가 폭방향 단면이 'D'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몸체 타면과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는 비행체의 비상시에 따른 수면착수 상황에 작동하여 탑승자의 안전한 탈출시간을 확보하는 비상부주에 있어서, 비행체의 동체에 장/탈착이 용이하여, 비행체의 운행 목적 및 운행 장소에 따라 수월하게 장/탈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는 비행체의 동체와 장/탈착이 용이함으로써, 헬리콥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행체에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는 공기 유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비상부주 커버가 항력의 영향이 최소화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비행체의 동체 외부에 장착되는 비상부주에 의한 항력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의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의 커버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의 수용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의 커버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의 동체고정부와 핀고정부를 퀵 릴리즈 핀을 이용하여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의 장착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1000)는 비행체의 비상상황에 따른 수면착수 상황에 작동하여 탑승자의 안전한 탈출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되는 공압(가스)에 의해 플로트백(float bag)(200)이 팽창함으로써, 탑승자가 비행체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을 보장하도록 수면위에 비행체의 동체를 일정시간 부유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1000)는 비행체의 동체(1) 내부에 구비되는 비상부주가 아닌, 비행체의 동체(1) 외부면에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1000)가 장/탈착되는 비행체는 주로 헬리콥터 등의 회전익 비행체를 말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비상부주가 장착되어 사용 가능한 모든 비행체에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1000)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1000)는 비행체의 동체(1)와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용부(100)와, 상기 수용부(100) 내에 구비되는 플로트백(200) 및 상기 플로트백(200)을 감싸도록 상기 수용부(100)와 결합되는 커버부(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1000)는 상기 플로트백(200)이 상기 수용부(100)에 수용되고, 상기 커버부(300)에 의해 감싸도록 형성되어 비행체의 동체(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비상상황 시 상기 플로트백(200)은 공급되는 공압 또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게 되고, 상기 플로트백(200)의 팽창에 따라 상기 커버부(300)가 상기 수용부(100)로부터 탈착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00)는 비행체의 동체(1)에 일면이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용부몸체(110)와 상기 수용부몸체(110) 타면 높이방향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고정봉(12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수용부(100)는 비행체의 동체(1)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에 기재된 길이방향은 비행체의 동체(1) 전후방향, 하기에 기재될 폭방향은 비행체의 동체(1) 좌우방향인 측면방향을 말한다.
상기 수용부(100)는 비행체의 동체(1)와 장/탈착 가능하기 위해 상기 고정봉(120)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비행체의 동체(1)에 형성되는 동체고정부(2)와 퀵 릴리즈 핀(quick release pin)(3)을 이용하여 장/탈착되는 핀고정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몸체(110) 일면 높이방향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브라켓(141)을 이용한 나사작업에 의해 상기 비행체의 동체(1)와 장/탈착되는 브라켓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동체고정부(2)는 비상부주 장치(1000)가 장착되기 위한 비행체의 동체(1)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동체고정부(2)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동체고정부몸체(2-1)와 상기 동체고정부몸체(2-1)에 상하방향으로 중공되어 형성되는 동체고정중공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동체고정부(2)와 함께 고정되는 핀고정부(130)는 상기 동체고정부몸체(2-1)와 상하방향 교차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핀고정부몸체(131)와, 상기 핀고정부몸체(131) 상하방향으로 중공되어 형성되는 핀고정중공부(132)를 포함하며, 상기 퀵 릴리즈 핀(3)이 상기 동체고정중공부(2-2)와 핀고정중공부(132)를 관통하여 고정한다. (도 9에 퀵 릴리즈 핀(3)을 이용하여 상기 동체고정부(2)와 핀고정부(130)의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상기 동체고정부몸체(2-1)와 상기 핀고정부몸체(131)는 서로 체결되기 위해 서로 간의 결합 시, 동체고정중공부(2-2)와 핀고정중공부(132)의 크기 및 위치가 동일해야 함은 물론이며, 상기 동체고정부몸체(2-1)와 핀고정부몸체(131)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 가능하되, 고정 작업의 수월성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1000)는 상기 수용부(100)를 비행체의 동체(1)에 장/탈착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몸체(110)의 높이방향 상부는 퀵 릴리즈 핀(3)을 이용하여 상기 동체고정부(2)와 핀고정부(130)를 고정시키며, 상기 수용부몸체(110)의 높이방향 하부는 종래와 같이 브라켓(141)을 이용한 나사작업을 통해 상기 수용부몸체(110)와 비행체의 동체(1)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수용부(100)를 비행체의 동체(1)에 장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는 퀵 릴리즈 핀(3)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100)를 비행체의 동체(1)에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신속하게 상기 수용부(100)를 비행체의 동체(1)에 장/탈착할 수 있다.
이는 비행체가 운행하기 위한 목적에 따라 비상부주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비행체의 동체(1)에 장/탈착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비상부주가 필요 없는 운행일 경우, 비상부주를 신속하게 탈착하여 비행체를 운행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1000)는 비상부주의 장/탈착이 용이하여 해상임무 시에는 비상부주를 장착하여 운행하고, 비상부주가 필요 없는 운행일 경우, 비상부주를 비행체 동체(1)로부터 신속하게 탈착시킴으로써, 탑승자 또는 장비의 추가적인 탑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상부주의 자체 무게를 배제함에 따라 비행체의 운행거리(항속거리)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수용부몸체(110)의 일면 높이방향 하부에는 브라켓(141)을 이용하는 브라켓고정부(140)로 상기 수용부몸체(110)를 비행체 동체(1)에 장/탈착 가능함으로써, 상기 수용부(100)가 비행체의 동체(1)에 장착되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을 보장받는다,
즉, 비행체 중 회전익 비행체인 헬리콥터인 경우, 운항에 따른 지속적인 진동이 발생하므로, 퀵 릴리즈 핀(3)으로만 상기 수용부(100)를 장착시키지 않고, 수용부(100)의 높이방향 상부는 퀵 릴리즈 핀(3)을 이용하여 비행체의 동체(1)에 장착시키고, 상기 수용부(100) 높이방향 하부는 장착 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브라켓(141)을 이용한 나사작업을 통해 비행체의 동체(1)에 장착시킨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고정부(140)는 브라켓(141)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100)를 비행체의 동체(1)에 장착시킴으로써, 비행체의 동체(1) 외형에 방해받지 않고 브라켓(141)의 길이 또는 형상 제어를 통해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비행체의 외형에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를 장/탈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퀵 릴리즈 핀(3)은 하부에 형성되어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돌출돌기에 의해 상기 핀고정부(130)와 동체고정부(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브라켓(141)과 퀵 릴리즈 핀(3)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형상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수용부몸체(110)는 상기 수용부몸체(110) 타면에 형성되는 상기 핀고정부(130)와 상기 수용부몸체(110) 일면과 접하는 동체고정부(2)가 장/탈착되도록 상기 수용부몸체(110)의 일면과 타면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연통부(111)의 형상은 도 4 내지 5 및 도 7에 도시된 비와 같이,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플로트백(200)은 상기 수용부몸체(110) 타면에 상기 고정봉(120)과 고정되어 수용되며, 공압(가스)을 공급받아 팽창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플로트백(200)을 감싸도록 상기 수용부몸체(110) 타면과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몸체(31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커버몸체(310)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몸체(110) 타면과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로트백(2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로트백(200)의 경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므로, 외부의 충격 또는 이물질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이는 비상상황에 따른 비행체의 수면착수 상황 시, 플로트백(200)의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는 커버부(300)를 형성함으로써, 플로트백(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버부(300)의 커버몸체(310)는 폭방향 단면이 'D'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300)는 커버몸체(310)가 폭방향 단면을 'D'자 형상인 유선형을 띠게 형성됨으로써, 항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300)는 항력이 영향이 최소화되는 유선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비행체의 동체(1) 외부면에 장착되는 비상부주에 의한 항력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커버몸체(310)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몸체(110) 타면과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고정부(320, 3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고정부(320, 330)는 상기 플로트백(200)의 팽창 시, 상기 수용부(100)로부터 탈착되어야 하므로, 힌지 핀(hinge pin) 또는 break cord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몸체(132)에 상기 커버부(300)를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에 기재된 커버고정부(320, 330)는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에 기재된 힌지 핀 또는 break cord 뿐만 아니라, 비행체의 운행에 따른 진동의 발생에도 운행에 지장이 가지 않도록 상기 수용부(100)에 장착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플로트백(200)의 팽창 시에는 상기 수용부(100)로부터 탈착(이탈) 가능하다면 다양한 고정 방법의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1000)는 비행체의 동체(1)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나, 비행체의 부유를 통한 탑승자의 탈출시간 확보를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체의 동체(1) 양측에 2개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플로트백(200)의 팽창을 위해 공급되는 공압은 비행체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공압탱크(4)(또는 가스탱크)에 저장하였다가, 비상상황 시 상기 플로트백(200)으로 일괄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비행체를 수면에 부양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에 기재된 플로트백(200)의 팽창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는 비행체의 동체(1)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둘 이상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부주 장치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비행체의 동체(1) 위치에 따라 상기 수용부(100)와 이에 따른 커버부(300)의 형상을 비행체의 동체(1)와 장착이 수월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형상과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형상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00)와 커버부(300)의 형상이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장착되기 위한 비행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수용부
110 : 수용부몸체
111 : 연통부
120 : 고정봉
130 : 핀고정부
131 : 핀고정부몸체 132 : 핀고정중공부
140 : 브라켓고정부
200 : 플로트백
300 : 커버부
310 : 커버몸체
320, 330 : 커버고정부
1 : 비행체의 동체
2 : 동체고정부
2-1 : 동체고정부몸체 2-2 : 동체고정중공부
3 : 퀵 릴리즈 핀
4 : 공압탱크

Claims (6)

  1. 비행체의 동체(1)에 일면이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용부몸체(110)와, 상기 수용부몸체(110) 타면 높이방향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고정봉(120)을 포함하는 수용부(100);
    상기 수용부몸체(110) 타면에 상기 고정봉(120)과 고정되어 수용되며, 공압을 공급받아 팽창 가능한 플로트백(float bag)(200); 및
    상기 플로트백(200)을 감싸도록 상기 수용부몸체(110) 타면과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몸체(310)를 포함하는 커버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고정봉(120)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비행체의 동체(1)에 형성되는 동체고정부(2)와 퀵 릴리즈 핀(quick release pin)(3)을 이용하여 장/탈착되는 핀고정부(130)와,
    상기 수용부몸체(110) 일면 높이방향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브라켓(141)을 이용하여 상기 비행체의 동체(1)와 장/탈착되는 브라켓고정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부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고정부(2)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동체고정부몸체(2-1)와, 상기 동체고정부몸체(2-1)에 높이방향으로 중공되어 형성되는 동체고정중공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부주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고정부(130)는
    상기 동체고정부몸체(2-1)와 높이방향 교차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핀고정부몸체(131)와, 상기 핀고정부몸체(131) 높이방향으로 중공되어 형성되는 핀고정중공부(132)를 포함하며,
    상기 퀵 릴리즈 핀(3)이 상기 동체고정중공부(2-2)와 핀고정중공부(132)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부주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몸체(110)는
    상기 핀고정부(130)와 동체고정부(2)가 장/탈착 가능하도록 연통되어 형성되는 연통부(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부주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커버몸체(310)가 폭방향 단면이 'D'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부주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커버몸체(310)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몸체(110) 타면과 장/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고정부(320, 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부주 장치.
KR1020150093871A 2015-07-01 2015-07-01 비상부주 장치 KR101641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871A KR101641876B1 (ko) 2015-07-01 2015-07-01 비상부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871A KR101641876B1 (ko) 2015-07-01 2015-07-01 비상부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876B1 true KR101641876B1 (ko) 2016-07-29

Family

ID=5661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871A KR101641876B1 (ko) 2015-07-01 2015-07-01 비상부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8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6013A (zh) * 2021-10-08 2021-11-30 湖南航天环宇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无人机气囊加压开盖的可抛弃式口盖及其无人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2797A (ja) * 1995-01-19 1996-07-30 Ayako Otsuka 安全ヘリコプタ
KR20080068395A (ko) * 2007-01-19 2008-07-23 김종원 비행기 및 선박용 안전장치
US20110049294A1 (en) * 2008-02-22 2011-03-03 Robert Morley Emergency Flotation Apparatus
JP2014506852A (ja) * 2011-02-25 2014-03-20 アルキメデス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浮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2797A (ja) * 1995-01-19 1996-07-30 Ayako Otsuka 安全ヘリコプタ
KR20080068395A (ko) * 2007-01-19 2008-07-23 김종원 비행기 및 선박용 안전장치
US20110049294A1 (en) * 2008-02-22 2011-03-03 Robert Morley Emergency Flotation Apparatus
JP2014506852A (ja) * 2011-02-25 2014-03-20 アルキメデス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浮力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한국국방연구원 주간국방논단 제1409호("주요국 해상용 헬기의 비상부주장비 및 시사점" 발행일자 2012.05.07.)
특허문헌 1 :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9294호("Emergency Flotation Apparatus", 2011.03.0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6013A (zh) * 2021-10-08 2021-11-30 湖南航天环宇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无人机气囊加压开盖的可抛弃式口盖及其无人机
CN113716013B (zh) * 2021-10-08 2024-03-15 湖南航天环宇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无人机气囊加压开盖的可抛弃式口盖及其无人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6827A (en) Air-chute safety system
US3603535A (en) Lifesaving support system
KR102009815B1 (ko) 비상 부양 시스템을 구비한 항공기
EP0168806A1 (en) Improved life preserver device
US3102623A (en) Escape slide
CN104816819A (zh) 飞行器的浮力系统及飞行器
DE60104483D1 (de)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n Hubschrauber
US9533757B2 (en) Buoyancy system for an aircraft
US20130075538A1 (en) Transport Aircraft Hull Attachment System
RU2008111308A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самолета
KR101641876B1 (ko) 비상부주 장치
UA88319U (ru) Самолет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спасения пассажиров и/или грузов при аварийной ситуации
CA3106725C (en) A life raft system for an aircraft
ES2810376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con eslinga de un barco neumático en configuración de funcionamiento bajo helicóptero, y conjunto que lo comprende
US2940700A (en) Emergency buoyancy devices for helicopters
US6761334B1 (en) Aircraft passenger safety module
US10364023B2 (en) Aircraft provided with a buoyancy system, and a buoyancy method
KR20150116059A (ko) 분리형 헬리데크를 구비한 선박
CN201023659Y (zh) 呼救装置
US20050087652A1 (en) Emergency parachute system for helicopters
KR20100118250A (ko)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
US11254421B2 (en) Deployable aircraft flotation system
US20190009626A1 (en) Vehicle with automatically deployable airfoil parachute
RU98121392A (ru)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пасения вертолета с экипажем, пассажирами и грузами, перевозимыми пассажирскими, транспортными вертолетами и вертолетами специ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при аварии в воздухе
CN213705742U (zh) 一种自主抛放式救生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