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040B1 - 케이블 스탠드 - Google Patents

케이블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040B1
KR101641040B1 KR1020140166065A KR20140166065A KR101641040B1 KR 101641040 B1 KR101641040 B1 KR 101641040B1 KR 1020140166065 A KR1020140166065 A KR 1020140166065A KR 20140166065 A KR20140166065 A KR 20140166065A KR 101641040 B1 KR101641040 B1 KR 101641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able
joint
variab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445A (ko
Inventor
조창래
우성현
임종민
은희광
전종협
문남진
문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6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0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3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gravity-loaded or spring-loaded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고정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다각도로 움직이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에 연결되며, 케이블을 지지하는 가변형그립;을 포함하는 케이블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실험실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이 상호 간에 엉키지 않도록 정리하고, 케이블을 원하는 위치에 정리 및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스탠드{STAND FOR FIX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케이블이 엉키지 않도록 정리하고, 케이블을 원하는 위치에 정리 및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시험을 통해 수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하게 된다.
이때, 다양한 데이터의 수집은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지며, 데이터의 양이 많을수록 케이블의 수도 늘어나 상호 간에 많이 엉키게되며, 실제로 시험에 필요한 시간과 일이 다른 일(케이블 정리)로 낭비되는 일이 발생하여 작업 효율성이 매우 낮아진다.
많은 시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수많은 케이블이 설치되는데 이들 케이블 정리작업은 시험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시험용 케이블을 잡아주기 위해 대부분 스탠드를 사용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1자' 형태의 스탠드를 사용하거나, 시험체에 테이프로 케이블을 고정하여 사용하곤 한다.
또한, 케이블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의 위치 등이 복잡해지면 케이블을 지탱할 스탠드도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고 값비싼 시험용 케이블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장기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케이블 스탠드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기술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558878호에 소개된 바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많은 케이블을 원하는 위치에 편리하고 손쉽게 거치 및 고정하여 사용하기 위한 케이블 스탠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케이블 스탠드는, 바닥에 고정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다각도로 움직이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에 연결되며, 케이블을 지지하는 가변형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많은 케이블을 원하는 위치에 거치 및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정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환경의 개선으로 업무 효율성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탠드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탠드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형그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탠드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절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탠드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탠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탠드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케이블 스탠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케이블 스탠드는 바닥에 고정지지되는 지지부(100); 지지부(100)에 연결되며, 다각도로 움직이는 관절부(200); 및 관절부(200)에 연결되며, 케이블(10)을 거치하고 지지시키는 가변형그립(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100)는 바닥에 고정되어 상부에 거치되는 관절부(200), 가변형그립(300) 및 가변형그립(300)에 거치되는 케이블(10)의 무게를 지지하며 바닥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그 형상 및 크기 등은 상부에 형성된 기구물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지지부(100)의 하부에는 이동바퀴와 같은 이동수단(110)이 구비되어 케이블 스탠드를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미도시 하였으나, 이동수단(110)에는 이동수단(110)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고정시키는 스토퍼 등을 더 구비하여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킨 뒤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절부(200)는 원하는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으로, 유니버셜조인트의 움직임과 같이 다양한 각도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가변형그립(300)은 케이블(10)을 거치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 고무줄과 같은 탄성밴드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케이블(10)을 거치 및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이 역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탠드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형그립(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가변형그립(300)은 관절부(200)에 각각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제1체결고정부(311)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가변형샤프트(310); 각각의 일단부가 상호 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가변형샤프트(310)에 엇갈리게 결합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제2체결고정부(321)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2가변형샤프트(320); 및 제1체결고정부(311)와 제2체결고정부(321)에 체결되어 제1가변형샤프트(310) 및 제2가변형샤프트(320)를 고정시키는 체결고정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가변형샤프트(310) 및 제2가변형사프트(320)는 'ㄱ'자 형상으로 각각의 마주닿는 부분이 회전 또는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체결고정부(311) 및 제2체결고정부(321)는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홀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며, 체결고정수단(330)은 상기 홀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체결볼트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블(10)의 양에 따라 조절이 용이하며, 제1체결고정부(311) 및 제2체결고정부(321)의 형성 간격이 좁을수록 거치되는 케이블(1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고정수단(330)은 제1가변형샤프트(310) 및 제2가변형샤프트(320)가 상호 간에 엇갈리며 접하는 부분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하부에 각각 하나씩 모두 2개가 결합된다.
체결고정수단(330)의 사용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는 상부(도 1을 기준으로 위쪽)에 결합된 체결고정수단(330)을 분리한 뒤 케이블(10)을 거치하고, 케이블(10)의 양에 따라 제1가변형샤프트(310) 및 제2가변형샤프트(320)를 밀착시킨 뒤 분리된 체결고정수단(330)을 제1체결고정부(311) 및 제2체결고정부(321)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탠드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절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관절부(200)는 하나로 연결된 복수 개의 지지샤프트(210); 및 지지샤프트(210)의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 결합되며, 다각도로 움직임이 제어되는 관절링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절링크(220)는 어느 하나의 회전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관절링크(221); 및 제1관절링크(221)와 결합되며, 어느 하나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방향의 회전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관절링크(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샤프트(210)와 관절링크(220)로 구성시 지지샤프트(210)는 바닥에 네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100)의 다리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관절링크(221)는 360도 회전되는 구조물로써, 미도시 하였으나, 회전부위는 소정의 저항을 가지며 회전되도록 회전부위 상하부는 각각 상호 간에 대응되어 다수회로 굴곡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시 굴곡부위 개수만큼 소정의 저항을 받게 되며, 굴곡부위가 많으면 많을수록 회전반경의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다.
제2관절링크(222)는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회동되는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볼트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면 상에는 회동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회전되는 구조로 제작해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탠드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상에는 케이블(10)을 헐겁게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가변형샤프트(310) 및 제2가변형샤프트(320)를 더 밀착시킨 뒤 체결고정수단(330)을 결합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절부(200)를 이용하여 원하는 다양한 각도로 변형하여 위치시킬 수 있으나, 무게 등에 의해 케이블 스탠드가 쓰러지지 않도록 가변형그립(300), 특히, 케이블(10)이 거치된 부분이 지지부(100)의 지지반경을 넘지 않도록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탠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다.
관절부(200)는 소정의 저항을 가지며 다각도로 휘어지는 탄성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관절부(200)를 지지샤프트(210) 및 관절링크(220)의 구조로 구성하지 않고 탄성체로 구성시, 조이고 풀고 하는 절차없이 손쉽게 구부려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거치되는 케이블(10)의 개수 및 무게 등을 고려하여 탄성체의 탄성계수를 계산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부(100), 관절부(200) 및 가변형그립(300)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은 가볍고 강도가 높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다만, 지지부(100)의 무게는 케이블(10)의 거치시 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상물의 총 무게를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케이블
100 : 지지부 110 : 이동수단
200 : 관절부 210 : 지지샤프트
220 : 관절링크 221 : 제1관절링크
222 : 제2관절링크
300 : 가변형그립 310 : 제1가변형샤프트
311 : 제1체결고정부 320 : 제2가변형그립
321 : 제2체결고정부 330 : 체결고정수단

Claims (6)

  1. 바닥에 고정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다각도로 움직이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에 연결되며, 케이블을 지지하는 가변형그립;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형그립은,
    상기 관절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제1체결고정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가변형샤프트;
    각각의 일단부가 상호 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가변형샤프트에 엇갈리게 결합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제2체결고정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2가변형샤프트; 및
    상기 제1체결고정부와 상기 제2체결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가변형샤프트 및 상기 제2가변형샤프트를 고정시키는 체결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케이블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스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하나로 연결된 복수 개의 지지샤프트; 및
    상기 지지샤프트의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 결합되며, 다각도로 움직임이 제어되는 관절링크;를 포함하는 케이블 스탠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링크는,
    어느 하나의 회전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관절링크; 및
    상기 제1관절링크와 결합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방향의 회전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관절링크;를 포함하는 케이블 스탠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고정부 및 상기 제2체결고정부는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홀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고정수단은 상기 홀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체결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스탠드.
KR1020140166065A 2014-11-26 2014-11-26 케이블 스탠드 KR101641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065A KR101641040B1 (ko) 2014-11-26 2014-11-26 케이블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065A KR101641040B1 (ko) 2014-11-26 2014-11-26 케이블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445A KR20160063445A (ko) 2016-06-07
KR101641040B1 true KR101641040B1 (ko) 2016-07-21

Family

ID=5619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065A KR101641040B1 (ko) 2014-11-26 2014-11-26 케이블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5003A (zh) * 2021-06-29 2021-11-09 中国电子产品可靠性与环境试验研究所((工业和信息化部电子第五研究所)(中国赛宝实验室)) 线缆串扰测试夹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024B1 (ko) * 2011-11-01 2013-04-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루프 안테나 거치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024B1 (ko) * 2011-11-01 2013-04-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루프 안테나 거치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445A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628206U (zh) 床用数码显微镜医疗支架
EP3105831B1 (en) Hinged clamp for spacer-damper
US103786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mounts for receiving objects and coupling to surfaces
US20140208883A1 (en) Arm assembly for a parallel robot
WO2011163406A3 (en) Hexapod external fixation system with collapsing connectors
KR102020278B1 (ko) 산업용 로봇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
CA2696592A1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EP2886265A3 (en) Robot and maintenance method for robot
JP2010252457A (ja) 間接活線工具支持具
US6123305A (en) Pivot bracket assembly
KR101641040B1 (ko) 케이블 스탠드
CN105269591A (zh) 两自由度大角度运动仿生肘关节
CN208942380U (zh) 显示器支架及推车
US20140087929A1 (en) Motion muscle relaxer
CN107050854A (zh) 多功能游戏手柄器
CN204978446U (zh) 一种移动终端车载支撑装置
CN106737283A (zh) 一种用于核磁共振传感器的夹具
JP5701933B2 (ja) 腕金調整装置
CN104960479A (zh) 一种移动终端车载支撑装置
CN208914104U (zh) 一种穿戴于背部的上肢支撑固定装置
CN104236872B (zh) 气缸固定装置
KR101375270B1 (ko) 지지 장치 및 이를 이동시키기 이한 이동 대차
CN107214693A (zh) 新型万向机械手
CN208057635U (zh) 一种新型环纹紧固件
US10238567B2 (en) Arm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